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584A -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584A
KR20230093584A KR1020210182338A KR20210182338A KR20230093584A KR 20230093584 A KR20230093584 A KR 20230093584A KR 1020210182338 A KR1020210182338 A KR 1020210182338A KR 20210182338 A KR20210182338 A KR 20210182338A KR 20230093584 A KR20230093584 A KR 2023009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rest
frame
hinged
slider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박상도
권태준
정두고
정찬호
문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584A/ko
Priority to US17/972,949 priority patent/US20230191974A1/en
Publication of KR2023009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pivoting about an axis located in the rear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 틸팅 메커니즘 및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 등이 하나로 단순하게 통합된 형태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용 메카니즘을 구성하여,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질 때, 레그레스트가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원가 절감 및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를 하나로 구성하여 승객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DEVICE FOR AUTOMATICALLY POP-UP LEGRES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틸팅 동작에 따른 시트의 릴렉션 자세 전환시 레그레스트를 자동으로 팝업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착석을 위한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시트백과,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고, 여기에 더하여 시트 포지션을 승객의 신체 체형 및 상황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는 시트 포지션 조절용 메커니즘들이 시트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 포지션 조절용 메커니즘은 시트 높이 조절용 메커니즘, 시트쿠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 메커니즘,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 승객의 다리를 지지시키기 위한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 등을 포함하고, 시트쿠션의 틸팅 동작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의하여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은 승객의 체압을 최대한 분산시키면서 편안한 휴식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시트 포지션을 말한다.
종래에는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하여 상기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에 의하여 시트백이 후방으로 리클라이닝되는 동작과, 상기 틸팅 메커니즘에 의하여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상승되는 틸팅 동작과, 상기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에 의하여 시트쿠션의 전단부에 장착된 레그레스트가 전개되는 동작 등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만일, 상기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시, 시트백을 후방으로 리클라이닝시키는 동작 및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등의 틸팅 동작 만이 이루어지면, 승객의 허벅지에 대한 압박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승객의 허벅지 부분에 대한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시, 상기 레그레스트를 소정의 각도로 전개시키는 동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하여 상기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 틸팅 메커니즘 및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 등이 개별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시트 메커니즘들의 복잡화, 부품수 증가(예, 각 메커니즘마다 모터 및 복수의 링크가 소요), 원가 상승 및 중량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하여 틸팅 및 리클라이닝 스위치, 레그레스트 작동 스위치, 릴렉션 및 레그레스트 연동 스위치 등이 각각 필요하여, 승객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 조작의 불편함 및 혼란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 틸팅 메커니즘 및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 등이 하나로 단순하게 통합된 형태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용 메카니즘을 구성하여,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레그레스트가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원가 절감 및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를 하나로 구성하여 승객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프론트 브라켓 및 리어 브라켓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시트레일에 장착되는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리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구동축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리어 링크; 상기 구동축에 회전동력 전달 가능하게 체결되는 기어박스를 갖는 모터;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프론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링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앞쪽에 전개 가능하게 위치되는 레그레스트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됨과 함께 상기 리어 링크의 상단부 간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을 밀어서 전개시키는 팝업 구동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팝업 구동장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더; 후단부는 상기 연결축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푸시-풀 바; 및 후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에 힌지 체결되는 제2푸시-풀 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슬라이더의 하단부가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그 배면부에 상기 제2푸시-풀 바가 힌지 체결되는 제1힌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은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풋레스트용으로 힌지 체결되고, 그 배면부에 상기 제2푸시-풀 바가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팝업 구동장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서프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됨과 함께 레그레스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슬라이더; 후단부는 상기 연결축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푸시-풀 바; 및 후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2푸시-풀 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하단부가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은: 승객의 다리를 지지시키기 위한 어퍼 플레이트; 상단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플로어패널에 고정되는 제1승강링크; 및 상단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제1승강링크와 크로스되며 배열되는 제2승강링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 링크의 하단부는 상기 프론트 브라켓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시트레일의 고정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레그레스트가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 릴렉션 포지션 조절용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 틸팅 메커니즘 및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 등을 하나로 단순하게 통합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부품수 절감, 원가 절감 및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기존에 시트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하여 틸팅 및 리클라이닝 스위치, 레그레스트 작동 스위치, 릴렉션 및 레그레스트 연동 스위치 등을 각각 조작해야 하는 것과 달리,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를 하나로 구성하여 승객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스위치 조작 편의성 및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시트레일을 지시한다.
