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887B1 - 접이식 휴대용 의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휴대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887B1
KR102056887B1 KR1020180015165A KR20180015165A KR102056887B1 KR 102056887 B1 KR102056887 B1 KR 102056887B1 KR 1020180015165 A KR1020180015165 A KR 1020180015165A KR 20180015165 A KR20180015165 A KR 20180015165A KR 102056887 B1 KR102056887 B1 KR 10205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leg
extension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449A (ko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라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라신
Priority to PCT/KR2018/0055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3212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접이식 휴대용 의자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로 구성되며, 프레임에 직선형 가로바가 형성되는 의자 본체; 의자 본체의 직선형 가로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리를 올려놓는 패드가 형성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경량이며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각부품의 분실 위험이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이용시 등부분, 목부분 및 다리까지 모두 받쳐 지지할 수 있어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휴대용 의자{Folding portable chairs}
개시되는 내용은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휴대할 수 있고,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말을 이용해 많은 직장인들이 일을 하며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여가 및 취미 생활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즐기고 있다.
또한 취미활동으로 캠핑, 등산 및 낚시 등의 야외활동의 참여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해당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용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용품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무게가 무거울 경우 휴대가 불편하므로 야외활동에 적합하도록 경량이며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되고 있다.
용품 중에서 휴대용 의자의 경우 야외활동시 견고하고 경량이어서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앉아서 편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휴대용 의자는 접철식으로 의자를 접어 휴대하는 것과 각 프레임을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접철식 휴대용 의자는 각각의 프레임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는 접히지 않으므로 보관 및 이동시 어려움이 있다.
휴대용 의자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5906호가 있다.
선행기술은 야외활동시 휴대가 용이하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휴대용 의자에 관련된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의자는 휴대하기 용이한 것에만 그칠 뿐, 등받이가 있어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할때 등을 기댈 수 있지만 목받침이 없어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데도 목의 피로도가 쌓이게 된다.
또한 낚시와 같이 장시간 앉아있어야 하는 레저활동의 경우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장시간 앉아있게 되므로 다리의 피로감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경량이며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각부품의 분실 위험이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앉았을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로 구성되며, 프레임에 직선형 가로바가 형성되는 의자 본체; 의자 본체의 직선형 가로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리를 올려놓는 패드가 구비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는 연장바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직선형 가로바의 외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호형의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바는, 직경이 큰 제1봉체에 직경이 작은 제2봉체가 끼움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경량이며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부품의 분실 위험이 없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착석시 등부분, 목부분을 지지할 수 있고, 아울러 다리를 펴서 올려놓을 수 있어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의 절첩 작동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의 시트를 제거한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8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서 '제6연결부재(600)'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서 '제3연결부재(300)'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서 '제2연결부재(200)'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제1실시예]
첨부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의 절첩 작동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A1)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접히거나 펼쳐지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24)로 구성되며, 프레임(22)에 직선형 가로바(26)가 형성되는 의자 본체(2); 의자 본체(2)의 직선형 가로바(2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42)와, 상기 체결부(42)에 연결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바(44)와, 연장바(44)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리를 올려놓는 패드(46)가 구비된 다리지지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의자 본체(2)는 야외활동 또는 레저활동시에 휴대 및 설치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 최소부피로 접어 보관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22)은, 지면에 지지되는 전방다리(221)와 후방다리(222)가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되고,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대(223)와 좌판 지지대(224)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3)가 포함된다.
연결부재(3)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되고, 양측의 연결부재(3)를 수평하게 연결하도록 직선형 가로바(26)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시트부(24)는 등받이 지지대(223)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부 양측에 제1끼움홀(241)이 각기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좌판 지지대(224)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제2끼움홀(242)이 양측에 각기 형성된다.
