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970B1 -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970B1
KR102546970B1 KR1020230024970A KR20230024970A KR102546970B1 KR 102546970 B1 KR102546970 B1 KR 102546970B1 KR 1020230024970 A KR1020230024970 A KR 1020230024970A KR 20230024970 A KR20230024970 A KR 20230024970A KR 102546970 B1 KR102546970 B1 KR 10254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coupled
backres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철
박욱
Original Assignee
오세철
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철, 박욱 filed Critical 오세철
Priority to KR102023002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부에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이 결합되는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과,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과, 상기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과, 상기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의 일측부로 결합되는 제1바 고정 브라켓(180)을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100); 레그 프레임(3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후방부에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 작동시 레그 프레임(300)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작동 지지패널(330)을 포함하는 레그 프레임(300);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레그 프레임(300) 사이에 구성되는 엉덩이 프레임(200); 상기 레그 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 프레임(400);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레그 프레임(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엉덩이 프레임(200)이 고정되는 작동 지지 프레임(510)과, 상기 작동 지지 프레임(510)이 결합되며, 상기 레그 프레임(300)과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차체 연결 프레임(520)을 포함하는 바텀 프레임(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Seat frame for camping vehicle}
본 발명은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시 좌석시트의 엉덩이부, 다리부, 등받이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좌석시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한 경치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캠핑등 야외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차량을 이용한 캠핑족들이 증가하고 있어 차량시트를 침대기능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침대 변형이 가능한 차량 시트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186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46278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186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46278호에 개시된 침대 변형이 가능한 차량 시트는 시트 단독으로 침대 변형이 불가능하고 프런트 시트의 시트백을 뒤로 펼쳐서 프런트 시트, 프런트 시트백, 리어 시트를 서로 평평하게 연결하여 침대로 변형시키는 구조로서 리어 시트 단독으로는 침대 변형이 불가능한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456호에는 이러한 침대 변형이 가능한 차량 시트 중에는 시트백(등받이시트)에 겹판부를 겹쳐지게 구성하여, 시트(좌판시트), 시트백, 겹판부를 펼쳐서 침대형태로 변형가능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456호는 시트백에 겹판부를 겹치게 구성하는 것으로 시트백과 더불의 겹판부의 두께까지 두꺼워짐으로써 차량실내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고 시트백만을 단독으로 각도조절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479호에는 좌판시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바텀프레임, 등받이의 골격을 구성하는 백프레임, 바텀프레임의 전단측에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프레임, 백프레임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백프레임구동부, 바텀프레임의 높이 및 전후 방향 위치조절을 위한 바텀프레임구동부, 레그프레임을 접철되게 구동시키는 레그프레임구동부를 포함하는 승합차용 리어시트 폴딩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479호의 리어시트 폴딩장치는 차량 내부 높이가 제한적이어서 시트의 높이를 높이면 시트위에 앉았을 때 고개를 들기가 어려우며 침대형으로 제작시 시트의 길이를 사용가능한 범위로 제작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479호의 리어시트 폴딩장치는 바텀프레임, 백프레임, 레그프레임을 펼쳐서 침대형태로 변형 가능한 구조로서 리어 시트 단독으로 침대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백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기는 하나, 백프레임구동부와 바텀프레임구동부가 축샤프트에 윔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백프레임의 각도조절이나 및 바텀프레임의 위치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쉽게 동력전달구조에 손상이 발생하고 이에 고장이 너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479호의 리어시트 폴딩장치는 제한적인 차량 내부 높이를 감안하여 시트높이를 낮게 설치하고, 침대로 변형을 위해 레그프레임을 길게 제작하는 경우, 레그프레임의 접철구동시 레그프레임이 직접 차량바닥에 닿아 파손의 위험이 있었다. 다시 말해, 레그프레임의 길이가 바텀프레임의 높이 보다 길게 설게 할 경우 레그프레임의 접힘각도에 제한이 발생하며, 레그프레임이 차량에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모터가 구동되어 레그프레임이 과도하게 회동하게 되면 레그프레임에 의해 차량 바닥이 손상되고 모터 및 레그프레임의 힌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479호의 리어시트 폴딩장치는 바텀프레임의 전측부를 후측부에 대해 상하로 각도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레그프레임에 올려 다리를 편하게 만들어 줄 때, 레그프레임을 탑승자의 엉덩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켜 다양한 다리휴식자세로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아쉬움이 있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186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462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4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547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캠핑시 좌석시트의 엉덩이부, 다리부, 등받이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좌석시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한 경치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한 캠핑시 사용자의 편안함 및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자세를 취하기 위해 시트 프레임의 작동시 사용자가 좌석시트로부터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자세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석, 조수석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캠핑카의 후방부에 구성되는 단체 좌석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캠핑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부에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이 결합되는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과,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과, 