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056A -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056A
KR20220169056A KR1020210078894A KR20210078894A KR20220169056A KR 20220169056 A KR20220169056 A KR 20220169056A KR 1020210078894 A KR1020210078894 A KR 1020210078894A KR 20210078894 A KR20210078894 A KR 20210078894A KR 20220169056 A KR20220169056 A KR 2022016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upport
seat b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필
정일교
Original Assignee
황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필 filed Critical 황재필
Priority to KR102021007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056A/ko
Publication of KR2022016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박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식 차박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Electric vehicle foil seat and interior modification method of multi-seater van using same}
본 발명은 차박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식 차박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5인승 또는 7인승의 SUV 차량은 2열 또는 3열 시트를 접은 후, 시트의 배면과 트렁크 바닥으로 이루어진 평탄면을 형성하여 큰 짐을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평탄면에 매트를 깔아서 사람이 누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레저를 즐기는 방식, 일명 차박이 유행하고 있어서, SUV 차량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반해, 9인승의 MPV(Multi Propose Vehicle)는 SUV에 비해서 더 넓은 실내공간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탄면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차박을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MPV보다 SUV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MPV의 내부를 개조하여 차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 실용신안 제 20-2021-0000654호, '4열을 가진 승합차의 3열 역방향 좌석'에서는 제3열을 역방향으로 배치하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차량의 내부의 시트 배치를 변경하지 않고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나, 이러한 방식은 시트의 자체의 굴곡으로 인해서 수요자들이 원하는 차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어렵다.
한편, MPV 차량에서 제공되는 제3열 및 제4열 시트를 탈거하고, 평탄한 시트 받침부와, 평탄한 시트 등받이부와, 평탄한 언더서포터부 및 평탄한 머리 받침부를 구비한 광폭 시트를 설치한 후, 이를 펼쳐서 차박이 가능한 평탄면을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펼친 상태에서 차박에 필요한 180 cm의 길이의 평탄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트 받침대, 시트 등받이, 언터서포터, 및/또는 머리받침대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문제가 야기된다. 구체적으로, 시트 받침대와 시트 등받이의 경우, 길이가 늘어나 적정 수준을 넘어가면, 사용자의 착좌감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언더서포터의 길이가 길어지면 언더서포터부가 수직으로 접혀지지 못하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머리받침대의 길이가 커지면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상실하고, 상단이 차량의 천정에 닿게 되며, 룸미러를 통한 후방 주시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차량 개조 업계에서는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시트 받침대와 시트 등받이의 길이를 늘린 상태에서, 길이가 늘어난 언더서포터를 사용하되 언더서포터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트의 포지션을 높이고, 높아진 시트 포지션으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가 천정에 닿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의 천정에 루프 커버를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유지하고 차량 후방 주시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길이가 짧은 높이 조절형 머리 받침대를 사용하되, 펼쳐진 상태에서는 머리받침대와 시트 등받이가 이격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쿠션을 이용해서 그 사이를 메워주는 방식으로 개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자동차 개조 중 가장 고가의 비용이 요구되는 루프탑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최대한 늘어난 시트 받침대와 시트 등받이로 인해서 신장이 상대적으로 작은 여성이나 어린 아이들이 착석시 착좌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박이 가능한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MPV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9인승 MPV 차량의 개조하여 차박이 가능한 평탄면을 가지는 새로운 MPV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9인승 MPV 차량을 차박이 가능한 평탄면을 가지는 새로운 MPV 차량으로 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시트 포지션의 변경과 루프탑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머리받침대와 시트 등받이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보조시트가 요구되지 않는 새로운 확장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전방'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운전석 방향을 의미한다.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하방'은 차량의 지붕측 방향을 의미한다.
'상방'은 하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좌측'은 차량의 좌우 방향에서 운전석 방향을 의미한다.
'우측'은 좌측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바닥'은 차량의 실내 바닥을 의미한다.
'바닥면'은 접이식 차박용 시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전단'은 전방측 단부를 의미한다.
