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833B1 -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 Google Patents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833B1
KR102343833B1 KR1020210074603A KR20210074603A KR102343833B1 KR 102343833 B1 KR102343833 B1 KR 102343833B1 KR 1020210074603 A KR1020210074603 A KR 1020210074603A KR 20210074603 A KR20210074603 A KR 20210074603A KR 102343833 B1 KR102343833 B1 KR 10234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hair
backrest
base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성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광(주) filed Critical 성광(주)
Priority to KR102021007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4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이 있는 좁은 작업 공간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잠시 동안 이용할 수 있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작업 공간에 있는 핸드레일에 걸어서 고정하는 등받이와 좌판이 폴딩 가능하에 연결된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판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수직의 기저관, 상기 양측 기저관의 상부에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을 받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로 신축되도록 양측 기저관에 각각 연결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제어하도록 푸시버튼이 구비되어 양측 신축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후면에 구비되어 핸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판과 등받이의 폴딩으로 부피를 작게 형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 거치부재를 핸드레일에 걸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잠시 동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FOLDABLE CHAIR FOR HANDRAIL}
본 발명은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이 있는 좁은 작업 공간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잠시 동안 이용할 수 있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 데 쓰이는 기구로서, 보통 뒤에 등받이가 있고 종류가 다양하다.
의자의 종류는 형태·용도·구조 및 재료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형태상으로 스툴·소의자·팔걸이의자·긴의자·눕는의자·로킹체어 등으로 나눈다. 소의자는 팔걸이가 없는 의자로 사이드체어라고도 하며 고대부터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것이다.
다음 용도상으로 나누면 작업 목적으로 사무용의자·학습용의자·식사용의자 등이 있고,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안락의자·소파·디 베드·카우치 등이 있다. 특수용도의 것으로 이발·미용·의료·극장용 전용 의자가 있다. 그리고 안락의자는 18세기 프랑스의 베르제르나 영국의 윙 체어를 기본으로 발전한 휴식용 의자의 총칭으로서 천으로 싸서 완성한, 앉은 기분이 편안한 의자이다.
구조상으로 나누면 고정식·접는식·경사조절식·회전식·조립식 등이 있고, 재료에 따라 나누면 목제의자·금속의자·플라스틱의자·등의자 등이 있다. 재료 가공기술에 따라 선반으로 깎은 의자, 나무를 휘어서 만든 의자, 성형합판의자, 강관(鋼管)의자, 알루미늄의자 등을 만들 수 있다.
의자의 시트나 등받이에 대는 재료로는 직물(실크·면·마직·양모·화학섬유)·수피(獸皮)·플라스틱·로프 등이 있고, 시트에 탄력을 주는 속재료에 짚·면포·양모·새털·짐승털·헤어로크·코일 스프링·웨이브 스프링·폼러버·우레탄 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는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아 쉬는 공통적인 기능을 갖는다.
이와 달리 작업이 진행되는 핸드레일이 있는 좁은 공간의 현장에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작업자가 잠시 동안 앉아서 쉴 수 있는 간이의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컨대, 톤백(ton bag)의 경우 다량의 곡류나 소금 따위의 내용물을 톤(ton) 중량 이상을 한 번에 담기 때문에, 내용물을 톤백에 담는 30~50초의 시간 동안 대기하는 작업자가 앉아서 쉴 수 있도록, 부피가 작고 간결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이의자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간이의자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2311호(등록일자 2020년09월09일) ‘접이식 간이의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4521호(등록일자 2017년05월02일) ‘접이식 간이 의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2908호(공개일자 2008년11월26일)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633호(등록일자 2019년07월08일) ‘휴게 의자’ 등기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바닥에 펼친 상태로 사용하는 공통적인 기술을 가지므로, 작업자가 간이의자를 접어서 부피를 줄인 상태로 휴대하다가 핸드레일이 있는 좁은 공간의 현장에서 쉬기 위해 핸드레일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2311호(등록일자 2020년09월09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4521호(등록일자 2017년05월02일)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2908호(공개일자 2008년11월26일)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633호(등록일자 2019년07월0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레일이 있는 좁은 작업 공간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잠시 동안 이용할 수 있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 공간에 있는 핸드레일에 걸어서 고정하는 등받이와 좌판이 폴딩 가능하에 연결된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판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수직의 기저관, 상기 양측 기저관의 상부에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을 받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로 신축되도록 양측 기저관에 각각 연결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제어하도록 푸시버튼이 구비되어 양측 신축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후면에 구비되어 핸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저관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공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스텝시트, 상기 스텝시트의 걸림공에 걸려서 상기 신축관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단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디텐트, 상기 디텐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푸시하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공에 걸린 상기 디텐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핸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카라비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축관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을 향해 신축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좌판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신축성을 갖는 신축고리, 상기 신축고리를 걸어서 상기 좌판과 상기 등받이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등받이의 후면 일측에 구비된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좌판과 등받이의 폴딩으로 부피를 작게 형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 거치부재를 핸드레일에 걸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잠시 동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판과 등받이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등받이의 신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에서 좌판과 등받이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레일(10)용 접이식 간이의자는, 착좌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좌판(100), 좌판(100)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기저관(220)과 신축관(240)을 통해 수직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업 공간 내의 핸드레일(10)에 걸어서 거치하도록 거치부재를 갖는 등받이(200)를 포함한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X축은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고, Y축은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며, Z축은 상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핸드레일(10)은 작업 공간 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11), 복수의 지주(11)를 연결하는 레일(12)을 포함한다.
