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357B1 -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357B1
KR101554357B1 KR1020140080633A KR20140080633A KR101554357B1 KR 101554357 B1 KR101554357 B1 KR 101554357B1 KR 1020140080633 A KR1020140080633 A KR 1020140080633A KR 20140080633 A KR20140080633 A KR 20140080633A KR 101554357 B1 KR101554357 B1 KR 10155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ottom plate
support
delete delet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8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의 파손이나 노후에 따른 추락사를 방지할 수 있고,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난간측 충격 흡수로 충격사고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는, 교량의 상부슬래브의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교폭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설치된 확장인도교 받침보와;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말단 상면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 받침대와;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인도교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 지지대와; 상기 바닥판 지지대의 상면에 상호 끼워맞춤되어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과; 상기 지주 받침대에 일정 간격마다 입설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 및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드레일; 및 상기 지주 받침대측에 고정 설치되어 낙하물이 인도교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Increased extention foot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의 일측으로 확장된 통행로를 갖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의 파손이나 노후에 따른 추락사를 방지할 수 있고,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난간측 충격 흡수로 충격사고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인도교는 바닥판, 슬래브의 측벽에 앵커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바닥판을 지지하는 앵커 브라켓, 앵커 브라켓의 말단에 설치된 안전 난간을 구비한다. 바닥판은 일반적으로 목재로 제작되어 피스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피스 부분에 의해 바닥판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피스 부분에서 바닥판이 취약하게 되어 바닥판이 뜯어지거나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바닥판이 파손되는 경우 보행자나 자전거의 통행이 위험하게 되고 낙사로 인한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인도교의 경우 그 하부에 도로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인도교에서 낙하물을 떨어뜨리는 경우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인도교의 하부에 하천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 낙하물은 하천에 떨어져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인도교의 경우 바닥판의 훼손이나 파손에 따른 낙하방지가 필요하고, 낙하물이 하부측 도로나 하천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83014호로서,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상하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 상기 상하각도조절 고정유닛에 수평 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발판 고정부재; 상기 발판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의 배경기술은 발판 고정부재가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발판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발판과 발판 고정부재의 접촉면적이 넓게 되어 발판의 지지가 견고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배경기술은 발판에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경우 보행자의 상해 및 낙사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없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82052호로서 '교량용 확장 인도교'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교량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상기 교량의 상판 상면 일단과 연석의 일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서로 연결시켜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고정브라켓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에 설치되어 자전거 또는 보행자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데크부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자전거를 보호가능하도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보호난간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저면 일단과 인접한 다른 고정브라켓의 저면 타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이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력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후자의 배경기술에서는 보행자나 자전거 왕래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분산시켜 시간 경과에 따른 인도교가 교량으로부터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고정브라켓을 서로 연결시켜 충격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반해, 데크부의 파손에 따른 보행자의 상해 및 낙사를 방지할 수 있고,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없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83014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82052호
본 발명은 바닥판의 파손이나 노후에 따른 추락사를 방지할 수 있고,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난간측 충격 흡수로 충격사고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는,
교량의 상부슬래브의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교폭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설치된 확장인도교 받침보와;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말단 상면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 받침대와;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인도교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 지지대와;
상기 바닥판 지지대의 상면에 상호 끼워맞춤되어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과;
상기 지주 받침대에 일정 간격마다 입설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 및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드레일; 및
