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770A -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 Google Patents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770A
KR20220131770A KR1020210036899A KR20210036899A KR20220131770A KR 20220131770 A KR20220131770 A KR 20220131770A KR 1020210036899 A KR1020210036899 A KR 1020210036899A KR 20210036899 A KR20210036899 A KR 20210036899A KR 20220131770 A KR20220131770 A KR 2022013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tension plate
extension
hin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861B1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비스 filed Critical (주)하비스
Priority to KR102021003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60P3/39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expansible, collapsible or repositionable elements adapted to support a bed, e.g. wall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0Travelling or camp beds adapted to be used in or connected to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판;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Camping device}
본 발명은 캠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캠핑 장치는 평면을 제공하는 본체가 마련될 수 있고, 본체에 연결되어 펼칠시 본체의 평면을 확장하는 더 넓은 평면을 제공하는 확장판이 구비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지는 경우 확장판을 지지하는 것과,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확장판을 본체에 고정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상면과 플랫하게 연결되는 확장판의 상면을 차량의 바닥면 또는 후열 의자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확장판이 본체에 접힐시 확장판을 본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확장판간에도 서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판;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판을 펼칠시, 상기 본체 및 상기 확장판은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판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확장판이 상기 본체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확장판을 서로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확장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본체에 회동가능한 확장판이 펼쳐지는 경우, 본체의 상면 및 확장판의 상면은 함께 플랫한 평면을 제공할 수 있고, 펼쳐진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판은 복수로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판은 제2 확장판에 연결될 수 있고, 확장판을 펼칠시, 받침판도 제2 확장판으로부터 회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본체와 확장판은 본체의 상부에 포개질 수 있고, 제1 확장판, 제2 확장판, 본체의 순서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확장판이 접힐시, 받침판은 제1 확장판과 제2 확장판 받침판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받침판이 위치할 공간 확보를 위해서 제1 확장판과 제2 확장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구비될 수 있다.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각 확장판은 관절과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인 제1 축 방향의 힘에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확장판에는 확장판간에 고정될 수 있는 록킹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 부재는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돌기는 제1 확장판에 마련될 수 있고, 고정 홈은 제2 확장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확장판이 펼쳐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파니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캠핑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확장판이 펼쳐진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확장판이 접힌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9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차량의 후방에 설치하는 캠핑 장치는 차박 등의 캠핑시 차량내부에 캠핑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후방, 트렁크 위치에 본체(100)를 설치하여 본체(100)의 상면에 평면을 제공할 수 있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도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 내부의 수납 공간은 차량의 후미로 빼는 서랍식의 형태 또는 본체(100) 상면의 일부인 뚜껑을 열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을 연장하는 더 넓은 평면을 마련하기 위한 구조로서, 확장판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판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고, 본체(100)로부터 펼쳐져 본체(100)와 함께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에 확장 힌지(110)가 구비될 수 있고, 확장판은 확장 힌지(11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차량의 후방에서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을 제1 축(x 축) 방향, 제1 축에 수직하고 차량의 폭 방향을 제2 축(y 축) 방향, 제1 축 및 제2 축에 수직하고, 수직 상향 방향을 제3 축(z 축)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확장판은 차량의 폭 방향(y축 방향 또는 제2 축 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판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판은 차량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또는 제1 축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판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차량의 운전석 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대로 제1 확장판(210), 제2 확장판(2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 사이에는 각 확장판과 힌지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판(230)이 형성될 수 있고, 각 확장판에는 펼쳐진 확장판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받침판(3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은 후열 의자가 제거된 경우에는 차량의 바닥면일 수 있고, 후열 의자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에는, 확장판을 펼칠 공간 확보를 위해 휴열 의자를 눕힐시, 눕혀진 후열 의자의 일면(10)일 수 있다.