시트부(24)는 통기성을 갖도록 매쉬소재로 이루어지고, 부분적으로는 쿠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는, 전방다리(221) 및 후방다리(222)가 끼움결합되도록 하방을 향해 제1끼움부(31)가 양측에 대칭 형성되고,
등받이 지지대(223) 및 좌판 지지대(224)가 끼움결합되도록 상방을 향해 제2끼움부(32)가 형성된다.
전방다리(221), 후방다리(222), 등받이 지지대(223), 좌판지지대(224)는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L)이 내장되어 제1끼움부(31) 및 제2끼움부(32)와 신축작동될 수 있어 전방다리(221), 후방다리(222), 등받이 지지대(223), 좌판지지대(224)를 분리하더라도 연결부재(3)와 신축성 스트랩(L)으로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재(3)의 제1끼움부(31)는 후방다리(222)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1끼움공(311)과 제1-2끼움공(312)이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1끼움공(311)이 상부에 형성되고 제1-2끼움공(312)이 하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다리(222)는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L)이 내장되어 제1-1끼움공(311)과 제1-2끼움공(31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1끼움공(311)에 후방다리(222)가 결합되는 경우 시트(24)의 경사각도가 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다리지지부(4)는 의자 본체(2)의 전방에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시트부(24)에 착석한 상태에서 다리를 펴서 다리지지부(4)에 올려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부(42), 연장바(44), 패드(46)로 구성된다.
체결부(42)는 연장바(44)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42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직선형 가로바(26)의 외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호형의 클램프(4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결합부(4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장바(44)의 제2봉체(442)가 끼움결합된다.
클램프(422)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어, 가로바(26)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된 후 탄성력으로 오므려지면서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다.
연장바(44)는, 직경이 큰 제1봉체(441)에 직경이 작은 제2봉체(442)가 끼움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봉체(441)와 제2봉체(442)가 끼움결합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봉체(442)가 제1봉체(44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됨으로써 연장바(44)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44)의 제1,2봉체(441,442)의 길이를 조절한 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록킹부재(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록킹부재(5)는, 제1봉체(441)의 인입구의 외주연 양측에 대칭 형성된 조임부재(52)와, 양측 조임부재(52)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볼트(53) 및 상기 볼트(53)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일측 조임부재(52)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레버(54)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레버(54)를 잠금작동시켜 제2봉체(442)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장바(44)의 제1봉체(441)의 타단에는 제6연결부재(600)가 결합된다.
제6연결부재(600)의 상부에 복수의 상향지지봉(830)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향지지봉(830)에 패드(46)가 결합된다.
제6연결부재(6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보조다리(840)가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제6연결부재(600)는, 상향지지봉(83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를 향하는 제3결합부(603)와, 연장바(44)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부(604)가 상부에 형성되고, 보조다리(8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을 향하는 제1결합부(601)와, 연장바(44)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60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다리(840)를 제3결합부(603)에 결합시켜 상부를 향하도록 결합되고, 접을때는 보조다리(840)를 제4결합부(604)에 결합하여 연장바(44)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다리(840)를 제1결합부(601)에 결합시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접을때는 보조다리(840)를 제2결합부(602)에 결합하여 연장바(44)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향지지봉(830) 및 보조다리(840)의 내부에는 신축성 스트랩(L)이 내장되어 제1결합부(601) 내지 제4결합부(604)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2)을 전개시켜 의자 본체(2)를 지면에 세운다.
이후 시트부(24)를 의자 본체(2)의 프레임(22)의 등받이 지지대(223)와 좌판 지지대(224)에 결합시킨다.
이후 다리지지부(4)의 체결부(42)를 의자 본체(2)의 직선형 가로바(26)에 끼워 결합시키고, 연장바(44)를 적절한 길이로 설정한 후 연장바(44)의 타단에 제6연결부재(600)를 결합시킨다.
제6연결부재(600)의 상부에 상향지지봉(830)을 끼워 상방을 향하도록 하고, 보조다리(840)를 끼워 지면에 지지하도록 한 후 상향지지봉(830)에 패드(46)를 결합시켜 조립한다.
