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562B1 -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 Google Patents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562B1
KR101691562B1 KR1020160069794A KR20160069794A KR101691562B1 KR 101691562 B1 KR101691562 B1 KR 101691562B1 KR 1020160069794 A KR1020160069794 A KR 1020160069794A KR 20160069794 A KR20160069794 A KR 20160069794A KR 101691562 B1 KR101691562 B1 KR 10169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eck
protrusion
deck pla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Priority to KR102016006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및 단턱 등의 다양한 지면에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방향 또는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를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회전부가 고정핀에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며, 요철부와 요홈부를 특정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어 지형의 특징에 상관없이 보행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DECK LOAD WITH AN ANGLE AND HIGHT ADJUSTABLE STAND-OFF FRAMEWORK}
본 발명은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및 단턱이 형성된 지면에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사 및 단턱 등에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방향 및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등산로, 산책로, 수변공간, 공원, 목교 등에 설치하여 보행자가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크로드는 지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지면의 경사 및 위치에 따라 오르막, 내리막 및 평탄하도록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보행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추락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행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등산로, 산책로 등의 지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지형에서는 설치가 어려우며, 지면의 경사 및 탄턱에 의해 보행로가 평탄하게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67842호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은 기초기둥에 의해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전,후방 고정수단을 통해 각도에 따라 조절하여 데크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후방 고정수단은 기초기둥에 간섭이 발생하여 일정각도 이상 조절이 안되며, 기초기둥의 높이에 의해 발생하는 각도로 고정되어 설치환경에 따라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사 및 평탄하게 설치되는 데크판에 이격이 발생하고 턱이 발생하여 통행이 불편하며, 습기, 물 등에 의해 데크판이 상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로드를 설치 시 지면의 경사 및 굴곡에 따라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오르막, 내리막 및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착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위치를 표시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경사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크판의 연결이 용이하며, 이물질 유입 및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으로 양단에 배치되어 측방향으로 지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지주파일; 상기 지주파일의 상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주면에 요홈부가 구비된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의 중앙에 고정핀이 결합된 회전체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 상기 고정핀에 결합하여 회전 및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장홈과 외주면에 상기 요홈부에 고정되는 요철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1테이퍼면이 구비된 안착판이 형성된 회전부;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판에 양 끝단이 안착되며, 하부면은 상기 제 2테이퍼면과 밀착되도록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2테이퍼면이 형성된 수평보; 상기 수평보의 양단에서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면에 나사가 결합되는 제 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난간이 결합되는 제 1지지보; 상기 수평보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면에 제 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지지보; 상기 제 2지지보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데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판이 서로 마주보는 하부측면에는 제 1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판의 이격된 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제 1삽입홈에 결합되는 제 1돌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보에 나사결합 가능한 관통된 결합구가 형성된 클램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크판이 서로 마주보는 상부측면에는 제 2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판의 이격된 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제 2삽입홈에 고정되는 제 2돌출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의 외부로 누출되고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캡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의 결합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 2지지보에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데크판의 이격부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캡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판은 양측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 1테이퍼면과, 상기 수평보의 하부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과 밀착되도록 중앙에서 양측하부로 경사지는 제 2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파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위치를 측정하여 지면에 매설한 후 상기 지주파일의 하부에 삽입되는 매립용캡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따르면, 데크로드를 설치 시 지면의 경사 및 굴곡에 따라 회전부를 통한 회전 및 높이조절부를 통한 높이를 조절하여 오르막, 내리막 및 평탄하게 데크판의 경사각 및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 및 높이에 따라 회전부 및 수평보에 상호 결합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착하여 편리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충격 등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파일의 설치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장홈에 의해 이동시켜 각도를 조절한 후 하중에 의해 각도를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게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데크판을 크램프를 통해 연결 및 고정하여 경사 및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유격을 방지하고, 상부로 노출되도록 데크판 또는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는 캡을 통해 경사, 굴곡 및 직선으로 배치되는 데크판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자가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볼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회전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및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볼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회전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및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및 단턱이 형성된 지면에 데크로드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방향 또는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한 지형에서 오르막, 내리막 및 평평하게 하여 보행자의 보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주파일(10), 