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744B1 -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 Google Patents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744B1
KR101659744B1 KR1020140179546A KR20140179546A KR101659744B1 KR 101659744 B1 KR101659744 B1 KR 101659744B1 KR 1020140179546 A KR1020140179546 A KR 1020140179546A KR 20140179546 A KR20140179546 A KR 20140179546A KR 101659744 B1 KR101659744 B1 KR 10165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spike
leg
present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851A (ko
Inventor
김창훈
우용근
김태섭
김찬문
김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4017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7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4Reference lines, planes or s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oad Repair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량장비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 풀밭, 해안가와 같이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바닥이 불규칙한 지형에서 측량장비를 고정해주는 삼각대 다리의 스파이크를 개선하여 대리석, 아스팔트 등의 매끈하고 규칙적인 지형에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측량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삼각대 다리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특징을 갖도록 구성한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리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규칙적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지형에서도 오차 없이 정확한 측정을 하는 것과 동시에 삼각대의 안전성을 높여 외부의 외력에도 삼각대가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 측량장비의 손상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으로 인하여 어느 지형에서도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NON-SLIP TRIPOD FOR A SURVEY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측량장비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 풀밭, 해안가와 같이 흙이나 모래, 자갈 등 때문에 바닥이 불규칙한 지형에서 측량장비를 고정해주는 삼각대 다리의 스파이크를 개선하여 대리석, 아스팔트 등의 매끈하고 규칙적인 지형에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측량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삼각대 다리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특징을 갖도록 구성한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각대는 정밀작업을 요구하는 측량장비인 레벨 측량기, 데오도라이트(Theodolite), 트랜지트(Transit),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 등을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삼각대는 카메라, 망원경, 안테나 등의 일상적인 장비를 사용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삼각대는, 통상적으로 측량장비가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세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는 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가 벌어지는 세 방향은 중앙을 기준점으로 120ㅀ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량장비를 정확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과 맞닿는 상기 다리의 끝단 부분에 스파이크가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크는 산, 풀밭, 해안가와 같이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이 많은 불규칙한 지형에 매설되어 삼각대와 삼각대에 거치 및 고정된 장비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10-1014832]인 낚시용 랜턴 과 한국등록특허[10-1194301]인 삼각대 조립체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삼각대는 대리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규칙적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지형에서 스파이크를 매립할 수 없다. 그러므로 열차가 통과하는 철로 주변 등의 특수한 지형에서 측정 수행 시, 통과하는 열차가 발생시키는 열차풍과 지면의 진동에 의해 삼각대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을 받아 흔들리는 삼각대는 측량장비의 측정에 영향을 미쳐 측정상의 오차를 발생시키며, 삼각대가 넘어졌을 경우에는 삼각대에 결합된 고가의 측량장비에 손상을 주어 수리 및 보수를 위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10-1014832] 낚시용 랜턴 한국등록특허 [10-1194301] 삼각대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리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규칙적이고 매끄러운 표면의 지형에서도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고, 이로 인하여 오차 없이 정확한 측정이 가능 하며, 측량장비의 손상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측량장비가 거치 및 고정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3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하부 외주연 세 방향에 3개의 다리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타단에 상기 다리의 일단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는 스파이크; 상기 스파이크의 하단에 스파이크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스파이크 선단부; 상기 다리 상에 상기 수용홈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서 스파이크가 돌출 또는 삽입 되도록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조절나사; 상기 다리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과 연장선상에 관통 통로가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재질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다리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선단부는 앵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산이나 풀밭 또는 해안가와 같이 흙, 모래, 자갈 등 때문에 바닥이 불규칙한 지형에서는 스파이크를 삼각대의 다리 외부로 돌출하여 지형에 매립함으로써 측량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대리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규칙적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지형에서는 스파이크를 삼각대 다리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측량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지형에서도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삼각대가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측량장비의 손상을 예방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삼각대 철거 후 이동 시, 스파이크를 다리 내부로 삽입하여 이동함으로써, 날카로운 스파이크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미끄럼방지부재의 재질을 고무로 형성함으로써, 삼각대의 진동을 감소시켜 측정시의 오차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오랜 기간 사용에 의해 고정부가 마모되고 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고정부를 간단하게 탈 부착할 수 있어, 삼각대의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삼각대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스파이크의 길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지형에서도 알맞은 길이로 스파이크를 조절하여 삼각대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는 앵커 형상으로 구성된 스파이크 선단부로 인하여 지면에 매설 시 기존의 삼각대보다 안정적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 다리(300) 하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 다리(300) 하부의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다리(300) 하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다른 형태의 다리(300) 하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삼각대에 미끄럼방지부재(5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는 측량장비를 거치하고 고정할 수 있는 헤드부(200), 상기 헤드부(200)의 하부 외주연 세방향에 힌지 연결되는 다리(300), 상기 다리(300)상에 형성된 수용홈(321, 도2참조), 상기 수용홈(321, 도2참조)상에 구비되는 스파이크(400, 도2참조), 스파이크 매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파이크 하단에 형성된 스파이크 선단부(420, 도2참조), 상기 스파이크(400, 도2참조)가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조절하는 스파이크 조절나사(410), 상기 다리(300)상에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재한 다리(300)는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구조,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3개의 다리(300)는 구조와 기능 모든 면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각각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하나의 다리(300)를 특정하여 설명하였다. 