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344B1 - 교량용 난간 - Google Patents

교량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344B1
KR101611344B1 KR1020150163672A KR20150163672A KR101611344B1 KR 101611344 B1 KR101611344 B1 KR 101611344B1 KR 1020150163672 A KR1020150163672 A KR 1020150163672A KR 20150163672 A KR20150163672 A KR 20150163672A KR 101611344 B1 KR101611344 B1 KR 10161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ail
reinforcing member
flat portio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숙
Original Assignee
중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호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와 레일 사이에서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지주 전방에 위치한 레일 내측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는 제1평부와 상기 제1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제1평부 내측으로 상향과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평부 내측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면서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1보강부재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진 제2평부와 상기 제2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향과 하향 절곡되어 제2평부 내측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와 상기 제2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제2평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와 좌우로 이격 배치되며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이 형성된 제3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보강부재; 및, 상기 제2보강부재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보강부재의 제3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체결공이 형성된 제3평부와 상기 제3평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대칭구조로 수평 절곡되어 제2보강부재의 제2체결부와 제3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5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6체결공이 형성된 “
Figure 112016007188049-pat00005
”형의 제4체결부와 상기 제4체결부가 형성된 반대측 위치의 제3평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절곡 연장되면서 단부 중앙에 지주의 외주면을 결속 면접하도록 지주결속홈이 형성된 제5체결부를 포함하는 제3보강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량용 난간{Guardrail for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와 레일 사이에서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철길 및 도로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설치할 때는 교량을 설치하여 차량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양측단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운행 중인 차량이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양측부에 설치된 난간은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주를 고정 설치한 후, 그 지주의 상단에는 가드빔을 설치하고, 그 하측의 지주 중간에는 가드레일을 설치하였으나, 상기 지주 중간에 설치된 가드레일은 철판을 두 개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지주에 고정한 것이므로 교량 위나 고가도로 위를 달리던 차량이 과속운전이나 졸음운전 또는 결빙에 의한 미끄러짐 등으로 인하여 난간의 가드빔과 가드레일이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심하게 파손되거나 지주에서 떨어져 나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차량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아래로 떨어져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0253호(발명의 명칭 : 교량 및 도로용 난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를 연결하는 레일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용이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주와 레일 사이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보강부재를 이웃하는 지주와 레일 사이에서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레일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감소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인명피해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량의 양쪽 또는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차량의 이탈 및 사고를 방지하는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교량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 상부에 안착되는 지주와;
상기 복수의 지주에 2열로 배치되면서 전측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 상단과 하단을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레일과,
상기 지주 전방에 위치한 레일 내측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는 제1평부와 상기 제1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제1평부 내측으로 상향과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평부 내측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면서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1보강부재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진 제2평부와 상기 제2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향과 하향 절곡되어 제2평부 내측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와 상기 제2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제2평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와 좌우로 이격 배치되며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이 형성된 제3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보강부재의 제3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체결공이 형성된 제3평부와 상기 제3평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대칭구조로 수평 절곡되어 제2보강부재의 제2체결부와 제3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5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6체결공이 형성된 “
Figure 112015113674013-pat00001
”형의 제4체결부와 상기 제4체결부가 형성된 반대측 위치의 제3평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절곡 연장되면서 단부 중앙에 지주의 외주면을 결속 면접하도록 지주결속홈이 형성된 제5체결부를 포함하는 제3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환봉형의 완충봉이 다수 개 적층구조로 배치되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도록 수직의 지지봉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이 형성되는 지주보강결합부와,
상기 지주고정판 상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지주의 하부 내부로 내속되며, 중앙에 지주보강결합부의 지지봉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에 연통되어 제1끼움홈 외측으로 지지봉 외주에 형성된 날개편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결합돌부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보강결합부의 날개편 하단이 위치한 지지봉이 하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하향 연장된 지지봉의 하단이 결속되도록 결합돌부의 제1끼움홈에 연통 되어 대면되는 지주고정판 일면에 관통된 제3끼움홈이 형성되는 교량용 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를 연결하는 레일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용이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지주와 레일 사이에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보강부재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이웃하는 레일 사이에서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레일의 반발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감소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인명피해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된 단면사시도(a)와 단면도(b)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조립된 평면도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레일의 정면사시도(a)와 배면사시도(b)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제1보강부재와 제보강부재의 사시도(a)(c) 및 단면도(b)(d)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제2보강부재의 배면사시도(a)와 제3보강부재의 사시도(b)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제3보강부재의 배면사시도(a)와 단면도(b)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지주와 지주보강판에 지주보강결속부가 설치되는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결합돌부가 구비된 지주보강판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지주고정판에 지주보강결합부의 지지봉이 설치되는 조립구조를 설명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사시도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분리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난간(10)은 교량의 양쪽 또는 중앙에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150) 상부에 수직으로 안착되는 지주(100), 상기 지주(100) 사이를 연결하여 2열로 배치되는 레일(200) 및, 상기 지주(100)와 레일(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주(100)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할 레일(200), 제1보강부재(300), 제2보강부재(400) 및 제3보강부재(50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지주(100) 하단에 고정되어 지지하면서 지반에 고정되는 지주고정판(150)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고정판(150)에 중앙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지주(1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레일(200)에 차량이 충돌될 때에 레일(200)에서 전달된 충격을 받아주고 레일(20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탱해 줄 수 있다.
