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07B1 -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07B1
KR102479107B1 KR1020200139108A KR20200139108A KR102479107B1 KR 102479107 B1 KR102479107 B1 KR 102479107B1 KR 1020200139108 A KR1020200139108 A KR 1020200139108A KR 20200139108 A KR20200139108 A KR 20200139108A KR 102479107 B1 KR102479107 B1 KR 10247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rear wheel
handle
health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525A (ko
Inventor
이재완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재완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102020013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1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1Interfaces to the user control is restricted to certain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이 홀로 안전하게 보행 이동하도록 보행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가 보행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고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는 착석시트; 상기 손잡이의 일측과 상기 뒷바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제동하는 수동제동수단; 및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수부와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수집센서와,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에 구비되어 회전수에 따른 거리정보를 출력하는 보행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생체정보수집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보행거리측정센서에 각각 출력된 상기 거리정보에 따른 헬스케어정보를 기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헬스케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ICT-based smart healthcare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elderly}
본 발명은 노인이 홀로 안전하게 보행 이동하도록 보행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 보행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용 보행 보조 장치는 인지능력이나 순발력이 떨어지고 혼자 힘으로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노인이 안전하게 보행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보행을 돕는 장치이다.
이러한 노인용 보행 보조 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와, 프레임의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이동바퀴와, 손잡이 혹은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 또는 발로 조작하면 이동바퀴를 제동하는 제동수단과,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된 좌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인용 보행 보조 장치는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이동하며 보행할 때 넘어지지 않도록 보행을 돕고 보행 중에 체력이 부치면 좌석에 착석하여 쉬도록 착석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노인용 보행 보조 장치는 보행 이동을 돕거나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좌석을 제공하는 용도로만 사용함에 따라 보행 운동을 유도하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바퀴의 제동을 위해서는 제동수단을 손 또는 발로 직접 조작해야 하는 구조임에 따라 부주의로 인해 손잡이를 놓치거나 비탈길에서 속도가 붙어 따라가지 못하거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동이 불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유모차와 흡사한 형상과 구조를 가짐에 따라 손잡이의 위치 또는 손잡이가 연결된 수직바의 위치가 뒷바퀴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순간적으로 체중을 실어 손잡이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앞바퀴가 상방으로 들리면서 전방으로 전도되면서 낙상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보행 운동을 유도하여 상지 및 하지 근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신속한 제동이 가능하여 제동 불능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손잡이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해 전도되면서 유발되는 낙상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노인용 보행 보조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845호, 2009.03.16.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5480호, 2014.06.19.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843호, 2016.09.06.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활용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보행 운동을 유도함에 따라 상지 및 하지 근력 강화에 도움을 수 있고 비탈길을 내려가거나 손잡이를 놓치거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자동으로 제동 가능함에 따라 낙상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여 손잡이를 하방으로 강하게 누르더라도 전도되지 않아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고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는 착석시트; 상기 손잡이의 일측과 상기 뒷바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제동하는 수동제동수단; 및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수부와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수집센서와,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에 구비되어 회전수에 따른 거리정보를 출력하는 보행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생체정보수집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보행거리측정센서에 각각 출력된 상기 거리정보에 따른 헬스케어정보를 기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헬스케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대한 상기 손잡이의 파지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센서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전방에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장애물감지센서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기울기정보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손잡이의 