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35B1 - 차량 방호울타리 - Google Patents

차량 방호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335B1
KR101215335B1 KR1020120115613A KR20120115613A KR101215335B1 KR 101215335 B1 KR101215335 B1 KR 101215335B1 KR 1020120115613 A KR1020120115613 A KR 1020120115613A KR 20120115613 A KR20120115613 A KR 20120115613A KR 101215335 B1 KR101215335 B1 KR 10121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thickness
ribs
vehic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류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11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로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들;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 중간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는 각각 관부; 상기 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 개의 육면체 형상의 리브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허니컴 리브를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 및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방호울타리의 구성 부품을 간단하게 하고, 설치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방호울타리{GUARD FENCE}
본 발명은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 방호울타리는 보통, 도로의 양쪽 가장자리와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차량 방호울타리는 차량이 도로나 교량의 상판을 주행 중에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날 경우 차량이 도로나 교량 상판의 차선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정상 주행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억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방호울타리는 교량의 상판(또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드 레일(guard rail)들과 상기 가드 레일들을 지주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열된다. 한편, 상기 가드 레일들 대신에 가드 파이프(guard pipe)들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지주들이 지면에 박힌 상태이고 가드 레일이 절곡된 철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경미한 충격은 어느 정도 흡수하면서 차량이 차량 방호울타리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나,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이 차량 방호울타리에 충돌하게 될 경우 가드 레일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파손되어 차량이 차량 방호울타리 밖으로 이탈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파손이 크게 된다.
한편, 차량 방호울타리에 차량이 충돌할 때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종개 기술의 일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462호(2006. 02. 01. 공개일)(이하, 선행자료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자료에는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 개의 지주(10)들에 차량이탈 방지부재(40,41)를 체결수단(6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차량이탈 방지부재(40,41)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50,52,54,56)가 설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자료에 개시된 기술은 다수 개의 지주들에 차량이탈 방지부재를 설치하고 그 차량이탈 방지부재에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게 되므로 구성 부품이 많고 복잡하다. 이로 인하여, 차량 방호 울타리의 조립 공정수가 많게 되어 설치 기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방호울타리의 구성 부품을 간단하게 하고, 설치 공정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로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들;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는 관부; 상기 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 및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가 제공된다.
상기 관부는 지주에 접촉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하측면부와, 상기 상,하측면부를 연결하는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부의 두께가 후면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허니컴 리브와, 상기 허니컴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사 리브들 및 수직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부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관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가 각각 삽입되는 지주 삽입구멍들과,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상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부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관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와 하면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복수 개의 고정홈이 구비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로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들;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 중간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는 각각 관부; 상기 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 및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가 구비된 차로를 차량이 주행 중에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나 차량 방호울타리에 충돌할 경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의 관부의 전면부가 휘어짐과 함께 관부에 구비된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가 변형되면서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충돌시 차량의 충돌 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키게 되므로 차량의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게 되어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충격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가 관부와 그 관부내에 구비된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에 충돌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 교량(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방호벽의 기능을 함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가 충격흡수 기능 및 방호벽 기능을 하게 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차량이탈 방지부재와 충격흡수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게 되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 방호울타리 설치시 설치 공정수를 감소시켜 설치 시간을 줄이고 구성 부품이 감소되어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의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의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일실시예는 차로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00)들;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0)들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 상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를 상기 지주(100)들에 고정하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주(100)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지주(100)는 단면이 사각 프레임 형상인 사각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100)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 관일 수도 있다.
상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는 지주(100)들의 배열 중 양쪽 지주(100)들을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위치한다. 상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는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는 복수 개의 지주(100)들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 개의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0)들 중간부에 위치한다. 복수 개의 지주(100)들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1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A)라 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0)들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B)라 한다.
