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345B1 - 교량용 난간 - Google Patents

교량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345B1
KR101611345B1 KR1020150163671A KR20150163671A KR101611345B1 KR 101611345 B1 KR101611345 B1 KR 101611345B1 KR 1020150163671 A KR1020150163671 A KR 1020150163671A KR 20150163671 A KR20150163671 A KR 20150163671A KR 101611345 B1 KR101611345 B1 KR 10161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upling
plate
reinforcing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근모
Original Assignee
동신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공영(주) filed Critical 동신공영(주)
Priority to KR102015016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와 레일 사이에 레일을 보강하도록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지주에 2열로 배치되면서 전방은 반원형으로 돌출된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대칭구조로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복수 개의 제1볼트공이 형성된 “ㄴ”형 제1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내측에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획되도록 전방 내측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 단부에 연결되어 제1결합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제1결합편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주하면서 제1결합편의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공이 형성된 “ㄷ”형 제2결합편이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에 형성된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볼트공이 형성된 제3결합편이 삽입홈으로 내속되는 보조레일과, 상기 지주 전방에 위치한 상기 보조레일이 삽입된 레일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을 수용하도록 전방 상측 및 하측에 결속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속부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결합편의 제1볼트공과 제2결합편의 제2볼트공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제4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과 하측의 결속부 사이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레일의 제2결합편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1보강부재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볼트가 관통하는 제5볼트공이 형성되면서 지주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일측면이 지주의 외주형상에 대조되는 형상을 가진 제1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각각 대칭구조의 “
Figure 112016007179612-pat00004
”형의 제4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편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에 내속되면서 제1보강부재의 상부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량용 난간{Guardrail for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와 레일 사이에 레일을 보강하도록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철길 및 도로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설치할 때는 교량을 설치하여 차량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양측단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운행 중인 차량이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은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주를 고정 설치한 후, 그 지주의 상단에는 가드빔을 설치하고, 그 하측의 지주 중간에는 가드레일을 설치하였으나, 상기 지주 중간에 설치된 가드레일은 철판을 두 개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지주에 고정한 것이므로 교량 위나 고가도로 위를 달리던 차량이 과속운전이나 졸음운전 또는 결빙에 의한 미끄러짐 등으로 인하여 난간의 가드빔과 가드레일이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심하게 파손되거나 지주에서 떨어져 나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차량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아래로 떨어져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0253호(발명의 명칭 : 교량 및 도로용 난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레일에 제1보강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제1, 2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용이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주와 레일 사이에 제1보강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제1, 2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제1보강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제1, 2보강부재가 지주와 이웃하는 레일 사이에서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레일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감소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인명피해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량의 양쪽 또는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차량의 이탈 및 사고를 방지하는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교량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 상부에 안착되는 지주와,
상기 복수의 지주에 2열로 배치되면서 전방은 반원형으로 돌출된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대칭구조로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복수 개의 제1볼트공이 형성된 “ㄴ”형 제1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내측에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획되도록 전방 내측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 단부에 연결되어 제1결합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제1결합편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주하면서 제1결합편의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공이 형성된 “ㄷ”형 제2결합편이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에 형성된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볼트공이 형성된 제3결합편이 삽입홈으로 내속되는 보조레일과,
상기 지주 전방에 위치한 상기 보조레일이 삽입된 레일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을 수용하도록 전방 상측 및 하측에 결속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속부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결합편의 제1볼트공과 제2결합편의 제2볼트공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제4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과 하측의 결속부 사이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레일의 제2결합편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1보강부재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볼트가 관통하는 제5볼트공이 형성되면서 지주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일측면이 지주의 외주형상에 대조되는 형상을 가진 제1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각각 대칭구조의 “