상기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과, 상기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의 일측부로 결합되는 제1바 고정 브라켓(180)을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100); 레그 프레임(3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후방부에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 작동시 레그 프레임(300)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작동 지지패널(330)을 포함하는 레그 프레임(300);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레그 프레임(300) 사이에 구성되는 엉덩이 프레임(200); 상기 레그 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 프레임(400);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레그 프레임(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엉덩이 프레임(200)이 고정되는 작동 지지 프레임(510)과, 상기 작동 지지 프레임(510)이 결합되며, 상기 레그 프레임(300)과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차체 연결 프레임(520)을 포함하는 바텀 프레임(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에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제1작동수단(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 고정 브라켓(180)과 연결되며, 상기 제1작동수단(190)의 구동시 상기 레그 프레임(300)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작동 지지패널(330)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레그 프레임(300)을 회전시키는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에는 회전 작동시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패널 관통홀(13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결합되는 작동 하우징(172)과, 전방측 단부가 상기 작동 하우징(17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 단부가 상기 제1바 고정 브라켓(18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바(174)와, 상기 작동 하우징(17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작동 지지패널(33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름수단(176)과, 상기 작동 하우징(172)과 상기 엉덩이 프레임(20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동 하우징(17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제1쇽업쇼버(1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그 프레임(300)은, 상기 작동 지지 프레임(5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이 결합되고, 상기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레그 프레임(302);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고,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과 연결되어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을 회전시키는 발 받침 구동수단(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은,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고정 결합되는 제2바 고정 브라켓(350)과, 하부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과, 상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의 상부와 상기 제2바 고정 브라켓(3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바 고정 브라켓(350)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홀(346a)이 형성되는 가이드 바(346)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결합되며, 상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을 회전시키는 제2작동수단(3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 받침 구동수단(360)은,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며, 제3작동수단(490)이 결합되는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과, 상기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작동수단(490)과 연결되는 승강 지지 프레임(364)과, 상기 승강 지지 프레임(364)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발 받침 작동패널(370)과, 상기 승강 지지 프레임(3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발 받침 작동패널(37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강 지지 프레임(364)의 승강 작동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승강 안내부재(366)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 안내부재(366)의 구름 작동을 지지하는 승하강 안내패널(3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은, 레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372); 상기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37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 결합패널(410); 중앙부에 구성되고, 상기 발 받침 작동패널(37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 받침 구동수단(36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을 회전시키는 발 받침 회전 지지패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캠핑시 좌석시트의 엉덩이부, 다리부, 등받이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좌석시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한 경치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한 캠핑시 사용자의 편안함 및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자세를 취하기 위해 시트 프레임의 작동시 사용자가 좌석시트로부터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세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석, 조수석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캠핑카의 후방부에 구성되는 단체 좌석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캠핑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의 등받이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프레임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에 포함되는 레그 프레임 및 레그측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에 포함된 레그 프레임 및 발 받침 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식별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식별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은, 캠핑이 가능한 차량의 운전석에 장착되는 시트 프레임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조석에도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다수개로 구비하되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게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인원이 착석하는 후방 시트 프레임으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은 등받이 프레임(100), 엉덩이 프레임(200), 레그 프레임(300), 발 받침 프레임(400) 및 바텀 프레임(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받이 프레임(100)은 후방부에 목쿠션 등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레스트 장착부(110)가 구성되고, 일측단부로 차량 내 탑승자의 팔이 안착될 수 있도록 팔 걸이부(미도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연결패널(120)이 구성된다.
