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257B1 -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 Google Patents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257B1
KR102029257B1 KR1020190059886A KR20190059886A KR102029257B1 KR 102029257 B1 KR102029257 B1 KR 102029257B1 KR 1020190059886 A KR1020190059886 A KR 1020190059886A KR 20190059886 A KR20190059886 A KR 20190059886A KR 102029257 B1 KR102029257 B1 KR 10202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assembled
tent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서
Original Assignee
박충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서 filed Critical 박충서
Priority to KR102019005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패널(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센터프레임(11)과, 바닥패널(3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으로 구성되는 골조프레임(10); 골조프레임(10)의 하부에 다수가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어 골조프레임(10)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다리(20); 센터프레임(11)과 사이드프레임(12) 사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는 바닥패널(30); 지지다리(20)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40); 골조프레임(10) 간을 연결하거나, 연결프레임(40) 간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안전고리(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조프레임(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바닥패널(30)은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된 목재로 구성됨에 따라 견고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Disassembled assembly flat for tent installation}
본 발명은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조프레임은 금속재로 구성하고, 바닥패널은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된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한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주 5일 근무의 확산과 함께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한 실정이다.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것이 핵심인 캠핑의 특성상 여러 가지 캠핑 장비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텐트이기 때문에 텐트는 아무 곳에나 치는 것이 아니라 캠핑을 즐기기에 적합한 최적의 장소에 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캠핑을 즐기기 위하여 마련된 캠핑장의 경우에는 주로 그늘이 있고, 바닥이 평탄하며, 화장실이나 개수대가 근접해 있는 지정된 장소에 텐트를 치도록 하고 있으나, 캠핑장이 아닌 일반 휴양림이나 숲속 또는 계곡이나 해수욕장 등과 같이 캠핑을 목적으로 준비된 장소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적절한 곳을 찾아서 텐트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숲속이나 계곡 또는 주로 산악 지역에 마련되는 휴양림의 경우에는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지역이 많고, 바닥에 자갈이나 작은 암석이 많은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텐트를 치기 위한 장소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휴양림과 같은 곳에서는 텐트를 치고 야영을 즐기는 야영객들을 위하여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경사지에 평상을 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도 텐트를 치기 위한 평상이 설치되지 않은 휴양림이 많을 뿐만 아니라, 휴양림이 아닌 계곡이나 해수욕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평상이 전무하기 때문에 캠핑을 위해서 텐트를 쳐야 하는 야영객들은 부득이하게 바닥이 평탄하지 않거나, 자갈과 같은 작은 돌이 많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텐트를 쳐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바닥이 평탄하지 않거나, 자갈과 같은 작은 돌이 많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경우에는 편안한 잠자리가 되지 않아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텐트의 바닥면이 지면에 닿아 있기 때문에 개미 등 각종 벌레 등이 텐트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커서 텐트에서 야영을 하는데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의 텐트들은 방수, 방풍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짐에 따라서 가격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인데, 위와 같이 자갈과 같은 작은 돌이 많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텐트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이용자들은 통상 형편에 맞추어 텐트 바닥에 에어 매트리스나 이불 같은 것을 깔아서 바닥을 평평하게 함과 동시에 누수된 물이 직접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조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임시방편적인 해결방법일 뿐으로,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되지 못한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분해 조립 가능한 골조프레임과 바닥패널로 구성되어 지면과 소정 높이로 평탄한 바닥을 제공하여 그 위에 텐트를 설치함으로써 텐트의 바닥면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지면에서 전달되는 냉기와 열기를 차단하고 우천시 빗물이 텐트의 바닥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은 골조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평탄한 바닥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패널 전체가 통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으로써 무게가 너무 무거워 휴대성이 떨어지고, 분해 조립 시 취급이 불편하여 분해 조립에 오랜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13286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조프레임은 금속재로 구성하고, 바닥패널은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된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은, 바닥패널(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센터프레임(11)과, 바닥패널(3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으로 구성되는 골조프레임(10);
상기 골조프레임(10)의 하부에 다수가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어 골조프레임(10)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다리(20);
상기 센터프레임(11)과 사이드프레임(12) 사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는 바닥패널(30);
상기 지지다리(20)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40);
상기 골조프레임(10) 간을 연결하거나, 상기 연결프레임(40) 간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안전고리(50); 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프레임(11)은 센터경첩부(113)에 의해 절첩되는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으로 구성되되,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외측 단부에는 다리결합부(115)가 형성되며,
제1프레임(111)의 내측 단부에는 요입홈부(111a)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112)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요입홈부(111a)에 투입되면서 제1프레임(111)의 패널삽입홈(114) 상면에 안착되는 제1보강판(112a)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12)은 사이드경첩부(123)에 의해 절첩되는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으로 구성되되,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일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외측 단부에는 다리결합부(115)가 형성되며,
제4프레임(122)의 내측 단부에는 제3프레임(121)의 내측 단부가 안착되게 지지하는 제2보강판(122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다리(20)는, 상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내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수나사봉(201a)을 구비하여 상기 골조프레임(10)에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01);
상기 수나사봉(201a)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프레임(201) 하단부에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케 된 하부프레임(2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패널(30)은, 소정 크기의 평판형으로 된 상판(301);
상기 상판(301) 저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공간부(302a)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302a)에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된 지지프레임(3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은, 소정 길이로 된 연결바(401);