후열 의자(10)가 제거된 경우에는, 차량의 수직 방향(z축 방향, 제3 축 방향)으로 아래서부터 차량의 바닥면, 받침판(300), 확장판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후열 의자(10)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수직 방향으로 아래서부터 차랴으이 바닥면, 후열 의자(10), 받침판(300), 확장판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받침판(300)은 각 확장판의 하부(각 확장판의 제2 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확장판이 본체(100)와 함께 평면을 제공하는 상태를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라 할 수 있고, 확장판이 본체(100)의 상부에 포개지는 상태를 확장판이 접혀진 상태라 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받침판(300)도 확장판으로부터 펼쳐져 확장판의 아래 바닥면으로부터 확장판을 지지할 수 있고, 확장판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받침판(300)도 힌지로 연결된 확장판에 밀착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받침판의 제1 면(301)은 확장판의 제2 면(212)과 대면하고 받침판의 제2 면(302)은 확장판 아래의 바닥면과 대면하며, 확장판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받침판의 제1 면 및 제2 면은 수직 방향(z축 방향, 제3 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받침판(300)의 회전축인 힌지축은,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존재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받침판의 일 실시 예로, 받침판의 회전축은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차량의 폭 방향(y축 방향, 제2 축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확장판이 본체로부터 펼쳐지는 경우에 있어서,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300)이 필요할 수 있고, 이러한 받침판(300)은 본체(100)로부터 펼쳐지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즉,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300)이 본체(100)로부터 연장되는 경우에는, 확장판을 펼칠시 확장판의 하부 공간을 받침판(300)이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300)이 본체(1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펼쳐진 확장판을 지지하기 위해 받침판(300)도 펼쳐지거나,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확장판을 펼치는 경우, 확장판 하부 공간에 구조물이 있을 수 있고, 구조물이 받침판(300)의 방해물로 작용하여 받침판(300)의 확장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방해물로 작용하는 구조물은 눕혀진 후열 의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받침판(300)을 확장판의 하면에 마련하여, 확장판 하부의 공간 확보와 관계없이 확장판을 펼칠 수 있다. 즉, 확장판이 본체(100)에 포개지는 경우에는, 받침판(300)도 확장판에 포개질 수 있고, 확장판이 펼쳐지는 경우 받침판(300)도 받침판 힌지(320)로부터 회동하여 확장판으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확장판이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는 경우, 확장판을 펼칠시 본체(100)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고 운전석에 가까운 확장판을 제1 확장판(210), 본체(100)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확장판을 제2 확장판(220)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판이 본체(100)에 포개지는 경우, 수직 방향(z 방향)의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본체(100), 제2 확장판(220), 받침판(300), 제1 확장판(210)의 순서일 수 있다. 받침판(300)은 제2 확장판(220)의 하면에 회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받침판(300)은 확장판이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받침판(300)의 일면이 확장판으로부터의 밀착상태에서 이탈하고, 확장판의 완전 펼침시 받침판(300)도 완전히 펼쳐져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차량의 하부면으로부터 확장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하부면이란 운전석 뒤쪽의 후열 의자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는, 후열 의자의 등받이(10)를 눕힐시의 상면 또는 하면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2열 의자를 제거한 경우에는, 차량 자체의 하부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후열 의자에 앉는 등의 휴식 용도로 사용을 할 수 있고, 차박 등의 캠핑으로 본체(100)의 상면을 이용할 시에는 확장판을 펼쳐 후열 의자의 등받이(10)를 앞 또는 뒤로 젖힐 수 있다. 이 경우, 받침판(300)의 하부면은 젖혀진 등받이(10)의 일면과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서부터 차량 본체(100) 바닥, 젖혀진 후열 의자, 받침판(300), 확장판의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받침판(300)은 확장판이 접혀지는 경우에는 같이 접혀지고, 펼쳐지는 경우에는 같이 펼쳐져 확장판을 지지하는 형상이기만하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받침판이 직육면체의 형상인 경우로 설명한다.
