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165Y1 -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165Y1
KR200268165Y1 KR2020010038978U KR20010038978U KR200268165Y1 KR 200268165 Y1 KR200268165 Y1 KR 200268165Y1 KR 2020010038978 U KR2020010038978 U KR 2020010038978U KR 20010038978 U KR20010038978 U KR 20010038978U KR 200268165 Y1 KR200268165 Y1 KR 200268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ire mesh
adjacent
waste tires
over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귀환
김봉근
이재식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주)한성개발공사
(주)한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주)한성개발공사, (주)한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Priority to KR2020010038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165Y1/ko

Links

Abstract

교량이나 고가 도로에서 차량 등의 낙하체에 대해 충격을 완화하고 추락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는 낙하방지 구조물을 개시한다. 이러한 낙하방지 구조물(200)은, 일단이 고가도로(100)나 교량의 측면에 매설되는 강철재의 다수개의 고정빔(210)과; 상기 고정빔의 타단에서 인접하는 상기 고정빔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220)와; 상기 연결부재 단부에서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재(230)와; 좌우로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폐타이어와, 상하의 인접하는 폐타이어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폐타이어를 통과하여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상하부와 좌우부에 배치된 실패 형상의 다수개의 연결 로울러를 구비한 폐타이어 철망(250)과; 그리고 상기 고정빔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로울러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폐타이어 철망(250)이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2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Handrail structure on a bridge or an overpass for preventing falling}
본 고안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낙하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량 또는 고가도로에는 차량이나 행인 등의 추락을 방지할 목적으로 그 가장자리에 낙하방지 구조물로서 가드 레일과 같은 보호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통행 차량이나 행인의 키에 비해 보호대가 상대적으로 낮고 그 견고함도 부족하여 차량의 추돌시 쉽게 파손되거나 추락의 위험이 있다. 특히, 고가도로 하방에는 차량 통행용 도로가 있어 고가도로에서의 차량 추락 사고는 대형 참사를 야기시킨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이나 고가 도로에서 차량 등의 낙하체에 대해 충격을 완화하고 추락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낙하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고가 도로에 설치된 낙하방지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낙하방지 구조물의 단위 부재들을 분해하여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폐타이어 철망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폐타이어와 와이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프레임 양단에 폐타이어 철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고가 도로 110 ; 가드 레일
200 ; 낙하방지 구조물 210 ; 고정빔
220 ; 연결부재 230 ; 이음부재
240 ; 프레임 250 ; 폐타이어 철망
252 ; 폐타이어 253 ; 와이어
254 ; 연결로울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낙하방지 구조물은, 일단이 고가도로나 교량의 측면에 매설되는 강철재의 다수개의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의 타단에서 인접하는 상기 고정빔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단부에서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재와; 좌우로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폐타이어와, 상하의 인접하는 폐타이어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폐타이어를 통과하여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상하부와 좌우부에 배치된 실패 형상의 다수개의 연결 로울러를 구비한 폐타이어 철망과; 그리고 상기 고정빔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로울러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폐타이어 철망이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빔의 일단에는 상부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커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빔의 타단은 낙하체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이음부재는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빔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설치되는 낙하방지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고가 도로에 설치된 낙하방지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낙하방지 구조물의 단위 부재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낙하방지구조물(200)은, 소정 간격으로 그 일단이 고가도로(100)의 측면에 매설된 사각 단면의 강철재 고정빔(210)과, 상기고정빔(210)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해 고정빔(210)의 타단에 삽입된 "ㄷ"자 형상의 연결부재(220)와, 상기 연결부재(220) 단부에서 연결부재(220) 상호간을 체결하는 "ㄷ"자 형상의 이음부재(230)와, 상기 연결부재(220)와 상기 고정빔(210)에 고정되는 프레임(240)과, 상기 프레임(240)에 설치되는 폐타이어 철망(2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10"은 가드 레일을 도시한 것이며, 참조부호 "213"과 "2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구와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2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빔(210)은, 그 일단에 상부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커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림턱(211)이 형성되며, 그 타단이 차량 등과 같은 낙하체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빔(210)과 연결부재(220)과 이음부재(230)에는 체결홀(211,221,23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빔과 연결부재와 이음부재를 맞추고 나사나 볼트 등에 의하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도 3a는 폐타이어와 와이어가 연결된 폐타이어 철망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프레임에 폐타이어 철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폐타이어 철망(250)은, 좌우로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폐타이어(252)와, 상하의 인접하는 폐타이어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폐타이어(252)를 통과하여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와이어(253)와, 상기 와이어(253)의 상하부와 좌우부에 배치된 실패 형상의 다수개의 연결 로울러(254)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40)은 상기 폐타이어 철망(250)의 상하부 와이어에 배치된 실패 형상의 연결 로울러(254)가 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241a,243a)가 형성된 상하 프레임(241,243)과, 상기 폐타이어 철망(250)의 좌우부 와이어에 배치된 실패 형상의 연결 로울러(254)가 그 상방 또는 하방으로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245a,247b)가 형성된 좌우 프레임(245,24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40)과 폐타이어 철망(250)은 가이드레일부와 연결 로울러(254)에 의하여 분해 조립 등과 같은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폐타이어 철망(250)에 의하면 낙하방지 구조물의 자중을 최소화하면서, 차량 등의 낙하체에 대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차량 등의 낙하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폐타이어 철망(250)이 설치된 상하/좌우 프레임(240)은 고정빔(210)과 연결부재(220)에 형성된 체결홀(213,223)에 배치되고, 그 위에 체결구(260)를 매개로 하여 나사나 볼트를 체결홀(213,223)에 조임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낙하방지 구조물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로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차량 등의 추락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추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제공하며, 프레임과 연결로울러와 같은 구성에 따라 낙하방지 구조물의 분해 조립 등과 같은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Claims (2)