상기 지주(100)는 원형 파이프이며, 교량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주(100) 하단부는 지주고정판(150)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부는 지주고정판(150)에서 노출되어 있어서 레일(200)과 결합된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고정판(150)으로 노출된 상부 지주(100)의 일측에는 도로 쪽인 전방에서 반대편인 후방으로 관통하는 제1볼트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지주(100)가 지반에 고정된 지주고정판(15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00)은 차량이 직접 충돌되는 부분으로, 도로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지주(100) 전방에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레일(200)은 다수 개의 지주(100)에 2열로 배치되며, 도로의 환경에 따라 3열 또는 4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 시에 파손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증가된다. 또한, 차량 별로 다른 높이에도 대응할 수 있어서,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이탈 및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일(200)은 전측의 수직판(210), 상기 수직판(210) 상단과 하단을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판(220) 및 상기 수평판(220)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1체결공(231)이 형성된 걸림편(2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보강부재(300)는 차량과 지주(100)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물로, 각 지주(100)에는 2열의 상하 레일(200)에 각각 제1보강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300)는 지주(100)와 2열로 배치된 레일(200) 내측에 위치하여 개재된다. 제1보강부재(300)는 레일(200)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을 견디면서 충돌에너지에 의해 레일(200)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완화 및 흡수함으로써,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1보강부재(300)는 지주(100)에 이웃하는 레일(200)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200)과 후술되는 제2보강부재(40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이므로, 지주(100)와 레일(200)만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레일 시설물에 제2, 3보강부재(300, 400)를 추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300)는 위치한 레일(200) 내측에 설치되며, 전측의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는 제1평부(310)와 상기 제1평부(31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제1평부(310) 내측으로 상향과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평부(310) 내측에 제1수용부(311)가 형성되면서 레일(200)의 제1체결공(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2체결공(321)이 형성된 제1체결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320)는 제1평부(3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벤딩되는 곡선부(320a)와, 곡선부(320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제2체결공(321)이 마련된 수직부(320b)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320b)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후술되는 제2보강부재(400)의 제3체결부(430)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보강부재(300) 전측의 제1평부(310) 내측 즉, 후측으로 오목한 공간형태의 제1수용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재(300)의 제1평부(310)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제1체결부(320)는 레일(200)의 걸림편(230) 후측, 즉 레일(200) 내측의 걸림편(230)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편(230)에 형성된 제1체결공(231)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체결부(320)에 제2체결공(3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보강부재(400)는 제1보강부재(300)의 후방에 마주하여 개제되며, 차량과 지주(100)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물로, 제2보강부재(400)는 레일(200)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을 견디면서 충돌에너지에 의해 레일(200)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제1보강부재(300)가 완화 및 흡수하면서 제1보강부재(300)에 의해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더 보강하여 완화 및 흡수함으로써,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2보강부재(400)는 레일(200)에 차량의 충돌로 발생되는 레일(200)의 변형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200)의 결속력 지지할 뿐만 아니라 충격흡수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2보강부재(400)는 상기 제1보강부재(200)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진 제2평부(410)와 상기 제2평부(41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향과 하향 절곡되어 제2평부(410) 내측에 제2수용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200)의 제1체결공(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공(421)이 형성된 제2체결부(420)와 상기 제2평부(41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제2평부(4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420)와 좌우로 이격 배치되며 레일(200)의 제1체결공(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431)이 형성된 제3체결부(4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보강부재(400)는 전측의 제2평부(410), 상기 제2평부(410)의 상측과 하측에 절곡되어 상향 수평 연장된 제2체결부(420) 및 상기 제1평부(410)의 상측과 하측에 수직으로 더 연장되면서 단부가 제2체결부(420)의 단부에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부(430)로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보강부재(400)는 제2평부(410) 후측에 제2수용부(411)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가운데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보강부재(400)는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제2평부(410)와, 제2평부(4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향 절곡되어 후술되는 제3보강부재(500)의 제3평부(510)의 상측과 하측 및 제4체결부(520)와 결합되기 위한 제2체결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420)는 제2평부(4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벤딩되는 곡선부(420a)와, 상기 곡선부(420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보강부재(300)의 제1체결부(320)에 형성된 제2체결공(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하는 제3체결공(421)이 마련된 수직부(420b)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420b)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제2보강부재(400) 후방에 마련되는 제3보강부재(500)의 제3평부(510)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평부(410)는 수직의 평편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평부(410)의 상측과 하측으로는 제2평부(410)와 동일 수직의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3체결부(430)가 마련된다.