'후단'은 후방측 단부를 의미한다.
'시트 상태'는 좌석 형태로 접혀진 상태를 의미한다.
'차박 상태'는 시트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요약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시트 받침부과,
전동 모터에 의해서 각도가 조절되는 시트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시트상태에서 접혀지고 차박 상태에서 펼치지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차박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시트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에 의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받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전단이 시트 등받이부의 후단에 경첩을 이용하여 힌지 결합된 접이식 받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차박용 시트가 시트상태일 경우 접혀져 바닥면이 시트 등받이부의 바닥면에 대향한 상태를 이루고, 차박용 시트가 차박 상태일 경우, 펼쳐져 바닥면이 차량의 바닥면에 대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별도의 추가적인 전동 모터 없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접힘 및/또는 펼침 과정이 시트 등받이부의 각도에 연동되는 연동형 접이식 받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연동형 접이식 받침부는 일단이 시트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접이식 받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형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링크는 일단이 시트 받침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링크 연결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받침대 전단에 돌출된 제2 링크 연결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 연결편의 회동축과 접이식 받침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 링크 연결편의 회동축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어, 시트 등받이부가 펼쳐짐에 따라 접혀진 접이식 받침대를 밀어서 펼치게 되며, 시트 등받이부가 접혀짐에 따라 펼쳐진 접이식 받침대가 접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링크는 접이식 받침대의 구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제1 링크 연결부 및/또는 제2 링크 연결부와 연결되는 영역이 부채꼴의 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받침부는 막대형 링크의 작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트 상태에서 시트 등받이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대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차박 시트를 이루는 접이식 받침대는 차량의 내부 폭에 상응하는 폭과 소정의 전후 길이를 가지며, 막대형 링크를 통해서 시트 등받이부의 각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를 포함하는 접이식 받침 프레임과, 상기 접이식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각도 조절식 받침대 쿠션과, 상기 접이식 받침대 프레임의 하면을 차량의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차박 시트를 이루는 시트 받침부는 차량의 바닥에 설치된 소정 길이의 레일을 따라서 전후로 왕복하는 레일뭉치에 고정되어,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왕복할 수 있는 이동식 시트 받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받침부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쿠션형태의 받침대일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용 테두리를 포함하는 받침대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하단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레일뭉치 결합편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용 쿠션과, 상기 받침용 쿠션을 받침대 프레임과 함께 둘러싸는 받침용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받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동식 차박 시트를 이루는 시트 등받이부는 시트 받침부의 후단에 시트 등받이부의 전단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상태에서는 소정각도로 세워져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고, 차박상태에서는 수평하게 눕혀져 시트 받침부와 평탄면을 이루는 각도 조절형 시트 등받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시트 등받이부는 시트 받침부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등받이용 테두리를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단을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후단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용 쿠션과, 상기 등받이용 쿠션을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둘러싸는 등받이용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등받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서 회동하는 모터 회동축과, 상기 모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 회동편과, 상기 모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 회동편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회동편은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제2 회동편은 받침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 등받이부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 등받이부에 형성된 헤드레스트 수용홈에 출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 상태에서는 수용홈에서 인출 및 고정하여 소정 높이로 머리를 받칠 수 있으며, 차박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가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박용 전동 시트는 탑승자의 착좌감과 차박 상태에서 더 긴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언더서포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언더서포터부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개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수동식 언더서포터부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상기 수동식 언더서포더부는 시트 받침대부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언더서포터 프레임과, 일단이 시트 받침대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언더서포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비대칭적으로 연장되거나 줄어드는 가제트형 로봇팔과, 상기 언더서포터 프레임에 안착되는 언더서포터용 쿠션과, 상기 언더서포터용 쿠션을 둘러싸는 언더서포터용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박용 시트는 차량의 바닥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차박용 시트는 바닥에 매립된 전혀 방향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레일뭉치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단에 레일뭉치와 결합을 위한 레일 뭉치 결합편을 가진다. 