KR100586613B1 - 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613B1
KR100586613B1 KR1020040055348A KR20040055348A KR100586613B1 KR 100586613 B1 KR100586613 B1 KR 100586613B1 KR 1020040055348 A KR1020040055348 A KR 1020040055348A KR 20040055348 A KR20040055348 A KR 20040055348A KR 100586613 B1 KR100586613 B1 KR 100586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intermediate frame
upper frame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228A (ko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filed Critical 이재우
Priority to KR102004005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6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제1각도유지수단과,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제2각도유지수단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부에 인체의 발뒤꿈치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각각 회동시켜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발판 위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아 휴식을 취하다가, 보관시에는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각각 접어서 작은 공간에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맞게 그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을 편안히 받쳐줄 수 있으며 보관 시에는 접어서 보관하므로 작은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 지지장치{Foot support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발판 부위의 정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프레임 20. 중간프레임
30. 제1각도유지수단 40. 상부프레임
50. 제2각도유지수단 60. 발판
70. 진공모터 80. 수직판
본 발명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발을 편안히 받쳐줄 수 있는 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은 보행할 때 체중으로부터 오는 압력을 분산시켜서 체중의 압력의 뼈나 신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는 완충의 역할을 한다. 또한, 발은 걸을 때 받는 압력을 이용해 아래로 몰린 피를 심장 쪽으로 뿜어주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평소에 많이 걷지 않던 사람이 오랜만에 야유회를 갔다거나 굽이 높은 신을 신고 다니다 들어온 날은 발이 몹시 피로해진다. 또한 장시간 강의를 하거나 장시간 앉지 못하고 서있는 상태를 유지한 날도 발의 피로는 더욱 가중되고 심해진다.
이렇게 발이 피로해졌을 때, 그 발의 피로를 풀기 위하여 소금을 탄 따뜻한 물에 발을 담그고 얼마동안 마사지 등을 하지만, 그 피로는 쉬 풀리지 않으며 피로를 풀기 위한 준비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에 몰린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수면을 취할 때 베개 위에다 발을 올려놓고 수면을 취하기도 하지만 인체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에 발을 올림으로써 비위생적이며 몸부림 등으로 인하여 그 상태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개나 이불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는 경우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수면을 취하지 않는 직장 등에서는 발을 올려서 발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는 장치나 기구가 없어서 그 피로는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에 따라 다단으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이 간편하여 발을 올려놓게 하여 발의 피로는 물론이고 신체의 혈액순환 등을 개선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포개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작은 공간에도 수납할 수 있는 발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제1각도유지수단과,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제2각도유지수단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인체의 발뒤꿈치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각각 회동시켜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발판 위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아 휴식을 취하다가, 보관시에는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각각 접어서 작은 공간에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의 상기 각각의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프레임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되거나 돌출되어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결합된 진동모터와, 상기 발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진동되는 수직판 과, 상기 수직판에 부착된 돌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직판이 전후방향으로 진동되어 상기 돌기가 사용자의 발바닥을 두드림으로 해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의 상기 제1각도유지수단은, 그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며, 복수개의 제1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래칫과, 상기 제1래칫의 제1각도조절돌기들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삽입부에 대해 굴곡된 제1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래칫레버와, 그 일단은 상기 제1래칫레버의 제1굴곡부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래칫레버의 제1굴곡부를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각도유지수단은, 그 일단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제2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래칫과, 상기 제2래칫의 제2각도조절돌기들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로부터 연장되며 제2삽입부에 대해 굴곡된 제2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래칫레버와, 그 일단은 상기 제2래칫레버의 제2굴곡부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래칫레버의 제2굴곡부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발판 부위의 정면도를,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100)는 하부프레임(10)과, 중간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40)과, 제1각도유지수단(30)과, 제2각도유지수단(50)과, 발판(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지면에 놓여지는 부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하부프레임(10)과 제2하부프레임(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10)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크며, 상기 제2하부프레임(10)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다. 따라서 상기 제2하부프레임(10)이 상기 제1하부프레임(10)에 삽입되거나 돌출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도 1에 화살표(A)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도 1의 화살표(C) 방향으로의 길이조절도 가능하다.
