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481A1 - 킥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킥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481A1
WO2019117481A1 PCT/KR2018/013914 KR2018013914W WO2019117481A1 WO 2019117481 A1 WO2019117481 A1 WO 2019117481A1 KR 2018013914 W KR2018013914 W KR 2018013914W WO 2019117481 A1 WO2019117481 A1 WO 20191174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ard
foot
housing member
w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9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인태
Original Assignee
강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태 filed Critical 강인태
Publication of WO20191174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4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8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foot actuat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 boar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ck board apparatus which is provided with both feet on a footboard, Since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inconvenience of repetitive operation of contacting and releasing the contact with the ground is solved,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board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 a kickboard is a portable mobile device that is moved by the propulsion of the foot. It can be moved quickly in India or on a narrow road, and is widely used as a playground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the conventional kickboard includes wheels 70 and 71 rotatably mounted on front and rear sides of a board 68, a handle 61 having a front wheel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oard 68,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61, one foot is placed on the board 68 and the direction of the kickboard is controlled by manipulating the direction of the handle 61 while pushing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 the kickboard is provided with brakes pressing the foot or using the brake lever 62 mounted on the bicycle, so that it can be properly handled when an emergency occurs while driving.
  • brakes pressing the foot or using the brake lever 62 mounted on the bicycle.
  • It is in a trend of being widely used to obtain a movement effect when moving a distance.
  • Patent Document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0079 (2001. 10. 25)
  • Patent Document 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2163 (2001. 05.02)
  • Patent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01047 (Feb.
  • Patent Document 4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4795 (2003. 05. 27)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apparatus in which a user places a pair of feet on a board, And to provide a kickboard apparatus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ckboard device which can be easily used regardless of ages.
  • a handle bar 112 having a lower end housed in a housing member 113 and having a handle 111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frame 112 to which the housing member 113 is attached
  • a bracket 114a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and a front wheel 115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so as to be pivotally held by the handle 111, (100) in which the handle (115) is pivoted right and left;
  • a board board 200 connected to the housing member 113 of the handle unit 100 through a connection member 116 provided to surround the housing member 113;
  • a small guide member 510 provided at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first w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wing member 220, A large guide member 52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oot plates 310 and 410 and a small guide member 52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mall guide members 510
  • a third receiving member 550 having one end press-fitted into the guider 524 of the large guide member 520 and a third receiving member 55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ceiving members 530, 540, 550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losing member 556 inside the third receiving member 55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losing member 556 through the large and small guide members 520, Member 560,
  • a kickboard apparatus including an elastic guide unit 500 connected between the board 200 and foot plates 310 and 410 to elastically guid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 foot stands (320) and (420) for stably supporting the rear part of the foot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boards (310) and (410).
  • a hollow fitting member 532 having a cap (CAP) shape through which the second receiving member 540 passe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member 530.
  • CAP cap
  • a plurality of cloth material buffering members 542 having a ring shape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member 540, and one end of the second receiving member 540 is provided with the third receiving member 550 Is connected to a hollow shim member 546 having a cap (CAP) shape through which the cap member (not shown) penetrates.
  • CAP cap
  • a plurality of cloth material buffering members 552 having a ring shape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 the speed at which the front wheels 115 and 340 and the rear wheels 340 and 440 are rotated is increased, The moving speed can be increas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kickboar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ck boa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ootrest portions are stretched or compressed in the kick 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astic guide portion in the kick 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ard and the elastic guide in the k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in Fig. 5,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ckboa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left and right footrests are stretched or compressed in a kick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astic guide portion in a kick 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ard board and the elastic guide portion in the kick 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in Fig.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5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5
  • Figs. 10 and 11 are sid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with the user standing on the foot plates 310 and 410 on the basis of the kickboard device shown in FIG.
  •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referred to as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is referred to as a rear side, with the foot plates 310 and 410 shown in FIG. 2 as a reference.
  • a kickboard apparatus includes a handle 100, a board 200, a left foot 300, a right foot 400, 500).
  • the handle 100 is fixed to the handle bar 11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andle bar 112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ar 112, Is housed in a pipe-shaped receiving member 113, which is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a supporting frame 114 having a reverse 'U' shape.
  • the handle 111 may be provided with a known brake device.
