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88U -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88U
KR20120004988U KR2020100013592U KR20100013592U KR20120004988U KR 20120004988 U KR20120004988 U KR 20120004988U KR 2020100013592 U KR2020100013592 U KR 2020100013592U KR 20100013592 U KR20100013592 U KR 20100013592U KR 20120004988 U KR20120004988 U KR 20120004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chair
support
brain activati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정
Original Assignee
양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정 filed Critical 양희정
Priority to KR2020100013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988U/ko
Publication of KR20120004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의 후면에 위치하며, 등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20)와,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40)와, 상기 지지부(40)와 상기 거치부(1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50)와, 그리고 상기 거치부(10)와 상기 등받이(20) 또는 상기 거치부(10)와 상기 지지부(40)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FUNCTIONAL CHAIR}
본 고안은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척추를 중심으로 한 적절한 움직임은 뇌의 각성 상태 유지와 집중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자는 좌판이 단순히 인체의 둔부와 대퇴부를 안치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동없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게 되면 허리 및 둔부와 대퇴부에 심한 통증이 생기게 되고 이때마다 수시로 자세를 움직여 몸의 피로를 풀어주게 되면서 지속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은 물론, 뇌의 각성상태가 깨지거나,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세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몸이 비스듬하게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좌판의 끝단에 걸터앉는 등의 불안정한 자세를 지속하게 되면서 척추가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허리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심한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셋째,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거치부와; 거치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등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와; 거치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와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그리고 거치부와 등받이, 또는 거치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결합부는 절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바로 이루어지며, 회전바의 양 측은 상, 하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대퇴부거치판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둔부거치판이 힌지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둔부거치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 의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가스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는 전방 상부면에 중앙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는 중앙돌출부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이 형성되고, 중앙돌출부의 후면으로 둔부거치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의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대한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 및 1d는 제 1실시예의 측면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서 지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제 1실시예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제 1실시예에서 힌지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 4c, 4d는 제 1실시예에서 힌지결합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에 따른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대한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제 2실시예에서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대한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1c 및 1d는 제 1실시예의 측면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서 지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제 1실시예에서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a는 제 1실시예에서 힌지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 4c, 4d는 제 1실시예에서 힌지결합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보면,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의 후면에 위치하며, 등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20)와,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40)와, 상기 지지부(40)와 상기 거치부(1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50)와, 그리고 상기 거치부(10)와 상기 등받이(20) 또는 상기 거치부(10)와 상기 지지부(40)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0)는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며, 일반적인 의자의 거치부 형태인 사각형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41)과, 상기 지지프레임(41)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리부(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42)는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1)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심지지대(43)와, 상기 중심지지대(43)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리(44)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4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1)은 수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의자의 거치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거치부(10)의 중앙 하측이나, 중앙으로부터 전방 하측, 또는 후방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둔부와 대퇴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의 기울기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으나 전면으로 6도~16도 기울어져 있을 때 허리가 곧게 펴지면서 가장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생활참선시에는 신체가 전면으로 10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가장 이상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1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거치부(10)가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지게 되면서 척추가 자연스럽게 "S"자 형태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 의자에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1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52), 또는 토션스프링(53),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스스프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상기 탄성부재(50)를 감싸기 위한 안전커버(5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커버(54)는 직물지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50)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접히고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상기 안전커버(52)에 의해 손가락이나, 옷이 상기 코일스프링(51)의 사이로 끼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거치부(10)가 상기 등받이(20) 또는, 상기 거치부(10)와 힌지결합되는 구성이다.
예컨대,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0)의 후면 일측과 타측으로 결합공(32)이 형성되는 결합돌기(31)와, 상기 등받이(2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홈(33)과, 상기 결합공(32)과 상기 결합홈(32)을 차례로 인입되어 상기 거치부(10)가 상,하 회동되도록 결속하는 결합구(34)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홈(33)은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34)는 일반적인 나사나, 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33)에 삽입되는 일측 외주면에만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공(32)은 상기 결합구(3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공(32)의 내부에 베어링이 매립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20)의 일측과 타측으로 삽입공(36)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의 후면 일측과 타측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는 결합돌기(31)가 구비되어 결합구(34)와 결합부재(37)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7)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구(34)는 볼트나, 나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37)와 결합되는 일측 외주면에만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공(32)은 상기 결합구(3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공의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구(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첩구(35)는 일반적인 경첩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거치부(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등받이(20) 또는 상기 거치부(10)에 고정된다.
또는,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38)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바(38)의 양 측은 상, 하 회동되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회전바(38)의 일측은 힌지축(39)에 의해 상기 거치부(10)에 연결되고, 타측은 힌지축(39)에 의해 상기 등받이(20) 또는 상기 지지부(40)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바(38)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회전바(38)의 양 끝단부는 힌지축(39)에 의해 상기 거치부(10)와 상기 지지부(40), 또는 상기 거치부(10)와 상기 등받이(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상기 거치부(10)가 상기 등받이(20), 또는 상기 지지부(40)와 힌지결합부(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거치부(10)는 상, 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1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힌지결합부(30)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1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10)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상기 거치부(10)의 유동에 의해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장시간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상기 거치부(10)의 유동에 의해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상기 거치부(10)의 상부면에 전방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돌출부(11)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중앙돌출부(11)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출부(11)의 후면으로 둔부거치홈(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1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거치부(10)가 전방으로 기울지게 되면서 신체가 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중앙돌출부(11)로 인해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로부터 전방으로 미끄러짐 없이 편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둔부와 대퇴부가 자연스럽게 상기 둔부거치홈(13)과 상기 대퇴부거치홈(12)에 거치됨으로써 늘어진 둔부를 안쪽으로 모아 볼륨있는 라인을 만들고 퍼진 둔부의 골반을 모음으로써 골반부가 항시 바른 자세를 취하게 되어 골반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중앙돌출부(11)의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10)에 착석하면 상기 중앙돌출부(11) 표면에 형성된 상기 다수개의 돌기(14)에 의해 회음부 주위의 혈이 부드럽게 자극되어 혈액 순환 및 성기능 개선과, 호르몬 분비촉진으로 인한 피부 노화 및 성장기 아동의 발육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수험생에게는 집중력을 높이는데 큰 효과가 있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에 따른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대한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a 및 7b는 제 2실시예에서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a, 6b 및 도 7a, 7b를 참조하여 보면,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둔부가 거치되는 둔부거치판(15)과 대퇴부가 거치되는 대퇴부거치판(16)이 힌지결합 되어 이루어지는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를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지지부(40)와, 상기 둔부거치판(11)과 상기 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대퇴부거치판(16)은 상기 지지부(40)에 고정되고, 상기 둔부거치판(15)은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에 착석하게 되면,의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착석시에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상기 둔부거치판(11)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퇴부거치판(16)의 하부면에 지지판(17)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둔부거치판(15)과 상기 지지판(17) 사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지지부(40)의 상부면과 탈, 부탁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는 상기 거치부(10)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판(17)의 상부면에 벨크로, 또는 자석이 배치되어 탈, 부착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1)로부터 상기 거치부(10)만을 탈착하여 지면에 안치한 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10 : 거치부
11 : 중앙돌출부 12 : 대퇴부거치홈
13 : 대퇴부거치홈 15 : 둔부거치판
16 : 대퇴부거치판 20 : 등받이
30 : 힌지결합부 35 : 절첩구
38 : 회전바 40 : 거치부
41 : 지지프레임 42 : 다리부
43 : 중심지지대 44 : 다리
50 : 탄성부재