파지여부와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 및 상기 기울기정보에 기초하여 제동신호를 생성하는 제동신호생성회로와,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동신호에 따라 상기 뒷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뒷바퀴에 제동력을 가하는 인휠모터로 이루어지는 자동제동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후단에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의 하측에 상기 앞바퀴가 연결되고 상기 경사대의 하측에 상기 뒷바퀴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 상기 수평대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기립되며 상단이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한 쌍의 기립바; 상기 지지바의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중간이 축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수평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교차연결바; 및 상기 교차연결바의 상측과 상기 기립바의 내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교차연결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연결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립바를 견고하게 기립 유지되도록 상기 기립바의 하측과 상기 경사대를 연결하고 중간에 보강력 강화를 위해 절곡부가 형성되는 보강연결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석시트는 상기 교차연결바의 상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과, 상기 수평지지봉에 각각 좌단과 우단이 고정되면서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는 시트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봉은 상기 지지연결바의 상단과 상기 기립바의 내측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강연결바의 절곡부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헬스케어수단과 상기 자동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헬스케어수단과 상기 자동제동수단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립바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바가 아치 구조로 지지하는 형태와, 상기 지지바의 선단과 하단 하측에 각각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가 설치된 형태와, 상기 보강연결바가 상기 기립바와 상기 지지바를 후방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형태와, 상기 배터리팩이 상기 보강연결바의 절곡부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에 의해 안정적으로 기립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의 헬스케어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의 자동제동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거동이 다소 불편한 노인이 홀로 안전하게 보행 이동하도록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는 활용성을 높여 상지 및 하지 근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비탈길을 내려가거나 손잡이를 놓치거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강화하여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손잡이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감지센서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보행 운동을 유도하고, 뒷바퀴에 자동제동모듈이 구비되고 프레임의 전방에 장애물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자동으로 제동 가능하며, 손잡이의 위치를 앞바퀴와 뒷바퀴의 사이 상부에 위치되게 개선하여 손잡이를 하방으로 강하게 누르더라도 전도되지 않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앞바퀴(200), 뒷바퀴(300), 손잡이(400), 착석시트(500), 수동제동수단(600), 헬스케어수단(700) 및 자동제동수단(8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안정성을 강화된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사용 중에 손잡이(400)를 강하게 하방으로 누르더라도 전도되지 않아 전도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은 지지바(110)와 기립바(120)와 교차연결바(130)와 지지연결바(140)와 보강연결바(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1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좌우에 각각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대(111)와, 수평대(111)의 후단에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대(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립바(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지지바(110)의 수평대(111)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기립될 수 있다.
즉, 지지바(110)는 기립바(120)의 하부에서 수평대(111)와 경사대(112)가 이루는 형상에 의해 아치 구조로 기립바(1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교차연결바(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지지바(110)의 사이에서 X자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지지바(11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일측의 교차연결바(130)는 하단이 일측의 지지바(110)의 수평대(111)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의 기립바(120) 상측을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타측의 교차연결바(130)는 하단이 타측의 지지바(110)의 수평대(111)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일측의 기립바(120) 상측을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의 교차연결바(130)와 타측의 교차연결바(130) 중간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지봉(131)이 관통되어 일측의 교차연결바(130)와 타측의 교차연결바(130)의 중간이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교차연결바(130)는 서로 교차한 상태에서 축지봉(13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접히거나 하방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기립바(120)와 지지바(110) 각각이 서로 근접되게 접히거나 기립바(120)와 지지바(110) 각각이 서로 멀어지면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바(11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하단이 교차연결바(1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연결브래킷(141)을 