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82B1 - 조립식 덧마루 - Google Patents

조립식 덧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82B1
KR102105082B1 KR1020190058549A KR20190058549A KR102105082B1 KR 102105082 B1 KR102105082 B1 KR 102105082B1 KR 1020190058549 A KR1020190058549 A KR 1020190058549A KR 20190058549 A KR20190058549 A KR 20190058549A KR 102105082 B1 KR102105082 B1 KR 10210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eg member
frame
groove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신
Original Assignee
(주)스테이지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테이지프라임 filed Critical (주)스테이지프라임
Priority to KR102019005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덧마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사각틀)과 상판(널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운반이 쉽고, 결합구조가 안전함은 물론 저중량으로 이루어져 적은 노동력이 필요하며, 안전사고의 발생위험도 낮추도록 하는 조립식 덧마루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는 결합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밴드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덧마루{PREFABRICATED PANEL FOR THRUST STAGE}
본 발명은 조립식 덧마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사각틀)과 상판(널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운반이 쉽고, 결합구조가 안전함은 물론 저중량으로 이루어져 적은 노동력이 필요하며, 안전사고의 발생위험도 낮추도록 하는 조립식 덧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의 무대세트는 예술적인 임시구조물로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실내 공연장의 무대 바닥(stage floor)은 대부분 목재를 사용하며, 무대 높낮이 조정에 유압자동제어를 적용한 최신형 극장도 있지만, 대다수는 고정형 목재 바닥재로 구비되어 있으며, 무대의 높이 조절은 직사각 형태의 덧마루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 판넬(stage deck)을 제작하여 덧마루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주로 야외공연장에 적용되고 있고, 극장식 실내 공연장에는 여전히 목재 덧마루가 사용되고 있다.
덧마루를 연속적으로 수평 결합하고, 추가로 복층 결합하면 무대의 바닥면을 상향 고정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덧마루를 수직배치시켜 기둥 대용으로 적용시키기도 하기 때문에 덧마루의 형상은 속이 빈 직사각박스형이고 규격화되어 있다.
여기서 대표적인 두가지 문제점이 있다.
덧마루의 수평배치와 중첩배치에서 체결 및 고정 과정의 문제이다. 현재 원시적인 못질을 반복하고 있어 덧마루 하단부은 짧은 기간내에 훼손되게 되며, 무대 플로어에도 흠집이 누적되게 된다.
덧마루의 수직배치를 통한 기둥 대용으로 사용할 때도 고정용 각목을 사선 결합시켜야 한다.
이에 기존 덧마루의 고정용 조인트와 전용 브라켓 개발이 시급하며, 결합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개념 덧마루가 제작되야 한다.
두번째 문제는 목재의 비중이 높아 덧마루의 무게가 상당하여 2인 이상 동원되어 운반과 설치를 하고 있다. 높이가 있는 구조물 제작시 수직배치 고정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판이 분리되어 이동 및 보관의 효율을 높이는 구조로 개량되야 하며,  높이 조절이 되어 불필요한 복층 결합을 지양하는 견고한 구조의 신개념 덧마루가 필요하다.
이러한 덧마루의 종래의 일예로서는, 등록실용신안 20-0439717호(선행문헌)의 공연 무대의 덧마루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사각틀을 형성하기 위한 각목으로 되는 가로대와 세로대의 내면에 턱과 양단에 ∠45°의 경사면을 갖는 접합경사면과, 가로대와 세로대를 연결하기 위한 삽착홈과 삽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의 중간에 연결하는 중간대의 양단을 내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가로대의 밑부분이 오목하면서도 내측으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를 연결하여서 되는 틀의 턱에 얹히도록 조립되는 널판의 사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가로대와 세로대 및 널판의 이음이 틈 없이 접합 되도록 구성하여 본 무대의 바닥에 상기한 마루블럭을 상하좌우로 연속 배열한 상태에서 못으로 본 무대의 바닥에 고정하여 무대의 바닥에 별도의 작은무대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덧마루는, 프레임(사각틀)과 상판(널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보관 및 운반이 어렵고, 결합구조가 안전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고중량으로 이루어져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며 과 안전사고의 발생위험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덧마루는 무대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종래의 덧마루는, 덧마루를 못으로 바닥에 고정하도록 하여 여러번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등록번호 20-0439717호{등록일자 2008년 04월23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사각틀)과 상판(널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운반이 쉽고, 결합구조가 안전함은 물론 저중량으로 이루어져 적은 노동력이 필요하며, 안전사고의 발생위험도 낮추도록 하는 조립식 덧마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대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립식 덧마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조립식 덧마루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는 결합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밴드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각각 끼움홈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부재를 고정하여 면적을 확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상부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수직면에 직각방향으로 체결볼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상기 상판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볼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에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밴드에는 탄성편홈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밴드의 하방에는 다리부재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는 상부에 결합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밴드에 설치된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와 또 다른 다리부재 사이에는 연결바가 설치되되,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직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결합홈에 결합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결합돌기 양측으로는 결합후크가 전,후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결합홈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후크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후크는 한쌍의 전후진부와 상기 전,후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부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결합후크가 설치되도록 결합후크 설치부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적층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는 횡방향으로 또 다른 다리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의 하부에는 미끄름 방지 패드가 더 부착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는 프레임과 상판을 결합밴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프레임(사각틀)과 상판(널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운반이 쉽고, 결합구조가 안전함은 물론 저중량으로 이루어져 적은 노동력이 필요하며, 안전사고의 발생위험도 낮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끼움부재로 고정하여 무대를 수평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고, 프레임의 하부에 다리부재를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요부결합단면도로서, 