Figure 112015113673810-pat00001
”형의 제4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편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에 내속되면서 제1보강부재의 상부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도록 수직의 지지봉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이 형성되는 지주보강결합부와,
상기 지주고정판 상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지주의 하부 내부로 내속되며, 중앙에 지주보강결합부의 지지봉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에 연통되어 제1끼움홈 외측으로 지지봉 외주에 형성된 날개편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결합돌부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보강결합부의 날개편 하단이 위치한 지지봉이 하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하향 연장된 지지봉의 하단이 결속되도록 결합돌부의 제1끼움홈에 연통 되어 대면되는 지주고정판 일면에 관통된 제3끼움홈이 형성되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레일에 제1보강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제1, 2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용이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지주와 레일 사이에 제1보강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제1, 2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제1보강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제1, 2보강부재가 지주와 이웃하는 레일 사이에서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레일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감소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인명피해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된 단면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레일과 보조레일 사시도(a)(c) 및 단면도(b)(d)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레일과 보조레일의 배면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제1보강부재 정면사시도(a)와 배면사시도(b)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연결부재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된 단면사시도(a)와 단면도(b)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제2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 사시도(a)(c) 및 단면도(b)(d)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제2보강부재의 배면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지주와 지주보강판에 지주보강결속부가 설치되는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결합돌부가 구비된 지주보강판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지주고정판에 지주보강결합부의 지지봉이 설치되는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분리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10)은 교량의 양쪽 또는 중앙에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150) 상부에 수직으로 안착되는 지주(100), 상기 지주(100) 사이를 연결하여 2열로 배치되는 레일(200a) 및, 상기 지주(100)와 레일(200a) 사이에 설치되는 제1보강부재(400)와 연결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주(100)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할 레일(200a), 제1보강부재(400) 및 연결부재(50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지주(100) 하단에 고정되어 지지하면서 지반에 고정되는 지주고정판(150)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고정판(150)에 중앙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지주(1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레일(200a)에 차량이 충돌될 때에 레일(200a)에서 전달된 충격을 받아주고 레일(200a)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탱해 줄 수 있다.
상기 지주(100)는 원형 파이프이며, 교량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주(100) 하단부는 지주고정판(150)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부는 지주고정판(150)에서 노출되어 있어서 레일(200a)과 결합된 제1보강부재(300)와 연결부재(4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고정판(150)으로 노출된 상부 지주(100)의 일측에는 도로 쪽인 전방에서 반대편인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지주(100)가 지반에 고정된 지주고정판(15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00a)은 차량이 직접 충돌되는 부분으로, 도로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지주(100) 전방에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레일(200a)은 다수 개의 지주(100)에 2열로 배치되며, 도로의 환경에 따라 3열 또는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 시에 파손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증가된다. 또한, 차량 별로 다른 높이에도 대응할 수 있어서,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이탈 및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레일(200a)은 전방은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완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대칭구조로 연결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복수 개의 제1볼트공(221)이 형성된 “ㄴ”형 제1결합편(220)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210) 내측에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로 구획되도록 전방 내측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는 구획판(230)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230) 단부에 연결되어 제1결합편(2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제1결합편(220) 하부에 삽입홈(26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60)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주하면서 제1결합편(220)의 제1볼트공(221)에 대응되는 제2볼트공(241)이 형성된 “ㄷ”형 제2결합편(24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레일(200a)의 전방은 반원형 또는 곡선형의 볼록형태로 돌출된 완충부(210)를 가지며, 상기 완충부(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대칭구조로 연결되는 “ㄴ”형 제1결합편(220)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2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결합편(220)과 상기 완충부(2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결합편(220)은 상호 상하 대칭형태로 완충부(210)에 연결된다.
