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40Y1 -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940Y1
KR200229940Y1 KR2020010001690U KR20010001690U KR200229940Y1 KR 200229940 Y1 KR200229940 Y1 KR 200229940Y1 KR 2020010001690 U KR2020010001690 U KR 2020010001690U KR 20010001690 U KR20010001690 U KR 20010001690U KR 200229940 Y1 KR200229940 Y1 KR 200229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floor
leg
portable
corner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김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기 filed Critical 김석기
Priority to KR2020010001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940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지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곳에서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고 휴대에 간편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는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평평한 평마루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코너다리부재와; 상기 복수의 코너다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조립 및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평마루 중앙부의 하중지탱을 보강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조립 및 분리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앙연결부재와; 상기 코너다리부재, 연결부재 및 중앙연결부재의 윗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적치되고 접을 수 있는 복수개의 평마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A portable fabricatied plane floor}
본 고안은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지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평지와 같은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평마루 다리의 높이 및 평마루의 넓이를 조정가능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이 발전하고 과학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인은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과학기술에의 적응과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낙오하지 않기 위해 부단한 노력의 결과, 정신적 중압감, 스트레스등을 많이 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은 정신적 피로를 해소하기 위해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레저 활동중에서도 자연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등산, 여행, 낚시 및 야외 수련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야외 활동에는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하기 위한 텐트가 필수적인데 텐트는 마른 평지나 굴곡이 없는 지형에만 한정되어 설치할 수밖에 없어 야영지로서 최적인 장소가 습지이거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이라면 텐트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사람이 함께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즐길 수 있는 평마루는 평마루의 크기조정 및 휴대가 용이하지 않아 야외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 야영시 화재 위험때문에 일체의 난방 도구를 사용할 수 없어 동절기 야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취사도구 등의 휴대장비를 텐트 밖에 방치해 두어 분실에 대한 불안감이 있고 비, 바람이 강할 경우에는 취사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습지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평지와 같은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평마루 다리의 높이가 조절가능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원에 따라 평마루의 넓이를 쉽게 조정가능 하면서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간단히 조립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에 간편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동절기에도 사용가능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일실시예의 조립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코너다리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센터다리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중앙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평마루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평마루지지부에 대한 조립구성도
도 8a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평마루판에 난방을 설치한 배면도
도 8b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난방을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천막을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텐트를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텐트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평마루판 2 : 평마루지지부
11 : 코너다리부재 12 : 연결부재
13 : 센터다리부재 14 : 중앙연결부재
24, 44 : 다리부 25, 45 : 제 1다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습지나 지면의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평지와 같은 쾌적한 야영을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로서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평평한 평마루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코너다리부재와; 상기 복수의 코너다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조립 및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평마루 중앙부의 하중지탱을 견고히 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조립 및 분리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앙연결부재와; 상기 코너다리부재, 연결부재 및 중앙연결부재의 상부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적치되고 접을 수 있는 복수개의 평마루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위에 천막 또는 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코너다리부재 또는 연결부재에 텐트용 폴대를 꽂거나 텐트 끈을 묶을 수 있는 구멍을 갖는 텐트지지부재 및 사용 인원에 따라 평마루의 크기를 넓힐 수 있게 코너다리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높이 조정이 가능한 복수개의 센터다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 등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참조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조립구성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평마루판(1), 평마루지지부(2)로 구성되며 평마루지지부(2)는 코너다리부재(11), 연결부재(12), 센터다리부재(13), 중앙연결부재(14)로 구성된다.
평마루판(1)은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철재를 사용하고 일정크기의 판 형상으로 반으로 접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며, 평마루 설치시에는 평마루판(1)을 펼친 상태에서 평마루지지부(2)에 적치하면 된다. 복수의 평마루판(1)을 지지하고 평마루판 위에서 다수 인원이 야영 또는 레크레이션을 즐길 수 있도록 하중을 지탱하는 평마루지지부(2)는 습지 또는 자갈밭이나 지면의 굴곡이 심한 곳에서도 평마루판(1)이 수평을 유지하여 쾌적한 야영 환경을 조성하도록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평마루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다리부재(11)와; 사용인원에 따라 평마루의 크기를 넓힐 수 있도록 복수의 코너다리부재(11)사이에 개재되어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센터다리부재(13)와; 각 다리부재(11,13) 사이에 개재되어 각각의 다리부재를 연결 조립할 수 있는 연결부재(12)와; 평마루의 하중지탱을 보강하고 각각의 평마루판(1)이 적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는 연결부재(12) 또는 센터다리부재(13)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조립 및 분리가능한 중앙연결부재(14)로 구성된다. 또한, 평마루지지부(2)를 구성하는 각 부재(11∼14)는 중공 사각형상을 가지며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철재로 만들어 진다.