레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판(100)은 대략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어 착좌자의 엉덩이를 받치게 된다.
좌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길이가 대략 40㎝ 정도로 이루어지고 전후 방향의 길이가 대략 30㎝ 정도로 이루어진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좌판(100)은 작업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적절한 좌우 및 전후 길이를 갖는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판(100)의 전면 테두리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고리(11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등받이(200)에 구비된 후크(231)에 걸어서 간이의자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등받이(200)는 좌판(100)의 상면 후단에 힌지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업 공간 내에 설치된 핸드레일(10)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다.
등받이(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0)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210), 베이스(2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수직의 기저관(220), 양측 기저관(2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을 받치는 백플레이트(230), 백플레이트(230)의 상부로 신축되도록 양측 기저관(220)에 각각 신축관(240), 신축관(240)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50), 고정부재(250)를 제어하도록 푸시버튼(261)이 구비되어 양측 신축관(240)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260), 손잡이(260)의 후면에 구비되어 핸드레일(10)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좌판(100)의 상면 후단에 힌지를 통해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저관(220)은 내부가 빈 금속 또는 비철금속 재질의 관(管) 모양으로 형성되어 베이스(21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기저관(220)의 내부 일측에는 복수의 걸림공(22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스텝시트(221)가 구비된다.
백플레이트(230)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어 착좌자의 등을 받치게 된다. 백플레이트(230)의 후면에는 후크(231)가 구비되어 신축고리(110)를 걸어서 간이의자의 폴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백플레이트(23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어 착좌자의 등을 받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백플레이트(230)의 전면에는 착좌자의 등을 탄성적으로 받치도록 쿠션(도시생략)이 구비될 수 있다.
신축관(240)은 기저관(220)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내부가 빈 금속 또는 비철금속 재질의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백플레이트(230)의 좌우 양측을 관통지나서 기저관(220)의 상단 내경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신축관은 백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을 향해 신축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시트(221)의 걸림공(222)에 걸려서 신축관(240)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도록 신축관(240)의 하단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디텐트(251), 디텐트(251)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푸시하는 푸시로드(253), 푸시로드(253)로 이동되어 걸림공(222)에 걸린 디텐트(25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55)을 포함한다.
디텐트(251)는 신축관(240)의 하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텝시트(221)의 걸림공(222)에 걸려서 신축관(240)의 수직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킨다. 디텐트(251)의 일측에는 대략 45°로 경사진 경사슬롯(252)이 형성되어 푸시로드(253)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푸시로드(253)는 상하로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푸시버튼(261)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핀(254)을 통해 디텐트(251)의 경사슬롯(252)에 연결된다.
즉, 푸시버튼(261)을 누르면 푸시로드(253)가 하강하고, 이로 인하여 디텐트(251)가 스텝시트(22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공(222)에 걸려 길이 조절된 신축관(240)을 고정하는 것이다.
가압스프링(255)은 걸림공(222)에 걸린 디텐트(25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신축관(24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가압스프링(255)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260)는 양측 신축관(240)의 상부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본 발명의 간이의자를 손으로 들거나 잡을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260)의 상면 중앙에는 푸시버튼(261)이 구비되어 푸시로드(253)를 하강시키게 된다.
거치부재는 손잡이(26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작업 공간 내에 설치된 핸드레일(10)에 걸어서 거치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부재는 핸드레일(10)의 레일(12)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카라비너(270)(carabine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플레이트(230)의 후면에는 홀더가 구비되어 카라비너(270)를 홀딩할 수 있다.
예컨대, 카라비너(270)의 스크루 슬리브(271)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도시생략)에 걸린 게이트(도시생략)가 열려 레일(12)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고, 스크루 슬리브(27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게이트가 래치에 걸려서 닫혀 레일(1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좌판(100)과 등받이(200)가 펼친 상태에서 손잡이(260)를 잡고 푸시버튼(261)을 누르면, 푸시로드(253)가 디텐트(251)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걸림공(222)에서 해제된다.