체결밴드 부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요부결합단면도로서, 체결볼과 체결홈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를 확장하기 위해 끼움부재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에 다리부재와 연결바를 결합시키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가 수직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에 다리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와 연결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와 연결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가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요부결합단면도로서, 체결밴드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프레임과 상판의 요부결합단면도로서, 체결볼과 체결홈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를 확장하기 위해 끼움부재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에 다리부재와 연결바를 결합시키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가 수직으로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에 다리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와 연결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와 연결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리부재가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100)는, 프레임(10), 상판(20) 및 결합밴드(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강화프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무게를 경감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각각 끼움홈(11)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11)에 끼움부재(40)를 고정하여 면적을 확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 상부 내측으로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2)의 수직면에 직각방향으로 체결볼(13)이 탄성부재(14)에 의해 탄력지지 된다.
상기 상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강화프라스틱, 합판, 아크릴판 또는 루버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판(20)은, 높이가 있는 단을 만들때 상판(20)이 분리됨으로 여러유닛을 조립하는데 있어 상판(20)의 무게가 경감되고, 상,하로 개방된 프레임(10) 만을 가지고 조립함으로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성이 향상된다.(무게를 줄이므로 안전성, 작업속도의 향상을 가져온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볼(13)에 대응되는 체결홈(21)이 형성되어져 프레임(10)에 대해 상판(2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하부에는 고정부(2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2)에는 탄성편(22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결합밴드(3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모서리에는 설치되며,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부(22)가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밴드(30)에는 탄성편홈(31)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20)의 고정부(22)의 탄성편(22a)이 고정되어지고, 상기 탄성편홈(31)의 하측에는 판스프링(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밴드(30)의 하방에는 다리부재(50)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다리부재(50)는, 상부에 결합고정부(5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부(5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부(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홈(51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밴드(30)에 설치된 판스프링(32)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50)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적층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다리부재(50)의 하부에 하부결합부(53)가 형성되어 또 다른 다리부재(50)의 결합고정부(51)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50)는 횡방향으로 또 다른 다리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다리부재(50)의 각각에 결속홈(54)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홈(54)에 결속부재(55)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55)의 전방에는 손잡이(55a)가 형성되어 결속부재(55)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속부재(55)의 측면에는 탄력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50)와 또 다른 다리부재(50) 사이에는 연결바(60)가 설치되되, 상기 다리부재(50)의 지지부(52)에 수직방향으로 수직결합홈(52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60)에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결합홈(52a)에 결합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50)의 하부에는 미끄름 방지패드(56)가 더 부착되어 조립식 덧마루의 미끄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60)의 결합돌기(61) 양측으로는 결합후크(62)가 전,후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결합홈(52a)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후크공(57)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62)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후크(62)는 한쌍의 전후진부(62a)와 상기 전후진부(62a)를 연결하는 연결부(62b)로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부(62a)의 단부에는 절곡부(62c)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60)에는 결합후크(62)가 설치되도록 결합후크 설치부(63)가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덧마루(100)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0)에 상판(2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 과정에서는 프레임(10)과 상판(20)이 분리 되어짐으로 적은 힘으로도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립식 덧마루(100) 여러개 붙여 무대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는 프레임(1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형성된 끼움홈(11)에 끼움부재(40)를 고정하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립식 덧마루(100)를 수직방향으로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레임(10)의 내측모서리에 설치된 결합밴드(30)에 다리부재(50)의 결합고정부(51)를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고정부(51)에 형성된 판스프링홈(51a)에 결합밴드(30)의 판스프링(32)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50)는 복수개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는데, 이는 다리부재(50)의 하부에 하부결합부(53)가 형성되어 또 다른 다리부재(50)의 결합고정부(51)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다리부재(50)와 또 다른 다리부재(50) 사이에는 연결바(60)를 설치하되, 상기 다리부재(50)의 수직결합홈(52a)에 연결바(60)의 결합돌기(61)를 결합하고, 상기 다리부재(50)의 수직결합홈(52a)이 양측에 형성된 후크공(57)에 결합후크(62)의 전후진부(62a)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즉, 전후진부(62a)의 절곡부(62c)가 후크공(57)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조립식 덧마루
10: 프레임 11: 끼움홈
12: 안착홈 13: 체결볼
14: 탄성부재 20: 상판
21: 체결홈 22: 고정부
22a: 탄성편 30: 결합밴드
31: 탄성편홈 32: 판스프링
40: 끼움부재 50: 다리부재
51: 결합고정부 51a: 판스프링홈
52: 지지부 52a: 수직결합홈
53: 하부결합부 54: 결속홈
55: 결속부재 55a: 손잡이
56: 미끄름 방지패드 57: 후크공
60: 연결바 61: 결합돌기
62: 결합후크 62a: 전후진부
62b: 연결부 62c: 절곡부
63: 결합후크 설치부