상기 제1결합편(220)은 상기 완충부(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면(223)과 상기 수직면(223)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면(222)으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210)의 후방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제1결합편(220)의 수평면(222)에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복수 개의 제1볼트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210) 내측에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로 구획되도록 전방 내측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는 구획판(230)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210)의 내측 중앙으로 수평 연장되는 구획판(230)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230)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2공간부(250a, 250b)는 레일(200a)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30)의 단부에 연결되는 “ㄷ”형 제2결합편(240)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편(2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면하는 제1결합편(220)의 수평면(222) 사이에 각각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삽입홈(2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편(240)의 폭은 제1결합편(220)의 수평면(222)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편(220)의 수평면(222)에 형성된 제1볼트공(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공(241)이 제2결합편(24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수평의 면에 각각 연통하여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레일(200a)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상기 완충부(210), 제1결합편(220), 구획판(230) 및 제2결합편(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200a)의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 내부에 내속되며, 상기 레일(200a) 내부에 한쌍의 보조레일(300)이 대칭구조로 삽입되어 레일(200a)의 충격 또는 강성을 보강하는 보조레일(300)이 포함되며, 상기 보조레일(300)은 상기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에 형성된 제1볼트공(221)에 대응되는 제3볼트공(311)이 형성된 제3결합편(310)이 삽입홈(260)으로 내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조레일(300)은 레일(200a)의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에 내속되되, 상기 제1, 2공간부(250a, 250b)의 내주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제1, 2공간부(250a, 250b)의 크기에 비해 협소한 크기로 보조레일(300)이 형성되어 레일(200a)의 제1, 2공간부(250a, 250b)로 내속된다.
상기 보조레일(300)의 후방에 제3결합편(310)이 형성되어 레일(200a)의 삽입홈(260)으로 내속되면서 상기 제1결합편(220)의 제1볼트공(221)에 대응되는 제3볼트공(311)이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보강부재(400)는 차량과 지주(100)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물로, 레일(200a)이 이웃하는 각 지주(100)에는 한 쌍의 제1보강부재(400)가 상하로 설치되고, 한 쌍의 제1보강부재(400)는 지주(100)와 2열로 배치된 레일(200a)과 연결부재(500) 사이에 개재된다. 제1보강부재(400)는 레일(200a)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을 견딤으로써,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1보강부재(400)는 레일(200a)과 후술되는 연결부재(50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이므로, 지주(100)와 레일(200a)만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레일 시설물에 연결부재(500) 또는 단독으로 추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400)는 상기 지주(100) 전방에 위치한 상기 보조레일(300)이 삽입된 레일(200a)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을 수용하도록 전방 상측 및 하측에 결속부(410)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속부(410)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결합편(220)의 제1볼트공(221)과 제2결합편(240)의 제2볼트공(241)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제4볼트공(411)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과 하측의 결속부(410) 사이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레일(200a)의 제2결합편(240)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420)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보강부재(400)는 레일(200a))의 후방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제1결합편(220)을 수용하도록 전방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속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410) 사이에 레일(200a)의 제2결합편(224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410)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결합편(220)의 제1볼트공(221)에 대응하는 제4볼트공(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부재(400)의 상부와 하부 즉, 상측의 결속부(410) 상면 단부와 하측의 결속부(410) 하면 단부가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면(412)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412)의 단부는 제1결합편(220)의 수직면(22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재(400)는 보조레일(300)이 내속된 레일(200a)의 제1, 2결합편(220. 