때문에 상기 다리(300)에 대한 구성은 3개 모든 다리(30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이크(400, 도2참조), 미끄럼방지부재(500) 역시 하나의 구성이 다른 나머지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 각각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삼각형태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량장비가 거치되고 고정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200)는 측량장비가 상판에 거치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헤드부(200)의 상판 중앙에는 고정핀(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210)으로 거치된 측량장비를 삼각대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10)은 나사산이 있는 볼트 형태이며, 볼트의 조임부는 특별한 공구 없이도 사람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200) 3면의 측면에는 힌지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3개의 힌지 연결부 각각은 헤드부(200)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각각 120ㅀ의 간격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다리(300)는 상기 헤드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헤드부(200)를 지면으로부터 세우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리(300)는 일단이 헤드부(200)의 힌지 연결부와 힌지 연결되는 상부다리(310), 상기 상부다리(310) 상에 삽입되어있는 하부다리(320), 상부다리(310)의 타단에 구비되는 다리연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다리(310)는 일단에 상기 헤드부(200)의 힌지 연결부와 힌지 연결 가능한 연결부가 구비되며, 타단에 다리연결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다리(310)는 헤드부(200)와 힌지 연결되어 다리(300)를 원하는 각도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접고 펴는 동작에 있어 3개의 다리(300) 각각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각각의 다리(300)의 펴는 각도를 조정하면 굴곡이 있는 지형에서도 삼각 대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다리연결부(330)는 상기 상부다리(3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나사는 하부다리(320)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삼각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조절나사를 풀면 상기 상부다리(310)에 삽입되어 있던 하부다리(320)가 상부다리(310)의 연장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조절나사를 조이면 하부다리(320)가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삼각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조절나사는 다리(30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가 있는 지형에서도 삼각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다리(320)는 상기 상부다리(310)와 같은 상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다리(310)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연결부(330)에서의 조절에 의해 움직이거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리연결부(330)의 조절로 상기 하부다리(320)가 움직일 때는 상부다리(310)의 연장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 하부다리(320)의 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다리(320)의 하단에는 다리연결부(330, 도1참조)방향으로 수용홈(32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수용홈(321)의 내부에는 스파이크(4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다리(320) 하단에는 하부다리(320)의 어느 한 측면에서 상기 수용홈(321)까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에는 스파이크 조절나사(410)가 구비된다. 상기 스파이크 조절나사(410)는 상기 관통 홀에 결합되며 스파이크(400)의 삽입과 돌출을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스파이크 조절나사(410)는 나사산이 있는 볼트 형태이며, 볼트의 조임부는 특별한 공구 없이도 사람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400)는 상기 하부다리(320)에 형성된 수용홈(321) 상에 구비된다. 상기 수용홈(321)은 상기 스파이크(400)가 상기 하부다리(400)의 연장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홈(321)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는 스파이크(400)는 상기 하부다리(320) 상에 구비된 상기 스파이크 조절나사(410)에 의하여 움직임이 조절된다. 상기 스파이크 조절나사(410)를 풀면 스파이크(400)를 돌출시키거나 삽입할 수 있고, 조이면 고정된다. 즉, 스파이크 조절나사(410)는 스파이크(40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스파이크(400)를 원하는 만큼 조절하여 삽입하고 돌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산이나 풀밭 또는 해안가와 같이 흙, 모래, 자갈 등 때문에 바닥이 불규칙한 지형에서는 스파이크(400)를 삼각대의 다리 외부로 돌출하여 지형에 매립함으로써 측량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대리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규칙적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지형에서는 스파이크(400)를 삼각대 다리 내부로 삽입하여 측량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어느 지형에서도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400)의 하단 끝에는 스파이크 선단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 선단부(420)로 인하여 스파이크(400)를 지면에 용이하게 매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파이크 선단부(420)는 앵커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크 선단부(420)가 앵커 형상일 때, 스파이크(400)가 지면에 용이하게 매설될 뿐만 아니라 매설 시 삼각대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부다리(320)의 수용홈(321)에는 미끄럼방지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500)는 표면이 매끄러운 지형에서 삼각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500)는 본체와 돌출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510)는 상기 하부다리(3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500)가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하여 미끄럼방지부재(500)가 마모되고, 성능이 저하 되었을 때 간단하게 탈 부착할 수 있어, 삼각대의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삼각대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500)는 수용홈(321)의 연장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500)를 관통하는 관통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통로를 통해 상기 스파이크(400)가 미끄럼방지부재(5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 가능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50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의 미끄럼방지부재(500)로 인하여 삼각대 다리의 각도에 상관없이 상시 지면과 안정적인 접지를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500)의 재질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는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삼각대에 고정된 측량장비에 이르는 진동을 감속시켜 측정시의 오차를 감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스파이크(400)가 돌출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의 스파이크(400)가 돌출되었을 때 하부다리(320)의 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스파이크 조절나사(410)를 조절하여 스파이크(400)를 하부다리(320)와 미끄럼방지부재(500)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수용홈(321)면에 밀착 고정이 가능하며 돌출되는 길이는 원하는 대로 조절 가능하다.