상기 연결바(40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다리(20)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클램프(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고리(50)는, 소정 길이로 된 와이어(501);
상기 와이어(50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골조프레임(10)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40)에 걸어서 고정하는 고리부(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다리(20)는, 소정 두께의 환상플레이트 일측면에 상방으로 돌출편(601)이 돌출 형성되어 수나사봉(201a)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되는 보조브래킷(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조프레임(10)은 금속재로 구성하고, 바닥패널(30)은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된 목재로 구성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용 공구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케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 후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센터프레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프레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다리 결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을 나타낸 분해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연결프레임의 다양한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보조브래킷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간부재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센터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은 골조프레임(10), 지지다리(20), 바닥패널(30), 연결프레임(40), 안전고리(50)를 포함한다.
상기 골조프레임(10)은 바닥패널(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센터프레임(11)과, 바닥패널(3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프레임(11)은 평상의 가운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111), 제2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은 상호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센터경첩부(113)에 의해 절첩 가능케 되되,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외측 단부에는 다리결합부(115)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센터경첩부(113)는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결합부(115)는 지지다리(20)를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111)의 내측 단부에는 요입홈부(111a)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112)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요입홈부(111a)에 투입되면서 제1프레임(111)의 패널삽입홈(114) 상면에 안착되는 제1보강판(112a)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이 일직선이 되도록 센터프레임(11)이 완전히 펼쳐지면, 제1보강판(112a)이 요입홈부(111a) 내부로 투입됨에 따라 제2프레임(112)의 내측 단부가 제1프레임(111)의 내측 단부에 안착됨에 따라 일직선으로 펼쳐진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내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면서 길이가 긴 센터프레임(11) 가운데 부분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2)은 평상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3프레임(121), 제4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은 상호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사이드경첩부(123)에 의해 절첩 가능케 되되,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일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외측 단부에는 다리결합부(115)가 형성된다.
이때 사이드경첩부(12)는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결합부(115)는 지지다리(20)를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프레임(122)의 내측 단부에는 제3프레임(121)의 내측 단부가 안착되게 지지하는 제2보강판(122a)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이 일직선이 되도록 사이드프레임(12)이 완전히 펼쳐지면, 제2보강판(122a) 상부에 제3프레임(121)의 내측 단부가 안착됨에 따라 일직선으로 펼쳐진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내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면서 길이가 긴 사이드프레임(12)의 가운데 부분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제2보강판(122a)에는 지지다리(20)의 수나사봉(201a)이 관통하는 통공(122b)을 더 구비하고, 제3프레임(121)의 내측 단부에는 통공(122b)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으로 다리결합부(115)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2보강판(122a) 하부에 지지다리(2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다리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다리(20)는 골조프레임(10)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201), 하부프레임(20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201)은 상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내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수나사봉(201a)을 구비함으로써, 골조프레임(10)에 형성된 다리결합부(115)에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2)은 외경이 상부프레임(20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프레임(201) 내부에 삽입되어 수나사봉(201a)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프레임(202)을 회전시켜 수나사봉(201a)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상부프레임(201) 하단부에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케 됨으로써, 하부프레임(202)을 이용해 지지다리(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골조프레임(10)과 지면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프레임(202)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밀착 시 안정적인 직립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202)의 직경보다 큰 받침판(202a)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을 나타낸 분해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닥패널(30)은 센터프레임(11)과 사이드프레임(12) 사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기 위하여 상판(301), 지지프레임(302)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301)은 소정 크기의 사각 평판형으로 형성되되, 두께 3 내지 10㎜의 합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구성 및 방수성 향상을 위하여 상판(301) 표면에는 합성수지 필름이 부착되거나,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지지프레임(302)은 상판(301) 저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목재를 이용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프레임(302)은 내부에 공간부(302a)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302a)에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됨으로써 지지프레임(302)의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도 하중에 견디는 견고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302)은 상판(301) 저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바닥패널(30)의 바닥면이 대향하도록 겹치면, 각 바닥패널(30)의 상판(301) 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302)에 대향하는 바닥패널(30)의 지지프레임(302) 사이의 이격부로 투입됨으로써 복수의 바닥패널(30)을 긴밀하게 겹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바닥패널(30)의 주 소재는 목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목재보다 가벼우면서도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한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현재까지 알려진 다양한 소재 중에서 가격 대비 무게와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연결프레임의 다양한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은 지지다리(20) 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바(401), 클램프(40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401)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태로 되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402)는 연결바(40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다리(20)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40)은 골조프레임(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다수의 지지다리(20) 중 인접하는 지지다리(20)가 오므라들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지지다리(20)에 의한 골조프레임(10)의 지지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된다.