상기 제3체결부(430)에는 제2체결부(420)의 제3체결공(4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가 관통하는 제4체결공(431)이 마련된다.
상기 제2체결부(420)의 수직부(420b)와 제3체결부(430)는 좌우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레일(200)의 걸림편(230)과 후술되는 제3보강부재(500)의 제4체결부(520)의 단부가 내속되게 된다.
그리고, 도 2,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보강부재(500)는 제2보강부재(400)와 지주(100) 사이에 게재되며, 차량과 지주(100)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물로, 제3보강부재(500)는 레일(200)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을 견디면서 충돌에너지에 의해 레일(200)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제1, 2보강부재(300, 400)가 완화 및 흡수하면서 제3보강부재(500)에 의해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더 보강하여 완화 및 흡수함으로써, 지주(100)와 차량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지주(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전복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3보강부재(500)는 레일(200)에 차량의 충돌로 발생되는 레일(200) 및 제1, 2보강부재(300, 400)의 변형 또는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주(100)에 레일(200) 및 제1, 2보강부재(300, 400)의 결속력 지지할 뿐만 아니라 충격흡수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3보강부재(500)는 제2보강부재(400)와 지주(100) 사이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보강부재(400)의 제3체결공(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체결공(511)이 형성된 제3평부(510)와 상기 제3평부(5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대칭구조로 수평 절곡되면서 상기 절곡된 단부에 수직 절곡되어 제2보강부재(400)의 제2체결부(420)와 제3체결부(430)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5체결공(5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6체결공(521)이 형성된 “
Figure 112015113674013-pat00002
”형의 제4체결부(520)와 상기 제4체결부(520)가 형성된 반대측 위치의 제3평부(510)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 절곡 연장되면서 단부 중앙에 지주의 외주면을 결속 면접하도록 지주결속홈(531)이 형성된 제5체결부(5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보강부재(500)는 전측의 제3평부(510), 상기 제3평부(510)의 상단 전측과 하단 전측에 각각 절곡된 제4체결부(520) 및 상기 제3평부(510)의 상단 후측과 하단 후측에 각각 절곡된 제5체결부(530)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평부(510)는 수직의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체결부(520)는 제3평부(5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전측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3평부(51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의 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수평의 면 단부에 절곡되어 수직의 면으로 연장되는 “
Figure 112015113674013-pat00003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체결부(520)에서 절곡된 수직의 면이 상기 제2보강부재(400) 제2체결부(420)의 수직부(420b)와 제3체결부(430)는 좌우로 이격 배치된 소정의 공간에 내속되어지며, 이때 상기 제2보강부재(400)의 제2체결부(420)에 형성된 제3체결공(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6체결공(521)이 형성된다.
상기 제4체결부(520)의 절곡된 내측 즉, 제4체결부(520)의 절곡된 수직의 면과 상기 수직의 면에 대면하는 제3평부(510) 일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제2보강부재(400)의 제2체결부(420) 수직부(420b)가 내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평부(51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제4체결부(520)의 제6체결공(5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체결공(531)이 형성된다.
