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52Y1 -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52Y1
KR200381752Y1 KR20-2005-0001425U KR20050001425U KR200381752Y1 KR 200381752 Y1 KR200381752 Y1 KR 200381752Y1 KR 20050001425 U KR20050001425 U KR 20050001425U KR 200381752 Y1 KR200381752 Y1 KR 20038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pillar
fixing member
colum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원
송병석
Original Assignee
강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원 filed Critical 강석원
Priority to KR20-2005-0001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기둥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외부의 충격에 휨이 발생되도록 한 볼라드에 있어서, 상부면에는 암나사(13)를 갖는 플랜지(9)가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7)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요홈(18)이 형성되도록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한 사각기둥 형태의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2)의 상부면과 플랜지(9)사이에 틈새(α)(β)가 유지되고, 기둥(3)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탄성체(5)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와; 상기 지지부재(6)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기둥(3)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부재(2)의 암나사(13)와 체결되는 볼트(8)와 플레이트(7)로 지지되는 다수개의 홈(11)과 돌기(12)가 형성된 콘 형태의 탄성체(5)와; 상기 탄성체(5)에 의해 휨이 발생되고 지지부재(6)와 나사 체결되는 원기둥 형태의 기둥(3) 및; 상기 기둥(3)의 상단부에 끼움되고, 측면에 야광부(10)를 갖는 반구형의 덮개(4)로 구성된 것을 특징한다.
상술한 본 고안은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인도에 설치된 볼라드에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부딪치게 되면 상부로 높게 돌출된 기둥이 쉽게 휘어진 다음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Bollard}
본 고안은 볼라드(Bollar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인도에 설치된 볼라드에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부딪치게 되면 상부로 높게 돌출된 기둥이 쉽게 휘어진 다음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주차장 입구 등에는 차량의 인도(人道)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석재를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로 가공한 볼라드가 상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볼라드의 경우, 단단한 석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라고 하더라도 자칫 부주의하면 부딪쳐 다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더욱 위험한 장애물일 수밖에 없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최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의 안전보다는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볼라드(Bollard)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기술문헌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9-013733호(1999. 4. 26) 도로용 가이드 휀스의 경우, 공원 등의 진입로 입구측에 설치되어 사람, 차량 등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볼라드의 폴이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차량과 접촉시 연결부위의 파손됨을 방지하며, 폴이 지면에 함몰된 상태에서 중량체의 차량 등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캡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 즉 스프링을 이용한 도로용 가이드 휀스로써 차량 충돌로 인한 파손시 해당 부품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은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47275호(2004. 3. 30) 스프링 안전 볼라드의 경우, 스프링을 포함한 다중의 완충구조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차량 및 볼라드 자체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된 신축성을 갖는 중공의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과 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된 기저판과 하단부가 상기 기저판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면서 본체 케이싱을 지지하고,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인데, 본체 케이싱 내부면과 완충 스프링 전체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볼라드에 차량의 충돌시 콘크리트 초석과 볼트, 너트로 체결된 부분이 파손되거나 사용도중 너트가 풀려 넘어지거나 녹슬게 되어 관리 소홀로 미관을 해치거나 통행에 방해를 받게 됨은 물론 차량의 충돌에 대비하여 탄성계수가 계산된 스프링을 갖는 상기 볼라드에 시각장애인 등을 포함한 보행자가 부딪치게 될 경우 본체 케이싱이 휘지 않게 되어 그 충격이 보행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부상을 입게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51160호(2004. 5. 11)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6989호(2004. 10. 