240) 및 보조레일(300)의 제3결합편(310)을 일체로 체결하여 레일(200a)과 보조레일(300)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레일(200a)의 차량 충돌시 레일(200a)의 변형과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보강부재(400)의 상측과 하측의 결속부(410)와 중앙의 돌출부(420)가 지그재그형태의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제1보강부재(400) 자체의 변형과 비틀림의 반발력이 강하여 레일(200a)의 상하 비틀림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가져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은 도 3의 교량용 난간 설치 단면구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레일(300)이 내속된 레일(200a)과 제1보강부재(400)의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레일(200a)의 제1공간부(250a)와 제2공간부(250b)로 각각 보조레일(300)을 내속시켜 보조레일(300)의 제3결합편(310)이 레일(200a)의 삽입홈(260)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상기 제1보강부재(400)를 레일(200a)의 후방에 위치하여 결속되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400)의 결속부(410)에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을 내속시키면서 레일(200a)의 제2결합편(240) 내부로 제1보강부재(400)의 돌출부(420)를 내속시켜 레일(200a) 후방에 제1보강부재(40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볼트를 제1보강부재(400)의 제4볼트공(411), 레일(200a)의 제1볼트공(221) 및 보조레일(300)의 제3볼트공(311)을 통과하여 제1보강부재(400)의 돌출부(420) 내측으로 돌출되어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레일(200a)의 제1, 2결합편(220, 240)에 형성된 제1, 2볼트공(221, 241)과 보조레일(300)의 제3결합편(310)에 형성된 제3볼트공(311)은 레일(200a)의 제1, 2공간부(250a, 250b)에 내속된 보조레일(300)을 결속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게 되며, 이때 상기 지주(100)에 전방에 위치하여 레일(200a)과 제1보강부재(400)를 결합시 지주(100) 전방에 위치한 레일(200a) 제1, 2결합편(220, 240)의 제1, 2볼트공(221, 241), 보조레일(300) 제3결합편(310)의 제3볼트공(311) 및 제1보강부재(400)의 제4볼트공(411)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보조레일(300)이 내속된 레일(200a)에 제1보강부재(400)가 체결된 구조를 지주(100)에 결합하면서 레일(200a)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이 제1보강부재(400)를 통해 견디면서 전달되는 충돌을 완화 및 흡수함으로써,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제1보강부재(400)와 지주(1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00)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볼트가 관통하는 제5볼트공(511)이 형성되면서 지주(100)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일측면이 지주(10))의 외주형상에 대조되는 형상을 가진 제1체결판(510)과 상기 제1체결판(51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각각 대칭구조의 “
Figure 112015113673810-pat00002
”형의 제4결합편(520)이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편(520)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에 내속되면서 제1보강부재(400)의 상부 전방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수직형 제1체결판(510)과 상기 제1체결판(510) 상측과 하측에 제4결합편(520)이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체결판(510)의 후방은 지주에 면접되도록 지주의 외주면 형상에 대조되는 형태의 내측으로 오목형태를 가지며 중앙에 제5볼트공(511)이 형성되어 지주(100)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101)에 볼트를 관통하여 지주(100) 후방에 너트를 체결하여 연결부재(500)를 지주(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00)의 제4결합편(520)에 형성된 절곡된 단부가 상기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 내측에 위치한 제1보강부재(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직 연장된 연장면(412)과 제1결합편(220)의 수직면(22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200a)에 제1보강부재(400)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 상기 연결부재(500)의 제4결합편(520)의 절곡된 단부를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 내측에 위치시켜 긴밀히 밀착하여 연결부재(500)가 레일(200a)의 제1결합편(220) 내측에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교량용 난간의 실시예로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8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의 양쪽 또는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차량의 이탈 및 사고를 방지하는 교량용 난간(10)에 있어서, 교량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150) 상부에 안착되는 지주(100)와;, 상기 복수의 지주(100)에 2열로 배치되면서 전측의 수직판(201), 상기 수직판(201) 상단과 하단을 각각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판(202)으로 구성되는 레일(200b);과, 상기 레일(200b)의 후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주(100)의 외주면에 면접되어 후측면이 지주(100)의 외주형상에 대조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중앙 일면에 볼트가 관통되는 제6볼트공(711)이 형성된 제2체결판(710)과 상기 제2체결판(7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으로 절곡되어 전측 일부가 레일(200b)의 수평판(202) 상부와 하부로 배치되는 수평지지판(720)과 상기 레일(200b)의 수평판(202) 단부가 면접되어 단속되도록 상기 제2체결판(710)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수평지지판(720) 각각의 상면과 하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제1결합공(731)이 형성된 수직지지판(730)을 포함하는 제2보강부재(700);와, 상기 레일(200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일(200b)의 수평판(202)에 면접되는 보강판(810)과 상기 보강판(810)의 전측에서 절곡되어 레일(200b)의 수직판(201) 정면 일부를 면접하는 제1보강결속판(820)과 상기 보강판(810)의 후측에서 절곡되어 제2보강부재(700)의 수직지지판(730)에 면접되면서 제1결합공(7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831)이 형성된 제2보강결속판(830)을 포함하는 제3보강부재(800); 구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00b)은 차량이 직접 충돌되는 부분으로, 도로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지주 전방에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레일(200b)은 다수 개의 지주(100)에 2열로 배치되며, 도로의 환경에 따라 3열 또는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 시에 파손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증가된다. 