상기 제1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부(210); 상기 관부(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 및 상기 관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에 결합되는 결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210)는 지주(100)에 접촉되는 후면부(211)와, 상기 후면부(211)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하측면부(212)(213)와, 상기 상,하측면부(212)(213)를 연결하는 전면부(2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부(214)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전면부(214)의 하단은 하측면부(213)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전면부(214)의 두께가 후면부(211)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측면부(212)(213)도 각각 전면부(214)쪽에서 후면부(211)쪽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두께가 얇아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복수 개의 육각형 리브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허니컴 리브(221)와, 상기 허니컴 리브(221)의 육각형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사 리브(222)들 및 수직 리브(223)들을 포함한다.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는 상기 허니컴 리브(221)의 한쪽 변을 이룬다. 상기 경사 리브(222)들은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에 대하여 60도의 사이각을 갖는다. 상기 육각형 리브들은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 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길이는 상기 관부(210)의 길이와 상응하며,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상기 관부(2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허니컴 리브(221)는 육각형 리브들이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그 육각형 리브의 열은 관부(210)의 후면부(211)에서 전면부(214)로 다수 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부(210)의 전면부(214)의 두께가 허니컴 리브(221)의 리브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허이컴 리브(221)의 리브 두께는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복수 개의 육각형 리브(224)가 서로 연결된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육각형 리브(224)는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 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육각형 리브(224)들은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그 육각형 리브(224)의 열은 관부(210)의 후면부(211)에서 전면부(214)로 다수 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부(210)의 전면부(214)의 두께가 육각형 리브(224)의 리브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육각형 리브(224)의 리브 두께는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관부(210)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 플레이트(231)와, 상기 관부(210)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플레이트(232)와, 상기 하면 플레이트(23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주 삽입구멍(233)들과, 상기 하면 플레이트(232)와 상면 플레이트(231)를 연결하는 곡면 플레이트(2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 삽입구멍(233)은 상기 지주(100)의 단면 형상과 상응하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A)는 지주 삽입구멍(233)들이 각각 지주(100)들에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주(100)들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A)의 상면 플레이트(231)와 지주(100)의 상면은 나사(301)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지주(100)의 측면과 제1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A)의 하면 플레이트(232)에 기역자 브라켓(302)이 위치하며 상기 기역자형 브라켓(302)에 복수 개의 볼트(303)가 체결되어 제1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A)와 지주(100)를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301), 기역자 브라켓(302), 복수 개의 볼트(303)들은 상기 고정유닛(300)을 구성한다.
상기 제2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B)의 제1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부(210'); 상기 관부(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 및 상기 관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에 결합되는 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210')는 지주(100)에 접촉되는 후면부(211)와, 상기 후면부(211)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하측면부(212)(213)와, 상기 상,하측면부(212)(213)를 연결하는 전면부(2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부(214)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214)의 두께가 후면부(211)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측면부(212)(213)도 각각 전면부(214)쪽에서 후면부(211)쪽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두께가 얇아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복수 개의 육각형 리브들로 이루어진 허니컴 리브(221)와, 상기 허니컴 리브(221)의 육각형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사 리브(222)들 및 수직 리브(223)들을 포함한다.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는 상기 허니컴 리브(221)의 한쪽 변을 이룬다. 상기 경사 리브(222)들은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에 대하여 60도의 사이각을 갖는다. 상기 육각형 리브는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 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길이는 상기 관부(210)의 길이와 상응하며,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상기 관부(2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허니컴 리브(221)는 육각형 리브들이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그 육각형 리브의 열은 관부(210)의 후면부(211)에서 전면부(214)로 다수 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부(210)의 전면부(214)의 두께가 허니컴 리브(221)의 리브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허이컴 리브(221)의 리브 두께는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복수 개의 육각형 리브(224)가 서로 연결된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육각형 리브는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진 복수 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육각형 리브(224)들은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그 육각형 리브(224)의 열은 관부(210)의 후면부(211)에서 전면부(214)로 다수 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부(210)의 전면부(214)의 두께가 육각형 리브(224)의 리브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육각형 리브(224)의 리브 두께는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40)는 상기 관부(210')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상면 플레이트(241)와, 상기 관부(210')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플레이트(242)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241)와 하면 플레이트(242)를 연결하며 복수 개의 고정홈(243)이 구비되는 고정 플레이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243)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B)의 결합부 고정 플레이트(240)가 지주(100)들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240)의 두 개 고정홈(243)들에 각각 볼트(304)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볼트(304)가 지주(100)를 관통된다. 상기 볼트(304)에 너트(305)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B)가 지주(100)들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 개의 볼트(304)들과 너트(305)들이 고정유닛(300)을 구성한다.