본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적용범위가 다양한 것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200 헤드부 210 고정핀
300 다리 310 상부다리
320 하부다리 321 수용홈
330 다리 연결부
400 스파이크 410 스파이크 조절나사
420 스파이크 선단부
500 미끄럼방지부재 510 돌출부

Claims (4)

  1. 측량장비가 거치 및 고정되는 헤드부(200)와 상기 헤드부(200)에 구비되는 3개의 다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200)의 하부 외주연 세방향에 3개의 다리(300)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300)의 내부에 상기 다리(300)의 타단에서 상기 다리(300)의 일단 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수용홈(321);
    상기 수용홈(321)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3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파이크(400);
    상기 스파이크(400)의 하단에 상기 스파이크(400)가 지면에 삽입되어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스파이크 선단부(420);
    상기 다리(300) 상에 상기 수용홈(321)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21)에서 스파이크(400)가 돌출 또는 삽입 되도록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조절나사(410); 및
    상기 다리(300)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321)과 연장선 상에 관통 통로가 형성된 고무 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선단부(420)는 앵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100).
KR1020140179546A 2014-12-12 2014-12-12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KR101659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546A KR101659744B1 (ko) 2014-12-12 2014-12-12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546A KR101659744B1 (ko) 2014-12-12 2014-12-12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51A KR20160071851A (ko) 2016-06-22
KR101659744B1 true KR101659744B1 (ko) 2016-09-27

Family

ID=5636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546A KR101659744B1 (ko) 2014-12-12 2014-12-12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35B1 (ko) 2017-08-03 2017-12-05 (주)해강 측량용삼각대의 수평유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81B1 (ko) * 2018-05-14 2018-06-25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3047A (ja) * 2004-11-25 2006-06-15 Velbon Kk 三脚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39A (ko) * 2002-09-06 2004-03-11 임혜숙 복근과 허리 및 하체 운동용 기기와 이에 적용되는 발거치대 및 매트리스
KR101194301B1 (ko) 2010-06-28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삼각대 조립체
KR101014832B1 (ko) 2010-10-22 2011-02-15 김철암 낚시용 랜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3047A (ja) * 2004-11-25 2006-06-15 Velbon Kk 三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35B1 (ko) 2017-08-03 2017-12-05 (주)해강 측량용삼각대의 수평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51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105B1 (en) Corner prism pole and stand
KR101341488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208592B1 (ko) 수준 측량용 스타프 하부고정장치
KR101659744B1 (ko)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US20100012811A1 (en) Adjustable leg
JP2010536019A (ja) 測量用標尺
KR101691562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골조를 가지는 데크로드
US8047498B1 (en) Support stand device for rebar bender
KR10134921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TW201114979A (en) Base plate for fastening a rail to a fixed bottom support, and fastener for a rail
KR101924046B1 (ko)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KR10134922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고정장치
KR101568639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기
KR101682102B1 (ko) 측정용 삼각대의 고정지그
KR101349956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US6662458B1 (en) Leveling rod and leveling method
KR101795007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US20050017139A1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 leveling multi-pod
KR102068208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을 위한 장치
US20040006935A1 (en) Support for construction site layout lines
KR101349225B1 (ko) 정밀수준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CN103852062A (zh) 可颠倒使用的水准测量尺垫
US7887443B2 (en) Frame for measuring pitcher's circle
WO2007053888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replace string lines especially in roadworks
KR101349395B1 (ko) 경사면에서의 안정된 설치가 용이한 지피에스 위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