한편, 클램프(402)는 파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설치가 가능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안전고리(50)는 골조프레임(10) 간을 연결하거나, 연결프레임(40) 간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와이어(501), 고리부(502)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501)는 소정 길이의 금속재 와이어(50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502)는 와이어(50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골조프레임(10)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40)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골조프레임(10)이나 연결프레임(40)에는 고리부(502)를 간편하게 걸 수 있는 통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의 (가)와 같이 안전고리(50)를 평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골조프레임(10)의 양측 사이드프레임(12) 간에 설치함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양측 사이드프레임(12)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골조프레임(10)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의 (나)와 같이 안전고리(50)는, 골조프레임(1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다리(20) 중 센터프레임(11)과 사이드프레임(12)에 설치되는 지지다리(20) 간에 설치함으로써 골조프레임(10)의 상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골조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0)가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지다리(20)에 의한 골조프레임(10)의 지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브래킷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다리(20)는 보조브래킷(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브래킷(60)은 소정 두께의 환상플레이트 일측면에 상방으로 돌출편(601)이 돌출 형성되어 수나사봉(201a)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브래킷(60)은 지지다리(2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수나사봉(201a)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다리(20)가 골조프레임(10)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상부에 텐트를 설치할 때, 텐트를 구성하는 폴 또는 폴을 지탱하기 위한 로프 등을 돌출편(601)에 고정함으로써 텐트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간부재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다리(20)에 구비되는 보조브래킷(60)에는 난간부재(70)를 탈부착 가능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난간부재(70)의 하단부에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브래킷결합부(701)을 구비하여 보조브래킷(60)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601)이 상기 결합홈 내부에 삽입되도록 브래킷결합부(701)를 보조브래킷(60)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함으로써 난간부재(70)의 간편한 설치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난간부재(70)의 설치를 통해 캠핑 중 영유아 또는 애완동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난간부재(70)의 소재는 한정하지 않으며,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서 다수 개로 분할되어 분할부에 경첩을 구비함으로써 절첩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골조프레임 11: 센터프레임
111: 제1프레임 111a: 요입홈부
112: 제2프레임 112a: 제1보강판
113: 센터경첩부 114: 패널삽입홈
115: 다리결합부 12: 사이드프레임
121: 제3프레임 122: 제4프레임
122a: 제2보강판 123: 사이드경첩부
20: 지지다리 201: 상부프레임
201a: 수나사봉 202: 하부프레임
30: 바닥패널 301: 상판
302: 지지프레임 302a: 공간부
40: 연결프레임 401: 연결바
402: 클램프 50: 안전고리
501: 와이어 502: 고리부
60: 보조브래킷 70: 난간부재

Claims (5)

  1. 바닥패널(3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센터프레임(11)과, 바닥패널(3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으로 구성되는 골조프레임(10);
    상기 골조프레임(10)의 하부에 다수가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어 골조프레임(10)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다리(20);
    상기 센터프레임(11)과 사이드프레임(12) 사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는 바닥패널(30);
    상기 지지다리(20)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40);
    상기 골조프레임(10) 간을 연결하거나, 상기 연결프레임(40) 간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안전고리(50); 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프레임(11)은 센터경첩부(113)에 의해 절첩되는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으로 구성되되,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의 외측 단부에는 다리결합부(115)가 형성되며,
    제1프레임(111)의 내측 단부에는 요입홈부(111a)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112)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요입홈부(111a)에 투입되면서 제1프레임(111)의 패널삽입홈(114) 상면에 안착되는 제1보강판(112a)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12)은 사이드경첩부(123)에 의해 절첩되는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으로 구성되되,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일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제3프레임(121)과 제4프레임(122)의 외측 단부에는 다리결합부(115)가 형성되며,
