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736B1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736B1
KR100847736B1 KR1020080011779A KR20080011779A KR100847736B1 KR 100847736 B1 KR100847736 B1 KR 100847736B1 KR 1020080011779 A KR1020080011779 A KR 1020080011779A KR 20080011779 A KR20080011779 A KR 20080011779A KR 100847736 B1 KR100847736 B1 KR 10084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shock absorbing
support
guard rail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호
Original Assignee
(주)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케이 filed Critical (주)엠케이
Priority to KR102008001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를 감아서 양단을 고정시켜 도로면의 전후로 이중 형성되게 하여 양단을 마감하는 와이어로프(130)와;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와이어로프(130)를 상하층별로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블록(120); 블록(120)과; 상기 와이어로프(130)의 선상으로 가이드공(141)과 완충공(142)을 각각 형성하여 설치하는 완충플레이트(140)로 구성하므로, 와이어로프의 선상으로 가이드공과 완충공이 형성된 완충플레이트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일 측방으로 이동하므로 차량과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크게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인명 피해를 억제하고 차량의 훼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지주와 지주 사이에 전후로 와이어로프 설치하고 상하층별로 와이어로프를 각각 고정하므로 지지력을 극대화하므로 차량의 충돌로 도로에서 차량이 이탈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지주와 지주 사이를 한 단위로 하여 시공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훼손시 재 설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와이어로프, 가드레일