도 2∼도 6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구성부품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코너다리부재(11)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다리부재(11)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상단부(21)을 가지며, 상기 상단부(21)의 윗면은 평마루판(1)이 적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홈이 나져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각각의 입구 및 내측에는 삽입된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2, 23)가 상단부(21) 아래면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단부(21)와 일체형인 다리부(24)는 제 1다리부(25)를 내장하고 하단측으로부터 제1다리부(25)가 돌출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1다리부(25)도 하측으로부터 제 2다리부(26)가 돌출가능하도록 제 2다리부(26)를 내장하고 있다. 제 1다리부(25) 및 제 2다리부(26)의 사각 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일정크기의 구멍(20)이 마련되어 있으며 다리부(24) 및 제 1다리부(25)의 하단면에는 상기 구멍(20)과 맞물림 결합을 하는 높이조정 보턴이 돌출되어 있다. 다리의 높이조정시에는 상기 높이조정 보턴(27, 28)을 눌러 스프링에 의해 연동되는 걸림쇠가 구멍(20)과의 마물림 결합이 해제되고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보턴을 원상태로 하여 걸림쇠가 구멍(20)돠 맞물림 결합을 하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정 보턴(27, 28)은 제 1다리부(25) 및 제 2다리부(26)의 구멍(20)과 결합하여 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체결장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코너다리부재(11)는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리부(24) 하단 측면과 상단부(21)의 아래면을 잇는 보강재(2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평마루 위에 텐트 또는 천막 등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횡방향과 종방향이 직교하는 상단부(21)의 윗면에 돌출되어 텐트 및 천막 폴대가 수납될 수 있는 구멍을 갖는 텐트지지부재(7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텐트지지부재(70)는 상단부(21)의 윗면에 폴대가 수납될 수 있는 구멍(70')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연결부재(12)의 사시도로서, 연결부재(12)는 중공 사각 형상으로 윗면에 평마루판(1)이 적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홈을 갖는 제 1연결본체(31), 제 2연결본체(32)를 구비하며, 제 1, 2연결본체(31,32)는 서로 맞닿는 단부는 측면을 기준으로 각각 반원형상을 가지며 반원상의 중심점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33)가 완전 분리 및 삽입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은 제 1, 2연결본체의 맞닿는 단부를 덮고 아래면이 개방된 철편(34)의 양 측면에 구비된 구멍과 일치되며 상기 구멍들을 관통하는 볼트결합에 의하여 제 1, 2연결본체와 철편은 일체화 되며 철편(34)의 상단면에는 중앙연결부재(14)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납홈(35)이 구비되어 있다. 연결본체(31,32)와 완전 분리가능한 연결부(33)는 중공 사각봉으로 일단은 연결본체(31,32)에 수납되고 타단은 도 2에서 설명한 코너다리부재(11)의 상단부(21)에 수납되어 고정나사(22,2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33)의 윗면 및 아래면의 일정위치에 고정구멍(36,37)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2) 설치시에는 코너다리부재(11)의 상단부(21)에 연결부(33)을 최대한 삽입시켜 고정구멍(36,37)과 고정나사(22,23)가 일치되면 고정나사(22,23)을 쬐어 코너다리부재(11)의 상단부(21)에 연결부(33)를 고정시키고 연결부(33)의 타단이 제 1연결본체(31)에 삽입되도록 연결하면 된다. 평마루의 견고성을 고려하여 제 1연결본체(31)에 연결부(33)가 1/3이상 중첩되도록 연결부(33)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센터다리부재(13)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다리부재(13)은 동일선상의 연결부재(12)사이에 개재되어 일자형 상단부(41)와; 수납되는 연결부재(12)를 입구 및 안쪽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나사(42,43)와; 상단부와 일체형인 다리부(44)와; 제 1다리부(45)와; 제 2다리부(46)와; 다리부(44) 및 제 1다리부(46)의 하단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높이조정 보턴(47,48)과; 높이 조정을 위해 상기 보턴과 맞물림 결합을 하는 제 1,2다리부의 구멍(40)과; 다리부(44)와 상단부(41)를 연결하는 보강재(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터다리부재(13)의 구성요소 및 역할은 상단부(41)가 일자형이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코너다리부재(11)의 구성요소와 형상, 구조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단부(41)의 윗면에 형성된 홈에는 평마루판(1)뿐만 아니라 중앙연결부재(14)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중앙연결부재(14)의 사시도로서, 중앙연결부재(14)는 제 1중앙연결부(51), 제 2중앙연결부(52), 중앙철편(53), 연결걸이(54)로 구성된다. 