또한, 등받이 프레임(100)은 전방부에 구성되며, 등받이 프레임(100)이 상향, 또는 하향 회전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이 구성된다.
여기서,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에는 상부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며,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 작동시 회전 중심을 제공하며,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구동 지지패널(132)이 형성된다.
이때,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에는 회전 작동시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패널 관통홀(134)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은 후술할 제1작동수단(190)의 작동시 등받이 구동 지지패널(132)과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이 등받이 프레임(1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 지지패널(140)을 통과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은 하단부가 후술할 바텀 프레임(500)의 작동 지지 프레임(510)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가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등받이 구동 지지패널(132)과 동일중심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등받이 프레임(100)에는 제1작동수단(190)과 연결되어 이 제1작동수단(190)의 구동시 등받이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과, 이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을 등받이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과,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 작동시 레그 프레임(300)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술할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을 작동시키는 제1바 고정 브라켓(180)이 더 구성된다.
여기서, 제1작동수단(190)은 통상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은 등받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 등받이 프레임(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한편, 전방측 단부로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이 고정 결합된다.
또한,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은 제1작동수단(190)의 로드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을 위해 제1작동수단(190)이 구동하는 경우, 로드의 축중심과 직교를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이 고정 결합된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과, 이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이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100)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등받이 프레임(100)에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100)이 상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때, 레그 프레임(300)이 동시에 일정 각도 만큼 상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이 구성된다.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은 등받이 프레임(100)의 상향 회전 작동시 사용자가 레그 프레임(300)의 끝단부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등받이 프레임(100)의 상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은 후술할 바텀 프레임(500)의 차체 연결 프레임(520) 중,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2)에 결합되며,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작동 하우징(172)과, 전방측 단부가 작동 하우징(17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 단부가 제1바 고정 브라켓(18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량(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바(174)와, 작동 하우징(17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수단(176)과, 작동 하우징(172)과 연결되어 이 작동 하우징(17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제1쇽업쇼버(1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작동 하우징(172)은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2)과 회전 플랜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바(174)는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 작동시 직진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작동 하우징(172)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름수단(176)은 레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가작동 지지패널(330)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 하우징(172)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가작동 지지패널(330)의 하부면을 따라 구름 작동을 하면서 이 가작동 지지패널(330)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가작동 지지패널(330)이 결합된 레그 프레임(300)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쇽업쇼버(178)는 쇼버 로드부(178a)가 작동 하우징(1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연결바(174)의 전방측 단부와 동축선상에 결합되어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시 일정 거리 만큼 이동하는 연결바(174)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작동 하우징(172)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제1쇽업쇼버(178)는 후술할 엉덩이 프레임(200)의 제1쇼버 연결패널(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은 등받이 프레임(100)이 회전 작동, 특히 상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때, 가작동(假作動)에 의해 일정 각도 만큼한 상향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등받이 프레임(100)의 상향 회전시 발 받침 프레임(400)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엉덩이 프레임(200)은 등받이 프레임(100)과 레그 프레임(300) 사이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바텀 프레임(500)의 작동 지지 프레임(510)의 후방측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엉덩이 프레임(200)에는 전술한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의 제1쇽업쇼버(17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의 안정적인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쇼버 연결패널(210)이 구성된다.