확장판이 펼쳐지는 경우, 확장판과 대면하는 받침판의 일면을 제1 면(301)이라 할 수 있고, 젖혀진 후열 의자와 대면하는 면을 제2 면(302)이라 할 수 있다.
받침판의 제1 면(301)은 확장판 펼침시에 확장판과 대면하기에 평면일 수 있고, 받침판의 제2 면(302)은 차량의 하부면과 대면하기에 차량의 하부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열 의자가 차량의 앞으로 젖혀진 경우, 차량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후열의자의 등받이(10) 기울기가 상승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받침판(300)도 그 형상에 맞게 제1 축으로 가면서 경사면이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열의자가 젖혀진 경우 등의 차량의 하부면이 경사면 또는 곡선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받침판(300)의 하부면인 제2 면도 그 경사면 또는 곡선의 형상과 비슷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열 의자가 제거된 경우에는, 차량의 하부면도 평평한 평면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받침판(300)도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받침판의 제2 면(302)이 차량의 하부면과 마찬가지로 평평한 평면일 수 있다.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 사이에는 제1 및 2 확장판을 연결하는 연결판(230)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지는 경우를 기준으로, 각 확장판의 상면 및 하면을 정의할 수 있고, 각 확장판 또는 연결판의 상면을 각 확장판 또는 연결판의 제1 면, 각 확장판 또는 연결판의 하면을 각 확장판 또는 연결판의 제2 면이라 할 수 있다.
확장판이 본체(100)에 포개지는 경우에는,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아래에서부터 본체(100), 제2 확장판(220)의 상면, 받침판(300)의 제1 면(311)의 일측, 받침판(300)의 제1 면(311)의 타측, 제1 확장판(210)의 하면, 제1 확장판(210)의 상면의 순서대로 포개질 수 있다. 이 경우, 받침판(300)의 제1 면(311)의 타측에는, 제1 확장판(210)으로부터 받침판(300)이 회동할 수 있는 받침판 힌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포개진 경우의 받침판(300)의 회동축의 방향은 제1 축(x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판(230)은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 사이에 마련되고, 제1 확장판(210)과 연결판(230) 사이, 제2 확장판(220)과 연결판(230) 사이는 힌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확장판(210)과 연결판(230)사이는 제1 힌지(231)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고, 연결판(230)과 제2 확장판(220)의 사이는 제2 힌지(23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확장판(220)과 본체(100)의 사이는 확장 힌지(11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연결판(230)의 길이(이 경우 z 방향)는 받침판(30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확장판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300)도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고, 이러한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 사이에 위치하는 받침판(30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힌지편이 긴 힌지로는 구조적으로 연결이 부족할 수 있고, 잦은 젖힘과 펼침의 동작시 내구성 높은 구조를 위해서, 받침판(300)의 제1 면(301)의 두께(d1)는 연결판(230)의 두께(d2)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연결판(230)이 마련되고 확장판이 펼쳐지는 경우, 본체(100)의 상면과 각 확장판의 상면은 플랫(flat)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고, 차량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제1 축 방향, x 방향)으로 본체(100), 제2 확장판(220), 연결판(230), 제1 확장판(210)의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지는 상태를 기준으로, 각 확장판 또는 받침판(300)을 상면, 하면으로 구분할 수 있거나, 각 확장판의 상면을 각 확장판의 제1 면, 하면을 각 확장판의 제2 면이라 할 수 있다. 연결판(230)이 마련되고 확장판이 접혀지는 경우,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은 제1 축으로 연장되고, 연결판(230)은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판(230)의 제2 면은 적층된 제1 및 제2 확장판(220)의 사이 내부 공간과 대면할 수 있다. 즉, 확장판이 포개진 상태에서는 연결판(230)의 제1 면 또는 제2 면은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각 부재들의 비율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연결판(230) 또는 받침판(300)을 실제보다 더 크게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연결판(230)의 두께 또는 받침판(300)의 두께는,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의 제1 축 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의 고정 구조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고정 돌기(214) 및 고정 홈(224)도 실제 비율보다 더 크게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받침판(300)이 확장판에 마련되고 확장판이 본체로 접히는 경우, 받침판은 제1 확장판과 제2 확장판 사이에 포개질 수 있다. 즉,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은 받침판의 두께(d2)만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이격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확장판이 포개진 경우에 각 확장판은 연결판으로 인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확장판(220)에 연결된 받침판(300)의 존재로 인해 연결판(230)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판의 제1 면(231)의 길이(d1)는 받침판의 제1 면(301)의 길이(d2)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연결판(230) 또는 받침판(300)이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에는, 연결판의 제1 면(231)과 제2 면(232)은 같을 수 있고, 받침판의 제1 면(301)과 제2 면(302)은 같을 수 있다.