상기 제5체결부(530)는 제3평부(51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후측으로 절곡된 수평의 면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수평의 면 단부에 지주의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지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지주결속홈(531)이 형성되어 지주의 외주면에 상기 지주결속홈(531)이 긴밀히 밀착 면접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레일(200), 제1, 2, 3보강부재(300, 400,500) 및 지주(100)에 체결되는 구조를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레일(200) 내측에 마련된 제1보강부재(300)의 제1체결부(320)에 형성된 제2체결공(321)을 통해 볼트를 관통하여 제2보강부재(400)의 제3체결부(430) 제4체결공(431), 레일(200)의 걸림편(230) 제1체결공(231), 제3보강부재(500)의 제4체결부(520) 제6체결공(521), 제2보강부재(400)의 제2체결부(420) 제3체결공(421), 제3보강부재(500)의 제3평부(510) 제5체결공(511) 그리고 지주(100)의 제1볼트공(101)을 순서로 관통하여 지주(100)의 후방으로 돌출된 볼트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레일(200),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가 지주(100)에 상하로 2개의 볼트가 체결되며, 이때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의 무게중심이 되는 중앙에 형성된 제2, 3, 4, 5, 6체결공(321, 421, 431, 511, 521)에 상기 지주(100)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에 관통되는 볼트 양측의 레일(200)과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에 형성된 제1, 2, 3, 4, 5, 6체결공(231, 321, 421, 431, 511, 521)에 볼트를 관통하여 볼트의 단부가 제3보강부재(500)의 제3평부(510) 제5체결공(511)을 통해 돌출되어 너트로 체결하여 레일(200)에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를 보강 체결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311)와 제2수용부(411)에 환봉형의 완충봉(600)이 다수 개 적층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완충봉(6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 환봉형으로 상기 제1, 2수용부(311, 411)에 수직의 적층구조로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볼트를 통해 제1, 2, 3보강부재(300, 400, 500)를 체결시 상기 제1수용부(311)에 적층된 완충봉(600)이 제1보강부재(300)의 제1평부(310)와 제2보강부재(400)의 제2평부(410) 사이에 가압 밀착되어지며,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411)에 적층된 완충봉(600)이 제2보강부재(400)의 제2평부(410)와 제3보강부재(500)의 제3평부(510) 사이에 가압 밀착되어 제1, 2수용부(311, 411)에 수용된 완충봉(600)이 견고히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부재(300)의 제1체결부(320)는 상기 제1수용부(311)에 수용되는 완충봉(600)의 직경과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보강부재(400)의 제2체결부(420)는 상기 제2수용부(411)에 수용되는 완충봉(600)의 직경과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에 차량이 충돌시 보강하도록 지주(100) 내부에 지주보강결합부(700)가 더 포함하게 되도록 상기 지주(100)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도록 수직의 지지봉(710)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720)이 형성되는 지주보강결합부(700)와,
상기 지주고정판(150) 상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지주(100)의 하부 내부로 내속되며, 중앙에 지주보강결합부(700)의 지지봉(710)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1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제1끼움홈(161) 외측으로 지지봉(710) 외주에 형성된 날개편(720)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제2끼움홈(162)이 형성되는 결합돌부(160)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난간(10)을 제공한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700)는 지주(10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내속되면서 수직형 지지봉(71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720)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가 지주고정판(15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면서 지주(100) 하단부 내부에 내속되면 지주고정판(150) 상면 중앙에 돌출된 결합돌부(160)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부(160)에 상기 지지봉(710) 하부가 내속되도록 중앙에 제1끼움홈(161)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날개편(720)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면서 외측으로 다수 개의 제2끼움홈(162)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700)의 지지봉(710) 하부와 날개편(720) 하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돌부(160)의 중앙에 제1끼움홈(161)과 상기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외측으로 전개된 제2끼움홈(16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주(100) 내부에 내속된 지주보강결합부(700)가 지주고정판(150)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결합돌부(160)에 결합되어 차량이 지주(100)에 충돌시 지주(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의 내부로 내속된 지주보강결합부(700)가 견고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봉(710)의 하단부가 결합돌부(160)의 제1끼움홈(161)을 통과하여 지주고정판(150)에 결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700)의 날개편(720) 하단이 위치한 지지봉(710)이 하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하향 연장된 지지봉(710)의 하단이 결속되도록 결합돌부(160)의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대면되는 지주고정판(150) 일면에 관통된 제3끼움홈(151)이 형성되는 교량용 난간(10)을 제공한다.