레그 프레임(300)은 엉덩이 프레임(200)의 전방측에 구성되며, 바텀 프레임(500)의 작동 지지 프레임(510)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후방 레그 프레임(302) 및 전방 레그 프레임(304)을 포함하며, 레그 프레임(300)과 작동 지지 프레임(510)을 연결하고, 레그 프레임(3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등받이 프레임(300)의 회전 작동시 레그 프레임(300)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작동 지지패널(330)과, 레그 프레임(300)이 단독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과,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을 구동시키는 제2작동수단(390)과, 레그 프레임(300)의 전방부에 구성되는 발 받침 프레임(400)을 회전시키는 발 받침 구동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방 레그 프레임(302)은 바텀 프레임(500)의 작동 지지 프레임(5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이 작동 지지 프레임(510)에 결합되는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후방 레그 프레임(302)은 전술한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레그 프레임(300)의 회전 작동시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패널 관통홀(134)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 레그 프레임(302)은 그 중앙부에 발 받침 구동수단(360)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이 발 받침 구동수단(360)의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의 후방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전방 레그 프레임(304)은 후방 레그 프레임(302)의 전방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며, 발 받침 프레임(400)이 레그 프레임(3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은 전술한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제2작동수단(390)의 구동시 레그 프레임(300)이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의 상측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작동 지지패널(330)은 후방측 단부가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고, 전방측 단부가 전방 레그 프레임(304)에 결합되며, 그 하부면이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의 구름수단(176)과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작동 지지패널(330)은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의 구동시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은 가작동 지지패널(330)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제2작동수단(390)이 결합되어 이 제2작동수단(390)의 구동시 레그 프레임(30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 가이드 바(346), 제2바 고정 브라켓(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은 하부가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2)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로 가이드 바(346)와 제2작동수단(39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은 가이드 바(346)와 제2작동수단(390)의 로드가 서로 다른 중심축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은 상단부 일측으로 가이드 바(346)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은 중간부에 제2작동수단(390)의 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중간측 작동패널(344)이 구성된다,
이때, 중간측 작동패널(344)에는 상기 제2작동수단(390)의 로드가 가이드 바(346) 보다 낮은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로드 연결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은 제2작동수단(390)의 구동시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2)과 결합되는 하부를 중심으로 발 받침 프레임(400)측으로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바(346)는 제2바 고정 브라켓(350)에 연결되며, 제2작동수단(390)의 구동시 회전하는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직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바(346)에는 제2바 고정 브라켓(350)과 고정축 등과 같은 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의 회전시 직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346a)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홀(346a)은 장공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제2바 고정 브라켓(350)이 상기 고정축 등과 같은 부재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
제2바 고정 브라켓(350)은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고정 결합되며, 그 끝단부가 가이드 바(346)의 가이드홀(346a)과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 바(346)의 직진 이동이 이루어질 때,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2바 고정 브라켓(350)은 가이드 바(346)를 포함하는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의 작동 여부에 따라 레그 프레임(3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발 받침 구동수단(360)은 레그 프레임(300)의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며, 그 선단부가 발 받침 프레임(400)과 연결되어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 승강 지지 프레임(364), 발 받침 작동패널(370) 및 제3작동수단(4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은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며, 발 받침 구동수단(360)의 작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 전방측으로 승강 지지 프레임(36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로 제3작동수단(490)이 결합되며, 이 제3작동수단(490)의 구동을 지지한다.
또한,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은 전방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 지지 프레임(364)과 연결되어 이 승강 지지 프레임(364)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쇽업쇼버(368)가 결합된다.
승강 지지 프레임(364)은 후방측 단부가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측 단부로 발 받침 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발 받침 작동패널(37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승강 지지 프레임(364)은 제3작동수단(490)의 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과의 회전 중심, 즉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때 보다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승강 안내부재(36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안내부재(366)는 통상의 구름볼, 또는 베어링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발 받침 구동수단(360)은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승강 안내부재(366)가 접촉되면서 원활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안내패널(38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승하강 안내패널(380)은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2)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발 받침 작동패널(370)은 승강 지지 프레임(364)의 전방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승강 안내부재(366)의 상부에 구성되어 승강 안내부재(366)의 위치에 따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 받침 작동패널(370)은 그 전방측 단부가 발 받침 프레임(400)에 구성되는 발 회전 지지패널(42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레그 프레임(300)에는 레그 프레임(300)에 결합되며, 그 전방부가 발 받침 프레임(400)이 안착되는 발 받침 결합패널(4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372)이 구성된다.