또한, 차량 별로 다른 높이에도 대응할 수 있어서,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이탈 및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일(200b)은 전측의 수직판(201)과 상기 수직판(201) 상단과 하단을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판(20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보강부재(700)는 차량과 지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물로, 각 지주(100)에는 2열의 상하 레일(200b)에 각각 제2보강부재(700)가 설치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700)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와 이웃하는 2열로 배치된 레일(200b) 사이에 위치하여 개재된다. 제2보강부재(700)는 레일(200b)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을 견디면서 충돌에너지에 의해 레일(200b)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완화 및 흡수함으로써,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2보강부재(700)는 지주(100)에 이웃하는 레일(200b)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200b)과 지주(10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이므로, 지주(100)와 레일(200b)만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레일 시설물에 단독 또는 후술되는 제3보강부재(800)를 추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700)는 상기 레일(200b)의 후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주(100)의 외주면에 면접되어 후측면이 지주(100)의 외주형상에 대조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중앙 일면에 볼트가 관통되는 제6볼트공(711)이 형성된 제2체결판(710)과 상기 제2체결판(7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으로 절곡되어 전측 일부가 레일(200b)의 수평판(202) 상부와 하부로 배치되는 수평지지판(720)과 상기 레일(200b)의 수평판(202) 단부가 면접되어 단속되도록 상기 제2체결판(710)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수평지지판(720) 각각의 상면과 하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제1결합공(731)이 형성된 수직지지판(73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2보강부재(700)는 전측의 수직형 제2체결판(710), 상기 제2체결판(710)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절곡 수평 연장되는 수평지지판(720) 및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판(72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는 수직지지판(730)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체결판(710)의 후면은 지주(100)의 외주면에 대조되는 형태의 오목한 형태를 가지면서 중앙에 볼트가 관통되는 제6볼트공(71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판(710)이 면접되는 지주(100)의 일면에 제6볼트공(7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공(101)으로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너트로 체결하여 제2보강부재(700)를 체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판(720)의 전측부 즉, 전단에서 수직지지판(730)이 형성된 위치까지 레일(200b)의 내측으로 내속되면서 레일(200b)의 수평판(202) 하면에 면접되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판(730)은 레일(200b)의 수평판(202) 후단을 차단하여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수직지지판(730)의 길이방향으로 볼트가 관통되는 이격된 다수개의 제1결합공(73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보강부재(800)는 차량과 지주의 직접적인 충돌에 대해 레일(200b)과 제2보강부재(700)가 지주(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물로, 각 지주(100)에는 2열의 상하 레일(200b)에 각각 대칭구조로 한 쌍씩 제3보강부재(800)가 설치되고, 상기 제3보강부재(800)는 레일(200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3보강부재(800)는 레일(200b)의 상부 수평판(202) 상면과 하부 수평판(202) 하면에 면접되면서 각각의 제3보강부재(800)가 레일(200b)의 수직판(201)을 결속 면접되어 제2보강부재(700)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레일(200b)로 차량이 충돌시 레일(200b)과 제2보강부재(700)가 변형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보강부재(800)는 상기 레일(200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레일(200b)의 수평판(202)에 면접되는 보강판(810)과 상기 보강판(810)의 전측에서 절곡되어 레일(200b)의 수직판(201) 정면 일부를 면접하는 제1보강결속판(820)과 상기 보강판(810)의 후측에서 절곡되어 제2보강부재(700)의 수직지지판(730)에 면접되면서 제1결합공(7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831)이 형성된 제2보강결속판(83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보강부재(800)는 수평의 평평한 면을 가지는 보강판(810), 상기 보강판(810) 전측 단부에서 수직 절곡된 제1보강결속판(820) 및 상기 보강판(810) 후측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제2보강결속판(830)으로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강판(810)은 레일(200b)의 수평판(202) 상면에 면접되며, 상기 제1보강결속판(820)은 레일(200b)의 수직판(201) 정면에 면접되며, 상기 제2보강결속판(830)은 제2보강부재(700)의 수직지지판(730) 정면에 면접된다.
