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559A - 교량 방호벽 - Google Patents

교량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559A
KR20130115559A KR1020120037950A KR20120037950A KR20130115559A KR 20130115559 A KR20130115559 A KR 20130115559A KR 1020120037950 A KR1020120037950 A KR 1020120037950A KR 20120037950 A KR20120037950 A KR 20120037950A KR 20130115559 A KR20130115559 A KR 2013011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eam
bridge
connecting bracket
bracke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억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559A/ko
Publication of KR2013011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평판 형태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연결부 상에 배치되며 표면에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층이 적층되는 관 형상의 가로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는 T형 볼트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지주와 연결되는 교량 방호벽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교량 방호벽에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가로보를 설치하여 충격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고, 교량 방호벽의 가로보에 복합 소재를 적용하여 충격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방호벽{Protection wall of the bridge}
본 발명은 교량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량의 증대를 위해 복합 소재층이 적용되는 가로보가 설치되는 교량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교량 양측에 방호벽이 설치되어 주행 중인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차량이 교량 하부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교량에 설치되는 방호벽에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77235호 "차량 방호 울타리"가 개시되었다.
방호벽은 교량이나 고가도로 등의 양 외측에 직접 또는 콘크리트연석과 같은 고정물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수직한 지주, 지주에 시공상의 높이에 따라 1, 2, 3단의 다단형태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보 및 이러한 가로보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가로보와 가로보 사이에 조립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충돌 시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교량 방호벽의 충격 흡수 정도가 향상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교량 방호벽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교량 방호벽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보와 지주가 이격되고 이격 공간에는 충격 완화부를 배치하여 충격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는 교량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방호벽의 가로보에 복합 소재를 적용하여 충격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는 교량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평판 형태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연결부 상에 배치되며 표면에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층이 적층되는 관 형상의 가로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는 T형 볼트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지주와 연결되는 교량 방호벽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 사이에는 충격 완화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화부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 표면의 복합 소재는 에프알피(FRP; Fiber reinforced plastic)일 수 있다.
상기 지주, 상기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가로보에는 상기 T형 볼트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로보와 지주가 이격되고 이격 공간에는 고무 재질의 충격완화부가 배치되는 교량 방호벽을 설치하여 충돌 사고 발생 시 충격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방호벽의 가로보에 복합 소재를 적용하여 충격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방호벽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 및 가로보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주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연결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T형 볼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방호벽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 및 가로보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주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방호벽(100)은 지주(110), 연결 브라켓(120), 가로보(130) 및 연결 수단(140)을 포함한다.
우선, 교량의 방호벽 설치를 위해 교량의 양측으로는 복수개의 지주(1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지주(1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크기로 제작된다. 또한, 지주(110)는 내충격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10) 상에서 후술하는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가 연결되는 면은 전면으로 상정하고, 반대면은 배면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주(110)의 배치가 완료된 후, 복수개의 지주(110)에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의 연결을 위해 지주(110)에는 제 1 고정홀(116)이 배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1 고정홀(116)에는 연결 수단(140)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가 지주(110)에 연결되도록 한다.
제 1 고정홀(116)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복수개의 지주(110) 상에서 소정 높이로서 수평으로 배치하여 지주(110)에 연결한다. 연결 브라켓(1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평판 형태로서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부(122)와 연결부(122)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격 흡수부(124)의 경사도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22) 상에는 중심선상을 따라 후술하는 연결 수단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홀(126)의 형성 간격은 지주(110)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금속 강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의 중앙부, 즉, 연결부(122) 상에는 가로보(130)가 배치된다.
상기 가로보(13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로보(130)는 충격 흡수성이 높은 금속 재질인 중심관(132)과 중심관(132)의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적층되는 복합 소재층(13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소재층(134)은 에프알피(FRP; Fiber 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에는 지주(110)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및 제 3 고정홀(126, 136)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및 제 3 고정홀(126, 136)의 형성 간격은 지주(110)의 배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및 제 3 고정홀(126, 136)의 형태와 크기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의 제 1 고정홀(116)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지주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지주(110) 상에 연결 브라켓(120)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제 1 고정홀에 대하여 도면부호 116, 126이 함께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제 1 및 제 2 고정홀이 서로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겹쳐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도면에서 연결 브라켓(120)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배치 단수는 가감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를 지주(110) 상에 연결하는 연결 수단(140)으로서 T형 볼트가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T형 볼트(140)는 직육면체 형태의 헤드(142)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44)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T 형태를 이루는 볼트이다.
상기 T형 볼트(140)는 몸체(144)가 가로보(130)의 내측에서 제 3 고정홀(136)을 통해 노출되고, 노출된 몸체(144)는 연결 브라켓(120)의 제 2 고정홀(126)을 통해 지주(110)의 제 1 고정홀(116)로 연결된다. 이후, T형 볼트(140)를 90ㅀ회전시켜, 헤드(142)가 가로보(130)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T형 볼트(140)의 헤드(142)는 제 3 고정홀(136)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이후, 몸체(144)의 일단부를 통해 너트를 연결하여,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 브라켓(120) 및 가로보(130)의 연결 시, 연결 브라켓(120)과 가로보(130)는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브라켓(120)과 가로보(13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충격완화부(15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격완화부(15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블록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주행 중인 차량이 사고에 의해 방호벽에 충돌하는 경우, 최초의 충격은 가로보(130)에서 발생된다.
가로보(130)의 복합 소재층(134)과 중심관(132)은 최초로 발생한 충격량을 차례대로 흡수하며 변형된다.
또한, 상기 가로보(130)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 측에 형성되어 있는 충격 완화부로 충격을 전달시키며, 상기 충격완화부(150)는 가로보(130)를 통해 인가되는 충격량의 일부를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가로보(1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로보(130)는 지주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로보(130)의 상부와 하부는 연결 브라켓(120)의 충격 흡수부(124)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브라켓(120)의 충격 흡수부(124)는 상하로 변형되며 상기 가로보(130)에 가해진 충격량을 추가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교량 방호벽
110: 지주
120: 연결 브라켓
130: 가로보
140: 연결 수단(T형 볼트)