발 받침 프레임(400)은 발 받침 구동수단(36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발 받침 구동수단(360)에 구성된 제3작동수단(490)에 의해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 받침 프레임(400)은 양측부에 구성되며, 발 받침 프레임(400)의 후방부가 안착되게 구성되고, 그 단부측이 레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37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 결합패널(410)과, 중앙부에 구성되고, 발 받침 작동패널(37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발 받침 작동패널(370)를 회전시키는 발 받침 구동수단(360)의 구동 여부에 따라 발 받침 프레임(400)을 회전시키는 발 받침 회전 지지패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발 받침 프레임(400)은 하향 회전이 이루어질 때, 바텀 프레임(500)의 차체 연결 프레임(520)의 하부면 보다 낮은 위치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차체 연결 프레임(520)이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바텀 프레임(500)은 등받이 프레임(100), 엉덩이 프레임(200), 레그 프레임(300)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시트 프레임을 캠핑이 가능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등받이 프레임(100) 및 레그 프레임(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엉덩이 프레임(200)이 고정되는 작동 지지 프레임(510)과, 작동 지지 프레임(510)의 전방 및 후방측 하부면이 각각 결합되며, 레그 프레임(300)과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에 결합되는 차체 연결 프레임(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차체 연결 프레임(520)은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과,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이 결합되고, 발 받침 구동수단(360)의 승하강을 지지하는 승하강 안내패널(380)이 결합되는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2)과,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4)의 후방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작동 지지 프레임(5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524)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등받이 프레임
110: 헤드 레스트 장착부 120: 손잡이 연결패널
130: 등받이 구동 프레임 132: 등받이 구동 지지패널
134: 패널 관통홀 140: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
150: 등받이 작동 브라켓 160: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
170: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 172: 작동 하우징
174: 연결바 176: 구름수단
178: 제1쇽업쇼버 178a: 쇼버 로드부
180: 제1바 고정 브라켓 190: 제1작동수단
200: 엉덩이 프레임 210: 제1쇼버 연결패널
300: 레그 프레임
302: 후방 레그 프레임 304: 전방 레그 프레임
320: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 330: 가작동 지지패널
340: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 342: 레그부 작동 하우징
344: 중간측 작동패널 346: 가이드 바
346a: 가이드홀 350: 제2바 고정 브라켓
360: 발 받침 구동수단 362: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
364: 승강 지지 프레임 366: 승강 안내부재
370: 발 받침 작동패널 372: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
380: 승하강 안내패널 390: 제2작동수단
400: 발 받침 프레임
410: 발 받침 결합패널 420: 발 받침 회전 지지패널
490: 제3작동수단
500: 바텀 프레임
510: 작동 지지 프레임 520: 차체 연결 프레임
522: 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 524: 후방측 차체 연결 프레임

Claims (7)

  1. 전방부에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이 결합되는 등받이측 고정 프레임(160)과,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과, 상기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과, 상기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의 일측부로 결합되는 제1바 고정 브라켓(180)을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100);
    레그 프레임(3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후방부에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회전 작동시 레그 프레임(300)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작동 지지패널(330)을 포함하는 레그 프레임(300);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레그 프레임(300) 사이에 구성되는 엉덩이 프레임(200);
    상기 레그 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 프레임(400);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레그 프레임(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엉덩이 프레임(200)이 고정되는 작동 지지 프레임(510)과, 상기 작동 지지 프레임(510)이 결합되며, 상기 레그 프레임(300)과 발 받침 프레임(4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차체 연결 프레임(520)을 포함하는 바텀 프레임(500);
    상기 등받이 작동 브라켓(150)에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제1작동수단(190);
    상기 제1바 고정 브라켓(180)과 연결되며, 상기 제1작동수단(190)의 구동시 상기 레그 프레임(300)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 및
    상기 가작동 지지패널(330)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레그 프레임(300)을 회전시키는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구동 프레임(130)에는 회전 작동시 등받이 회전 지지패널(1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패널 관통홀(13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 프레임 작동수단(170)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결합되는 작동 하우징(172)과,
    전방측 단부가 상기 작동 하우징(17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 단부가 상기 제1바 고정 브라켓(18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바(174)와,
    상기 작동 하우징(17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작동 지지패널(33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름수단(176)과,
    상기 작동 하우징(172)과 상기 엉덩이 프레임(20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동 하우징(17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제1쇽업쇼버(17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프레임(300)은,