  • the first brake device 111a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that is, the front wheel 115
  • the second brake device 111b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that is, the rear wheel 34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braking function.
  • Brackets 114a are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114 and the front wheel 11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s 114a so that the handle 111 is held So that the front wheel 115 is rotated right and left.
  • the receiving member 113 is connected to the board 200 through a connecting member 116.
  • the connecting member 116 partially surrounds the receiving member 113 and includes a lower horizontal flange 116a
  • a bolt 116b is coupled to the board 200 and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6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13 through a plurality of rivets 116c.
  • the board 200 has a substantially 'U' shape in plan view,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late shape.
  • the board board 200 is connected to a left foot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ottom surface of one side wing member 210 and is connected to a right side foot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long a bottom surface leng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econd wing member 220.
  • a part 400 is connected (to be described later).
  • connecting member 116 is disposed on a flat portion where the first w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wing member 220 meet with each other.
  • the left footrest 3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ing member 210 to move the board board 200 on which the user is boarded by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ootstep 310
  • a foot guide 320 to be stably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foo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plate 310,
  • a pair of brackets 330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310 opposite to the foot rest 320 so as to face each other.
  • the supporting rod 33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rod 332 passes through the bracket 330 and the rear wheel 34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ing rod 332 by a bearing so that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rod 332 336 are screwed through a washer 334.
  • the right footrest 4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ing member 220 to move the boardboard 200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ootrest 410, And a foot rest 420 is attached to a rear end of an upper surface of the foot plate 410.
  • the foot rest 420 is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410 so as to be opposed to the foot rest 420
  • a pair of brackets 430 are attached.
  • the supporting rod 43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rod 432 through the bracket 430 and the rear wheel 44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ing rod 432.
  • the washer 434 and a nut 436 are connected.
  • the elastic guide unit 500 is connected between the board 200 and the foot plates 310 and 410 to elastically guide the back and forth movements of the foot plates 310 and 410
  • a plurality of small guide members 510 are attach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wing members 210 and 220
  • a pair of right and left guiders 514 having a pipe shape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12.
  • the guide plate 51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 200 through a plurality of screws.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512 and the guider 514 can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structure.
  • the one side guider 514 is provided with a closing member 516 to which an end of a later-described elastic member 560 is fixed.
  • the closing member 516 has a hollow 'T' After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60 passes through the closing member 516, the end is bundled and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losing member 516.
  • a large guide member 520 is attached to the foot plates 310 and 410 while the foot plate 522 is supported by the foot plates 310 and 41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rs 524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522.
  •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53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r 514 of the small guide member 510 and supported by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540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530 Is housed in the first housing member 530 and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 One end of the guide member 550 is press-fitted into the guider 524 of the large guide member 52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commodating members 530, 540 and 550 have a hollow pipe shape do.
  • a hollow shim member 532 having a cap (CAP) shape through which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passe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member 530.
  • a plurality of fabric material buffering members 542 having a ring shape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tting member 532, And a guider 544 having a hollow "T" -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rough which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passes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a hollow fitting member 546 having a cap (CAP) shape through which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passe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 a plurality of fabric material buffering members 552 having ring shapes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tting members 546.
  • One end portion of the stretching member 560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expanded and contracted is provided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ring members 530, 540 and 550 and the large and small guide members 520 and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56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accommodating member 550 via the guider 554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closing member 516 And is connected to the closing member 556 to prevent its disengagement.
  • a stretching member 5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ing member 560 be constructed of an elastic cord or an elastic cord.
  •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is housed in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and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housed in the first housing member 530 And the tip ends of the foot plates 310 and 410 are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wing members 210 and 220 through the buffer member 54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ing members 210 220, and the elastic member 560 has a reduced length.
  • the user first grasps the handle 100, moves the kickboard device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places both feet on the footplates 310 and 410 and the footrests 320 and 420.
  • the elastic members 560 are stretched when the foot plates 310 and 410 are pushed backward by applying a force to both feet and the foot plates 310 and 410
  •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540 is retrac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530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member 560 is accommodated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530.
  •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is repeatedly received or removed from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so that the front wheel 115 rotates as the rear wheels 340 and 440 rotate as well, ).