매개로 하여 기립바(120)의 중간 내측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지지바(110)는 교차연결바(130)가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절첩되도록 교차연결바(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연결바(15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기립바(120)의 하측과 경사대(112)의 상측을 각각 연결하여 기립바(120)가 견고하게 기립 유지되도록 기립바(120)를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보강연결바(150)의 중간에는 기립바(120)가 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수직으로 절곡되면서 기립바(120)를 후방에서 받쳐주는 절곡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연결바(150)의 절곡부(151)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151)의 장착공간에는 헬스케어수단(700)과 자동제동수단(80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헬스케어수단(700)과 자동제동수단(800)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이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앞바퀴(200)와 뒷바퀴(300)는 프레임(100)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고 프레임(100)이 이동성을 가지도록 지지바(110)의 선단과 후단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앞바퀴(200)는 지지바(110)의 수평대(111) 하측에 설치되고 뒷바퀴(300)는 지지바(110)의 경사대(112)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앞바퀴(200)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수평대(111)의 하측에 좌우로 회전 가능한 캐스터(210)가 설치되고 캐스터(210)의 하측에 앞바퀴(200)가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양손으로 파지하여 프레임(10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손잡이(40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기립바(120)의 상단에 각각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400)는 기립바(120)의 상단에 설치됨에 따라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앞바퀴(200)와 뒷바퀴(300)의 사이에 위치되고 기립바(120)는 지지바(110)의 아치 구조와 보강연결바(150)의 후방 지지 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체중을 실어 양손으로 손잡이(400)를 하방으로 강하게 누르더라도 앞바퀴(200)나 뒷바퀴(300)가 상방으로 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전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착석시트(500)는 프레임(100)의 중간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행 중에 체력이 달리거나 힘이 부칠 때 사용자가 편하게 안착하여 쉴 수 있는 안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석시트(500)는 교차연결바(130)의 상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510)과, 수평지지봉(510)에 각각 좌단과 우단이 고정되면서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는 시트부재(5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봉(510)은 지지연결바(140)의 상단과 기립바(120)의 내측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141)의 상측에 안착되어 전후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동제동수단(600)은 손잡이(400)의 일측과 뒷바퀴(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수동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뒷바퀴(300)를 제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동제동수단(600)은 조작레버(610), 견인와이어(620), 이동슬리브(630), 마찰부재(640) 및 탄성부재(6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610)는 손잡이(400)의 하측에 각각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견인와이어(620)는 조작레버(6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작레버(610)에 대한 회전 조작에 따라 텐션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슬리브(630)는 지지바(110)의 경사대(112) 외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견인와이어(620)의 단부에 연결되어 견인와이어(620)에 텐션이 가해질 때 견인와이어(620)에 의해 견인되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640)는 이동슬리브(6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이동슬리브(63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할 때 뒷바퀴(300)의 외륜과 마찰하면서 뒷바퀴(300)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50)는 이동슬리브(630)의 타측과 경사대(112)의 외측을 탄력 있게 연결하여 견인와이어(620)에 텐션이 해제될 때 이동슬리브(630)를 제1위치로 복귀시켜 마찰부재(640)가 뒷바퀴(300)의 외륜에 마찰되지 않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조작레버(610)를 회전 조작하면, 견인와이어(620)에 텐션이 가해지고 이동슬리브(630)가 경사대(112) 상에서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마찰부재(640)와 뒷바퀴(300)의 외륜이 서로 마찰되면서 뒷바퀴(300)가 제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 중에서 휴식 등을 위해 보행을 중단하고 멈추고자 한다면 조작레버(610)만을 간단하게 회전 조작하면 수동으로도 뒷바퀴(300)를 편리하게 제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헬스케어수단(700)은 사용자의 수부를 통해 생체정보와 함께 보행거리에 따른 거리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기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여 보행거리에 따른 생체정보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행 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헬스케어수단(700)은 생체정보수집센서(710), 보행거리측정센서(720) 및 통신모듈(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수집센서(710)는 손잡이(400)의 외부면 일측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수부와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수집센서(710)는 혈압, 체온, 혈당, 심박수, 심전도, 혈중산소도 등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행거리측정센서(720)는 앞바퀴(200)나 뒷바퀴(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앞바퀴(200)나 뒷바퀴(300)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앞바퀴(200)나 뒷바퀴(300)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보행거리를 