    상기 작동 지지 프레임(5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이 결합되고, 상기 레그부 회전 지지패널(320)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레그 프레임(302);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고,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과 연결되어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을 회전시키는 발 받침 구동수단(3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그 프레임 작동수단(340)은,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고정 결합되는 제2바 고정 브라켓(350)과,
    하부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과,
    상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의 상부와 상기 제2바 고정 브라켓(3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바 고정 브라켓(350)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홀(346a)이 형성되는 가이드 바(346)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결합되며, 상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그부 작동 하우징(342)을 회전시키는 제2작동수단(3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 구동수단(360)은,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302)에 결합되며, 제3작동수단(490)이 결합되는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과,
    상기 발 받침부 작동 하우징(362)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작동수단(490)과 연결되는 승강 지지 프레임(364)과,
    상기 승강 지지 프레임(364)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발 받침 작동패널(370)과,
    상기 승강 지지 프레임(3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발 받침 작동패널(37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강 지지 프레임(364)의 승강 작동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승강 안내부재(366)와,
    상기 차체 연결 프레임(520)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 안내부재(366)의 구름 작동을 지지하는 승하강 안내패널(3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은,
    레그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372);
    상기 발 받침 작동 지지패널(37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 결합패널(410);
    중앙부에 구성되고, 상기 발 받침 작동패널(37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 받침 구동수단(36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발 받침 프레임(400)을 회전시키는 발 받침 회전 지지패널(4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1020230024970A 2023-02-24 2023-02-24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10254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970A KR102546970B1 (ko) 2023-02-24 2023-02-24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970A KR102546970B1 (ko) 2023-02-24 2023-02-24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970B1 true KR102546970B1 (ko) 2023-06-27

Family

ID=8694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970A KR102546970B1 (ko) 2023-02-24 2023-02-24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9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278U (ko)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전방 시트 헤드 레스트 구조
KR100851863B1 (ko) 2007-06-25 2008-08-13 김용석 침대기능이 구비된 승용차
KR102114456B1 (ko) 2020-01-22 2020-05-22 허득범 베드로 변형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
KR102335479B1 (ko) 2020-06-11 2021-12-03 성기수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KR102372502B1 (ko) * 2021-12-21 2022-03-08 홍진호 침대 변형이 가능한 차량 리어 시트장치
KR20220036002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유니캠프 언더 서포트 기능을 구비하는 의자시트 구조
KR20220035535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폴딩 시트
KR20220169056A (ko) * 2021-06-17 2022-12-27 황재필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278U (ko)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전방 시트 헤드 레스트 구조
KR100851863B1 (ko) 2007-06-25 2008-08-13 김용석 침대기능이 구비된 승용차
KR102114456B1 (ko) 2020-01-22 2020-05-22 허득범 베드로 변형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
KR102335479B1 (ko) 2020-06-11 2021-12-03 성기수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KR20220035535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폴딩 시트
KR20220036002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유니캠프 언더 서포트 기능을 구비하는 의자시트 구조
KR20220169056A (ko) * 2021-06-17 2022-12-27 황재필 전동식 차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인승 승합차의 실내 개조 방법
KR102372502B1 (ko) * 2021-12-21 2022-03-08 홍진호 침대 변형이 가능한 차량 리어 시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1873B (zh) 用于车辆的座椅位置调节装置
US6439636B1 (en) Vehicle electric reclining seats
ES2233716T3 (es) Sillon convertible en cama.
US8500664B2 (en) Massage chair with foot massaging device
US20140203610A1 (en) Upper seatback pivot system
US20100032994A1 (en) Seat articulation mechanism
TW201600372A (zh) 能翻轉的車用座椅框架組件
CN101177128A (zh) 车辆的可提升座椅
KR102335479B1 (ko)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JP7180288B2 (ja) 移動体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US10286815B2 (en) H-point lift options for sleeper seats
RU2721430C2 (ru) Узел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102546970B1 (ko)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CN208452842U (zh) 汽车座椅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JP6041618B2 (ja) 座席装置
WO2021248847A1 (zh) 一种实现车辆座椅躺姿的调节装置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JP7209212B2 (ja) 電動車両
US9402480B2 (en) Adjustable seat assembly
KR101307280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03104103A (ja) 有用車両の運転室
JP2021533956A (ja) 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