  • the kickboard device by pushing the foot plates 310 and 410 backward or by depressing the foot pressing force by applying a force to both feet in a state where both feet are placed on the foot plates 310 and 410, ), It is possible for the kickboard device to move. Accordingly,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111 and move on the kickboard device in a desired direction.
  •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is repeatedly housed or removed from the first housing member 530
  • the third housing member 550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wheel 115 rotates as the rear wheels 340 and 440 rotate while being stored or removed from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It is possible to move the kick board device in one direction (all directions).
  • the right foot is placed on the foot plate 410, and only the left foot is placed on the foot plate 310 to apply force to the left foot to push back the foot plate 310
  •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is repeatedly accommodated or removed from the first housing member 530 whil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hrough the elastic member 560 is repeated throug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ootplate 310,
  • the rear wheels 340 and 440 rotate while the front wheel 115 rotates as the rear wheels 340 and 440 are rotated while the second board member 550 is retracted from the second housing member 540.
  • both of the feet may be used or the kick board device may be moved through one foot if necessary.
  • the cushioning member 542 may contact the first receiving member 530 and the second receiving member 540 And the cushioning member 552 relaxes the impact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containing member 540 and the third containing member 550.
  • the elastic guide unit 500 connected between the board 200 and the footsteps 310 and 4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hird accommodation member 550 connected to the footsteps 310 and 4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member 540, And sequentially and elastically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foot plates 310 and 410 through the elastic members 560.
  • the kickboard apparatus in the state where both feet are placed on the foot plates 310 and 410, force is applied to both feet or one foot to push the foot plates 310 and 410 backward,
  • the kickboard apparatus is mov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storing the footbo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60.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driving force of the kickboard in the past, the user places one foot on the board, The inconvenience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contact with the ground is eliminated.
  • the speed at which the front wheels 115 and 340 and the rear wheels 340 and 440 are rotated can be increased by rapidly repeating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foot plates 310 and 410 backward or relea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feet, The moving speed can be incre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 장치는, 핸들(111)을 잡고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전륜(115)이 좌우로 회동되는 핸들부(100); 핸들부(100)의 수용부재(113)에 연결되는 보드판(200); 보드판(200)의 제 1날개부재(21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발판(3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좌측발판부(300); 보드판(200)의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발판(4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우측발판부(400); 제 1날개부재(210) 및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小)가이드부재(510)와, 발판(310)(410)의 밑면에 부착되는 대(大)가이드부재(520)와, 소(小) 가이드부재(510)의 가이더(514)에 수납되는 제 1수납부재(530)와, 제 1수납부재(530)에 수납되는 제 2수납부재(540)와, 제 2수납부재(540)에 수납되는 제 3수납부재(550)와, 일단부가 소(小)가이드부재(510)의 마감부재(51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 3수납부재(550)의 마감부재(556)와 연결되는 신축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드판(200)과 발판(310)(4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발판(310)(410)의 전후 운동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탄성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킥보드 장치
본 발명은 킥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 발을 발판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양 발 또는 한쪽 발에 힘을 주어 발판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뺀 상태에서 신축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을 원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지면에 접촉시켰다 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불편이 해소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감소하며, 사용 과정에서 쉽게 피로하지 않고,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킥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발의 추진력에 의해 이동하는 휴대용 이동기구로서 인도나 좁은 길에서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어린이나 청소년들 사이에 놀이기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킥보드는 보드(68) 전후방에 바퀴(70,7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보드(68)의 전방에 앞바퀴가 부착된 핸들(61)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핸들(61)을 잡은 상태에서 한 발을 보드(68)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밟아 추진시키면서 핸들(61) 방향을 조작하여 이동하는 킥보드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킥보드에는 발로 누르는 형태의 브레이크나 자전거에 장착된 형태의 브레이크 레버(62)를 이용한 브레이크가 마련되어 주행 도중의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되며, 최근에는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가까운 거리를 이동시할 때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킥보드를 이용할 경우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발을 보드(68)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발을 이용하여 지면에 접촉시켰다 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발을 계속하여 지면을 지쳐야만 지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을 지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다른 발로 무게중심을 잡아야 하므로 중심 균형이 깨지기 쉬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고, 지면을 지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한발을 상하이동시키면서 밀어주어야 하므로 쉽게 피로하게 되는 등의 많은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40079호(2001. 