상기 중간프레임(2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프레임(20)도 상기 하부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제1중간프레임(20)과 제2중간프레임(20)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중간프레임(20)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크며, 상기 제2중간프레임(20)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다. 따라서 상기 제2중간프레임(20)이 상기 제1중 간프레임(20)에 삽입되거나 돌출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프레임(20)은 도 1에 화살표(B)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후술하는 발판(60)이 위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유지수단(30)은 상기 중간프레임(20)이 상기 하부프레임(10)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래칫(32)과 제1래칫레버와 제1스프링(36)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래칫(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일단에 핀(7)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20)과 결합되며, 복수개의 제1각도조절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래칫레버(34)는 상기 제1래칫(32)의 제1각도조절돌기(322)들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342)와, 상기 제1삽입부(342)로부터 연장되며 제1삽입부(342)에 대해 굴곡된 제1굴곡부(346)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프레임(20)에 핀(7)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스프링(36)은 그 일단은 상기 제1래칫레버(34)의 제1굴곡부(346)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래칫레버(34)의 제1굴곡부(346)를 상기 중간프레임(20)에 대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프레임(40)은 상기 중간프레임(2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중간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40)도 상기 하부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제1상부프레임(40)과 제2상부프레임(40)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상부프레임(40)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크며, 상기 제2상부프레임 (40)은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다. 따라서 상기 제2상부프레임(40)이 상기 제1상부프레임(40)에 삽입되거나 돌출되어 상기 상부프레임(4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40)은 도 1에 화살표(A)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각도유지수단(50)은 상기 상부프레임(40)이 상기 중간프레임(20)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래칫(52)과 제2래칫레버와 제2스프링(56)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래칫(5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일단은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단에 핀(7)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40)과 결합되며, 복수개의 제2각도조절돌기(5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래칫레버(54)는 상기 제2래칫(52)의 제2각도조절돌기(522)들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352)와, 상기 제2삽입부(352)로부터 연장되며 제2삽입부(352)에 대해 굴곡된 제2굴곡부(546)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프레임(40)에 핀(7)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스프링(56)은 그 일단은 상기 제2래칫레버(54)의 제2굴곡부(546)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40)에 결합되어 상기 제2래칫레버(54)의 제2굴곡부(546)를 상기 상부프레임(40)에 대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발판(60)은 상기 상부프레임(4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인체의 발뒤꿈치 부위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발판(6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S'자 형성을 가져서 인체의 발뒤꿈치와 종아리 부위의 곡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았을 때 편안하게 그 사용자의 발 부위를 받쳐주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판(60)과 결합되는 진동모터(70)와 수직판(80)과 돌기(82)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6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4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걸이쇠(6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이쇠(64)에 상기 상부프레임(40)의 양단이 끼워져서 상기 발판(60)이 상기 상부프레임(40)에 결합이 되는 것이며, 따로 보관을 위해서는 상기 걸이쇠(64)를 상기 상부프레임(40)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발판(60)을 따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모터(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60)의 하면에 결합되어 진동을 야기시킨다.
상기 수직판(80)은 상기 발판(6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발판(60)에 대해 경사지게 세워지며, 상기 진동모터(70)에 의해 전후방향, 즉 도 2의 화살표(D)방향으로 진동된다.
상기 돌기(82)는 상기 수직판(80)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직판(80)이 전후방향으로 진동될 때, 사용자의 발바닥 부위를 두드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프레임(20)을 상기 하부프레임(10)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시키고 상기 제1삽입부(342)를 상기 제1각도조 절돌기(322)들 사이의 홈에 삽입하여 상기 중간프레임(20)이 하부프레임(10)에 대해 회동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0)을 상기 중간프레임(20)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시키고 상기 제2삽입부(352)를 상기 제2각도조절돌기(522)들 사이의 홈에 삽입하여 상기 상부프레임(40)이 상기 중간프레임(20)에 대해 회동된 각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발을 상기 발판(60)위에 올리고 휴식을 취하면 된다. 이 때, 상기 발판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안하게 발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발판(60)의 높이는 상기 제2중간프레임(20)이 제1중간프레임(20)으로부터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슬라이딩시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어서, 지압 효과를 원할 때에는 상기 진동모터(70)를 작동시켜 상기 수직판(80)이 사용자의 발바닥 부위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하면 상기 돌기(82)들이 사용자의 발바닥 부위를 두드리게 되므로 지압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침대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100)를 사용할 때에 침대의 폭에 맞게 그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하부프레임(10)과 제2상부프레임(40)을 각각 상기 제1하부프레임(10)과 제1상부프레임(4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슬라이딩시켜 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100)를 보관할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상기 제1각도조절돌기(322)들 사이의 홈에 제1삽입부(3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굴곡부(346)를 상기 중간프레임(20)이 위치된 방향으로 누른다. 