    제4프레임(122)의 내측 단부에는 제3프레임(121)의 내측 단부가 안착되게 지지하는 제2보강판(122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0)는,
    상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내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수나사봉(201a)을 구비하여 상기 골조프레임(10)에 분해 조립 가능케 나사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01);
    상기 수나사봉(201a)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프레임(201) 하단부에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케 된 하부프레임(2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30)은,
    소정 크기의 평판형으로 된 상판(301);
    상기 상판(301) 저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공간부(302a)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302a)에 발포우레탄폼이 충진된 지지프레임(3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40)은,
    소정 길이로 된 연결바(401);
    상기 연결바(40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다리(20)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클램프(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KR1020190059886A 2019-05-22 2019-05-22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KR10202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86A KR102029257B1 (ko) 2019-05-22 2019-05-22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86A KR102029257B1 (ko) 2019-05-22 2019-05-22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57B1 true KR102029257B1 (ko) 2019-10-08

Family

ID=6820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886A KR102029257B1 (ko) 2019-05-22 2019-05-22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6413A (zh) * 2019-12-01 2020-03-27 东莞市好美佳智能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铝木平台沙发
KR20220131770A (ko) * 2021-03-22 2022-09-29 (주)하비스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6A (ko) 1994-10-21 1996-05-22 김천용 다용도 절첩식 평상
KR20050030939A (ko) * 2005-03-09 2005-03-31 박충서 휴대용 조립식 금속재 마루가 붙은 텐트
CN201533695U (zh) * 2009-09-29 2010-07-28 厦门革新金属制造有限公司 折叠床架结构
KR101470875B1 (ko) * 2013-11-29 2014-12-09 정영길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KR20180002467U (ko) * 2017-02-06 2018-08-16 김원종 주방 설비의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6A (ko) 1994-10-21 1996-05-22 김천용 다용도 절첩식 평상
KR20050030939A (ko) * 2005-03-09 2005-03-31 박충서 휴대용 조립식 금속재 마루가 붙은 텐트
CN201533695U (zh) * 2009-09-29 2010-07-28 厦门革新金属制造有限公司 折叠床架结构
KR101470875B1 (ko) * 2013-11-29 2014-12-09 정영길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KR20180002467U (ko) * 2017-02-06 2018-08-16 김원종 주방 설비의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6413A (zh) * 2019-12-01 2020-03-27 东莞市好美佳智能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铝木平台沙发
KR20220131770A (ko) * 2021-03-22 2022-09-29 (주)하비스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KR102501861B1 (ko) * 2021-03-22 2023-02-23 (주)하비스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68B1 (ko) 휴대용 조립식 평상
KR101470875B1 (ko)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US9140030B2 (en) Foldable tent
US6109282A (en) Self-erecting loop structure
KR200316140Y1 (ko) 휴대용 조립식 원두막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US7377231B2 (en) Retractable pet house
US5313756A (en) Sun deck and frame therefor
KR101137801B1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KR101674300B1 (ko) 레저 테이블
KR100819420B1 (ko)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
EP1617016B1 (fr) Ossature démontable pour abri
KR20050030939A (ko) 휴대용 조립식 금속재 마루가 붙은 텐트
KR100572932B1 (ko) 조립식 철제 침대
KR100959310B1 (ko) 이동식 파고라
KR102664965B1 (ko)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하우스
KR200331216Y1 (ko) 조립식 평상
KR200314423Y1 (ko) 야외용 조립식 평마루
US20080135079A1 (en) Yurt structure
KR200485213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평상
KR200229940Y1 (ko)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KR200475937Y1 (ko) 내수성이 향상된 카바나
KR20230006204A (ko) 조립식 캠핑용 데크
KR102656653B1 (ko) 다용도 침대 겸용 텐트
US20230050862A1 (en)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