상기 제2보강결속판(830)이 제2보강부재(700)의 수직지지판(730)에 면접되면서 상기 제2보강결속판(830)에 상기 수직지지판(730)의 제1결합공(7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83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보강부재(800)의 제1보강결속판(820)이 레일(200b)의 수직판에 면접되면서 제2보강결속판(830)의 제2결합공(831)을 통해 제2보강부재(700) 수직지지판(730)의 제1결합공(731)으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제3보강부재(800)를 고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레일(200b)의 수평판(202)이 제3보강부재(800)의 보강판(810)과 제2보강부재(700)의 수평지지판(720) 사이에 마련되어 볼트를 체결시 보강판(810)과 수평지지판(720)이 레일(200b)의 수평판(202)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결속하게 된다.
또한,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에 차량이 충돌시 보강하도록 지주(100) 내부에 지주보강결합부(600)가 더 포함하게 되도록 상기 지주(100)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도록 수직의 지지봉(610)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620)이 형성되는 지주보강결합부(600)와,
상기 지주고정판(150) 상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지주(100)의 하부 내부로 내속되며, 중앙에 지주보강결합부(600)의 지지봉(610)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1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제1끼움홈(161) 외측으로 지지봉(610) 외주에 형성된 날개편(620)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제2끼움홈(162)이 형성되는 결합돌부(160)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난간(10)을 제공한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600)는 지주(10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내속되면서 수직형 지지봉(61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620)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가 지주고정판(15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면서 지주(100) 하단부 내부에 내속되면 지주고정판(150) 상면 중앙에 돌출된 결합돌부(160)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부(160)에 상기 지지봉(610) 하부가 내속되도록 중앙에 제1끼움홈(161)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날개편(620)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다수 개의 제2끼움홈(162)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600)의 지지봉(610) 하부와 날개편(620) 하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돌부(160)의 중앙에 제1끼움홈(161)과 상기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외측으로 전개된 제2끼움홈(16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주(100) 내부에 내속된 지주보강결합부(600)가 지주고정판(150)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결합돌부(160)에 결합되어 차량이 지주(100)에 충돌시 지주(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의 내부로 내속된 지주보강결합부(600)가 견고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봉(610)의 하단부가 결합돌부(160)의 제1끼움홈(161)을 통과하여 지주고정판(150)에 결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600)의 날개편(620) 하단이 위치한 지지봉(610)이 하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하향 연장된 지지봉(610)의 하단이 결속되도록 결합돌부(160)의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대면되는 지주고정판(150) 일면에 관통된 제3끼움홈(151)이 형성되는 교량용 난간(10)을 제공한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600)의 지지봉(610)이 날개편(620) 하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지지봉(610)의 하단부가 결합돌부(160)의 제1끼움홈(161)을 통과하면서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지주고정판(150) 중앙을 관통된 제3끼움홈(151)으로 내속되어 지주보강결합부(600)가 지주(100) 내부에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교량용 난간 10 지주 100 결합돌부 160
레일 200a, 200b 완충부 210 제1결합편 220
제1볼트공 221 구획판 230 제2결합편 240
제2볼트공 241 제1, 2공간부 250a 250b 보조레일 300
제3결합편 310 제3볼트공 311 제1보강부재 400
결속부 410 제4볼트공 411 돌출부 420
연결부재 500 제1체결판 510 제5볼트공 511
제4결합편 520 지주보강결합부 600 지지봉 610
날개편 620 제2보강부재 700 제2체결판 710
제6볼트공 711 수평지지판 720 수직지지판 730
제1결합공 731 제3보강부재 800 보강판 810
제1보강결속판 820 제2보강결속판 830 제2결합공 831

Claims (3)

  1. 교량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 상부에 안착되는 지주;와, 상기 복수의 지주에 2열로 배치되면서 전방은 반원형으로 돌출된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대칭구조로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복수 개의 제1볼트공이 형성된 “ㄴ”형 제1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내측에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획되도록 전방 내측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 단부에 연결되어 제1결합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제1결합편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주하면서 제1결합편의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공이 형성된 “ㄷ”형 제2결합편이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에 형성된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볼트공이 형성된 제3결합편이 삽입홈으로 내속되는 보조레일;과, 상기 지주 전방에 위치한 상기 보조레일이 삽입된 레일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을 수용하도록 전방 상측 및 하측에 결속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속부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결합편의 제1볼트공과 제2결합편의 제2볼트공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제4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과 하측의 결속부 사이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레일의 제2결합편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재; 및, 상기 제1보강부재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볼트가 관통하는 제5볼트공이 형성되면서 지주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일측면이 지주의 외주형상에 대조되는 형상을 가진 제1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각각 대칭구조의 “
    Figure 112016007179612-pat00003
    ”형의 제4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편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레일의 제1결합편에 내속되면서 제1보강부재의 상부 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도록 수직의 지지봉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이 형성되는 지주보강결합부와,
    상기 지주고정판 상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지주의 하부 내부로 내속되며, 중앙에 지주보강결합부의 지지봉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에 연통되어 제1끼움홈 외측으로 지지봉 외주에 형성된 날개편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결합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보강결합부의 날개편 하단이 위치한 지지봉이 하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하향 연장된 지지봉의 하단이 결속되도록 결합돌부의 제1끼움홈에 연통 되어 대면되는 지주고정판 일면에 관통된 제3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KR1020150163671A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KR10161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671A KR101611345B1 (ko)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671A KR101611345B1 (ko)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345B1 true KR101611345B1 (ko) 2016-04-12

Family

ID=558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671A KR101611345B1 (ko)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6468A1 (en) * 2016-05-19 2017-11-22 ETI Ltd. Traffic barrier structure
CN110106784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桥梁防护栏结构
CN112758247A (zh) * 2020-12-31 2021-05-07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适用于尾焰影响区域的固定式栏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23B1 (ko) * 2012-12-14 2013-06-28 문영주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23B1 (ko) * 2012-12-14 2013-06-28 문영주 가드레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6468A1 (en) * 2016-05-19 2017-11-22 ETI Ltd. Traffic barrier structure
CN107401133A (zh) * 2016-05-19 2017-11-28 株式会社Eti 车辆用防护栏
CN107401133B (zh) * 2016-05-19 2020-05-19 株式会社Eti 车辆用防护栏
CN110106784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桥梁防护栏结构
CN112758247A (zh) * 2020-12-31 2021-05-07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适用于尾焰影响区域的固定式栏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KR101611345B1 (ko) 교량용 난간
KR101265774B1 (ko) 가이드레일의 보강구조
KR101611344B1 (ko) 교량용 난간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JP2018021330A (ja) 橋梁用防護柵
KR101835859B1 (ko) 다이크용 가드레일 지주 보강구조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102079617B1 (ko) 지주와 캡의 결합구조
KR101351635B1 (ko) 안전 가드레일 기초부
KR101253074B1 (ko) 차량충돌 완충가드레일
KR101948987B1 (ko) 가드레일 지주 구조체
JP6652462B2 (ja) 橋梁用防護柵
KR101353774B1 (ko) 보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0711965B1 (ko) 충격흡수용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KR100960527B1 (ko) 교량 난간 조립체
KR101585733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585734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535235B1 (ko)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을 통한 이중 충격흡수 고강도 빔 가드레일
KR101164944B1 (ko)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부재
KR102429710B1 (ko) 차량 충격 완충장치
KR20180009905A (ko) 개량형 가드레일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KR100887193B1 (ko) 철재난간의 충격완화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