10. 25)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2163호(2001. 05. 02)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7-0001047호(2017. 03. 21)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4795호(2003. 05. 2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 사용자가 한발을 보드에 올려놓고 다른 한발을 이용하여 지면에 접촉시켰다 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불편이 해소되는 것이 가능한 킥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감소하고, 킥보드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쉽게 피로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 킥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령대에 관계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킥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킥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단이 수용부재(113)에 수납되고, 상단에 핸들(111)이 구비되는 핸들바(112)와, 상기 수용부재(113)가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14)과, 이 지지프레임의 양 내측면에 구비되는 브라켓(114a)과, 이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전륜(115)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111)을 잡고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륜(115)이 좌우로 회동되는 핸들부(100);
상기 수용부재(113)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연결부재(116)를 통해 상기 핸들부(100)의 수용부재(113)에 연결되는 보드판(200);
발판(310)과, 이 발판의 밑면에서 서로 마주보게끔 구비된 1쌍의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330)을 관통하고, 양단에 후륜(340)이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지지봉(332)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판(200)의 일측 제 1날개부재(21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발판(3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좌측발판부(300);
발판(410)과, 이 발판의 밑면에서 서로 마주보게끔 구비된 1쌍의 브라켓(430)과, 상기 브라켓(430)을 관통하고, 양단에 후륜(440)이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지지봉(432)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판(200)의 타측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발판(4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우측발판부(400);
상기 제 1날개부재(210) 및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小)가이드부재(510)와, 이 소(小)가이드부재의 일측 가이더(514)에 일정 부위 삽입되는 마감부재(516)와, 상기 발판(310)(410)의 밑면에 부착되는 대(大)가이드부재(520)와, 상기 소(小) 가이드부재(510)의 가이더(514)에 수납되어 지지되는 제 1수납부재(530)와, 상기 제 1수납부재(530)에 수납되는 제 2수납부재(540)와, 상기 제 2수납부재(540)에 수납되고, 일단부가 상기 대(大)가이드부재(520)의 가이더(524) 내부에 압입 고정되는 제 3수납부재(550)와, 일단부가 상기 제 1, 2, 3수납부재(530)(540)(550)와, 대소(大小) 가이드부재(520)(510)를 경유하여 상기 마감부재(51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3수납부재(550) 내부의 마감부재(556)와 연결되는 신축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드판(200)과 발판(310)(4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발판(310)(410)의 전후 운동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탄성가이드부(500)를 포함하는 킥보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310)(410)의 상면 후단에는 발의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발거치대(320)(4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수납부재(5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수납부재(540)가 관통하는 캡(CAP) 형태를 갖는 중공의 끼움부재(532)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수납부재(540)의 외주면에 링 형태를 갖는 다수의 직물재 완충부재(54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수납부재(54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3수납부재(550)가 관통하는 캡(CAP) 형태를 갖는 중공의 끼움부재(546)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수납부재(550)의 외주면에 링 형태를 갖는 다수의 직물재 완충부재(552)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킥보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양 발을 발판(310)(4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 발 또는 한쪽 발에 힘을 주어 발판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뺀 상태에서 신축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을 원위치하는 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킥보드 장치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킥보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 사용자가 한발을 보드에 올려놓고 다른 한발을 이용하여 지면에 접촉시켰다 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불편이 해소된다.
둘째,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발을 계속하여 지면을 지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감소하고, 킥보드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쉽게 피로하지 않게 된다.
셋째, 양 발을 모두 발판(310)(4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킥보드 장치의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킥보드의 사용에 따른 중심을 잡기가 용이하므로 연령대에 관계없이 쉽게 킥 보드를 탈 수 있다.
넷째, 발판(310)(410)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빼는 동작을 빠르게 반복함에 따라 전륜(115)(340) 및 후륜(340)(440)이 회전하는 속도를 높여서 킥보드 장치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킥보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 보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측 발판부가 신장 또는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탄성가이드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판과 탄성가이드부를 나타낸 밑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도,
도 8은 도 5의 C부 확대도,
도 9는 도 5의 D부 확대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전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 보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측 발판부가 신장 또는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탄성가이드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판과 탄성가이드부를 나타낸 밑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5의 C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5의 D부 확대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편의상 좌,우측의 구분은 도 2에 도시된 킥보드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발판(310)(410)을 딛고 올라선 상태에서 왼편을 좌측으로, 오른편을 우측으로 지칭한다.
