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904A -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904A
KR20100124904A KR1020090043842A KR20090043842A KR20100124904A KR 20100124904 A KR20100124904 A KR 20100124904A KR 1020090043842 A KR1020090043842 A KR 1020090043842A KR 20090043842 A KR20090043842 A KR 20090043842A KR 20100124904 A KR20100124904 A KR 20100124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oupled
plunger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563B1 (ko
Inventor
백금순
이건호
Original Assignee
백금순
이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금순, 이건호 filed Critical 백금순
Priority to KR102009004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56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5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 프레임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 중에서 서로 인접한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와,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부에 결합된 수평 바아와, 상기 수평 바아의 일단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부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바퀴와, 상기 플런저와 바퀴 사이에 마련되어 바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행기를 제공한다.
지지 프레임, 지지 부재, 지지 다리, 바퀴

Description

보행 보조기{WALKING SUPPORTER}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세가 많은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로 하여금 보행 보조기의 지지프레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밀면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보조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세가 많은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혼자서 걷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기구로는 지팡이와 보행기가 있다. 지팡이는 통상적으로 소정각도록 굴절된 막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행기는 일정 높이 상방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손잡이를 잡고 프레임에 의지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사용할 때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보행보조기를 어느정도 들어올린 상태에서 앞으로 밀어야 전륜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전진하지만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와 장애인의 경우에는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밀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아 실외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힘이 많이 들고, 방향을 전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 특허 10-0872036호에 보행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보에 개시된 보행 보조기는 후방다리에 하중이 가해지면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려 사용자가 중심을 잃고 전도(顚倒)될 위험이 있으며, 뒷바퀴가 지지대와 탄성 스프링에 의해 링크 결합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며, 장시간 사용시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 감쇠로 인하여 후방다리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항상 지면과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에서 사용한 후 실내에서 사용하고자할 때 앞바퀴와 뒷바퀴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행 보조기의 각각의 지지 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지지 부재를 마련하여 사용 장소의 변화 및 바퀴의 파손으로 인한 교체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지 부재에 하중이 가해질 때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전도(顚倒)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 프레임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 중에서 서로 인접한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와,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부에 결합된 수평 바아와, 상기 수평 바아의 일단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부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바퀴와, 상기 플런저와 바퀴 사이에 마련되어 바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행기를 제공한다.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장력조절너트가 나사체결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전방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하기 위해 전방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와 맞닿는 의자의 상면에 영구자석이 마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다리와 바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장소에 따라 교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부재에 결합된 바퀴가 플런저와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운동을 할 수 있어 보조 보행기의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려 사용자가 전도(顚倒)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지지 부재를 지지 프레임에 끼움결합하여 보조 보행기의 사용 장소에 따라 지지 부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퀴가 파손되었을 때 손쉽게 지지 부재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작동을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10)는 지지 프레임(100) 각각의 하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2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220)와, 상기 지지 다리(220)의 일단부에 결합된 수평 바아(222)와, 상기 수평 바아(222)의 일단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런저(224)와, 상기 플런저(224)의 일단부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바퀴(226)와, 상기 플런저(224)와 바퀴(226) 사이에 마련되어 플런저(224)와 바퀴(226)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228)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행 보조기(10)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110)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 프레임(120)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100) 중에서 서로 인접한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보강 프레임(102)과, 상기 보강 프레임(102)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13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40)를 포함하는 통상의 것이다.
지지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 프레임(100)의 형태는 ㄷ형태, u형태, n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고려하여 휘지않는 강성이 큰 세라믹, 스레인레스 등의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0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서로 인접하는 지지 프레임(100)의 사이에 보강 프레임(102)이 수평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102)은 후술하는 의자(110)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연결프레임(130)은 보강 프레임(102)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보조 보행기(10)가 접어 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 역할한다.
지지 부재(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 각각의 하단에 수직으로 끼움결합된다. 상기 지지 부재(2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220)와, 상기 지지 다리(220)의 일단부에 수평 바아(222)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 바아(222)의 일단부에 플런저(224)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228)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플런저(224)의 일단부 하부에는 수직으로 바퀴(226)가 결합된다. 이때, 지지 다리(220)와 바퀴(226)는 지지 부재(20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200)는 장소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실내 및 실외용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바아(222)에 결합되는 플런저(224)의 타단부에 링핀(230)이 마련되고, 상기 링핀(230)은 플런저(224)가 수평 바아(2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 3과 4를 참조하면, 플런저(224)의 일단부 하부에는 수직으로 바퀴(226)가 결합되고, 상기 바퀴(226)와 플런저(224) 사이에는 탄성부재(228)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면 결합된 바퀴(226)는 지면으로 부터 이격되고, 지지 다리(220)가 지면에 닿게 된다.
탄성부재(228)는 플런저(224)와 바퀴(226) 사이에 마련되어 플런저(224)와 바퀴(226)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상기 플런저(224)의 일단부에 나사부(232)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232)에 장력 조절 너트(234)가 나사결합되어 탄성부재(228)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의자(110)는 지지 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며,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10) 사용하고자 할 때 의자(1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의자(110)의 하면과 보강 프레임(102)의 상면이 맞닿아 고정된다.
따라서, 의자(110)는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10)의 사용시 사용자가 착석하여 쉴수 있도록 하며, 사용중에 보행 보조기(10)가 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의자(110)의 상면 소정 위치에 영구자석(112)을 마련되고, 상기 영구자석(112)은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10)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할 때, 전방 연결 프레임(120)의 일단부에 의자(110)가 영구자석(112)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영구자석(112)은 의자(110)가 전방 연결 프레임(120)에 고정할 수 있는 자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지지 프레임(110)의 상단에 손을 올려놓고 앞으로 밀면 바퀴(226)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데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사용자가 몸을 지지 프레임(110)에 몸을 기대 체중을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도록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플런저(224)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플런저(224)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바퀴(226)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지지 다리(220)가 지면과 맞닿아 보행 보조기는 더 이상 전진하지 않게 되고,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28)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22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플런저(224)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바퀴(226)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한, 지지 부재(200)가 지지 프레임(100)에 끼움결합되어 있어, 보조 보행기의 사용 장소 변화에 따라 지지 부재(200)를 실내용과 실외용을 따로 구비하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퀴(226)가 파손되었을 때 지지 부재(20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조 보행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의자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 보조 보행기 226; 바퀴
100; 지지 프레임 228; 탄성부재
102; 보강 프레임 230; 링핀
104; 결합 바아 240; 높이 조절부
110; 의자
112; 영구자석
120; 전방 연결 프레임
130; 연결 프레임
200; 지지 부재
220; 지지 다리
222; 수평 바아
224; 플런저

