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589B1 -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589B1
KR100521589B1 KR10-2003-0073297A KR20030073297A KR100521589B1 KR 100521589 B1 KR100521589 B1 KR 100521589B1 KR 20030073297 A KR20030073297 A KR 20030073297A KR 100521589 B1 KR100521589 B1 KR 10052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old
rail
seat cushion
d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093A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5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54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56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longitu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을 이용하여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동전의 시트쿠션 위치로 시트백을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적재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의 설계상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지 않아도 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패널의 제1면상에 제1레일을 설치하여, 이 제1레일에 시트쿠션의 앞단 저면과 연결되는 링크를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측면에 제2레일을 설치하여, 이 제2레일에 상기 시트백과 연결 고정된 연결링크의 앞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Fold and div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이용하여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동전의 시트쿠션 위치로 시트백을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적재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의 설계상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지 않아도 되는 유리한 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단순히 승객이 착석하는 기능외에 카고 활용을 위한 격납 기능, 3열 승객의 승강 편의를 위한 워크-인 기능, 2열 및 3열 풀-플렛 기능 등의 여러가지 편의적인 기능의 추가로 점차 복잡해져 가는 추세에 있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에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20)은 시트쿠션(10)이 설치되는 제1면(22)과 시트백(12)이 위치되는 동시에 그 뒤쪽으로는 적재공간(14)이 마련된 제2면(24)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면(22)과 제2면(22) 사이는 시트쿠션(10)의 두께만큼 단차진 높이를 갖는다.
상기 시트쿠션(10)의 앞단 저면과 제1면(22) 사이에 링크(16)가 연결됨에 따라 시트쿠션(10)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이때 시트쿠션(10)은 플로어 패널(20)의 제1면(22)으로부터 이격되는 바, 그 이격 높이는 상기 링크(16)의 길이 또는 시트쿠션(10)의 두께 또는 플로어패널(20)의 제1면(22)과 제2면(24)간의 단차진 높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시트백(12)은 그 측면 하단에 리클라이닝 장치가 부착되면서 플로어패널(10)의 제2면(24)상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시트백(12)과 시트쿠션(10)은 "L"자형의 연결링크(1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긴 물품을 적재할 경우, 시트백 뒤쪽의 적재공간이 부족하여 시트백을 접는 폴드(fold) 작동 및 시트쿠션을 밑으로 이동시키는 다이브(dive) 작동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시트백(12)을 전방으로 접어서 시트쿠션(10)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폴드 작동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기 링크(16)를 앞으로 힌지 회전시키면서 시트쿠션(10)을 밑으로 이동시켜 시트쿠션(10)이 플로어 패널(20)의 제1면(22)상에 밀착되게 위치시키는 다이브 동작을 실시함에 따라, 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쿠션이 다이브 작동되어 그 밑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플로어 패널에 마련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상기 플로어 패널을 많이 낮추어 차체를 설계해야 한다.
보통, 플로어 패널의 저면에는 샤시품(연료탱크, 캐니스터 등)이 위치하게 되는데,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어 주게 되면 연료탱크 및 캐니스터 등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설계가 따르게 된다.
즉, 플로어 패널은 시트쿠션 및 시트백이 폴드 앤 다이브 작동되어 동시에 자리잡을 만큼의 수용공간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차량 구조에서는 시트쿠션의 두께 정도로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어 주어야 하며, 이때의 높이는 약 80mm 정도가 된다.
결국, 약 80mm 정도로 플로어 패널을 낮추어주면 그 저면에 위치하는 연료탱크의 용량이 줄어들고, 캐니스터의 위치 이동이 불가피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지 않더라도, 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패널의 제1면상에는 제1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제1레일에는 시트쿠션의 앞단 저면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링크의 하단에 슬라이드체를 힌지 회동가능하게 고정시켜 이 슬라이드체를 제1레일상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시트쿠션의 측면에는 제2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제2레일에는 시트백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연결링크의 앞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레일에는 슬라이드체가 삽입 위치되고, 상기 링크의 하단이 슬라이드체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첨부한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를 위하여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어주는 것을 배제하여, 플로어 패널의 저면에 위치하는 각종 부품의 설치 위치 및 용량 변경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20)의 구간을 나누어보면 시트쿠션(10)이 위치되는 제1면(22)과, 시트백(12)이 위치되는 동시에 그 뒤쪽에 적재공간(14)을 이루는 제2면(24)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어 패널(20)의 제1면(22)에 소정 구간을 갖는 제1레일(26)을 설치하게 되며, 이 제1레일(26)에는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체(30)가 삽입된다.
상기 시트쿠션(10)의 앞단 저면에는 링크(16)의 상단이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 링크(16)의 하단을 상기 슬라이드체(30)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쿠션(10)의 측면에 후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2레일(28)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시트백(12)과 시트쿠션(10)은 "L"자형의 연결링크(18)로 연결되는 바, 상기 연결링크(18)의 후단은 시트백(12)의 측면에 고정되고, 앞단 전체는 상기 제2레일(28)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링크(18)가 제2레일(28)의 후부로부터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제2레일(28)의 끝단에 스토퍼단(미도시됨)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트 폴드 앤 다이브 구조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쿠션의 다이브 작동을 설명하면, 시트쿠션(10)을 앞쪽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링크(16)와 슬라이드체(30)가 제1레일(2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링크(18)는 제2레일(28)로부터 빠져나가는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되어 시트쿠션(10)의 전진이동이 이루어지고, 연이어 상기 시트쿠션(10)을 눌러 상기 링크(16)를 앞쪽으로 힌지 회동시키면 시트쿠션(10)의 다이브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동시에, 시트백(12)을 전방으로 접게 되면 시트백(12)은 상기 시트쿠션(10)의 전진 이동전 위치에 안착되는 폴딩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시트쿠션(10)은 전진 이동하여 다이브 작동되고, 시트백(12)은 시트쿠션(10)의 전진 이동전 위치로 접혀지는 폴딩 작동을 하여, 시트백(12)은 그 뒤쪽의 적재공간(14)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긴 물품 등의 수납에 더욱 용이한 잇점을 제공하게 되고, 특히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지 않더라도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의하면, 시트쿠션을 전진 이동시켜 다이브 작동시키는 동시에 시트백을 시트쿠션의 전진 이동전 위치로 접혀지게 하여 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플로어 패널의 높이를 낮추지 않더라도, 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폴드된 시트백과 그 뒤쪽의 적재공간이 평행하게 되어 긴 물품 등을 더욱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쿠션 12 : 시트백
14 : 적재공간 16 : 링크
18 : 연결링크 20 : 플로어 패널
22 : 제1면 24 : 제2면
26 : 제1레일 28 : 제2레일
30 : 슬라이드체