상기 시트레일(10)은 차량의 실내 플로어 패널(13)에 장착되는 고정레일(11)과, 이 고정레일(11)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12)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레일(10)의 구성 중 이동레일(12) 상에 한 쌍의 프론트 브라켓(21) 및 리어 브라켓(2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서포트 프레임(20)이 장착되며, 이에 서포트 프레임(20)이 이동레일(12)의 전후 이동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양측 후단부에 상기 리어 브라켓(22)이 수직 기립된 상태로 형성되고, 양측 전단부에 상기 프론트 브라켓(21)이 수직 기립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리어 브라켓(22) 간에 베어링 등을 매개로 구동축(3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구동축(30)에는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32)의 기어박스(31)가 체결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기어박스(31)를 갖는 모터(32)는 시트쿠션 프레임(200) 또는 서포트 프레임(20)의 소정 위치 등에 장착될 수 있고, 모터(32)의 회전구동력이 소정의 기어열이 내설된 기어박스(31)를 통하여 상기 구동축(30)에 전달됨으로써, 구동축(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축(30)에는 한 쌍의 리어 링크(40)가 구동축(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리어 링크(40)의 하단부는 상기 구동축(30)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30)과 리어 링크(40)의 하단부가 서로 회전동력 전달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축(30)의 회전시 리어 링크(40)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리어 링크(40)의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프론트 브라켓(21)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 간에는 프론트 링크(50)가 연결된다.
즉, 상기 프론트 링크(50)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프론트 링크(50)의 하단부는 상기 프론트 브라켓(2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론트 링크(50)의 하단부는 상기 프론트 브라켓(21)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축(51)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은 한 쌍의 리어 링크(40) 및 한 쌍의 프론트 링크를 포함하는 4절 링크에 의하여 틸팅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앞쪽에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전개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상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된다.
특히, 상기 서포트 프레임(20)과 상기 리어 링크(40)와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에 걸쳐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을 전개시키기 위한 팝업 구동장치(60)가 장착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팝업 구동장치(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20) 상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 간에 연결되는 연결축(41)과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 간에 연결되어,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을 밀어서 전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팝업 구동장치(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더(63)와, 후단부는 상기 연결축(41)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슬라이더(63)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푸시-풀 바(61)와, 후단부는 상기 슬라이더(63)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에 힌지 체결되는 제2푸시-풀 바(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에는 슬라이더(63)의 하단부가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레일(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배면부에는 상기 제2푸시-풀 바(62)의 전단부가 힌지 체결되는 제1힌지단(301)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승객이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단일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면, 상기 모터(32)에 전류가 인가되어 모터(32)의 회전 구동력이 기어박스(31)를 통해 출력된다.