즉 상기 제1스프링(36)이 압축되도록 누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부(342)가 상기 제1각도조절돌기(322)들 사이의 홈으로부터 이탈이 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프레임(20)을 하부프레임(10)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제1굴곡부(346)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1스프링(36)에 의해 상기 제1굴곡부(346)가 상기 중간프레임(20)에 대해 이격되게 복원되면서 상기 제1삽입부(342)가 상기 제1각도조절돌기(322)들 사이의 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40)도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상기 중간프레임(20)에 수평하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키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제2하부프레임(10)과 제2중간프레임(20)과 제2상부프레임(40)이 각각 제1하부프레임(10)과 제1중간프레임(20)과 제1상부프레임(40)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시키면 그 길이가 더욱 줄어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높이가 길이가 줄어진 상태에서 보관을 하면 작은 공간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지지장치(100)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 지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 따라 다단으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이 간편하여 발을 올려놓게 하여 발의 피로는 물론이고 신체의 혈액순환 등을 개선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포개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작은 공간에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는 중간프레임;
    상기 중간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제1각도유지수단;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그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 그 회동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제2각도유지수단;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인체의 발뒤꿈치 부위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각각 회동시켜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발판 위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아 휴식을 취하다가, 보관시에는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각각 접어서 작은 공간에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프레임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되거나 돌출되어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하면에 결합된 진동모터와,
    상기 발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진동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부착된 돌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직판이 전후방향으로 진동되어 상기 돌기가 사용자의 발바닥을 두드림으로 해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유지수단은,
    그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며, 복수개의 제1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래칫과,
    상기 제1래칫의 제1각도조절돌기들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삽입부에 대해 굴곡된 제1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래칫레버와,
    그 일단은 상기 제1래칫레버의 제1굴곡부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래칫레버의 제1굴곡부를 상기 중간프레임에 대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각도유지수단은,
    그 일단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제2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래칫과,
    상기 제2래칫의 제2각도조절돌기들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로부터 연장되며 제2삽입부에 대해 굴곡된 제2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래칫레버와,
    그 일단은 상기 제2래칫레버의 제2굴곡부와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래칫레버의 제2굴곡부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지지장치.
KR1020040055348A 2004-07-16 2004-07-16 발 지지장치 KR10058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348A KR100586613B1 (ko) 2004-07-16 2004-07-16 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348A KR100586613B1 (ko) 2004-07-16 2004-07-16 발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228A KR20040076228A (ko) 2004-08-31
KR100586613B1 true KR100586613B1 (ko) 2006-06-09

Family

ID=3736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348A KR100586613B1 (ko) 2004-07-16 2004-07-16 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109B1 (ko) * 2015-08-04 2017-07-25 김동일 발받침대
KR20230033975A (ko) * 2021-09-02 2023-03-09 강지헌 의료용 다리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81Y1 (ko) * 2014-09-05 2015-02-04 강동윤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직립식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6080Y1 (ko) * 2014-09-05 2015-01-27 강동윤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8039Y1 (ko) * 2015-01-20 2015-08-20 최인 등압착식 허리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109B1 (ko) * 2015-08-04 2017-07-25 김동일 발받침대
KR20230033975A (ko) * 2021-09-02 2023-03-09 강지헌 의료용 다리 거치 장치
KR102623090B1 (ko) * 2021-09-02 2024-01-10 강지헌 의료용 다리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228A (ko)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6433B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US5441479A (en) Cervical traction device
WO1984001723A1 (en) Light stretching exercise aid
KR200438341Y1 (ko) 운동기능을 갖춘 발받침대
TW200529801A (en) Leg massage unit
KR100586613B1 (ko) 발 지지장치
KR20170114874A (ko) 복근강화 및 수족지압 의자
US20020183664A1 (en) Tilt type jin-luo massaging device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402241Y1 (ko) 의자의 지압용 발 받침대
JP3621616B2 (ja) 人体屈伸用椅子
CN100577133C (zh) 足用按摩机
JP3120988U (ja) 方形状収納形脚台
JP2002095713A (ja) マッサージ機
KR200276707Y1 (ko) 마사지 발판 운동기구
JP2004174105A (ja) 逆さ吊り身体牽伸機
JP3201442U (ja) フットネイル施術用補助具
JP2003180720A (ja) アキレス腱伸張具
JP3061277U (ja) 足用健康具
JP3046054U (ja) アキレス腱ストレッチ用具
KR200388425Y1 (ko) 척추 교정구
KR20180097042A (ko) 경추 견인장치
KR200309028Y1 (ko) 벨트 맛사지기의 절첩식 발판
JP3091610U (ja) 母指球歯と傾斜度付健康下駄
JP3026882U (ja) 背すじ伸ば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