Description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Guardrail for Impact absorption using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도로 이탈을 억제하고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는 강한 인장력을 갖추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는 각종 산업현장 및 건설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바, 대표적으로 낙석방지 관련시설물 및 가드레일 등에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가드레일을 실시 예로써 종래 와이어로프의 사용을 살펴보면, 가드레일은 주로 도로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상기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며, 상기의 목적은 해당 와이어로프가 갖는 인장 한도 범위 내에서는 통상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가드레일은 다수개의 지주를 도로의 가장자리에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지주와 지주를 상호 연결하여 길게 설치하므로 장기간 지나면 와이어로프가 늘어나가나 차단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동 등으로 인하여 훼손될 경우 가드레일 전체의 와이어로프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가드레일은 충격 흡수에 매우 취약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에너지가 차량과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크게 전달되어 심각한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지주마다 단위개념으로 와이어로프를 외, 내측으로 이중 설치하여 차량을 충돌에 따른 차량의 이탈이나 추락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가드레일은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를 감아서 양단을 고정시켜 도로면의 전후로 이중 형성되게 하여 양단을 마감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와이어로프를 상하층별로 각각 고정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와이어로프의 선상으로 가이드공과 완충공을 형성하여 설치하는 완충플레이트로 구성 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선상으로 가이드공과 완충공이 형성된 완충플레이트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일측방으로 이동하므로 차량과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크게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인명 피해를 억제하고 차량의 훼손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지주와 지주 사이에 전후로 와이어로프 설치하고 상하층별로 와이어로프를 각각 고정하므로 지지력을 극대화하므로 차량의 충돌로 도로에서 차량이 이탈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지주와 지주 사이를 한 단위로 하여 시공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훼손시 재 설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와이어로프를 사시도이고,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다른 실시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다른 실시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100)은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를 감아서 양단을 고정시켜 도로면의 전후로 이중 형성되게 하여 양단을 마감하는 와이어로프(130)와;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와이어로프(130)를 상하층별로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블록(120)과; 상기 와이어로프(130)의 선상으로 가이드공(141)과 완충공(142)을 형성하여 설치하는 완충플레이트(140)로 구성한다.
상기 지주는 상단에 캡(111)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체결공(112)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고정블록(120)은 횡방향으로 테이퍼공(121)을 형성하되 지주(110)의 체결공(112)과 대응되는 체결공(123)을 형성하고 테이퍼공(121)에 삽입되는 웨지(122)를 구비하며 체결공(112,123)을 통해 고정블록(120)을 결합하는 체결수단(124)을 구비한다.
더불어, 고정블록(120)을 지주(110)에 결합할 때 테이퍼공(121)의 직경이 작 은 측이 도로측으로 향하게 설치하여 웨지(122)가 도로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로프(130)를 상하층별로 각각 강하게 지지하여 충돌차량을 1차적으로 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정블록(120)은 지주(120)의 외주연 좌우에 결합하여 도로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이상적이고 외관을 위해 별도의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130)는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를 감아서 양단을 고정시켜 도로면의 전후로 이중 형성되게 하되 양단을 고정하여 마감하는 고정부재(1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와이어로프(130)의 앞 측은 수평으로 형성하고 뒤 측은 사선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플레이트(140)는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에 한 개 이상 설치하되 수평을 형성한 와이어로프(130)의 위치에 각각의 가이드공(141)을 형성하고 사선으로 형성된 와이어로프(130)의 위치에 각각의 완충공(142)을 형성하되 와이어로프(130)의 설치위치에 맞게 완충공(142)의 위치를 조절하여 천공한다.
또한, 완충플레이트(140)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가급적 대향 될 수 있도록 좌우를 경사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40)를 설치하는 경우 상호 대응되는 가이드공(141)과 가이드공(142), 완충공(142)과 완충공(142)을 연결파이프(143)로 각각 결합하여 복수의 완충플레이트(140)가 연동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충공(142)과 완충공(142) 사이의 연결파이프(143)는 후측 와이어로프(13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100)에 차량의 충돌이 발생할 때 자연스럽게 대각선방향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때 완충플레이트(140)와 충돌이 발생하면서 완충플레이트(140)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완충플레이트(140)가 수평의 가이드공(141)과 경사의 완충공(142)을 따라 앞 측의 수평선상의 와이어로프(130)와 후 측의 사선상의 와이어로프(130)에 가이드공(141)과 완충공(142)이 일측으로 이동하므로 상하층별의 경사가 변화하게 되어 와이어로프(130)를 더욱 당기게 되면서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완충플레이트(140)가 일측으로 이동하면 완충공(142)도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후측 와이어로프(130)의 경사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충격에너지를 상하층별에서 각각 흡수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과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최소화한다.
이와 동시에 상하층별로 각각 지지된 앞측 와이어로프(130)에 의하여 저지되고 다시 후측 와이어로프(130)에서 2차 저지된다.
이와 동시에 좌우측에 단위로 별도로 결합된 와이어로프(130)가 지주(110)를 중심으로 교차부(131)가 형성되어 꼬임 상태를 유지하므로 그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므로 차량의 이탈로 인한 추락 등의 사고를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충돌사고 시 최초 가장 많은 충격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를 완충플레이트(140)가 초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함으로 차량은 물론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나아가, 이러한 사고 발생 후 사고 지점의 훼손된 와이어로프(130)와 완충플레이트(140)만을 교체하여 수리하므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본 발명은 장기간 설치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꼬임 상태를 유지하고 단위별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단위별 각각의 와이어로프(130)를 고정블록(120)이 상하층별로 별도 지지하므로 그 지지력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낮고 그럼에도, 와이어로프(130)의 지지력이 약화되는 경우 이를 부분 보수 및 수리함으로 그 지지력을 간단하게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와이어로프를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다른 실시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의 다른 실시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드레일 110 : 지주
111 : 캡 112 : 체결공
120 : 고정블록 121 : 테이퍼공
122 : 웨지 123 : 체결공
124 : 체결수단 130 : 와이어로프
131 : 교차부 132 : 고정부재
140 : 완충플레이트 141 : 가이드공
142 : 완충공 143 : 연결파이프

Claims (5)

  1. (정정)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를 감아서 양단을 고정시켜 도로면의 전후로 이중 형성되게 하여 양단을 마감하는 와이어로프(130)와;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와이어로프(130)를 상하층별로 각각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블록(120)과; 상기 와이어로프(130)의 선상으로 가이드공(141)과 완충공(142)을 각각 형성하여 설치하는 완충플레이트(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완충플레이트(140)는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에 한 개 이상 설치하되 수평을 형성한 와이어로프(130)의 위치에 각각의 가이드공(141)을 형성하고 사선으로 형성된 와이어로프(130)의 위치에 각각의 완충공(142)을 형성하되 와이어로프(130)의 설치위치에 맞게 완충공(142)의 위치를 가변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11779A 2008-02-05 2008-02-05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84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79A KR100847736B1 (ko) 2008-02-05 2008-02-05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79A KR100847736B1 (ko) 2008-02-05 2008-02-05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736B1 true KR100847736B1 (ko) 2008-07-23