또한, 전,후측의 구분은 도 2에 도시된 발판(310)(410)을 기준으로 하여 앞쪽을 전측, 뒷쪽을 후측으로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장치는 크게 핸들부(100), 보드판(200), 좌측발판부(300), 우측발판부(400), 탄성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핸들부(100)는 핸들바(112)의 상단에 핸들(111)이 핸들바(112)와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핸들바(112)의 하단은 파이프 형태의 수용부재(113)에 수납되며, 이 수용부재는 역(逆) 'U'자 형태를 갖는 지지프레임(114)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때, 핸들(111)에는 공지의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브레이크 장치(111a)는 가령 앞바퀴, 즉 전륜(前輪)(115)과 연결되고, 제 2 브레이크 장치(111b)는 뒷바퀴, 즉 후륜(後輪)(340)(440)과 연결되어 브레이킹(braking)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14)의 양 내측면 하단에는 브라켓(bracket)(114a)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이 브라켓(114a)에 전륜(11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핸들(111)을 잡고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전륜(115)이 좌우로 회동된다.
또한, 수용부재(113)는 연결부재(116)를 통해 후술하는 보드판(200)에 연결되어지되, 연결부재(116)는 수용부재(113)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서 하단의 수평 플랜지(116a)가 보드판(200)에 볼트(116b)결합되고, 연결부재(116)의 상단은 수용부재(113)의 외면에 다수의 리벳(116c)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드판(20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태를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판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드판(200)은 일측 제 1날개부재(21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좌측발판부(300)가 연결되고, 타측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우측발판부(400)가 연결된다(추후 상술함).
또한, 제 1날개부재(210)와 제 2날개부재(220)가 서로 만나는 편평한 부위에 전술한 연결부재(116)가 입설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좌측발판부(300)는 제 1날개부재(210)의 밑면과 연결되어 발판(3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한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발판(310)의 밑면에 후술하는 대(大)가이드부재(520)가 나사결합되고, 발판(310)의 상면 후단에는 발의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발거치대(320)가 부착되며, 발판(310)의 밑면에는 발거치대(320)와 대향되는 위치에 1쌍의 브라켓(330)이 서로 마주보게끔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봉(332)이 브라켓(330)을 관통하고, 지지봉(332)의 양단에 후륜(340)이 베어링결합되어 회전자재한 구조를 가지며, 지지봉(332)의 양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336)가 와셔(334)를 매개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우측발판부(400)는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과 연결되어 발판(4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발판(410)의 밑면에 대(大)가이드부재(520)가 나사결합되고, 발판(410)의 상면 후단에는 발거치대(420)가 부착되며, 발판(410)의 밑면에는 발거치대(420)와 대향되는 위치에 1쌍의 브라켓(43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봉(432)이 브라켓(430)을 관통하고, 지지봉(432)의 양단에 후륜(440)이 베어링결합되어 회전자재한 구조를 가지며, 지지봉(432)의 양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와셔(434) 및 너트(436)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성가이드부(500)는 보드판(200)과 발판(310)(4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발판(310)(410)의 전후 운동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제 1,제 2날개부재(210)(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소(小)가이드부재(510)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부착되어지되, 소(小)가이드부재(510)는 사각 형태를 갖는 받침판(512)이 보드판(200)의 밑면에서 다수의 나사를 통해 결합되고, 받침판(512)의 상면에 파이프 형태를 갖는 좌우 1쌍의 가이더(514)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받침판(512)과 가이더(514)는 일체형 구조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측 가이더(514)에는 후술하는 신축부재(56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마감부재(516)가 일정부위 삽입되어지되, 이 마감부재(516)는 중공의 'T'자형 단면 형태로서 신축부재(560)의 일단부가 마감부재(516)를 관통한 후, 끝단이 묶여져서 마감부재(516)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발판(310)(410)에 대(大)가이드부재(520)가 부착되어지되, 대(大)가이드부재(520)는 받침판(522)이 다수의 나사를 통해 발판(310)(410)의 밑면에 결합되고, 받침판(522)의 상면에 좌우 1쌍의 가이더(52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수납부재(530)가 소(小) 가이드부재(510)의 가이더(514)에 수납되어 지지되고, 제 1수납부재(53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수납부재(540)가 제 1수납부재(530)에 수납되며, 제 2수납부재(54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 3수납부재(550)가 제 2수납부재(540)에 수납되고, 제 3수납부재(550)의 일단부는 대(大)가이드부재(520)의 가이더(524) 내부에 압입 고정되며, 제 1, 2, 3수납부재(530)(540)(55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구비한다.