이후 사용자가 시트부(24)에 착석한 후 다리를 펴서 패드(46)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용 의자(A2)는, 야외활동 또는 레저활동시에 휴대 및 설치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 최소부피로 접어 보관하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후방다리(120)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100)와, 제1연결부재(100)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제1프레임(130)으로 연결되며 후방 지지봉(110)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200)와, 제1연결부재(100)의 타측에 제2프레임(310)으로 연결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전방다리(32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로는 전방 지지봉(330)이 형성된 제3연결부재(300)로 구성되는 프레임바디(F); 제1연결부재(100)의 후방 지지봉(110)에 결합되는 등받이(720)와, 제3연결부재(300)의 전방 지지봉에 결합되는 좌판(730)으로 구성되는 시트부(700); 시트부(700)의 전방에 형성되어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는 다리지지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연결부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다리(120)가 끼움결합되도록 하방을 향해 제1끼움부(150)가 양측에 대칭 형성된다.
전방에는 제2프레임(310)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부(140)가 형성된다.
후방에는 제1프레임(130)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제3끼움부(160)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끼움부(150)는 후방다리(1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1끼움공(151)과 제1-2끼움공(152)이 형성된다.
제1-1끼움공(151)이 제1-2끼움공(152) 보다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1끼움공(151)에 후방다리(120)가 결합되면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후방다리(120)는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L)이 내장되어 제1끼움부(150)와 신축작동되면서 제1-1끼움공(151) 또는 제1-2끼움공(15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200)는, 제1프레임(130)이 연결되는 제4끼움부(24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술될 헤드지지대(910)가 연결되는 제6끼움부(260)가 형성되며, 2개의 후방 지지봉(110)이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면서 상부를 향하도록 결합되는 제8끼움부(280)가 형성된다.
제8끼움부(280)는 상부를 향하는 제8-1끼움공(281)과 제1프레임(130)을 향하는 제8-2끼움공(28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지지봉(110)은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L)이 내장되어 제8끼움부(280)와 신축작동되면서 제8-1끼움공(281) 또는 제8-2끼움공(28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연결부재(30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820)의 제2봉체(822)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5결합부(350)가 일측에 형성되고, 제2프레임(310)이 결합되는 제6결합부(360)가 타측에 형성되며, 양측 상부에는 전방 지지봉(330)이 결합되는 제7결합부(370)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5결합부(350)에는 제2봉체(822)의 삽입된 단부를 협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390)가 형성된다.
스토퍼(390)는 일측에 돌기(393)가 형성되고 타측에 스프링(392)으로 지지되는 제5결합부(350)의 외측에 힌지 결합된 레버(391)로 구성되며,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2봉체(822)의 단부에 홈(825)이 형성되어 돌기(393)가 홈(825)에 삽입되면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7결합부(370)는 전방 지지봉(330)을 제2프레임(310)에 평행하게 접을 수 있도록 일측에 절개되어 제1접이홈부(371)가 형성되며, 전방다리(320)가 결합되는 제8결합부(380)가 하부 양측에 대칭 형성된다.
제8결합부(380)는 전방다리(320)를 제2프레임(310)에 평행하게 접을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제2접이홈부(382)가 형성된다.