  1. 일단이 고가도로나 교량의 측면에 매설되는 강철재의 다수개의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의 타단에서 인접하는 상기 고정빔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단부에서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재와;
    좌우로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폐타이어와, 상하의 인접하는 폐타이어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폐타이어를 통과하여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다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상하부와 좌우부에 배치된 실패 형상의 다수개의 연결 로울러를 구비한 폐타이어 철망과; 그리고
    상기 고정빔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로울러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폐타이어 철망이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낙하방지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의 일단에는 상부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커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빔의 타단은 낙하체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이음부재는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빔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구조물.
KR2020010038978U 2001-12-17 2001-12-17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KR200268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78U KR200268165Y1 (ko) 2001-12-17 2001-12-17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78U KR200268165Y1 (ko) 2001-12-17 2001-12-17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165Y1 true KR200268165Y1 (ko) 2002-03-15

Family

ID=7307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978U KR200268165Y1 (ko) 2001-12-17 2001-12-17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1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357B1 (ko) * 2014-06-30 2015-09-21 주식회사 준이앤씨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30006947A (ko) * 2021-07-05 2023-01-12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357B1 (ko) * 2014-06-30 2015-09-21 주식회사 준이앤씨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30006947A (ko) * 2021-07-05 2023-01-12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KR102522941B1 (ko) 2021-07-05 2023-04-18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20000075573A (ko) 고속도로 난간을 위한 안전 장벽 터미널
AU728145B2 (en) Railing
CN103526705B (zh) 用于耗散能量以使撞击车辆减速的护栏安全系统
CN112703292A (zh) 用于车辆约束系统的竖立构件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200268165Y1 (ko)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KR100345739B1 (ko) 차도용 철재난간과 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KR200300015Y1 (ko)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100949450B1 (ko) 앵커형 중앙 분리대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200341898Y1 (ko) 가드레일
KR100920524B1 (ko)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200281788Y1 (ko) 가드바가 이중으로 설치된 가드레일
KR200272025Y1 (ko) 복수의 보강테를 갖는 만곡형 도로 가드 레일
KR100887193B1 (ko) 철재난간의 충격완화부재
KR200268167Y1 (ko) 낙하방지 기구를 갖춘 교량 및 고가도로
CN218060062U (zh) 一种路桥防撞保护装置
KR200313283Y1 (ko) 가드레일용 연결구
KR101353774B1 (ko) 보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0960527B1 (ko) 교량 난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