산출하며 보행거리에 따른 거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730)은 생체정보수집센서(71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와 함께 보행거리측정센서(720)에서 출력된 거리정보를 입력받아 기지정된 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정된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나 사용자를 보호하는 보호자의 휴대단말기나 사용자가 지정한 의료기관 담당자의 휴대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정된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거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해진 기간별로 보행거리에 따른 생체정보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보행거리에 따른 생체정보에 대한 변화를 직간접적으로 확인 가능함에 따라 보행 운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지 및 상지 근력을 강화하여 건강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자동제동수단(800)은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파지하지 않거나 프레임(100)의 전방 일정거리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프레임(100)이 비탈길을 지나는 경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뒷바퀴(300)에 제동력을 자동으로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제동수단(800)은 사용자감지센서(810), 장애물감지센서(820), 기울기센서(830), 제동신호생성회로(840) 및 인휠모터(8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감지센서(810)는 손잡이(400)의 외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부로 손잡이(400)를 파지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감지센서(810)는 생체정보수집센서(710)로 대체될 수도 있고 생체정보수집센서(71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별도로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장애물감지센서(820)는 지지바(110)의 수평대(111) 선단에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프레임(100)의 전방 일정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83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이 바탈길을 지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프레임(1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기울기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동신호생성회로(840)는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감지센서(810)에서 감지된 손잡이(400)의 파지 여부에 따른 제1감지신호와, 장애물감지센서(820)에서 감지된 전방 장애물의 존재 여부에 따른 제2감지신호와, 기울기센서(830)에서 출력된 프레임(100)의 기울기에 따른 기울기정보에 따라 제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동신호생성회로(840)는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수부로 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거나 전방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이거나 프레임(100)이 비탈길을 지나는 경우일 때 제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 제동신호생성회로(840)는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수부로 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거나 전방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뒷바퀴(300)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제동신호를 생성하고, 프레임(100)이 비탈길을 지나는 경우일 때 뒷바퀴(300)의 회전속도를 늦추는 제2제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휠모터(850)는 뒷바퀴(300)의 회전축에 일체되게 설치되어 제동신호생성회로(840)에서 생성된 제동신호에 따라 뒷바퀴(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뒷바퀴(300)에 간접적으로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인휠모터(850)는 제동신호생성회로(840)로부터 제1제동신호가 입력되면 뒷바퀴(300)가 정지되도록 뒷바퀴(300)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고 제2제동신호가 입력되면 뒷바퀴(300)의 회전속도를 기준 이하가 되도록 뒷바퀴(300)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110: 지지바
111: 수평대
112: 경사대
120: 기립바
130: 교차연결바
131: 축지봉
140: 지지연결바
141: 연결브래킷
150: 보강연결바
151: 절곡부
200: 앞바퀴
210: 캐스터
300: 뒷바퀴
400: 손잡이
500: 착석시트
510: 수평지지봉
520: 시트부재
600: 수동제동수단
610: 조작레버
620: 견인와이어
630: 이동슬리브
640: 마찰부재
650: 탄성부재
700: 헬스케어수단
710: 생체정보수집센서
720: 보행거리측정센서
730: 통신모듈
710: 생체정보수집센서
720: 보행거리측정센서
730: 통신모듈
800: 자동제동수단
810: 사용자감지센서
820: 장애물감지센서
830: 기울기센서
840: 제동신호생성회로
850: 인휠모터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고 좌우 수평으로 배치되는 착석시트;
    상기 손잡이의 일측과 상기 뒷바퀴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제동하는 수동제동수단; 및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수부와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수집센서와,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에 구비되어 회전수에 따른 거리정보를 출력하는 보행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생체정보수집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보행거리측정센서에 각각 출력된 상기 거리정보에 따른 헬스케어정보를 기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헬스케어수단; 및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수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의 파지여부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센서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전방에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장애물감지센서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기울기정보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손잡이의 파지여부와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 및 상기 기울기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수부로 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거나 