상기 지주 받침대측에 고정 설치되어 낙하물이 인도교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바닥판의 파손에 따른 추락사를 방지하는 추락사방지용 안전망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 지지대는 각기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설치된 간격재에 의해 측부가 지지되게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바닥판 지지대의 장공에 삽입된 볼트와 이에 나사체결되는 너트의 체결을 통해 상기 바닥판 지지대와 간격재가 상호 연결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재는 측부에 지지날개를 갖고 양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에 끼워 걸침되어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웃한 바닥판의 사이에는 고무에 논슬립제가 함유되어 제작되어 바닥판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상부 표면이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가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논슬립제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소재, 비금속 분말, 세라믹 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 지주의 전면에는 야간반사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된 삼각 단면의 지주측 완충바가 조립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측 완충바 실리콘으로 제작된 경우 형광물질이 함유되어 야간에 형광빛이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은 반원형으로 분할되어 있는 금속레일과 중공형의 완충용 고무레일로 구성되고, 이들 금속레일과 완충용 고무레일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통해 밀착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고, 완충용 고무재 레일이 인도교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드레일이 가드레일 지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은 판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에서 상향 경사되게 절곡되어져 있고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이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의 시공 방법은,
교량 상부슬래브의 측벽측에 확장인도교 받침보를 일정 간격마다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간격재를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웃한 간격재의 사이에 간격재의 장공에 삽입된 볼트와 이에 나사체결되는 너트의 체결을 통해 바닥판 지지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바닥판 지지대를 제외하여 추락사 방지용 안전망을 각기 위치시킨 후 간격재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 지지대의 상면에 확장인도교의 길이방향으로 바닥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받침대의 상면에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을 위치시키고 가드레일 지주 고정 설치한 후 가드레일 지주에 가드레일을 지지되게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웃한 바닥판의 사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논슬립패드가 더 설치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 지주의 전면에 충격 방지를 위한 지주측 완충바를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바닥판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추락사방지용 안전망에 의해 추락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 받침대측에 고정 설치된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에 의해 낙하물의 낙하를 차단하여 2차 사고의 예방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간측에 지주측 완충바와 고무레일이 설치되어져 충격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 지지대는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상면에 설치된 간격재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간격재가 인도교 받침보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본 확장인도교 받침보의 단면도.
도 4는 도 10의 K부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간격재의 변형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일측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판의 다양한 결합상태도.
도 7은 도 1에서 바닥판을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 바닥판을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의 시공순서에 따른 설치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교량(10)의 상부슬래브(12)의 측벽(13)에 확장인도교 받침보(14)가 교폭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외팔보 형태로 고정 설치된다. 확장인도교 받침보(14)는 일측 고정단이 앵커볼트(도시안됨)를 통해 측벽(13)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확장인도교 받침보(14)는 도 3과 같이 H 또는 I형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같이 구성된 확장인도교 받침보(14)는 확장 인도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말단 상면에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 받침대(1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주 받침대(18)는 직사각 파이프 단면을 갖는 강관으로 제작되어 있다.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는 확장인도교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는 바닥판 지지대(20)가 설치된다. 바닥판 지지대(20)는 본 실시예에서 사가파이프 강관으로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바닥판 지지대(20)의 설치 간격은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길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때 바닥판 지지대(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기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설치된 간격재(16)에 의해 측부가 지지되게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바닥판 지지대(20)의 장공(20a)에 삽입된 볼트(17)와 이에 나사체결되는 너트(19)의 체결을 통해 상기 바닥판 지지대(20)와 간격재(16)가 상호 연결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와 같이 간격재(16)는 측부에 후술할 추락사방지용 안전망(29)을 끼워넣기 위한 지지날개(162)를 갖고 양단부에 걸림턱(161a)을 갖는 후크(161)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에 끼워 걸침되어져 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바닥판 지지대(20)의 상면에는 바닥판(22)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22)들은 이웃한 것끼지 상호 끼워맞춤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6의 (가)와 같이 예로, 바닥판(22)들은 결합돌기(22a)와 결합홈(22b)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22)은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재, 합성목재, FRP 그 이외의 복합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바닥판(22)은 상면에 통행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지주 받침대(18)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24)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가드레일 지주(24)의 전면에는 추가적으로 지주측 완충바(30)가 조립되어져 설치될 수 있다. 지주측 완충바(30)는 고무 또는 실시콘으로 제작되어 삼각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지주측 완충바(30)는 예각을 이루는 전면이 2개소에 나타나고, 이 부분에 도 2 및 도 8과 같이 야간반사판(32)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측 완충바(30)는 재질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고, 또한 야간에는 야간반사판(32)에 의해 확장 인도교의 시선유도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주측 완충바(30)가 실리콘으로 제작된 경우 형광물질이 함유되어 제작될 경우 야간에 야간반사판(32)의 설치 없이도 형광빛에 의한 시선유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드레일 지주(24)에는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나란하여 인도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가드레일(26)이 설치되어 있다. 가드레일(26)은 원형의 강봉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가드레일(26)은 도 2와 같이 같이 반원형으로 분할되어 있는 금속레일(261)과 중공형의 완충용 고무레일(2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레일(261)과 완충용 고무레일(262)은 결합돌기(262a)와 결합홈(261a)을 통해 밀착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고, 완충용 고무레일(262)이 인도교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드레일(26)이 가드레일 지주(24)측에 설치된다.