상기 레일뭉치 결합편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단과 타측단에 배치되며, 제3열 시트용 레일들의 최대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박용 시트는 차량 내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는 광폭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박용 시트는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170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75 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c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 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차박용 시트는 10~30 cm의 길이를 가지는 언더서포터부와, 50~70 cm의 길이를 가지는 시트 받침부와, 60~80 cm의 길이를 가지는 시트 등받이부와, 30~60 cm의 길이를 가지는 접이식 받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승합용 차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개조전 9인승이 좌석을 구비한 승합 차량일 수 있으며, 제1열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배치되며, 제2열 및 제3열에는 좌우 독립좌석이 배치되며, 제4열은 3인용 광폭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4열로 이루어진 승합차량에서 제3열 및 제4열 시트를 탈거하는 단계; 및
제3열에 시트 받침부과, 시트 등받이부와, 상기 시트 받침부에 결합된 언더서포터부와, 및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차박용 시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서,
제1열 좌석,
제2열 좌석, 및
시트 받침부과, 시트 등받이부와, 상기 시트 받침부에 결합된 언더서포터부와, 및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제3열 차박용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서,
시트 받침부과,
시트 등받이부와, 및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차박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차박용 전동시트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박용 전동시트는 시트 포지션이 낮아서 사용자의 머리가 차량의 천정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천정에 루프 커버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하는 충분한 머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받침부로 인해서 차량 후방 주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전동식 차박 시트의 도입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의 승합차량과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일반 승합 차량을 차박이 가능한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접혀진 상태에서 프레임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접혀진 상태에서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가 소정 각도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가 펼쳐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의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박 시트에 사용되는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차박시트(10)는 시트 받침부(100)와, 전동 모터에 의해서 각도가 조절되는 시트 등받이부(200)와,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시트상태에서 접혀지고 차박 상태에서 펼치지는 접이식 받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접이식 받침부(300)는 시트 등받이부(200)의 후단에 경첩(310)을 이용하여 힌지 결합된 접이식 받침부(300)이다.
상기 접이식 받침부(300)는 차박용 시트(10)가 시트상태일 경우 접혀져 바닥면이 시트 등받이부(200)의 바닥면에 대향한 상태를 이루고, 차박용 시트(10)가 차박 상태일 경우, 펼쳐져 바닥면이 차량의 바닥면에 대향한 상태를 이룬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받침부(300)는 별도의 추가적인 전동 모터 없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접힘 및/또는 펼침 과정이 시트 등받이부(200)의 각도에 연동되는 연동형 접이식 받침부이다.
상기 연동형 접이식 받침부(200)는 일단이 시트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접이식 받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형 링크(210)를 포함한다.
상기 막대형 링크(210)는 일단이 시트 받침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 링크 연결편(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접이식 받침대(300) 전단에 돌출된 제2 링크 연결편(3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링크 연결편의 회동축과 접이식 받침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 링크 연결편의 회동축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어, 시트 등받이부(200)가 펼쳐짐에 따라 접혀진 접이식 받침대(300)를 밀어서 펼치게 되며, 시트 등받이부(200)가 접혀짐에 따라 펼쳐진 접이식 받침대(300)가 접혀지게 된다.
상기 막대형 링크(210)는 접이식 받침대의 구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제2 링크 연결부(320)와 연결되는 영역에 부채꼴의 호 형태의 막대형 링크 곡선부(211)를 가진다.
상기 접이식 받침부(300)는 막대형 링크(210)의 작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트로 접혀진 산태에서 시트 등받이부(200)와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전동식 차박 시트를 이루는 접이식 받침대(300)는 차량의 내부 폭에 상응하는 폭과 소정의 전후 길이를 가지며, 막대형 링크(210)를 통해서 시트 등받이부의 각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를 포함하는 접이식 받침 프레임과, 상기 접이식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각도 조절식 받침대 쿠션과, 상기 접이식 받침대 프레임의 하면을 차량의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식 차박 시트를 이루는 시트 받침부(100)는 차량의 바닥에 설치된 소정 길이의 레일을 따라서 전후로 왕복하는 레일뭉치에 고정되어,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왕복할 수 있는 이동식 시트 받침부이며, 상기 시트 받침부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쿠션형태의 받침대이며, 차량의 실내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용 테두리를 포함하는 받침대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하단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레일뭉치 결합편(110)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용 쿠션과, 상기 받침용 쿠션을 받침대 프레임과 함께 둘러싸는 받침용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받침부이다.