Claims (12)

  1.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는 결합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밴드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에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밴드에는 탄성편홈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 각각 끼움홈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부재를 고정하여 면적을 확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부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수직면에 직각방향으로 체결볼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상기 상판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볼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밴드의 하방에는 다리부재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부에 결합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밴드에 설치된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와 또 다른 다리부재 사이에는 연결바가 설치되되,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수직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결합홈에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결합돌기 양측으로는 결합후크가 전,후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결합홈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후크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는 한쌍의 전후진부와 상기 전,후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부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결합후크가 설치되도록 결합후크 설치부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상기 결합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적층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횡방향으로 또 다른 다리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하부에는 미끄름 방지 패드가 더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덧마루.
KR1020190058549A 2019-05-20 2019-05-20 조립식 덧마루 KR10210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549A KR102105082B1 (ko) 2019-05-20 2019-05-20 조립식 덧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549A KR102105082B1 (ko) 2019-05-20 2019-05-20 조립식 덧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082B1 true KR102105082B1 (ko) 2020-04-29

Family

ID=7046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549A KR102105082B1 (ko) 2019-05-20 2019-05-20 조립식 덧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531A (zh) * 2020-08-05 2020-12-01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人员防跌落安全防护监控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115A (ko) * 1997-02-07 1998-10-26 나가모토도시오 깔개 바닥재의 설치구조
KR200439717Y1 (ko) 2007-11-26 2008-04-29 주식회사 티에스 공연 무대의 덧마루
KR101427154B1 (ko) * 2013-04-16 2014-08-08 현산업개발 주식회사 가변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180007846A (ko) * 2016-07-14 2018-01-24 윤국원 바닥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115A (ko) * 1997-02-07 1998-10-26 나가모토도시오 깔개 바닥재의 설치구조
KR200439717Y1 (ko) 2007-11-26 2008-04-29 주식회사 티에스 공연 무대의 덧마루
KR101427154B1 (ko) * 2013-04-16 2014-08-08 현산업개발 주식회사 가변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180007846A (ko) * 2016-07-14 2018-01-24 윤국원 바닥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531A (zh) * 2020-08-05 2020-12-01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人员防跌落安全防护监控系统
CN112012531B (zh) * 2020-08-05 2021-12-14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人员防跌落安全防护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849B2 (en) Interlocking platform panels and modules
US6684592B2 (en) Interlocking floor panels
US8869713B2 (en) Portable locking support and platform system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101053238B1 (ko) 합성목재 연결장치와 미끄럼방지 수단이 포함된 합성목재
KR101790130B1 (ko) 편리한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구조체
KR102105082B1 (ko) 조립식 덧마루
KR200459049Y1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CN113914478A (zh) 模块化装配式建筑
KR101278446B1 (ko) 패킹재가 결합된 목재데크
DK155024B (da) Terrasseanlaeg med sidepladsen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200487420Y1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JP2020185958A (ja) 組立分解可能なキャンピングシェル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KR20130030939A (ko) 목재데크
KR20170007194A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998681B2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の施工方法
KR101850497B1 (ko) 모듈화된 마루바닥의 조립구조
CA2085536A1 (en) Interconnecting edge beams for concrete forming panels
JP6998653B2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の施工方法
JP3083697B2 (ja) 天井構造
CN216587000U (zh) 模块化装配式建筑
JP3301827B2 (ja) 鉄骨階段
GB2272230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o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