28) 도로용 볼라드의 경우, 볼라드를 지면에 고정하는 구조가 볼트, 너트체결 방식이기 때문에 지지력이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볼라드가 쓰러지게 되며, 충격에 의해 휨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식이 발생됨은 물론 어린이들이 장난을 치다가 외부에 노출된 스프링사이에 손이 끼여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인도에 설치되는 볼라드에 의해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들이 부딪쳐 입게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출입을 제한함과 동시에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볼라드에 의한 또 다른 안전사고, 특히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의 구성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볼라드(1)는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될 지점의 지면에 파묻혀 기초가 되는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2)의 상부에 돌출되어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기둥(3) 및 상기 기둥(3)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부재(2)의 상단부에 볼트(8)로 고정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부딪칠 경우 기둥(3)이 휘도록 하는 탄성체(5), 야광부(10)를 갖는 반구형의 덮개(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2)는 지면에 파묻혀 기둥(3)을 지지함에 있어서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옆으로 쓰러지거나 위로 솟구치지 않도록 전체가 사각기둥 형태로 성형됨과 동시에 측면에는 수개의 걸림홈(17)이 형성되어 터 파기한 후 지면에 묻었을 때 상기 걸림홈(17)속까지 들어간 흙이 다져져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하였으며, 하부면에는 큰 요홈(18)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2)를 땅속에 묻을 때 수평조절이 한층 더 쉽도록 하는 한편 상부면 중심에는 암나사(13)를 갖는 플랜지(9)를 돌출되게 일체 형성하여 탄성체(5)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부면에 성형원료 및 중량을 줄이기 위한 요홈(14)이 부가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재(2)는 폐합성수지를 원료로 제조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하고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기둥(3)은 모가 나진 않은 원기둥 형태로 성형하여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이 부딪치더라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성형되며, 내부가 텅 빈 상단부에는 고정턱(20)을 하단부 내측에는 나사부(15)가 형성되도록 화강석 색상의 나일론수지 원료로 성형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는 기둥(3)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5)와 체결되는 나사부(1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6)의 하부면과 고정부재(2)를 땅속에 묻었을 때 지면보다 약간 높게 돌출되는 상부면 사이에 틈새(α)가 유지되고, 상기 고정부재(2)의 플랜지(9) 측면과 틈새(β)가 유지되도록 하여 기둥(3)이 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탄성체(5)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원료로 다수개의 홈(11)과 돌기(12)를 갖도록 성형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일체 구성하였다.
상기 탄성체(5)를 콘 형태로 구성한 것은 상단부와 중간부는 기둥(3)과는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탄성체(5)의 하단부만 기둥(3)의 하단부 내측과 고정부재(2)의 플랜지(9)사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에도 쉽게 휨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이 부딪칠 경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탄성체(5)는 속이 텅 빈 기둥(3)의 상부로 집어넣어 나사부(15)(16)에 의해 체결된 지지부재(6)의 상부면에 밀착시킨 후 탄성체(5)의 상단에 플레이트(7)을 덮어 볼트(8)를 고정부재(2)의 플랜지(9) 중심부에 형성된 암나사(13)와 체결함으로써 지지한다.
상기 덮개(4)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윗면을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고정홈(19)을 갖도록 구성하여 기둥(3)의 상단부 고정턱(20)에 끼움된다. 이때 덮개(4)의 측면은 야광부(10) 갖도록 야광안료를 수지원료에 배합하여 일체 성형함으로써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볼라드(1)를 인도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먼저 설치할 장소에 터 파기한 후 사각기둥 형태를 갖는 고정부재(2)를 지면에 묻어 측면의 걸림홈(17)속까지 흙이 다져지도록 고정하면서 상기 고정부재(2)의 상부에 구비된 기둥(3)이 지면 상부로 돌출되게 하면 신속하고 간편하게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볼라드(1)가 설치된 인도를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통행하면서 원기둥 형태의 기둥(3)에 부딪치게 되면 상기 기둥(3)은 속이 텅 비어 있기 때문에 기둥(3) 자체로서 최소한의 충격을 완화한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이 부딪칠 때의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3)이 고정부재(2)와 지지부재(6)사이의 틈새(α)(β)에 의해 재껴지면서 상기 지지부재(6)의 상단부와 기둥(3)의 하단부사이에 놓여 볼트(8)로 플랜지(9)의 암나사(13)에 지지된 탄성체(5)가 재껴지면서 기둥(3) 전체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게 되어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휨이 발생하였던 상기 볼라드(1)는 외력이 제거되면 기둥(3)이 휘면서 서로 압축되었던 영역의 돌기(12)와 돌기는 탄성에 의해 위로 부풀어오르고, 재껴져 벌어졌던 영역의 돌기(12)와 돌기는 탄성에 의해 당겨져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라드(1)의 경우 시각장애인이 부딪쳐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휨성을 갖도록 하는 수단인 탄성체(5)가 기둥(3)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한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상기 탄성체(5)를 비롯한 고정부재(3)와 기둥(3) 등이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파손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볼라드는 기둥의 내부에 위치하는 콘 형태의 탄성체가 아주 적은 힘에도 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의해 설치된 볼라드의 기둥에 부딪치더라도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둥을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사각형태를 