전동식 차박 시트를 이루는 시트 등받이부(200)는 시트 받침부의 후단에 시트 등받이부의 전단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상태에서는 소정각도로 세워져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고, 차박상태에서는 수평하게 눕혀져 시트 받침부와 평탄면을 이루는 각도 조절형 시트 등받이부이다.
상기 시트 등받이부(200)는 시트 받침부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등받이용 테두리를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단을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후단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용 쿠션과, 상기 등받이용 쿠션을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둘러싸는 등받이용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등받이부이다.
도 10에 도시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서 회동하는 모터 회동축(220)과, 상기 모터 회동축(220)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 회동편(221)과, 상기 모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 회동편(222)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회동편은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제2 회동편은 받침대 프레임에 결합된다. 제1 회동편과 등받이 프레임의 결합과, 제2회동편과 받침대 프레임의 결합은 용접을 이용한다.
100: 시트 받침부
200: 시트 등받이부
300: 접이식 받침부

Claims (4)

  1. 시트 받침부과,
    전동 모터에 의해서 각도가 조절되는 시트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시트상태에서 접혀지고 차박 상태에서 펼치지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차박 시트.
  2. 4열로 이루어진 승합차량에서 제3열 및 제4열 시트를 탈거하는 단계; 및
    제3열에 시트 받침부과, 시트 등받이부와, 상기 시트 받침부에 결합된 언더서포터부와, 및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차박용 시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개조 방법.
  3. 제1열 좌석,
    제2열 좌석, 및
    시트 받침부과, 시트 등받이부와, 상기 시트 받침부에 결합된 언더서포터부와, 및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제3열 차박용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4. 시트 받침부과,
    시트 등받이부와, 및
    상기 시트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받침부를 포함하는 차박용 시트.
KR1020210078894A 2021-06-17 2021-06-17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KR20220169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94A KR20220169056A (ko) 2021-06-17 2021-06-17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94A KR20220169056A (ko) 2021-06-17 2021-06-17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056A true KR20220169056A (ko) 2022-12-27

Family

ID=8456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94A KR20220169056A (ko) 2021-06-17 2021-06-17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0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970B1 (ko) * 2023-02-24 2023-06-27 오세철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970B1 (ko) * 2023-02-24 2023-06-27 오세철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012B2 (en) Pivoting and reclining vehicle seating assembly
EP1449710B1 (en) Seat device including a stowable auxiliary seat
CN101522464B (zh) 具有传动杆的折叠放平座椅组件
US7980617B2 (en) Vehicle seat with back-support and shoulder-support wings
CN210258110U (zh) 座椅及其骨架、车辆
KR102335479B1 (ko)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KR20220169056A (ko)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KR101082867B1 (ko) 매립형 보조시트유닛을 갖춘 자동차용 시트장치
US8764035B2 (en) Motor vehicle
JP2019142294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03104103A (ja) 有用車両の運転室
CN203937530U (zh) 交通工具用座椅
JP2012140036A (ja) 車両用シート
JPS5911796Y2 (ja) 姿勢調節式パワ−シ−ト
JPH08258599A (ja) 自動車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乗用車
JP3730151B2 (ja) 車両用シート
JPH115479A (ja) 車両用シート
KR20240025938A (ko) 평탄화 특성이 향상된 차박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장착한 차량
JP4395684B2 (ja) 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KR20230053394A (ko) 차박용 시트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KR20240017029A (ko) 차박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장착한 차량
JP3192062B2 (ja) 自動車のシート支持装置
JP495207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FR2858952A1 (fr) Agencement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JPH09328030A (ja) 自動車用室内テーブ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