중앙연결부(51,52)는 윗면에 평마루판(1)이 적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홈이 구비되어 있고 서로 맞닿는 단부는 측면을 기준으로 각각 반원형상을 가지며 반원상의 중심점에 관통구멍이 제공되고 타단부에는 연결부재(12)의 수납홈(34) 또는 센터다리부재(13) 윗면에 형성된 홈에 착탈 가능한 연결걸이(54)가 연설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은 아래면이 개방된 중앙철편(53)의 양 측면에 구비된 구멍과 일치되며, 이 구멍들을 관통하는 볼트결합에 의하여 제 1,2중앙연결부(51,52)와 중앙철편(53)이 일체화 된다. 이 볼트결합을 축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중앙연결부재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평마루판(1)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의 가벼운 철판(61)이 서로 맞닿는 부분 저면에 힌지(62)를 구비하여 철판(61)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며 철판(61)이 서로 접하는 면을 제외한 삼면에는 코너다리부재 및 센터다리부재의 상단부(21,41)등에 구비된 홈에 적치될 수 있도록 철판(61)에 수직방향으로 벤딩된 적치부(6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앙연결부재(14)의 연결걸이(54)가 조립 결합되는 부분과 중복되어 적치되는 평마루판(1)의 각 모서리부는 원형상(63)으로 절단되고 중앙연결부재(14)의 중앙철편(53)과 중복되어 적치되는 평마루판(1)의 중앙 측면부는 사각형상(64)으로 절단되며 각각의 다리부재(11,13)의 고정나사(22,23,42,43)와 중복되어 적치되는 평마루판(1)의 적치부(63)는 홈형상(65)으로 절단되어 평마루가 조립 완성되었을 때 평마루판(1)이 굴곡이나 틈새가 없는 평평한 평면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평마루지지부(2)에 대한 조립구성도로서, 평마루지지부(2)의 조립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우측 두개의 코너다리부재(11) 사이의 횡방향으로 연결부재(12)의 연결부(33)를 상단부(21)에 최대한 삽입하여 고정나사(22,23)를 관통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연결부(33)가 제 1,2연결본체(31,32)에 수납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코너다리부재(11)와 센터다리부재(13) 사이에 다른 연결부재(12)를 개재하여 연결부(33)를 각각의 상단부에 삽입하여 고정나사(22,23,42,43)로 로 고정시킨 후, 연결부가 제 1,2연결본체(31,32)가 수납되도록 조립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좌측 두개의 코너다리부재까지 조립한 후에 중앙연결부재(14)를 펴서 서로 대향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연결걸이(54)를 연결부재(12)의 수납홈(35)에 연결하여 결합한 다음, 다른 중앙연결부재(14)와 서로 대향하는 센터다리부재(13)의 일자형 상단부(41)의 윗면에 구비된 홈에 연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코너다리부재 및 센터다리부재의 다리부, 제 1다리부의 높이조정 보턴(27,28,47,48)과 제 1,2다리부에 구비된 구멍(20,40)으로 다리의 높이를 조정하여 지형에 맞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평마루지지부(2)를 조립 완성한 다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평마루판(1)을 펼친 상태에서 평마루지지부(2)위에 적치하면 된다. 또한, 평마루의 사용인원에 따라 센터다리부재를 무수히 코너다리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연결부재로 조립 결합하면 무한히 넓은 평마루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센터다리부재는 약 900-950m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는 평마루지지부(2)의 구성부품 크기를 정하는 것이 평마루의 견고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중 지탱 및 사람이 올라가고 내려오기에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코너다리부재 및 센터다리부재의 최대높이는 750-800mm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평마루판(1)에 난방을 설치한 배면도이고, 도 8b 는 도 1의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난방을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난방용 호스(81)의 양 끝단에는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평마루판(1)의 배면에 부착 결합된 다른 난방용 호스(61)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호스연결구(8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평마루판(1)의 배면에는 난방용 호스(81)를 부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82)이 마련되어 난방장치 설치시 별도의 호스지지편(83)과 나사로 상기 나사홈(82)에 체결하여 호스(81)를 평마루판(1)의 저면에 부착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평마루에 난방용 호스를 연결한 후, 난방기(85) 및 난방용 호스(81)에 물을 넣고 난방기 상하단에 난방용 호스를 연결시킨 다음, 난방기에 열을 가하여 평마루를 난방하게 된다. 