지주 받침대(18)측에는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은 볼트체결공을 갖는 판상의 고정판(281)과, 상기 고정판(281)의 일측 단부에서 상향 경사되게 절곡되어져 있고 타공(282a)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82)이 형성되어져 구성된다. 따라서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은 낙하물이 인도교 밖의 하천이나 도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 및 환경 오염을 최소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바닥판(22)의 하방으로 바닥판(22)의 파손에 따른 추락사를 방지하기 위해 추락사방지용 안전망(2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추락사방지용 안전망(29)은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 6의 (나)와 같이 이웃한 바닥판(22과 22)의 사이에는 고무에 논슬립제가 함유되어 제작되어 바닥판(22)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상부 표면이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23)가 끼워져 조립 설치될 수 있다. 논슬립제는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소재(GRAPIN), 비금속 분말, 세라믹 분말 중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성분이 혼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9와 같이 교량 상부슬래브(12)의 측벽(13)측에 확장인도교 받침보(14)를 일정 간격마다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다음, 도 4 및 도 10과 같이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간격재(16)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간격재(16)는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1과 같이 간격재(16)에 바닥판 지지대(20)를 고정 설치한다. 바닥판 지지대(20)는 이의 장공(20a) 및 간격재(16)측 홀(16a)에 삽입된 볼트(17)와 이에 나사체결되는 너트(19)의 체결을 통해 간격재(16)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같이 바닥판 지지대(20)가 간격재(16)에 장공(20a)에 삽입된 볼트(17) 결합을 통해 설치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대응이 가능해진다.
그 다음, 추락사 방지용 안전망(29)을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설치한다. 추락사 방지용 안전망(29)은 양측 단부가 간격재(16)와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위치되어져 설치된다.
그 다음, 바닥판 지지대(20)의 상면에 바닥판(22)을 설치한다. 바닥판(22)은 이웃한 것끼리 끼움 결합으로 조립된 후 피스를 통해 바닥판 지지대(2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도 6의 (나)와 같이 이웃한 바닥판(22과 22)의 사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2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7 및 도 8과 같이 지주받침대(18)의 상면에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을 위치시키고 가드레일 지주(24)를 설치한다. 이때 가드레일 지주(24)의 설치시 볼트를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을 삽통시켜 확장인도교 받침보(14)에 고정 설치한 후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도 함께 고정 설치된다.
가드레일 지주(24)의 설치 후 가드레일(26)이 설치되고, 가드레일 지주(24)에는 지주측 완충바(30)가 함께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공되는 확장인도교는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이 설치되어져 낙하물이 인도교 밖의 하천이나 도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 및 환경 오염을 최소하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판(22)의 하부에 추락사 방지용 안전망(29)이 설치되어져 추락사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 지지대(20)와 추락사 방지용 안전망(29)은 간격재(16)의 설치에 의해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난간측에는 지주측 완충바(30)와 고무레일(262)이 설치되어져 충격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측 완충바(30)에는 야간반사판(32)이 설치되어져 야간의 시선 유도가 이루어져 안전한 통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논슬립패드(23)가 추가될 경우 우천시나 안개가 많이 끼여있는 기상상태에서 보행자나 자전거 운전자의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4: 확장인도교 받침보
16: 간격재
18: 지주 받침대
20: 바닥판 지지대
22: 바닥판
26: 가드레일
28: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
29: 추락사방지용 안전망
30: 지주측 완충바
32: 야간반사판

Claims (12)

  1. 교량의 상부슬래브(12)의 측벽(13)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교폭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설치된 확장인도교 받침보(14);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말단 상면에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 받침대(18);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인도교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 지지대(20);
    상기 바닥판 지지대(20)의 상면에 상호 끼워맞춤되어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22);
    상기 지주 받침대(18)에 일정 간격마다 입설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24);
    상기 가드레일 지주(24)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드레일(26);
    상기 지주 받침대(18)측에 고정 설치되어 낙하물이 인도교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물 추락방지용 안전망(28); 및