Claims (6)

  1.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평판 형태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연결부 상에 배치되고 표면에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층이 적층되는 관 형상의 가로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는 T형 볼트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지주와 연결되는 교량 방호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교량 방호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가로보 사이에는 충격완화부가 배치되는 교량 방호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고무를 포함하는 교량 방호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 표면의 복합 소재는 에프알피(FRP; Fiber reinforced plastic)인 교량 방호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가로보에는 상기 T형 볼트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량 방호벽.
KR1020120037950A 2012-04-12 2012-04-12 교량 방호벽 KR20130115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950A KR20130115559A (ko) 2012-04-12 2012-04-12 교량 방호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950A KR20130115559A (ko) 2012-04-12 2012-04-12 교량 방호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559A true KR20130115559A (ko) 2013-10-22

Family

ID=4963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950A KR20130115559A (ko) 2012-04-12 2012-04-12 교량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5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79B1 (ko) * 2013-11-18 2014-02-28 박병준 판상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20160111046A (ko) * 2014-10-08 2016-09-26 정도산업 주식회사 원가가 절감되고 강도가 보강되는 알루미늄 방호책
CN107503480A (zh) * 2017-09-19 2017-12-22 浙江长兴科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异形金属栏杆安装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79B1 (ko) * 2013-11-18 2014-02-28 박병준 판상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20160111046A (ko) * 2014-10-08 2016-09-26 정도산업 주식회사 원가가 절감되고 강도가 보강되는 알루미늄 방호책
CN107503480A (zh) * 2017-09-19 2017-12-22 浙江长兴科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异形金属栏杆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KR101182975B1 (ko) 가드레일구조체
KR101851953B1 (ko) 충격 흡수 및 승월 방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KR101198826B1 (ko) 충격흡수 보강 방호울타리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US10597834B2 (en) Crash barrier system with different intervals
KR20130115559A (ko) 교량 방호벽
KR101344082B1 (ko) 지주 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876654B1 (ko) 내충격 디자인 펜스
KR101307683B1 (ko) 충격 흡수 가능한 차량용 방호책
JP6652461B2 (ja) 橋梁用防護柵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KR101265774B1 (ko) 가이드레일의 보강구조
KR101473818B1 (ko) 충격흡수식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1379607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20160146059A (ko) 이중 구조의 보강 지주가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1286047B1 (ko)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구조
KR20150031868A (ko) 파단 기능의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CN210049095U (zh) 一种桥梁护栏
CN206609593U (zh) 一种支撑框架及多用式圆柱碰撞壁障
KR101384767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로용 안전펜스
KR101475733B1 (ko) 에너지 소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 울타리
JP7318867B2 (ja) 防護柵およ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