높이조절부(20), 회전부(30), 수평보(40), 제 1지지보(50), 제 2지지보(60) 및 데크판(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파일(10)은 일정한 간격으로 양단에 배치하여 측방향으로 지면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하방향에 관통홈(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파일(10)은 지면과 앵커,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12)의 측면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 삽입되는 제 1고정홈(1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주파일(10)은 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콘크리트 등을 통해 지면을 단단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파일(10)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위치를 측정하여 지면에 매설한 후 상기 지주파일(10)의 하부에 삽입되는 매립용캡(15)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매립용캡(15)은 상기 지주파일(10)의 설치 위치를 측정하여 지면에 일정간격 매립 또는 부착하여 정확하게 표시한 후 상기 지주파일(10)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매립용캡(15)은 상기 관통홈(13)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파일(10)이 이동을 제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상기 지주파일(10)의 상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결합홈(25)이 형성된 고정체(20a)와, 상기 결합홈(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주면에 요홈부(23)가 구비된 체결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1)의 중앙에 고정핀(22)이 결합된 회전체(2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높이조절부(20)는 상기 관통홈(13)에 삽입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 1고정홈(14)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통해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제 2고정홈(24)을 형성하여 상기 제 1고정홈(14)을 통해 삽입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21)은 측면 또는 내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양단의 상기 지주파일(10)에 맞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20) 상기 지주파일(1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체(20a)와, 상기 고정체(20a)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회전체(2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20a)에는 상기 제 1고정홈(14)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 2고정홈(24)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20a)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26)가 상하방향으로 하나이상 형성되며, 상기 지주파일(1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6)에 대응하는 안내홈(15)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6)가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기(26)와 상기 안내홈(15)은 상기 제 1삽입홈(14) 및 상기 제 2삽입홈(2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지주파일(10)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b)는 상부에 상기 회전부(30)와 결합되는 상기 체결홈(2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25)에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0b)는 상기 고정체(20a)에 결합되어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지주파일(10)에 맞춰 방향을 회전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고정핀(22)에 결합하여 회전 및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장홈(31)과 외주면에 상기 요홈부(23)에 대응하는 요철부(32)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안착판(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홈(31)을 통해 상기 회전부(3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요홈부(23)와 요철부(32)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요철부(32)는 상기 요홈부(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각도 내에서 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보(40)는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판(33)에 양 끝단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40)는 H형상으로 양단에 배치된 상기 지주파일(1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33)은 양측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1테이퍼면(33a)과, 상기 수평보(40)의 하부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33a)과 밀착되도록 중앙에서 양측 하부로 경사지는 제 2테이퍼면(4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테이퍼면(33a)은 상기 안착판(33)의 중앙에서 양측면으로 향하면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 2테이퍼면(41)은 상기 제 1테이퍼면(33a)에 대응되도록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향하면서 하부로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제 1테이퍼면(33a)과 상기 제 2테이퍼면(41)이 접촉하여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나사결합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안착판(33)과 상기 수평보(40)를 결합한다.
또한, 지면의 경사각에 의해 상기 제 1테이퍼면(33a)과 상기 제 2테이퍼면(41) 중 한 쪽면이 수평에 가깝게 유지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테이퍼면(33a)과 상기 제 2테이퍼면(41)는 상호 대응된는 형상으로 이루지도록 다단 절곡되어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보(50)는 상기 수평보(40)의 양단에서 각각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난간(52)이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지지보(50)는 상기 수평보(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측방향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보(5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측방향을 따라 나사가 결합되는 제 1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이드홈(51)은 하나 이상 형성되어 볼트머리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삽입된다.
즉, 상기 수평보(40)의 위치에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가이드홈(51)을 따라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보(40)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40)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보(50)의 상단에는 보행자의 통행시 이탈을 방지하는 난간(5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52)은 상기 제 1지지보(50)의 상단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홈(51)을 통해 상기 수평보(4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결합한다.
상기 제 2지지보(60)는 상기 제 1수평보(40)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보(40)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수평보(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지지보(60)의 하부면에는 측방향을 따라 제 2가이드홈(6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가이드홈(61)은 삽입된 볼트를 통해 상기 수평보(40)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수평보(40)의 결합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판(70)은 상기 제 2지지보(60)의 상단에 다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데크판(70)의 양 끝단은 상기 수평보(40)에 안착되고, 중간에 상기 제 2지지보(6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다수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판(70)이 상호 마주보는 하부측면에는 제 1삽입홈(71)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판(70)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 1삽입홈(71)에 결합되는 제 1돌출돌기(81)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보(60)에 나사결합 가능한 관통된 결합구(82)가 형성된 클램프(80)가 포함된다.