    상기 바닥판(22)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바닥판(22)의 파손에 따른 추락사를 방지하는 추락사방지용 안전망(29);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지지대(20)는 각기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의 상면에 설치된 간격재(16)에 의해 측부가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 지지대(20)에 형성된 장공(20a) 및 간격재(16)측 홀(16a)에 삽입된 볼트(17)와 이에 나사체결되는 너트(19)의 체결을 통해 상기 바닥판 지지대(20)와 간격재(16)가 상호 연결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간격재(16)는 측부에 지지날개(162)를 갖고 양단부에 걸림턱(161a)을 갖는 후크(161)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인도교 받침보(14)에 끼워 걸침되어져 조립되고,
    이웃한 바닥판(22과 22)의 사이에 고무에 논슬립제가 함유되어 제작되어 바닥판(22)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상부 표면이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패드(23)가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가드레일 지주(24)의 전면에 야간반사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된 삼각 단면의 지주측 완충바(30)가 조립되고,
    상기 가드레일(26)은 반원형으로 분할되어 있는 금속레일(261)과 중공형의 완충용 고무레일(262)로 구성되고, 이들 금속레일(261)과 완충용 고무레일(262)은 결합돌기(262a)와 결합홈(261a)을 통해 밀착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고, 완충용 고무레일(262)이 인도교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드레일(26)이 가드레일 지주(24)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80633A 2014-06-30 2014-06-30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5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33A KR101554357B1 (ko) 2014-06-30 2014-06-30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33A KR101554357B1 (ko) 2014-06-30 2014-06-30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357B1 true KR101554357B1 (ko) 2015-09-21

Family

ID=5424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633A KR101554357B1 (ko) 2014-06-30 2014-06-30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3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62B1 (ko) * 2016-06-03 2017-01-09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KR101723465B1 (ko) * 2016-04-20 2017-04-06 (주)디자인고을 데크 지지장치
KR101759666B1 (ko) * 2016-04-27 2017-07-19 유한회사 삼신기업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20200102104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우성산업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102219006B1 (ko) *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65Y1 (ko) * 2001-12-17 2002-03-15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JP2006265899A (ja) * 2005-03-23 2006-10-05 Daimei Kk 足場構築方法
KR101083303B1 (ko) * 2011-05-16 2011-11-14 (주)에이치앤디건설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65Y1 (ko) * 2001-12-17 2002-03-15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JP2006265899A (ja) * 2005-03-23 2006-10-05 Daimei Kk 足場構築方法
KR101083303B1 (ko) * 2011-05-16 2011-11-14 (주)에이치앤디건설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65B1 (ko) * 2016-04-20 2017-04-06 (주)디자인고을 데크 지지장치
KR101759666B1 (ko) * 2016-04-27 2017-07-19 유한회사 삼신기업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691562B1 (ko) * 2016-06-03 2017-01-09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KR20200102104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우성산업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102219006B1 (ko) *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357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EP1728924B1 (en) Device for holding sliding masses or bodies
US3390865A (en) Safety fences
KR101450716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707139B1 (ko)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1009538B1 (ko) 충격흡수 안전휀스
KR101928486B1 (ko) 휀스
KR200468253Y1 (ko)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2091924B1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JP2014077230A (ja) 防護柵および防護柵の設置方法
KR101283014B1 (ko)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JP2014001523A (ja) 防護柵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1611345B1 (ko) 교량용 난간
US20140203229A1 (en) Pedestrian and vehicle barrier
JP2015071856A (ja) 防止柵
KR100680819B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 구조
JP2011069193A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3964559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JP4349753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200435422Y1 (ko) 교량 안전 난간 설치용 지주 보조대
KR100686698B1 (ko) 도로 방호 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KR101611344B1 (ko) 교량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