전방 지지봉(330) 및 전방다리(320)는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L)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성 스트랩(L)의 신축작용에 의해 분리된 후 결합될 수 있으며 단부가 제7결합부(370) 및 제8결합부(380)에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봉(330)은 제7결합부(370)에서 이탈된 후 뒷쪽으로 접어져서 제2프레임(31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전방다리(320)는 제8결합부(380)에서 이탈된 후 제1접이홈부(371)에 끼워져 뒷쪽으로 접어져서 제2프레임(310)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지지봉(330) 및 전방다리(320)를 제2프레임(310)에 밀착시킴으로써 접었을때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다리지지부(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300)에 결합되어 상향 형성되는 연장바(820)와, 연장바(8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상향지지봉(830)과,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840)가 형성된 제6연결부재(600); 상향지지봉(830)에 결합되어 다리를 거치하는 패드(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리지지부(800)의 연장바(820)는, 다수의 봉체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바(820)는,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제1봉체(821)와, 제1봉체(821)의 인입구에 삽입되는 제2봉체(822)와, 제1봉체(821)와 제2봉체(822)의 결합된 길이를 조절하는 록킹부재(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부재(860)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봉체(821)의 인입구의 외주연 양측에 대칭 형성된 조임부재(861)와, 양측 조임부재(861)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볼트(862) 및 볼트(862)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일측 조임부재(863)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레버(864)를 포함하는 것이며, 레버(864)를 잠금작동시켜 제2봉체(82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1봉체(821)와 제2봉체(822)가 끼움결합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봉체(822)가 제1봉체(82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됨으로써 연장바(8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6연결부재(6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지지봉(83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를 향하는 제3결합부(603)와, 연장바(82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부(604)가 상부에 형성되고,
보조다리(8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을 향하는 제1결합부(601)와, 연장바(82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60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다리(840)를 제3결합부(603)에 결합시켜 상부를 향하도록 결합되고, 접을때는 보조다리(840)를 제4결합부(604)에 결합하여 연장바(820)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다리(840)를 제1결합부(601)에 결합시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접을때는 보조다리(840)를 제2결합부(602)에 결합하여 연장바(820)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향지지봉(830) 및 보조다리(840)의 내부에는 신축성 스트랩(L)이 내장되어 제1결합부(601) 내지 제4결합부(604)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제2연결부재(200)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900)가 더 포함된다.
헤드레스트(900)는, 제2연결부재(200)에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헤드지지대(910); 헤드지지대(9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제9a결합구(510)와 제9b결합구(520)가 형성된 제5연결부재(500); 제9a결합구(510) 및 제9b결합구(520)에 각기 결합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4프레임(530); 제4프레임(530)의 단부에 결합되는 헤드지지패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5연결부재(500)의 하부에 헤드지지대(910)가 삽입되는 끼움부(502)가 형성되고, 상향되게 양측에 대칭되어 제9a결합구(510)와 제9b결합구(520)가 형성된다.
제9a결합구(510)와 제9b결합구(520)에 각기 제4프레임(530)이 결합되어 2개의 제4프레임(530)은 소정의 사잇각(θ)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4프레임(530)은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L)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성 스트랩(L)의 신축작용에 의해 제4프레임(530)이 제9a결합구(510) 또는 제9b결합구(5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9b결합구(520)는 헤드지지대(91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9b결합구(520)에 제4프레임(530)이 결합되면 헤드지지대(910)와 평행하게 밀착되므로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2연결부재(200)와 헤드지지대(910)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230)이 포함되며, 길이조절수단(230)은 전술한 록킹부재(860)와 대동소이하다.
길이조절수단(23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지지대(91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연결부재(200)의 결합구의 외주연 양측에 대칭형성된 조임부재(232)와, 상기 양측 조임부재(232)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볼트(233) 및 상기 볼트(233)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일측 조임부재(232)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레버(234)를 포함하는 것이며, 레버(234)를 잠금작동시켜 헤드지지대(9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부(700)를 전방 지지봉(330)과 후방 지지봉(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접어서 별도로 보관한다.
전방다리(320) 및 후방다리(120)를 제3연결부재(300) 및 제1연결부재(100)로부터 각각 뽑아서 제2프레임(310)에 밀착시켜 접는다.
헤드지지패드(540)를 분리 한 후 헤드레스트(900)를 제5연결부재(500)로부터 뽑아서 제9b결합구(520)에 꽂아 헤드지지대(910)에 밀착시켜 접는다.
다리지지부(800)의 패드(850)를 상향지지봉(830)으로부터 분리하고, 보조다리(840) 및 상향지지봉(830)을 뽑아서 연장바(820)에 밀착시켜 접는다.
이후 연장바(820)를 최소길이로 축소시킨다.