이때, 제 1수납부재(530)의 일단부에는 제 2수납부재(540)가 관통하는 캡(CAP) 형태를 갖는 중공의 끼움부재(532)가 연결된다. 또한, 제 2수납부재(540)의 외주면에 링(ring) 형태를 갖는 다수의 직물재 완충부재(542)가 구비되어 끼움부재(532)와 접촉하고, 제 2수납부재(540)의 일단부 외주면에 제 3수납부재(550)가 관통하는 중공의 'T'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가이더(54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2수납부재(540)의 일단부에는 제 3수납부재(550)가 관통하는 캡(CAP) 형태를 갖는 중공의 끼움부재(546)가 연결되고, 제 3수납부재(550)의 외주면에 링 형태를 갖는 다수의 직물재 완충부재(552)가 구비되어 끼움부재(546)와 접촉한다.
또한, 소정 직경의 신축(伸縮)이 자재한 신축부재(560)의 일단부가 제 1, 2, 3수납부재(530)(540)(550)와, 대소(大小) 가이드부재(520)(510)를 경유하여 마감부재(516)에 연결되고, 신축부재(560)의 타단부는 제 3수납부재(550) 내부에서 가이더(554)를 경유하여 전술한 마감부재(516)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마감부재(556)에 연결되어 그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신축부재(560)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탄성줄 또는 탄성로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3수납부재(550)는 제 2수납부재(540)에, 제 2수납부재(540)는 제 1수납부재(530)에 각각 수납된 상태이며, 발판(310)(410)의 선단은 제 1, 제 2날개부재(210)(220)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완충부재(542)를 매개로 하여 제 1, 제 2날개부재(210)(220)와 접촉하고, 신축부재(560)는 그 길이가 축소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선 사용자는 핸들부(100)을 잡고 킥보드 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양 발을 발판(310)(410) 및 발거치대(320)(420)에 올려 놓는다. 이후, 양 발에 힘을 주어 발판(310)(410)을 후방으로 밀 경우 신축부재(560)가 늘어나고, 발에 준 힘을 뺄 경우 신축부재(560)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310)(410)이 원위치되며, 이러한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신축부재(560)가 늘어나거나, 저절로 줄어드는 것이 반복되며, 이와 연동하여 제 2수납부재(540)는 제 1수납부재(530)로부터 수납 또는 이탈이 반복되고, 제 3수납부재(550)는 제 2수납부재(540)로부터 수납 또는 이탈이 반복되면서 후륜(340)(440)이 회전함에 따라 전륜(115) 또한 회전하면서 킥보드 장치가 일방향(전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양 발을 발판(310)(41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양 발에 힘을 주어 발판(310)(410)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빼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보드판(200)에 자체 추진력이 발생하면서 킥보드 장치가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111)을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킥보드 장치를 타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양 발에 힘을 주어 발판(310)(410)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빼는 동작을 빠르게 반복함에 따라 추진력이 배가되면서 전륜(115) 및 후륜(340)(440)이 일방향(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속도를 높여서 킥보드 장치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한쪽 발 가령, 왼발을 발판(310)위에 놓고, 오른발만을 발판(410)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오른발에 힘을 주어 발판(410)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빼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하여도 발판(4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신축부재(560)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이 반복되면서 제 2수납부재(540)는 제 1수납부재(530)로부터 수납 또는 이탈이 반복되고, 제 3수납부재(550)는 제 2수납부재(540)로부터 수납 또는 이탈이 반복되면서 후륜(340)(440)이 회전함에 따라 전륜(115) 또한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탑승한 보드판(200)을 이동시켜서 킥보드 장치가 일방향(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오른발을 발판(410)위에 놓고, 왼발만을 발판(310)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왼발에 힘을 주어 발판(310)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빼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하여도 발판(3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신축부재(560)를 통한 신축이 반복되면서 제 2수납부재(540)는 제 1수납부재(530)로부터 수납 또는 이탈이 반복되고, 제 3수납부재(550)는 제 2수납부재(540)로부터 수납 또는 이탈이 반복되면서 후륜(340)(440)이 회전함에 따라 전륜(115) 또한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탑승한 보드판(200)을 이동시켜서 킥보드 장치가 일방향(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양 발을 모두 사용하거나 필요시 한쪽 발을 통해 킥보드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완충부재(542)는 제 1수납부재(530)와 제2수납부재(540)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고, 완충부재(552)는 제 2수납부재(540)와 제 3수납부재(550)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때, 보드판(200)과 발판(310)(410) 사이에 연결 설치된 탄성가이드부(500)는 발판(310)(410)과 연결된 제 3수납부재(550)가 제 2수납부재(540) 및 제 1수납부재(530)에 