취하면서 다수개의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도 쉽게 쓰러지거나 위로 솟구치지 않는 견고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볼라드를 구성하는 기둥과 고정부재 및 탄성체 등이 합성수지로 구성된 관계로 부식이 방지되면서 장기간 사용 등으로 파손되더라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휨성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기둥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한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 다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볼라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볼라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볼라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볼라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볼라드 2 : 고정부재
3 : 기둥 4 : 덮개
5 : 탄성체 6 : 지지부재
8 : 볼트 9 : 플랜지
11 : 홈 12 : 돌기
17 : 걸림홈

Claims (1)

  1.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기둥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외부의 충격에 휨이 발생되도록 한 볼라드에 있어서;
    상부면에는 암나사(13)를 갖는 플랜지(9)가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7)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요홈(18)이 형성되도록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한 사각기둥 형태의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2)의 상부면과 플랜지(9)사이에 틈새(α)(β)가 유지되고, 기둥(3)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탄성체(5)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와;
    상기 지지부재(6)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기둥(3)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부재(2)의 암나사(13)와 체결되는 볼트(8)와 플레이트(7)로 지지되는 다수개의 홈(11)과 돌기(12)가 형성된 콘 형태의 탄성체(5)와;
    상기 탄성체(5)에 의해 휨이 발생되고 지지부재(6)와 나사 체결되는 원기둥 형태의 기둥(3) 및;
    상기 기둥(3)의 상단부에 끼움되고, 측면에 야광부(10)를 갖는 반구형의 덮개(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KR20-2005-0001425U 2005-01-17 2005-01-17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KR200381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425U KR200381752Y1 (ko) 2005-01-17 2005-01-17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425U KR200381752Y1 (ko) 2005-01-17 2005-01-17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246A Division KR20060083997A (ko) 2005-01-17 2005-01-17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52Y1 true KR200381752Y1 (ko) 2005-04-18

Family

ID=4368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425U KR200381752Y1 (ko) 2005-01-17 2005-01-17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92B1 (ko) 2007-03-06 2007-10-17 송명자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시공방법
FR3118635A1 (fr) 2021-01-07 2022-07-08 Financiere De Beaumont - Fdb Dispositif d’absorption de chocs entre deux portions de tube, et tub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92B1 (ko) 2007-03-06 2007-10-17 송명자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시공방법
FR3118635A1 (fr) 2021-01-07 2022-07-08 Financiere De Beaumont - Fdb Dispositif d’absorption de chocs entre deux portions de tube, et tub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EP4026948A1 (fr) 2021-01-07 2022-07-13 Financiere de Beaumont- FDB Dispositif d'absorption de chocs entre deux portions de tube, et tube equipe d'un tel dispositi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6117A (en) Flexible traffic standard
KR200381752Y1 (ko)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KR200401533Y1 (ko) 차량진입방지대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100804094B1 (ko) 탄력 볼라드
KR100993696B1 (ko) 볼라드
KR100767592B1 (ko)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시공방법
KR20060083997A (ko)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KR100796930B1 (ko) 자동차 진입억제용 볼라드
KR101090128B1 (ko) 볼라드
KR100776670B1 (ko) 탄성복원력을 구비한 볼라드
KR101223748B1 (ko) 차량진입방지대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JP6929727B2 (ja) 多段樹脂製マウントブロック及び車線区分柵
CN101634154B (zh) 一种新型井盖座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20100092567A (ko) (볼라드) 차량진입 방지대
KR200456136Y1 (ko) 볼라드 캡
KR100776669B1 (ko) 표지판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200394522Y1 (ko) 횡단 금지 완충형 휀스
KR20190049064A (ko) 이탈방지형 탄성 볼라드
KR102186454B1 (ko) 가드 펜스
KR200351163Y1 (ko) 도로용 보도 진입방지 시설물
KR200351160Y1 (ko) 충격흡수형 도로 시설물 설치구조
KR100535236B1 (ko) 차량진입방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