상기 제2 충격흡수용 가이드부재(200)의 제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부(210'); 상기 관부(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 및 상기 관부(210')의 연결되어 상기 지주(100)에 결합되는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210'),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는 제1 실시예의 관부(210'),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와 같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고정플레이트(251)와, 상기 관부(210')의 후면부(211)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의 후면부(211), 상부 고정플레이트(251) 그리고 하부 고정플레이트(252)가 지주(100)들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고정플레이트(251)와 하부 고정플레이트(252)에 각각 볼트(306)가 관통되고 상기 볼트(306)에 너트(307)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제2 실시예의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가 지주(100)들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 개의 볼트(306)들과 너트(307)들이 고정유닛(300)을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는 차로인 도로나 교량의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차량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가 설치된 차로를 주행 중에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나 차량 방호울타리에 충돌할 경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에 의해 차량의 충격이 흡수되어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이 차량 방호울타리에 충돌시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에 충돌하게 되며, 차량이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에 충돌하게 되면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의 관부(210)의 전면부(214)가 휘어짐과 함께 관부(210) 내부에 구비된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즉, 관부(210)의 전면부(214)의 두께 허니컴 리브의 리브두께 보다 얇으므로 관부(210)의 전면부(211)가 휘어지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이어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의 관부 전면부(214)측에 위치한 경사 리브(222)들과 허니컴 리브(221)들이 먼저 변형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수직 리브(223)들과 관부의 후면부(211)측 경사 리브(222)들과 허니컴 리브(221)들이 변형되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허니컴 리브(221)의 육각형 리브들의 열이 많을수록 충격흡수는 다단에 걸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에 충돌시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시간을 두고 충격을 점차적으로 흡수하게 되어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게 되어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충격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가 관부(210)와 그 관부(210)내에 구비된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220)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에 충돌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 교량(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방호벽의 기능을 함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200)가 충격흡수 기능 및 방호벽 기능을 함께하게 되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차량이탈 방지부재와 충격흡수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게 되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 방호울타리 설치시 설치 공정수를 감소시켜 설치 시간을 줄이고 구성 부품이 감소되어 설치 비용을 줄이게 된다.