Claims (8)

  1.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등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그리고
    상기 거치부와 상기 등받이, 또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절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바의 양 측은 상, 하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4.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대퇴부거치판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둔부거치판이 힌지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둔부거치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 의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가스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외측으로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전방 상부면에 중앙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돌출부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출부의 후면으로 둔부거치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판.
KR2020100013592U 2010-12-30 2010-12-30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KR201200049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92U KR20120004988U (ko) 2010-12-30 2010-12-30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92U KR20120004988U (ko) 2010-12-30 2010-12-30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88U true KR20120004988U (ko) 2012-07-10

Family

ID=4685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92U KR20120004988U (ko) 2010-12-30 2010-12-30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9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1898A (ja) * 2019-03-07 2020-09-10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1898A (ja) * 2019-03-07 2020-09-10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CN202908286U (zh) 一种可调角按摩沙发
KR101140009B1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KR101231028B1 (ko) 기능성 좌판
KR100739020B1 (ko) 요추 견인 치료장치
KR101313685B1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JP2011183151A (ja) 安楽座席
KR20120004988U (ko)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US7121629B2 (en) Healthy chair
CN208909432U (zh)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CN207604683U (zh) 人体模型躺摇椅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KR101633223B1 (ko) 의자 등받이 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압의자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CN106859098A (zh) 人体模型躺摇椅
CN106308990A (zh) 颈椎腰椎悬吊牵引装置
KR101674488B1 (ko) 짐볼형 허리 쿠션
KR200470425Y1 (ko) 골반균형 및 둔부고정용 방석
KR101374075B1 (ko)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