확장판이 접힌 상태에서는,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 사이에 받침판(30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판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의 공간(S)에는 고정 돌기(214), 고정 홈(224), 받침판(300)이 마련될 수 있고, 받침판(300)은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받침판(300)이 제2 확장판(220)에 마련되는 경우,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 사이의 공간에서 받침판(300)을 기준으로 수직 정렬 관계를 살펴보면, 제 1확장판(210), 받침판(300), 받침판 힌지(320), 제2 확장판(220), 본체(100)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 돌기(214) 또는 고정 홈(224)은 복수의 확장판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나, 확장판을 본체(100)에 포개는 과정에는, 제1 확장판(210)이 제2 확장판(220)에 대면된 상태에서, 제1 확장판(210)을 수직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고정 돌기(214)가 제1 확장판(210)에 마련되고, 고정 홈(224)이 제2 확장판(220)에 구비되는 경우, 고정 구조를 기준으로 수직 정렬 관계를 살펴보면, 제1 확장판(210), 고정 돌기(214), 고정 홈(224), 제2 확장판(220), 본체(100)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판은 제1 힌지에 의해 제1 확장판과 연결되고, 제2 힌지에 의해 제2 확장판과 연결되기에, 확장판의 포개진 상태에서, 제1 축 방향으로 쉽게 힘을 받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확장판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1 확장판(210) 및 제2 확장판(220)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 구조는 고정 돌기(214)와 고정 홈(224)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돌기 및 고정 홈 각각은 확장판 중 어느하나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14)는 제1 확장판에 마련될 수 있고, 고정 홈(224)은 제2 확장판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에 의해서 확장판간이 서로 고정되고 확장판이 접힌 상태에서, 연결판은(230)은 수직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장판(210)이 제2 확장판(220)보다 짧은 경우, 연결판(230)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차량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제1 확장판(210)이 제2 확장판(220)보다 긴 경우, 연결판(230)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차량의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고정 돌기(214) 및 고정 홈(224)에 의해서 제1 확장판(210)은 제2 확장판(22)에 고정될 수 있어, 제1 확장판(210)은 x축 방향으로의 힘에도 본체(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의 차량 길이 방향의 길이가 같은 경우, 확장판이 접힌 상태에서, 고정 돌기(214)는 고정 홈(224)와 체결될 수 있고, 연결판(230)은 수직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고정 돌기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두 개 마련될 수 있고, 대응하는 고정 홈도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확장판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고정 돌기 및 고정 홈도 늘어난 확장판의 수만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판이 차량 폭 방향으로 두 개 마련되는 경우,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은 각각 4개씩 구비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확장판은 받침판(300)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지지될 수 있지만, 받침판 하부에 대면되는 후열 의자(10) 등의 구조물과 x축 방향으로의 확장판의 길이에 따라, 받침판만으로 확장판이 충분히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확장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제1 지지 프레임(410), 제2 지지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410)은 차량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410) 높이 방향의 일단은 제1 확장 프레임(210)과 대면할 수 있고, 제1 지지 프레임(410) 높이 방향의 타단은 차량의 바닥면과 대면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420)은 차량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고, 차량의 양 측면(20)과 대면되게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차량의 폭 방향으로 제1 지지 프레임(410)의 양단은 제2 지지 프레임(4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펼쳐진 확장판을 지지 하기 위해 제1 지지 프레임(410)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지지 프레임(410)을 지지하기 위해 제2 지지 프레임(420)이 차량의 측면(20)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420)은 차량의 측면(20)을 따라 제1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지지 프레임(420)의 길이는 차량의 측면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운전석 및 조수석의 1열 의자와 차량의 후방 방향으로 후열 의자, 트렁크가 순서대로 마련될 수 있고, 본체(100)는 차량의 트렁크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펼쳐진 확장판의 하부는 젖혀진 후열 의자(20)의 위치일 수 있다.