그러면, 신축관(240)은 위로 올라가서 상승하므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등받이(200) 전체의 수직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등받이(200)의 수직 길이를 적절히 조절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10)의 레일(12)에 카라비너(270)를 걸면 본 발명의 간이의자는 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좁은 공간의 현장에서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본 발명의 간이의자에 잠시 동안 앉아서 쉴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간이의자를 사용한 후 카라비너(270)를 레일(12)에서 분리한 후 등받이(200)와 좌판(100)을 도 5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폴딩되어 납작하고 적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신축고리(110)를 후크(231)에 걸어서 좌판(100)과 등받이(200)가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푸시버튼(261)을 눌러서 디텐트(251)를 걸림공(222)에서 해제시킨 상태에서 신축관(240)을 아래로 하강시키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등받이(200) 전체의 수직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판(100)과 등받이(200)가 폴딩되어 부피를 작게 하여 휴대성이 좋고, 좁은 작업 공간에서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핸드레일(10)에 걸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시간 사이사이에 잠시 동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핸드레일 100 : 좌판
110 : 신축고리 200 : 등받이
210 : 베이스 220 : 기저관
230 : 백플레이트 240 : 신축관
250 : 고정부재 260 : 손잡이
270 : 카라비너 H : 힌지

Claims (5)

  1. 작업 공간에 있는 핸드레일에 걸어서 고정하는 등받이와 좌판이 폴딩 가능하에 연결된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판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수직의 기저관, 상기 양측 기저관의 상부에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을 받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로 신축되도록 양측 기저관에 각각 연결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제어하도록 푸시버튼이 구비되어 양측 신축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후면에 구비되어 핸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저관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공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스텝시트, 상기 스텝시트의 걸림공에 걸려서 상기 신축관의 신축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단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디텐트, 상기 디텐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푸시하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공에 걸린 상기 디텐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핸드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서 거치하는 카라비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을 향해 신축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신축성을 갖는 신축고리, 상기 신축고리를 걸어서 상기 좌판과 상기 등받이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등받이의 후면 일측에 구비된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KR1020210074603A 2021-06-09 2021-06-09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KR10234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03A KR102343833B1 (ko) 2021-06-09 2021-06-09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03A KR102343833B1 (ko) 2021-06-09 2021-06-09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833B1 true KR102343833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603A KR102343833B1 (ko) 2021-06-09 2021-06-09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83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19Y1 (ko) * 2004-11-04 2005-03-11 김해훈 복부운동 좌식의자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8-11-26 황보의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JP2012218723A (ja) * 2011-04-06 2012-11-12 Seizo Nakajima 自動車の座席テーブル及びトレイ
KR20130073565A (ko) * 2011-12-23 2013-07-03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시트벨트
KR20140058198A (ko) * 2012-11-06 2014-05-14 전현준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의자
KR101734521B1 (ko) 2015-06-10 2017-05-11 이종영 접이식 간이 의자
KR20170002936U (ko) * 2016-02-12 2017-08-22 (주)엔에스텍 낚시용 좌대
KR101999633B1 (ko) 2019-02-08 2019-07-12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휴게 의자
KR200492311Y1 (ko) 2020-07-03 2020-09-15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접이식 간이의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19Y1 (ko) * 2004-11-04 2005-03-11 김해훈 복부운동 좌식의자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8-11-26 황보의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JP2012218723A (ja) * 2011-04-06 2012-11-12 Seizo Nakajima 自動車の座席テーブル及びトレイ
KR20130073565A (ko) * 2011-12-23 2013-07-03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시트벨트
KR20140058198A (ko) * 2012-11-06 2014-05-14 전현준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의자
KR101734521B1 (ko) 2015-06-10 2017-05-11 이종영 접이식 간이 의자
KR20170002936U (ko) * 2016-02-12 2017-08-22 (주)엔에스텍 낚시용 좌대
KR101999633B1 (ko) 2019-02-08 2019-07-12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휴게 의자
KR200492311Y1 (ko) 2020-07-03 2020-09-15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접이식 간이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2135B2 (en) Tensional seat support arrangement for collapsible chair
US7631934B2 (en) Foldable portable stadium chair
US4717201A (en) Folding chair
US4867505A (en) Adjustable lounge chair
US3309134A (en) Interchangeable luggage-chair structure
US7040995B2 (en) Hanging chair stand
US4351524A (en) Swing
JP2019526404A (ja) 理美容師用の新規な運動補助付き人間工学的ワークステーション
KR102343833B1 (ko)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US20030020312A1 (en) Height-adjustable leisure chair
CN210227526U (zh) 一种折叠座椅
KR101371072B1 (ko) 낚시용 의자
CN208550578U (zh) 一种折叠椅
JP2001061597A (ja) スライドテーブル付き折り畳み椅子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CN212185830U (zh) 一种折叠看台椅
JPH0543Y2 (ko)
CN210930417U (zh) 一种多功能办公椅
CN216316585U (zh) 一种折叠椅
CN213188799U (zh) 一种可调式休闲椅
CN210842318U (zh) 一种带凉篷的扶手椅
CN220777864U (zh) 一种休憩装置
CN220756965U (zh) 具有可调式靠枕结构的人体工学座椅
US11241096B2 (en) Crosswise-folding rocking chair
CN213247863U (zh) 一种舒适型透气网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