이에, 상기 모터(32)의 회전구동력이 소정의 기어열이 내설된 기어박스(31)를 통하여 상기 구동축(30)에 전달됨으로써, 구동축(30)의 전방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이어, 상기 구동축(30)의 전방 회전시 상기 리어 링크(40)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리어 링크(40)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후단부 간의 힌지 체결점 및 상기 리어 링크(40) 간에 연결된 연결축(41)의 축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후단부 간의 힌지 체결점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후단부도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가 상승하게 되며,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프론트 브라켓(21)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전단부에 힌지 체결된 프론트 링크(50)가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를 받쳐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리어 링크(40) 및 한 쌍의 프론트 링크(50)를 포함하는 4절 링크의 전방 회전에 의하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후단부가 하강하는 동시에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가 상승하는 틸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에 시트백 프레임(100)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시 시트백 프레임(1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리클라이닝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링크(40) 간에 연결된 연결축(41)의 축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연결축(41)에 힌지 체결된 팝업 구동장치(60)의 제1푸시-풀 바(61)가 상기 슬라이더(63)를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3)가 슬라이딩 레일(23)을 따라 전방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연이어, 상기 슬라이더(63)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이 슬라이더(63)가 상기 제2푸시-풀 바(62)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상기 제2푸시-풀 바(62)의 전단부가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배면부에 형성된 제1힌지단(301)에 힌지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푸시-풀 바(62)가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을 전개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승객이 다리를 거치시킬 있는 위치로 전개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자동으로 팝업되며 전개되도록 한 릴렉션 포지션 조절용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허벅지에 대한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릴렉션 컴포트 자세를 한 번에 취할 수 있는 등의 승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자동으로 팝업되며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시트백 리클라이닝 메커니즘, 틸팅 메커니즘 및 레그레스트 전개 메커니즘 등을 하나로 단순하게 통합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부품수 절감, 원가 절감 및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설계 및 제작 형태에 따라 풋레스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이 그 전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201)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상기 지지프레임(201)의 하단부에 풋레스트용으로 힌지 체결되고, 풋레스트용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배면부에는 상기 제2푸시-풀 바(62)가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단(30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제2푸시-풀 바(62)가 풋레스트용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을 전개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승객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위치로 전개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풋레스트용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자동으로 팝업되며 전개되도록 한 릴렉션 포지션 조절용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에 발을 올려 놓으면서 허벅지에 대한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릴렉션 컴포트 자세를 한 번에 취할 수 있는 등의 승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이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별물형으로 구성된 경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을 상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위한 상기 팝업 구동장치(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슬라이더(63-1)와, 상기 제1슬라이더(63-1)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서프트 프레임(20)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됨과 함께 별물형의 레그레스트 프레임(300)과 연결되는 제2슬라이더(63-2)와, 후단부는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 간에 연결된 연결축(41)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63-1)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푸시-풀 바(61)와, 후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63-1)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63-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2푸시-풀 바(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더(63-1) 및 제2슬라이더(63-2)의 하단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23)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상기 별물형의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은, 승객의 다리를 지지시키기 위한 어퍼 플레이트(310)와, 상단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310)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플로어패널(13)에 고정되는 제1승강링크(311)와, 상단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310)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63-2)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2승강링크(3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링크(311)와 제2승강링크(312)는 서로 엑스자 형태로 크로스되며 배열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객이 릴렉션 포지션 조절을 위한 단일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면, 상기 모터(32)에 전류가 인가되어 모터(32)의 회전 구동력이 기어박스(31)를 통해 출력된다.
이에, 상기 모터(32)의 회전구동력이 소정의 기어열이 내설된 기어박스(31)를 통하여 상기 구동축(30)에 전달됨으로써, 구동축(30)의 전방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이어, 상기 구동축(30)의 전방 회전시 상기 리어 링크(40)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리어 링크(40)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후단부 간의 힌지 체결점 및 상기 리어 링크(40) 간에 연결된 연결축(41)의 축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리어 링크(40)의 상단부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후단부 간의 힌지 체결점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후단부도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후단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가 상승하게 되며,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20)의 프론트 브라켓(21)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양측 전단부에 힌지 체결된 프론트 링크(50)가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전단부를 받쳐주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에 시트백 프레임(100)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시 시트백 프레임(1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리클라이닝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링크(40) 간에 연결된 연결축(41)의 축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연결축(41)에 힌지 체결된 팝업 구동장치(60)의 제1푸시-풀 바(61)가 상기 제1슬라이더(63-1)를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1슬라이더(63-1)가 슬라이딩 레일(23)을 따라 전방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더(63-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제1슬라이더(63-1)가 제2푸시-풀 바(62)를 전방으로 밀어주고, 이 제2푸시-풀 바(62)가 상기 제2슬라이더(63-2)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2슬라이더(63-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별물형의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구성 중 상기 제2승강링크(312)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제2승강링크(312)가 상승하면서 어퍼 플레이트(31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링크(311)의 하단부는 플로어패널(13)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어퍼 플레이트(310)가 위로 상승할 때 제1승강링크(311)의 상단부가 함께 상승하면서 어퍼 플레이트(310)을 받쳐주게 된다.