Claims (5)

  1.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 프레임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 중에서 서로 인접한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다리와, 상기 지지 다리의 일단부에 결합된 수평 바아와, 상기 수평 바아의 일단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부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바퀴와, 상기 플런저와 바퀴 사이에 마련되어 바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장력조절너트가 나사체결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자가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의자를 전방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하기 위해 전방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와 맞닿는 의자의 상면에 영구자석이 마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와 바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장소에 따라 교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구.
KR1020090043842A 2009-05-20 2009-05-20 보행 보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6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42A KR101061563B1 (ko) 2009-05-20 2009-05-20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42A KR101061563B1 (ko) 2009-05-20 2009-05-20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904A true KR20100124904A (ko) 2010-11-30
KR101061563B1 KR101061563B1 (ko) 2011-09-02

Family

ID=4340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61563B1 (ko) 2009-05-20 2009-05-20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56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03Y1 (ko) * 2012-12-05 2013-06-17 장병성 환자 이동용 보조의료기구
KR101278720B1 (ko) * 2011-05-26 2013-06-25 백금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347185B1 (ko) * 2012-06-29 2014-01-06 주식회사 에코피시 노약자용 운동기구
KR101393673B1 (ko) * 2012-11-24 2014-05-13 박석순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US8733379B2 (en) 2012-05-04 2014-05-27 Yongbeom KWON Walking supporter
KR101428420B1 (ko) * 2013-09-17 2014-09-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의 제동장치
KR200488257Y1 (ko) * 2018-05-24 2019-04-05 박성훈 보행의자
CN111329730A (zh) * 2020-02-18 2020-06-26 米伦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带压入式行走轮的助行器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CN111939010A (zh) * 2020-08-17 2020-11-17 河北省胸科医院 一种临床用康复训练装置
KR102226849B1 (ko) * 2019-10-21 2021-03-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
KR20210071646A (ko) * 2019-12-06 2021-06-16 최재혁 보행기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048A (ko) 2021-04-07 2022-10-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 치료용 보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37B1 (ko) 2007-06-21 2008-12-05 김홍기 보행보조기
KR100872036B1 (ko) 2007-06-21 2008-12-05 김홍기 보행보조기
KR100796781B1 (ko) * 2007-08-02 2008-01-22 광주광역시 남구 보행보조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720B1 (ko) * 2011-05-26 2013-06-25 백금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US8733379B2 (en) 2012-05-04 2014-05-27 Yongbeom KWON Walking supporter
KR101347185B1 (ko) * 2012-06-29 2014-01-06 주식회사 에코피시 노약자용 운동기구
KR101393673B1 (ko) * 2012-11-24 2014-05-13 박석순 좌립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
KR200467503Y1 (ko) * 2012-12-05 2013-06-17 장병성 환자 이동용 보조의료기구
KR101428420B1 (ko) * 2013-09-17 2014-09-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의 제동장치
KR200488257Y1 (ko) * 2018-05-24 2019-04-05 박성훈 보행의자
KR102226849B1 (ko) * 2019-10-21 2021-03-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
KR20210071646A (ko) * 2019-12-06 2021-06-16 최재혁 보행기 지지대
CN111329730A (zh) * 2020-02-18 2020-06-26 米伦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带压入式行走轮的助行器
CN111329730B (zh) * 2020-02-18 2022-02-15 米伦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带压入式行走轮的助行器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CN111939010A (zh) * 2020-08-17 2020-11-17 河北省胸科医院 一种临床用康复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563B1 (ko) 201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563B1 (ko) 보행 보조기
US9089194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s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US10016324B1 (en) Walker
CN106333803B (zh) 一种多用途代步车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007518B1 (ko)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KR102155312B1 (ko) 보행보조기구
TWM509032U (zh) 移位復健裝置
KR20120062049A (ko) 착석 및 기립의 보조가 가능한 보행보조기구
KR102035211B1 (ko) 좌변 보조장치
KR101798753B1 (ko) 보조지지부가 설치되는 목발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TWM499218U (zh) 多功能復健助行器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CN211986225U (zh) 一种用于帮助老人行走的辅助装置
KR101100282B1 (ko) 노인용 휠체어워커
CN211560744U (zh) 一种安全轮椅
CN209899991U (zh) 一种辅助病人/老人室外走动的行步车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210013226A (ko) 무동력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 장치
JP2011024689A (ja) 起立支援椅子
KR101961561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TW201347749A (zh) 步行輔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