보관 및 휴대시에는 복수의 난방용호스(81), 복수의 호스지지편(83), 난방기(84) 및 나사로 간단히 분리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천막을 설치한 일실시예를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텐트를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에 텐트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9 및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다리부재의 상단부(21) 윗면에 구비되어 있는 폴대용 구멍(70')에 여러개로 분리 조립가능한 천막 폴대(90)가 수납되거나 코너다리부재의 상단부(21) 위면에 돌출된 텐트지지부재(70)에 여러개로 분리 조립가능한 텐트 폴대(100)가 수납되어 평마루 위에 천막(91) 또는 텐트(101)가 설치된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마루 지지부(2)를 포함하는 텐트(102)를 설치하여 평마루 아래공간에 비, 바람을 차단하여 주방으로 사용하거나 휴대장비를 보관 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는 알맞는 크기로 분해 조립가능함으로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야영지로서 최적인 장소가 습지이거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이라도 설치가 가능하여 평마루 위에서 쉬거나 텐트, 천막 등을 설치할 수 있어 레저활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원에 따라 일부 조립품을 추가하여 평마루의 넓이를 조정가능함으로 경제적이고 모든 인원이 함께 레크레이션을 한다든가 토론할 수가 있고 평마루 아래공간도 주방 및 휴대장비 보관장소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난방장치의 부착으로 동절기에도 사용 가능하므로 실용적이다.

Claims (5)

  1. 평마루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고 다리의 높이를 조정가능한 복수개의 코너다리부재와; 상기 코너다리부재와 상호 연결되고 조립 및 분리가능한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평마루의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와 상호 연결되고 조립 및 분리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앙연결부재와; 상기 각 부재의 상부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적치되고 접을 수 있는 복수개의 평마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다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분리 결합가능하고 다리의 높이를 조정가능한 센터다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다리부재는 높이조정 보턴과; 상기 높이조정 보턴과 결합하여 다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멍을 갖고 있는 제 1 및 2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부와; 제 1 및 2연결본체와; 수납홈을 갖는 철편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앙연결부재는 제 1 및 2 중앙연결부와; 상기 수납홈에 착탈가능한 연결걸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각 부재는 중공 사각 형상의 가벼운 철재로 상면부에 상기 평마루판이 적치될 수 있는 홈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마루판은 난방용 호스를 부착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5.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다리부재는 텐트 또는 천막용 폴대를 수납할 수 있는 폴대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KR2020010001690U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KR200229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90U KR200229940Y1 (ko)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90U KR200229940Y1 (ko)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940Y1 true KR200229940Y1 (ko) 2001-07-19

Family

ID=7309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90U KR200229940Y1 (ko)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9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84B1 (ko) 2013-10-30 2015-01-16 이명재 조립식 평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84B1 (ko) 2013-10-30 2015-01-16 이명재 조립식 평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68B1 (ko) 휴대용 조립식 평상
AU2018223297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8899536B2 (en) Joint and foldable structures employing the same
US2018539A (en) Adjustable terminal
US7448400B2 (en) Modular frame with parabolic top
JP2004270432A (ja) 組み立て式バンガロー
WO2009147004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200229940Y1 (ko) 휴대용 조립식 평마루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US6631957B2 (en) Dismantleable chair
KR20150002434U (ko) 장부맞춤을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KR200457904Y1 (ko)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100616312B1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KR102105082B1 (ko) 조립식 덧마루
KR200331216Y1 (ko) 조립식 평상
KR200300950Y1 (ko) 절첩식 평상 마루 및 천막과 이들을 이용한 조립식 방갈로
KR200299630Y1 (ko) 휴대용 절첩식 평마루
KR101321640B1 (ko) 야외용 의자 조립식 테이블
KR200292504Y1 (ko) 조립식 의자
WO2014017747A1 (ko) 조립식 평상
KR920002554Y1 (ko) 조립식 평상
KR101265501B1 (ko) 다용도 야외용 의자
KR200328004Y1 (ko) 접이식 침대
KR100334333B1 (ko) 조립식 휴대용 풀장
KR20230006204A (ko) 조립식 캠핑용 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