차량의 형상에 따라, 후열 의자(20)의 차량의 폭 방향(y축 방향, 제2 축 방향) 길이가 트렁크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긴 경우에는, 제2 지지 프레임(420)의 길이는 1열 의자와 트렁크 사이의 길이로 제한될 수 있다.
확장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판의 제1 면(231)의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제1 길이(d1), 받침판의 제1 면(301)의 제1 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제2 길이(d2)라 할 수 있다.
확장판이 접힌 상태에서,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 사이의 공간의 길이를 제3 길이(d3), 고정 돌기(214)의 길이를 제4 길이(d4)라 할 수 있다.
확장판이 본체에 포개진 상태에서, 제1 확장판과 제2 확장판이 고정 구조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는 경우, 제3 길이는 제4 길이보다 같거나 클 수 있고, 제3 길이는 제2 길이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제1 확장판(210)과 제2 확장판(220)의 제1 축 방향의 길이가 같은 경우, 제3 길이는 제1 길이와 같을 수 있고, 제1 확장판(210)이 제2 확장판(220)보다 제1 축 방향의 길이가 짧거나 긴 경우, 제3 길이는 제1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길이는 제3 길이와 같거나 더 클 수 있고, 제3 길이는 제2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으며, 제3 길이는 제4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다.
10... 후열 의자 20... 차량 측면
100... 본체 110... 확장 힌지
210... 제1 확장판 211... 제1 확장판의 제1 면
212... 제1 확장판의 제2 면 214... 고정 돌기
220... 제2 확장판 221... 제2 확장판의 제1 면
222... 제2 확장판의 제2 면 224... 고정 홈
230... 연결판 231... 연결판의 제1 면
232... 연결판의 제2 면 231... 제1 힌지
232... 제2 힌지 300... 받침판
301... 받침판 제1 면 302... 받침판 제2 면
320... 받침판 힌지 410... 제1 지지 프레임
420... 제2 지지 프레임
d1... 제1 길이 d2... 제2 길이
d3... 제3 길이 d4... 제4 길이
S... 제1 확장판과 제2 확장판 사이의 공간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판; 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을 펼칠시, 상기 본체 및 상기 확장판은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판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확장판이 상기 본체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확장판을 서로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확장판 사이에 배치되는 캠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확장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판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1 확장판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 확장판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 부재는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은 상기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에 각각 마련되는 캠핑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확장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연결판이 마련되며,
    상기 확장판을 펼칠시, 상기 제1 확장판, 연결판, 및 상기 제2 확장판의 상면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확장판, 연결판, 및 상기 제2 확장판의 배면은 받침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 공간은 상기 제1 확장판과 제2 확장판 사이에 상기 받침판이 위치하는 빈 공간이며, 상기 연결판의 상면은 상기 받침판 공간을 벗어나 위치하는 캠핑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확장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이 접히는 경우, 상기 록킹 부재의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받침판의 위치를 제2 위치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위치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확장판, 록킹 부재, 제2 확장판, 본체의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위치의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확장판, 받침판, 제2 확장판, 본체의 순서로 배열되는 캠핑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연결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확장판 및 연결판 사이에 제1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제2 힌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확장판 및 본체 사이에 확장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장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받침판 힌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힌지, 제2 힌지, 상기 확장 힌지, 및 상기 받침판 힌지의 회전축은 차량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캠핑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연결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확장판 및 연결판 사이에 제1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제2 힌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확장판 및 본체 사이에 확장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장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받침판 힌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힌지, 제2 힌지, 및 상기 확장 힌지의 회전축은 차량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축은 상기 제2 축에 수직하고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받침판 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축 또는 제2 축에 대하여 경사진 캠핑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제2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확장판이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상기 확장판을 접촉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확장판에 비접촉되는 캠핑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연결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확장판의 회동축인 제1 힌지로부터 상기 록킹 부재까지의 길이가 상기 제2 확장판의 회동축인 제2 힌지로부터 상기 록킹 부재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상기 연결판은 차량의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확장판의 회동축인 제1 힌지로부터 상기 록킹 부재까지의 길이가 상기 제2 확장판의 회동축인 제2 힌지로부터 상기 록킹 부재까지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연결판은 차량의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캠핑 장치.