즉, 상기 클램프(80)는 양측으로 제 1돌출돌기(81)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70)을 양측에서 일정간격 이격시켜 결합한 후, 상기 제 2지지보(60)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데크판(70)의 손상 없이 상기 클램프(80)를 통해 상기 제 2지지보(60)와 결합이 가능하고 경사 및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유격과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판(70)의 상부에는 미끄럼 방지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캡(9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된다.
도 5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판(70)이 서로 마주보는 상부측면에는 제 2삽입홈(72)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판(70)의 이격된 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제 2삽입홈(72)에 고정되는 제 2돌출돌기(92)가 형성된 결합부(91)와, 상기 결합부(9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7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95)가 형성된 마감부(94)로 이루어진 캡(90)이 더 포함된다.
도 5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80)의 상기 결합구(82)를 관통하여 상기 제 2지지보(60)에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기(83a)가 형성된 연결부재(83)와, 상기 데크판(70)의 이격부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83a)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관통공(93)이 형성된 결합부(91)와, 상기 결합부(9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7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95)가 형성된 마감부(94)로 이루어진 캡(9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83)의 상부는 상기 관통공(93)에 결합하여 상기 데크판(70)과 밀착시키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8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캡(90)은 상기 클램프(80)에 의해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데크판(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경사,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가 없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미끄럼을 방지한다.
이러한 캡(90)은 제 2돌출돌기(92)기 및 연결부재(83)를 통해 상기 데크판(70)과 고정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지면에 상기 지주파일(1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파일(10)은 일정간격을 가지고 양단에 배치하여 보행로를 만들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지주파일(10)의 설치위치는 상기 매설용캡(90)을 통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상기 지주파일(10)에 상기 높이조절부(20)를 높이에 맞춰 결합한 후 상기 회전부(30)를 통해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회전부(30)에 상기 수평보(40)를 결합하여 양단을 상호 연결시킨 후 상기 제 1지지보(50)와 상기 제 2지지보(60)를 결합한다.
상기 제 1지지보(50)와 상기 제 2지지보(60)가 결합한 후 상기 난간(52) 및 데크판(7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데크판(70)은 상기 클램프(80)를 통해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 2지지보(6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80)가 결합된 데크판(70)의 상단에는 제 2돌출돌기(92) 및 연결부재(83)를 통해 결합하여 미끄럼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경사 및 곡면에 의해 만들어진 단턱을 제거하는 캡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형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된 형태로 적용이 용이하며, 굴곡 및 경사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여 보행이 편리하며, 물기 및 날씨 등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지주파일 11: 지지판
12: 돌출부 13: 관통홈
14: 제 1고정홈 15: 매립용캡
16: 안내홈 20: 높이조절부
20a: 고정체 20b: 회전체
21: 체결홈 22: 고정핀
23: 요홈부 24: 제 2고정홈
25: 결합홈 26: 가이드돌기
27: 결합돌기 30: 회전부
31: 장홈 32: 요철부
33: 안착판 33a: 제 1테이퍼면
40: 수평보 41: 제 2테이퍼면
50: 제 1지지보 51: 제 1가이드홈
52: 난간 60: 제 2지지보
61: 제 2가이드홈 70: 데크판
71: 제 1삽입홈 72: 제 2삽입홈
80: 크램프 81: 제 1돌출돌기
82: 결합구 83: 연결부재
90: 캡 91: 결합부
92: 제 2돌출돌기 93: 관통공
94: 마감부 95: 미끄럼방지돌기

Claims (6)

  1. 일정한 간격으로 양단에 배치되어 측방향으로 지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지주파일(10);
    상기 지주파일(10)의 상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결합홈(25)이 형성된 고정체(20a)와, 상기 결합홈(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주면에 요홈부(23)가 구비된 체결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1)의 중앙에 고정핀(22)이 결합된 회전체(20b)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20);
    상기 고정핀(22)에 결합하여 회전 및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장홈(31)과 외주면에 상기 요홈부(23)에 고정되는 요철부(32)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1테이퍼면(33a)이 구비된 안착판(33)이 형성된 회전부(30);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판(33)에 양 끝단이 안착되며, 하부면은 상기 제 1테이퍼면(33a)과 밀착되도록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2테이퍼면(41)이 형성된 수평보(40);
    상기 수평보(40)의 양단에서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면에 나사가 결합되는 제 1가이드홈(51)이 형성되고, 상부에 난간(52)이 결합되는 제 1지지보(50);
    상기 수평보(40)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면에 제 2가이드홈(6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지지보(60);
    상기 제 2지지보(6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데크판(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판(70)이 서로 마주보는 하부측면에는 제 1삽입홈(71)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판(70)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삽입홈(71)에 결합되는 제 1돌출돌기(8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보(60)에 나사결합 가능한 관통된 결합구(82)가 형성된 클램프(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3. 제 2항에 있어서,