순차적으로 출몰(出沒)됨과 아울러 신축부재(560)를 통해 발판(310)(410)의 전후 운동을 안정적으로 또한, 탄성적으로 가이드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양 발을 발판(310)(4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 발 또는 한쪽 발에 힘을 주어 발판(310)(410) 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뺀 상태에서 신축부재(560)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을 원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킥보드 장치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킥보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 사용자가 한발을 보드에 올려놓고 다른 한발을 이용하여 지면에 접촉시켰다 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불편이 해소된다.
또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발을 계속하여 지면을 지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감소하고, 킥보드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쉽게 피로하지 않게 된다.
또한, 양 발을 모두 발판(310)(4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킥보드 장치의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킥보드의 사용에 따른 중심을 잡기가 용이하므로 연령대에 관계없이 쉽게 킥보드를 탈 수 있다.
또한, 발판(310)(410)을 후방으로 밀거나 발에 준 힘을 빼는 동작을 빠르게 반복함에 따라 전륜(115)(340) 및 후륜(340)(440)이 회전하는 속도를 높여서 킥보드 장치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0 : 핸들부 115 : 전륜
200 : 보드판 210 : 제 1날개부재
220 : 제 2날개부재 300 : 좌측발판부
310,410 : 발판 320,420 : 발거치대
340 : 후륜 400 : 우측발판부
500 : 탄성가이드부 510 : 소(小)가이드부재
520 : 대(大)가이드부재 530 : 제 1수납부재
540 : 제 2수납부재 542,552 : 완충부재
550 : 제 3수납부재 560 : 신축부재

Claims (5)

  1. 하단이 수용부재(113)에 수납되고, 상단에 핸들(111)이 구비되는 핸들바(112)와, 상기 수용부재(113)가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14)과, 이 지지프레임의 양 내측면에 구비되는 브라켓(114a)과, 이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전륜(115)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111)을 잡고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전륜(115)이 좌우로 회동되는 핸들부(100);
    상기 수용부재(113)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연결부재(116)를 통해 상기 핸들부(100)의 수용부재(113)에 연결되는 보드판(200);
    발판(310)과, 이 발판의 밑면에서 서로 마주보게끔 구비된 1쌍의 브라켓(330)과, 상기 브라켓(330)을 관통하고, 양단에 후륜(340)이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지지봉(332)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판(200)의 일측 제 1날개부재(21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발판(3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좌측발판부(300);
    발판(410)과, 이 발판의 밑면에서 서로 마주보게끔 구비된 1쌍의 브라켓(430)과, 상기 브라켓(430)을 관통하고, 양단에 후륜(440)이 회전자재하게 연결된 지지봉(432)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판(200)의 타측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발판(410)의 전후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보드판(200)을 이동시키는 우측발판부(400);
    상기 제 1날개부재(210) 및 제 2날개부재(220)의 밑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소(小)가이드부재(510)와, 이 소(小)가이드부재의 일측 가이더(514)에 일정 부위 삽입되는 마감부재(516)와, 상기 발판(310)(410)의 밑면에 부착되는 대(大)가이드부재(520)와, 상기 소(小) 가이드부재(510)의 가이더(514)에 수납되어 지지되는 제 1수납부재(530)와, 상기 제 1수납부재(530)에 수납되는 제 2수납부재(540)와, 상기 제 2수납부재(540)에 수납되고, 일단부가 상기 대(大)가이드부재(520)의 가이더(524) 내부에 압입 고정되는 제 3수납부재(550)와, 일단부가 상기 제 1, 2, 3수납부재(530)(540)(550)와, 대소(大小) 가이드부재(520)(510)를 경유하여 상기 마감부재(51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3수납부재(550) 내부의 마감부재(556)와 연결되는 신축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드판(200)과 발판(310)(4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발판(310)(410)의 전후 운동을 탄성적으로 가이드하는 탄성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310)(410)의 상면 후단에는 발의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발거치대(320)(4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납부재(53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수납부재(540)가 관통하는 캡(CAP) 형태를 갖는 중공의 끼움부재(53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납부재(540)의 외주면에 링 형태를 갖는 다수의 직물재 완충부재(54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수납부재(54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3수납부재(550)가 관통하는 캡(CAP) 형태를 갖는 중공의 끼움부재(546)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납부재(550)의 외주면에 링 형태를 갖는 다수의 직물재 완충부재(55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장치.