전방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뒷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1제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이 비탈길을 지나는 경우일 때 상기 뒷바퀴의 회전속도를 늦추는 제2제동신호를 생성하는 제동신호생성회로와,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제동신호와 상기 제2제동신호에 따라 상기 뒷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뒷바퀴에 제동력을 가하는 인휠모터로 이루어지는 자동제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후단에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의 하측에 상기 앞바퀴가 연결되고 상기 경사대의 하측에 상기 뒷바퀴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수평대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기립되며 상단이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한 쌍의 기립바와, 상기 지지바의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중간이 축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수평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교차연결바와, 상기 교차연결바의 상측과 상기 기립바의 내측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교차연결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연결바와, 상기 기립바의 하측과 상기 경사대를 연결하고 상기 기립바가 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보강력 강화를 위해 중간에 절곡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립바를 후방에서 받쳐주는 보강연결바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헬스케어수단과 상기 자동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헬스케어수단과 상기 자동제동수단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시트는
    상기 교차연결바의 상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봉과, 상기 수평지지봉에 각각 좌단과 우단이 고정되면서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는 시트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봉은
    상기 지지연결바의 상단과 상기 기립바의 내측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립바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바가 아치 구조로 지지하는 형태와, 상기 지지바의 선단과 하단 하측에 각각 상기 앞바퀴와 상기 뒷바퀴가 설치된 형태와, 상기 보강연결바가 상기 기립바와 상기 지지바를 후방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는 형태와, 상기 배터리팩이 상기 보강연결바의 절곡부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에 의해 안정적으로 기립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KR1020200139108A 2020-10-26 2020-10-26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KR10247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08A KR102479107B1 (ko) 2020-10-26 2020-10-26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08A KR102479107B1 (ko) 2020-10-26 2020-10-26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25A KR20220055525A (ko) 2022-05-04
KR102479107B1 true KR102479107B1 (ko) 2022-12-19

Family

ID=8158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08A KR102479107B1 (ko) 2020-10-26 2020-10-26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33B1 (ko) 2022-05-30 2023-01-11 최용해 지능형 보행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8955A (ja) * 2016-03-11 2017-09-14 俊史 三谷 歩行器
US20170354564A1 (en) * 2016-06-09 2017-12-14 Siemens Healthcare Gmbh Mobile walker, monitoring and information system with a mobile walk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walker
KR102033167B1 (ko) * 2018-11-22 2019-10-16 박정희 수동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845Y1 (ko) 2008-04-10 2009-03-16 (주)한스이엔지 노약자용 보행보조차
KR20140075480A (ko) 2012-12-11 2014-06-19 (사)세계를꿈꾸는사람들 노약자 보행 보조기
KR102186840B1 (ko) * 2014-01-16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보행 보조 장치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6-09-06 이환희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8955A (ja) * 2016-03-11 2017-09-14 俊史 三谷 歩行器
US20170354564A1 (en) * 2016-06-09 2017-12-14 Siemens Healthcare Gmbh Mobile walker, monitoring and information system with a mobile walk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walker
KR102033167B1 (ko) * 2018-11-22 2019-10-16 박정희 수동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25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552B2 (en)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US20170326019A1 (en) Mobile walking and transport aid device
KR101342009B1 (ko)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방법
JP2015514539A (ja) 着座アセンブリを有する歩行器装置
KR101219305B1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JP2003047635A (ja) 歩行訓練機
CN108118767B (zh) 一种智能升降清洁马桶
KR102479107B1 (ko)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KR101433281B1 (ko)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JP5553371B2 (ja) 歩行器具
JP3955363B2 (ja) 歩行支援機
CN212149160U (zh) 可折叠三轮电动助行器
US9610212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62013B1 (ko) 전동 보행 보조장치
CN216021972U (zh) 助行器
CN201481727U (zh) 偏瘫病人行走康复训练器
KR102107583B1 (ko) 보행 보조 기구
KR102565193B1 (ko) 모빌리티 보행 훈련 장치
JP5525648B1 (ja) 認知症専用じりつ歩行補助具
US9480619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20210071521A (ko) 안전 고정 휠체어
CN213911242U (zh) 一种助行车
KR20120056381A (ko) 전동식 보행장치
US20240139058A1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