이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어퍼 플레이트(310)가 자동으로 상승하여, 승객이 다리를 어퍼 플레이트(310) 위에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300)의 어퍼 플레이트(310)가 자동으로 팝업되며 상승되도록 한 릴렉션 포지션 조절용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허벅지에 대한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릴렉션 컴포트 자세를 한 번에 취할 수 있는 등의 승객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시트레일 11 : 고정레일
12 : 이동레일 13 : 플로어 패널
20 : 서포트 프레임 21 : 프론트 브라켓
22 : 리어 브라켓 23 : 슬라이딩 레일
30 : 구동축 31 : 기어박스
32 : 모터 40 : 리어 링크
41 : 연결축 50 : 프론트 링크
51 : 종동축 60 : 팝업 구동장치
61 : 제1푸시-풀 바 62 : 제2푸시-풀 바
63 : 슬라이더 63-1 : 제1슬라이더
63-2 : 제2슬라이더 100 : 시트백 프레임
200 : 시트쿠션 프레임 300 : 레그레스트 프레임
301 : 제1힌지단 302 : 제2힌지단
310 : 어퍼 플레이트 311 : 제1승강링크
312 : 제2승강링크

Claims (12)

  1. 한 쌍의 프론트 브라켓 및 리어 브라켓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시트레일에 장착되는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리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구동축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리어 링크;
    상기 구동축에 회전동력 전달 가능하게 체결되는 기어박스를 갖는 모터;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프론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링크;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앞쪽에 전개 가능하게 위치되는 레그레스트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됨과 함께 상기 리어 링크의 상단부 간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틸팅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때,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을 밀어서 전개시키는 팝업 구동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팝업 구동장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더;
    후단부는 상기 연결축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푸시-풀 바; 및
    후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에 힌지 체결되는 제2푸시-풀 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부가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배면부에는 제2푸시-풀 바가 힌지 체결되는 제1힌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은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풋레스트용으로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용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배면부에는 제2푸시-풀 바가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팝업 구동장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서프트 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됨과 함께 레그레스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슬라이더;
    후단부는 상기 연결축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1푸시-풀 바; 및
    후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2푸시-풀 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하단부가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은:
    승객의 다리를 지지시키기 위한 어퍼 플레이트;
    상단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플로어패널에 고정되는 제1승강링크; 및
    상단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슬라이더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제1승강링크와 크로스되며 배열되는 제2승강링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링크의 하단부는 상기 프론트 브라켓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시트레일의 고정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KR1020210182338A 2021-12-20 2021-12-20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KR2023009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38A KR20230093584A (ko) 2021-12-20 2021-12-20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US17/972,949 US20230191974A1 (en) 2021-12-20 2022-10-25 Automatic pop-up device for vehicle leg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38A KR20230093584A (ko) 2021-12-20 2021-12-20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584A true KR20230093584A (ko) 2023-06-27

Family

ID=8676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338A KR20230093584A (ko) 2021-12-20 2021-12-20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91974A1 (ko)
KR (1) KR2023009358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1974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0766B1 (en) Automotive seat with electrically actuated leg-rest
CN108621873B (zh) 用于车辆的座椅位置调节装置
US6439636B1 (en) Vehicle electric reclining seats
JP6192221B2 (ja) シート
KR101738062B1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US20100032994A1 (en) Seat articulation mechanism
JP2004516189A (ja) 特に航空機の寝台に変換可能なシート
CN210258110U (zh) 座椅及其骨架、车辆
CN111216606A (zh) 车辆座椅的高度调节装置
CN108688524B (zh) 可躺式座椅的h点升降选项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03033243A (ja) 特に航空機のための座席
JP5488706B2 (ja) 車両用シート
JP5046935B2 (ja) 航空機のシート
KR20220040778A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KR101232075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230093584A (ko) 자동차용 레그레스트 자동 팝업 장치
CN115107593B (zh) 一种座舱布置结构、座舱布置控制方法以及汽车
CN115723639A (zh) 用于车辆座椅的调节装置及车辆座椅
KR20230023310A (ko) 자동차용 시트 포지션 변환 장치
JP2009514738A (ja) 乗物用シート
KR101307280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N112356746A (zh) 一种具有可变后排座椅的汽车
CN214607186U (zh) 一种具有可变后排座椅的汽车
JP202215843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