PCT/KR2018/013914 2017-12-17 2018-11-14 킥보드 장치 WO20191174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22A KR101903343B1 (ko) 2017-12-17 2017-12-17 킥보드 장치
KR10-2017-0173722 2017-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481A1 true WO2019117481A1 (ko) 2019-06-20

Family

ID=6386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914 WO2019117481A1 (ko) 2017-12-17 2018-11-14 킥보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3343B1 (ko)
WO (1) WO20191174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2611A1 (en) * 2020-05-01 2023-06-29 Striemo In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058B1 (ko) * 2021-03-22 2022-10-06 주식회사 대화에스피엠 킥보드
KR102463433B1 (ko) * 2021-05-25 2022-11-03 이동근 접이식 전동킥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36A (ko) * 2001-08-23 2003-03-04 알파색채주식회사 스키식 구동 킥보드
KR20090072932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엠스키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373172B1 (ko) * 2012-10-07 2014-03-17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160000784U (ko) * 2014-08-29 2016-03-09 김성철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611960B1 (ko) * 2014-04-29 2016-04-29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36A (ko) * 2001-08-23 2003-03-04 알파색채주식회사 스키식 구동 킥보드
KR20090072932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엠스키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373172B1 (ko) * 2012-10-07 2014-03-17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611960B1 (ko) * 2014-04-29 2016-04-29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160000784U (ko) * 2014-08-29 2016-03-09 김성철 트라이서클 킥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2611A1 (en) * 2020-05-01 2023-06-29 Striemo Inc. Vehicle
US11964727B2 (en) * 2020-05-01 2024-04-23 Striemo In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343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7481A1 (ko) 킥보드 장치
US5676388A (en) Assisted walking apparatus
US4635934A (en) Exercise tower and bench
US5147266A (en) Leg stretching machine
US2792874A (en) Orthopedic walker
WO2011099717A2 (ko) 접철식 자전거
WO2017007135A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WO2011102562A1 (en) Angle adjustment device for bicycle saddle
WO2010147310A2 (ko) 수동 주행기구
WO2016108354A1 (ko)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WO2017073917A1 (ko)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WO2014148721A1 (ko) 주행중 앉은 자세로 자전거의 안장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WO2012118263A1 (en) Walking assistance system
WO2012060658A2 (ko) 다기능 의자
WO2014208910A1 (ko) 보행 훈련 장치
WO2015111810A1 (ko) 카트 및 이에 적용되는 바퀴 제어 시스템
WO2020256352A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유닛을 구비한 탑승장치
WO2018101637A1 (ko)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WO2012138206A2 (ko) 다리스트레칭 운동기구
WO2018217048A1 (ko)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WO2015163635A1 (ko) 상지 근력 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트
CN211328001U (zh) 一种普拉提运动训练器
WO2011136541A2 (ko) 슬라이딩 보드
WO2019088535A1 (ko) 하체 재활 치료 장치
WO2019216566A1 (ko) 자가 구동형 유희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9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9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