    데크판(70)이 서로 마주보는 상부측면에는 제 2삽입홈(72)이 형성되며,
    상기 데크판(70)을 이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삽입홈(72)에 고정되는 제 2돌출돌기(92)가 형성된 결합부(91)와, 상기 결합부(9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7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95)가 형성된 마감부(94)로 이루어진 캡(9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80)의 결합구(82)를 관통하여 상기 제 2지지보(60)에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된 돌기(83a)가 형성된 연결부재(83)와,
    상기 데크판(70)의 이격부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83a)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관통공(93)이 형성된 결합부(91)와, 상기 결합부(9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판(7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95)가 형성된 마감부(94)로 이루어진 캡(9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파일(10)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위치를 측정하여 지면에 매설한 후 상기 지주파일(10)의 하부에 삽입되는 매립용캡(1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KR1020160069794A 2016-06-03 2016-06-03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KR10169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794A KR101691562B1 (ko) 2016-06-03 2016-06-03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794A KR101691562B1 (ko) 2016-06-03 2016-06-03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562B1 true KR101691562B1 (ko) 2017-01-09

Family

ID=5781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794A KR101691562B1 (ko) 2016-06-03 2016-06-03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360A (ko) 2017-05-26 2018-12-05 이장호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20190080515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이도티앤씨 축대 데크 로드
KR102050001B1 (ko) 2019-05-23 2019-11-28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KR102119325B1 (ko) * 2018-12-03 2020-06-04 강성분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2414488B1 (ko) * 2022-02-11 2022-06-29 (주)애니우드 논슬립 데크구조물
KR102476437B1 (ko) * 2022-05-11 2022-12-13 심춘섭 시공성이 개선된 데크로드 브라켓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774B1 (ko) * 2006-09-15 2007-11-12 박영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148775B1 (ko) * 2011-07-08 2012-05-24 (주)대흥이엔지 도로 법면의 확장로
KR101550058B1 (ko) * 2014-09-23 2015-09-11 (주)디엔테크 확장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54357B1 (ko) * 2014-06-30 2015-09-21 주식회사 준이앤씨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774B1 (ko) * 2006-09-15 2007-11-12 박영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148775B1 (ko) * 2011-07-08 2012-05-24 (주)대흥이엔지 도로 법면의 확장로
KR101554357B1 (ko) * 2014-06-30 2015-09-21 주식회사 준이앤씨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50058B1 (ko) * 2014-09-23 2015-09-11 (주)디엔테크 확장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360A (ko) 2017-05-26 2018-12-05 이장호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20190080515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이도티앤씨 축대 데크 로드
KR102119325B1 (ko) * 2018-12-03 2020-06-04 강성분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2050001B1 (ko) 2019-05-23 2019-11-28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KR102414488B1 (ko) * 2022-02-11 2022-06-29 (주)애니우드 논슬립 데크구조물
KR102476437B1 (ko) * 2022-05-11 2022-12-13 심춘섭 시공성이 개선된 데크로드 브라켓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562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ES2384570T3 (es) Dispositivo para desplazar un carril de aguja así como dispositivo de rodillos ajustable en altura
KR100841003B1 (ko)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CA2828646C (en) Shoe bracke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bottom of a rail of ladder
KR10142331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1199429B1 (ko)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20090085188A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EP3519649B1 (en) Levelable cladding structure with quick installation and removal
KR200468253Y1 (ko)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US4976422A (en) Artificial ski slope
CN103924766B (zh) 用于地板的底层结构
KR101283014B1 (ko)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US2095832A (en) Post anchor
AU2013206443B2 (en) Apparatus and mounting gantry for suspending a component
KR100486385B1 (ko) 도로 등의 성토부 안전진단 점검 계측 시스템
KR20110106727A (ko) 경사 규준틀
KR101659744B1 (ko)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KR20120026710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난간
KR20220138259A (ko) 코너 연결구
KR200457379Y1 (ko) 홀 깃대 레이저 반사대
KR100415650B1 (ko) 수평도 또는 경사도 점검장치와 이를 이용한 점검방법
KR200459011Y1 (ko) 계단 난간대의 동자 절단을 위한 측정자
KR101827734B1 (ko) 가변형 맨홀철개 조립체
KR20160123741A (ko) 레벨조정이 가능한 압출형 안전난간
KR20190002582U (ko) 난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