이렇게 접힌 프레임바디(F)를 가방에 넣고, 시트부(700), 헤드지지대(910), 패드(850)를 접어서 가방에 수납하여 보관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제1연결부재 130 ; 제1끼움부
140 : 제2끼움부 150 : 제3끼움부
200 : 제2연결부재 230 ; 길이조절수단
232 : 조임부재 233 ; 볼트
234 ; 레버 300 : 제3연결부재
600 ; 제6연결부재 603 : 제3결합부
700 : 시트부 800 ; 다리지지부
820 ; 연장바 830 : 상향지지봉
840 ; 보조다리 850 ; 패드
860 ; 록킹부재 900 : 헤드레스트
910 : 헤드지지대

Claims (12)

  1. 접히거나 펼쳐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시트부로 구성되는 의자 본체;
    상기 의자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패드가 형성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직선형 가로바에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장바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가로바의 외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호형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전방다리와 후방다리가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되고,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받이 지지대와 좌판 지지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양측의 연결부재를 수평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직선형 가로바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가 끼움결합되도록 하방을 향해 제1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 및 좌판 지지대가 끼움결합되도록 상방을 향해 제2끼움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제1끼움부는 후방다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1끼움공과 제1-2끼움공이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1끼움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제1-2끼움공이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는, 직경이 큰 제1봉체에 직경이 작은 제2봉체가 끼움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다리, 후방다리, 등받이 지지대, 좌판지지대는 내부에 신축성 스트랩이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부 또는 제2끼움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8. 삭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의 제1봉체의 타단에 결합된 제6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6연결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향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6연결부재의 하부에 보조다리가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연결부재는,
    상기 상향지지봉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를 향하는 제3결합부와,
    상기 연장바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을 향하는 제1결합부와, 연장바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지지봉 및 보조다리의 내부에는 신축성 스트랩이 내장되어 제1결합부 내지 제4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용 의자.

KR1020180015165A 2017-12-26 2018-02-07 접이식 휴대용 의자 KR10205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5513 WO2019132127A1 (ko) 2017-12-26 2018-05-14 접이식 휴대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90 2017-12-26
KR20170179990 201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49A KR20190078449A (ko) 2019-07-04
KR102056887B1 true KR102056887B1 (ko) 2019-12-18

Family

ID=6725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165A KR102056887B1 (ko) 2017-12-26 2018-02-07 접이식 휴대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920631U (zh) * 2023-01-13 2023-10-31 深圳创博优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折叠椅框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58B1 (ko) *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접이식 의자
KR101791925B1 (ko) * 2016-06-15 2017-10-31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58B1 (ko) *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접이식 의자
KR101791925B1 (ko) * 2016-06-15 2017-10-31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49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309B2 (en) Easy folding cross brace design
US9282824B2 (en) Collapsible and portable rocking chair
US10499743B2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US20160100688A1 (en) Outdoor recliner with pillow carrier
US6843527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folding rocking chair
US20190082846A1 (en) Collapsible and portable chair
KR200172215Y1 (ko) 절첩식 흔들의자
US20060261103A1 (en) Convertible backpack frame, folding chair, stool and note
KR101418235B1 (ko) 접이식 낚시용 의자
GB2416689B (en) Angler's chair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US5829837A (en) Portable stadium backrest
KR200485063Y1 (ko) 접이식 의자의 목받침 구조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US20070187997A1 (en) Folding stool for sportsmen and other applications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US11548597B2 (en) Tension-stabilized knock down furniture structures eliminating fasteners and braces
JP5606767B2 (ja) 椅子
EP1425994A1 (en) Folding bed
WO2010059030A1 (en) Removable backrest chair
KR102046398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US9414687B2 (en) Collapsible seat and storage apparatus
KR20160003568U (ko) 목받침이 가능한 휴대용 의자
US20130119740A1 (en) Foldable chair
CN214413877U (zh) 折叠钓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