Claims (2)

  1.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에 있어서,
    플로어패널의 제1면상에는 제1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제1레일에는 시트쿠션의 앞단 저면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를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링크의 하단에 슬라이드체를 힌지 회동가능하게 고정시켜 이 슬라이드체를 제1레일상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시트쿠션의 측면에는 제2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제2레일에는 시트백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연결링크의 앞단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2. 삭제
KR10-2003-0073297A 2003-10-21 2003-10-21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KR10052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97A KR100521589B1 (ko) 2003-10-21 2003-10-21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97A KR100521589B1 (ko) 2003-10-21 2003-10-21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93A KR20050038093A (ko) 2005-04-27
KR100521589B1 true KR100521589B1 (ko) 2005-10-12

Family

ID=3724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97A KR100521589B1 (ko) 2003-10-21 2003-10-21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993B1 (ko) 2010-12-03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975B1 (ko)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993B1 (ko) 2010-12-03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93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367B2 (en) Over and under swing seat
US10189373B2 (en) Seat arrangement
US6406084B1 (en) Seat arrangement for vehicle
US6499787B2 (en) Collapsible vehicle seat assemblies
US7077451B2 (en) Stadium style motor vehicle seat
US8833833B2 (en) Reclining apparatus for a rear seat of a vehicle
US20030218349A1 (en) Seat arrangement for vehicle
US7300090B2 (en) Split seat stowage system
CA2323664A1 (en) A retractable automotive seat assembly
US8066325B2 (en)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KR100521589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KR100534943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리클라이닝 구조
JP2008155724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05289207A (ja) 車両用シート
GB2466864A (en) Vehicle seat with foldable backrest part
JP20072536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70087992A (ko) 승합차량의 폴드 앤 다이브 시트 구조
JP4279297B2 (ja) 車両のシート配置構造
KR100220565B1 (ko) 왜건형차량의 리어시트 절첩장치
JP4069502B2 (ja) 自動車の荷室構造
JP4090684B2 (ja) 折りたたみシート
JP2005297632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H09118158A (ja) 自動車用補助座席
EP0990552A1 (en) Automotive seating assembly
JP38708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