상기 지주보강결합부(700)의 지지봉(710)이 날개편(720) 하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지지봉(710)의 하단부가 결합돌부(160)의 제1끼움홈(161)을 통과하면서 제1끼움홈(161)에 연통되어 지주고정판(150) 중앙을 관통된 제3끼움홈(151)으로 내속되어 지주보강결합부(700)가 지주(100) 내부에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지주 100 지주보강판 150 결합돌부 160
레일 200 수직판 210 수평판 220
걸림편 230 제1체결공 231 제1보강부재 300
제1평부 310 제1수용부 311 제1체결부 320
제2체결공 321 제2보강부재 400 제2평부 410
제2수용부 411 제2체결부 420 제3체결공 421
제3체결부 430 제4체결공 431 제3보강부재 500
제3평부 510 제2체결공 511 제4체결부 520
제6체결공 521 제5체결부 530 지주결속홈 531
완충봉 600 지주보강결합부 700 지지봉 710
날개편 720

Claims (4)

  1. 교량의 양쪽 또는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차량의 이탈 및 사고를 방지하는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교량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주고정판 상부에 안착되는 지주와;
    상기 복수의 지주에 2열로 배치되면서 전측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 상단과 하단을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레일;과,
    상기 지주 전방에 위치한 레일 내측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는 제1평부와 상기 제1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제1평부 내측으로 상향과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평부 내측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면서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1체결부로 구성되는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1보강부재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진 제2평부와 상기 제2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향과 하향 절곡되어 제2평부 내측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와 상기 제2평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제2평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와 좌우로 이격 배치되며 레일의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체결공이 형성된 제3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보강부재; 및,
    상기 제2보강부재 후방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수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보강부재의 제3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체결공이 형성된 제3평부와 상기 제3평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대칭구조로 수평 절곡되어 제2보강부재의 제2체결부와 제3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5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6체결공이 형성된 “
    Figure 112016007188049-pat00004
    ”형의 제4체결부와 상기 제4체결부가 형성된 반대측 위치의 제3평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절곡 연장되면서 단부 중앙에 지주의 외주면을 결속 면접하도록 지주결속홈이 형성된 제5체결부를 포함하는 제3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에 환봉형의 완충봉이 다수 개 적층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내부에 수직으로 축설되도록 수직의 지지봉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형 날개편이 형성되는 지주보강결합부와,
    상기 지주고정판 상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어 지주의 하부 내부로 내속되며, 중앙에 지주보강결합부의 지지봉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에 연통되어 제1끼움홈 외측으로 지지봉 외주에 형성된 날개편이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제2끼움홈이 형성되는 결합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보강결합부의 날개편 하단이 위치한 지지봉이 하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하향 연장된 지지봉의 하단이 결속되도록 결합돌부의 제1끼움홈에 연통 되어 대면되는 지주고정판 일면에 관통된 제3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KR1020150163672A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KR10161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672A KR101611344B1 (ko)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672A KR101611344B1 (ko)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344B1 true KR101611344B1 (ko) 2016-04-12

Family

ID=5580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672A KR101611344B1 (ko) 2015-11-21 2015-11-21 교량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53B1 (ko) * 2017-05-19 2018-04-25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54Y1 (ko) 2003-09-29 2003-12-24 주식회사 명성컨설턴트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101469749B1 (ko) 2014-05-23 2014-12-05 제국산업(주)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1513695B1 (ko) 2014-10-24 2015-04-2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다단 충격 흡수 개방형 방호 울타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54Y1 (ko) 2003-09-29 2003-12-24 주식회사 명성컨설턴트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101469749B1 (ko) 2014-05-23 2014-12-05 제국산업(주)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1513695B1 (ko) 2014-10-24 2015-04-2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다단 충격 흡수 개방형 방호 울타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53B1 (ko) * 2017-05-19 2018-04-25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KR101605007B1 (ko) 난간 구조물
KR101198826B1 (ko) 충격흡수 보강 방호울타리
KR101611345B1 (ko) 교량용 난간
KR101554357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11344B1 (ko) 교량용 난간
KR101630851B1 (ko)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JP6652461B2 (ja) 橋梁用防護柵
KR101452315B1 (ko)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065015B1 (ko) 자전거도로용 펜스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101838475B1 (ko) 가드레일 조립체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129472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102079617B1 (ko) 지주와 캡의 결합구조
JP6652462B2 (ja) 橋梁用防護柵
JP6410553B2 (ja) 橋梁用防護柵の設置構造、橋梁用防護柵用のベース部材、橋梁用防護柵の設置工法
KR20120001920U (ko) 도로 가드레일 결합형 보조가드레일지주
KR101948987B1 (ko) 가드레일 지주 구조체
KR101353774B1 (ko) 보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20160029447A (ko) 가드레일용 지주 보강장치
KR101476992B1 (ko) 지지력보강대와 완충연장부재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KR100960527B1 (ko) 교량 난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