Family

ID=3982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779A KR100847736B1 (ko) 2008-02-05 2008-02-05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7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27B1 (ko) * 2008-10-15 2009-03-11 (주)엠케이 녹화 및 지지력 향상을 위한 가드레일 구조
KR101162835B1 (ko) 2010-02-02 2012-07-0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보안 및 안전펜스
KR101621015B1 (ko) * 2014-07-21 2016-05-13 (주) 금동강건 버티컬 블라인드형 도로용 차광판
CN111733736A (zh) * 2020-06-24 2020-10-02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波形梁钢护栏及其施工方法
KR102470259B1 (ko) *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31Y1 (ko) 1998-03-30 2001-06-15 강승구 와이어 은폐형 가드레일
KR100322834B1 (ko) * 1998-11-19 2002-10-19 김 복 성 자동차도로의중앙분리대장치
KR20020092830A (ko) * 2001-06-04 2002-12-12 유겐 가이샤 요시다 코조 데자인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KR200305608Y1 (ko) * 2002-11-28 2003-02-26 (주)한도엔지니어링 와이어식 충격흡수기구
KR200305609Y1 (ko) 2002-11-28 2003-02-26 (주)한도엔지니어링 완충구를 갖춘 차량가이드용 충격흡수구조물
KR200305616Y1 (ko) * 2002-11-29 2003-03-03 (주)대성종합기술공사 도로용 완충구조물
KR200315225Y1 (ko) 2003-02-28 2003-06-02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KR100575562B1 (ko) 2004-03-26 2006-05-08 (주)양지엔지니어링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31Y1 (ko) 1998-03-30 2001-06-15 강승구 와이어 은폐형 가드레일
KR100322834B1 (ko) * 1998-11-19 2002-10-19 김 복 성 자동차도로의중앙분리대장치
KR20020092830A (ko) * 2001-06-04 2002-12-12 유겐 가이샤 요시다 코조 데자인 충격흡수책(柵) 및 충격흡수방법
KR200305608Y1 (ko) * 2002-11-28 2003-02-26 (주)한도엔지니어링 와이어식 충격흡수기구
KR200305609Y1 (ko) 2002-11-28 2003-02-26 (주)한도엔지니어링 완충구를 갖춘 차량가이드용 충격흡수구조물
KR200305616Y1 (ko) * 2002-11-29 2003-03-03 (주)대성종합기술공사 도로용 완충구조물
KR200315225Y1 (ko) 2003-02-28 2003-06-02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KR100575562B1 (ko) 2004-03-26 2006-05-08 (주)양지엔지니어링 중앙분리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27B1 (ko) * 2008-10-15 2009-03-11 (주)엠케이 녹화 및 지지력 향상을 위한 가드레일 구조
KR101162835B1 (ko) 2010-02-02 2012-07-0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보안 및 안전펜스
KR101621015B1 (ko) * 2014-07-21 2016-05-13 (주) 금동강건 버티컬 블라인드형 도로용 차광판
CN111733736A (zh) * 2020-06-24 2020-10-02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波形梁钢护栏及其施工方法
CN111733736B (zh) * 2020-06-24 2021-12-03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波形梁钢护栏及其施工方法
KR102470259B1 (ko) *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065B1 (ko) 이중 방호벽
KR101053878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20080109207A (ko)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KR100619545B1 (ko)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20120025822A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가드레일
KR101778299B1 (ko) 희생부재를 구비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연결장치
KR100832790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KR20110068698A (ko) 가드레일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0888196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170330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1575883B1 (ko) 정보출력부를 갖는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KR20190073193A (ko)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0686698B1 (ko) 도로 방호 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KR101134717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2021853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CN211646156U (zh) 一种能够缓冲吸能的交通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