100; 지주 200;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
210; 관부 220; 충결흡수 리브프레임부
230,240,250; 결합부

Claims (7)

  1. 차로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들;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는
    관부;
    상기 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 및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는 지주에 접촉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하측면부와, 상기 상,하측면부를 연결하는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부의 두께가 후면부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육각형 리브들이 서로 연결된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육각형 리브의 리브 두께는 상기 관부의 후면부 두께보다 얇고, 상기 관부의 전면부의 두께는 상기 육각형 리브의 리브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는 상기 육각형 리브에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사 리브들 및 수직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부의 상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관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가 각각 삽입되는 지주 삽입구멍들과,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상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7. 차로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들;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
    상기 복수 개의 지주들 중간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충격흡수겸용 가이드부재는 각각
    관부;
    상기 관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로 경사지게 연결된 다수 개의 경사 리브들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 및
    상기 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는 지주에 접촉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 연장 형성되는 상,하측면부와, 상기 상,하측면부를 연결하는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부의 두께가 후면부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충격흡수 리브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육각형 리브들이 서로 연결된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육각형 리브의 리브 두께는 상기 관부의 후면부 두께보다 얇고, 상기 관부의 전면부의 두께는 상기 육각형 리브의 리브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KR1020120115613A 2012-10-17 2012-10-17 차량 방호울타리 KR10121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13A KR101215335B1 (ko) 2012-10-17 2012-10-17 차량 방호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13A KR101215335B1 (ko) 2012-10-17 2012-10-17 차량 방호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335B1 true KR101215335B1 (ko) 2012-12-26

Family

ID=4790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613A KR101215335B1 (ko) 2012-10-17 2012-10-17 차량 방호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3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992B1 (ko) * 2014-02-21 2014-12-17 (주)효명 완충 기능을 갖는 보차도 경계용 난간
KR101473993B1 (ko) * 2014-02-21 2014-12-17 (주)효명 완충 기능을 갖는 보차도 경계용 난간의 시공방법
KR101523254B1 (ko) * 2014-12-17 2015-05-27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안전지주를 가지는 방호울타리
KR101575883B1 (ko) * 2015-09-18 2015-12-21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정보출력부를 갖는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KR20160127400A (ko) * 2015-04-27 2016-11-04 한울로드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갖는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KR20170000004A (ko) * 2015-06-22 2017-01-02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KR20170115264A (ko) * 2016-04-07 2017-10-17 한울로드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갖는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CN111622097A (zh) * 2020-04-23 2020-09-04 广西长长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路桥的防撞结构
KR20230001969A (ko) * 2021-06-29 2023-01-05 (주)세명로드 난간 충격완화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993B1 (ko) * 2014-02-21 2014-12-17 (주)효명 완충 기능을 갖는 보차도 경계용 난간의 시공방법
KR101473992B1 (ko) * 2014-02-21 2014-12-17 (주)효명 완충 기능을 갖는 보차도 경계용 난간
KR101523254B1 (ko) * 2014-12-17 2015-05-27 에스더블류도로안전 주식회사 안전지주를 가지는 방호울타리
KR20160127400A (ko) * 2015-04-27 2016-11-04 한울로드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갖는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KR101695016B1 (ko) * 2015-04-27 2017-01-11 한울로드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갖는 방호용 난간
KR101717979B1 (ko) 2015-06-22 2017-04-05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KR20170000004A (ko) * 2015-06-22 2017-01-02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KR101575883B1 (ko) * 2015-09-18 2015-12-21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정보출력부를 갖는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KR20170115264A (ko) * 2016-04-07 2017-10-17 한울로드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갖는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KR101874640B1 (ko) * 2016-04-07 2018-08-02 한울로드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 구조를 갖는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CN111622097A (zh) * 2020-04-23 2020-09-04 广西长长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路桥的防撞结构
KR20230001969A (ko) * 2021-06-29 2023-01-05 (주)세명로드 난간 충격완화장치
KR102552040B1 (ko) * 2021-06-29 2023-07-06 (주)세명로드 난간 충격완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KR10193664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345739B1 (ko) 차도용 철재난간과 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
KR101307683B1 (ko) 충격 흡수 가능한 차량용 방호책
KR101611345B1 (ko) 교량용 난간
KR101473818B1 (ko) 충격흡수식 차량용 방호울타리
JP2018021330A (ja) 橋梁用防護柵
KR100680819B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 구조
KR10129472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JP4349753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20070099909A (ko) 도로 분리 경계용 충격흡수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JP6345959B2 (ja) 衝撃吸収柵
KR20190073193A (ko)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101351197B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KR20130115559A (ko) 교량 방호벽
KR101142385B1 (ko) 충격흡수 방호울타리
KR101611344B1 (ko) 교량용 난간
KR102151520B1 (ko) 멀티레이어댐퍼 및 그것을 구비한 난간
KR101585733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KR101603568B1 (ko) 충격 흡수겸용 지주 및 그것을 구비한 난간
JP7318867B2 (ja) 防護柵およ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