  9.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판; 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을 펼칠시, 상기 본체 및 상기 확장판은 차량의 길이 방향인 제1 축을 따라 배열되고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판은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연결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확장판 및 연결판 사이에 제1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 및 제2 확장판 사이에 제2 힌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확장판 및 본체 사이에 확장 힌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장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받침판 힌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힌지, 제2 힌지, 상기 확장 힌지, 및 상기 받침판 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축에 수직하고 차량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캠핑 장치.
KR1020210036899A 2021-03-22 2021-03-22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KR10250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99A KR102501861B1 (ko) 2021-03-22 2021-03-22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99A KR102501861B1 (ko) 2021-03-22 2021-03-22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770A true KR20220131770A (ko) 2022-09-29
KR102501861B1 KR102501861B1 (ko) 2023-02-23

Family

ID=8346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899A KR102501861B1 (ko) 2021-03-22 2021-03-22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199A (ko) * 2006-11-09 2007-10-25 윤태소 서랍이 있는 침대 겸용 소파
KR101992688B1 (ko) * 2018-07-12 2019-06-25 (주)하비스 캠핑 장치
KR102029257B1 (ko) * 2019-05-22 2019-10-08 박충서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199A (ko) * 2006-11-09 2007-10-25 윤태소 서랍이 있는 침대 겸용 소파
KR101992688B1 (ko) * 2018-07-12 2019-06-25 (주)하비스 캠핑 장치
KR102029257B1 (ko) * 2019-05-22 2019-10-08 박충서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861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329B2 (ja) テーブル形成部材を有する折り重ね式背部を備える自動車の座席、及びそのような座席を有する自動車
JP7103168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US20160318422A1 (en) A seat arrangement
RU2612338C2 (ru) Крес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снащенное средствами крепления съемного столика
CN109624805A (zh) 隔板和包括它的交通工具座位组件
JP2022011446A (ja) 乗物用シート
JP6468077B2 (ja) 乗物用シート
JP7112465B2 (ja) シート用テーブル
KR20220131770A (ko)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JPH08228877A (ja) 観覧席用シートおよび折り畳み式のシートを有する観覧席
JP2019142294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220169056A (ko)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JP2008155724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03104103A (ja) 有用車両の運転室
KR102488869B1 (ko) 받침판을 포함하는 캠핑 장치
JP2020082793A (ja) 乗物用シート
KR20230103018A (ko) 차량 의자 뒷면에 지지되는 확장판을 구비한 캠핑 장치
JPS6229310Y2 (ko)
JPH0311076Y2 (ko)
JPH078305Y2 (ja) 車両用補助シート
JP4395684B2 (ja) 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JP6320157B2 (ja) テーブル付き椅子
JP3526373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0521589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JPH07172223A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