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488B1 -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488B1
KR101341488B1 KR1020130091870A KR20130091870A KR101341488B1 KR 101341488 B1 KR101341488 B1 KR 101341488B1 KR 1020130091870 A KR1020130091870 A KR 1020130091870A KR 20130091870 A KR20130091870 A KR 20130091870A KR 101341488 B1 KR101341488 B1 KR 10134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eg
ground
support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지에스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9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와 상단지지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와 다리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과 다리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며 다리고정수단으로는 다침식 착지부재와 면접촉식 착지부재를 구비하여 삼각대를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에 따라 최적한 착지부재를 선택하여 원터치식으로 장착함으로써 다리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바닥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아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마운트가 자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다리를 지면에 착지시키면, 마운트수평유지수단에 의하여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다리지지수단에 의하여 다리를 지지하여 삼각대를 설치한 다음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면 측량기기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삼각대의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Tripod fixing apparatus for geodetic survey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삼각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최적한 착지부재를 선택하여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으며, 삼각대를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다리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바닥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아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삼각대를 수평을 이루는 지면은 물론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을 자동 유지하도록 지면에 착지되는 다리를 지지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후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써 측량기기의 수평이 맞춰지게 되어 삼각대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지측량에 있어서는 레벨기, 트랜지트 등의 측량기기(측정기기)를 사용하며, 이들 정밀측량기기들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각대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측정기기와 측량기기는 동일하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측량용 삼각대에 요구되는 조건은 지면에 견고하게 착지되어 바람이나 외부 층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측량기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측정기기의 수평을 맞출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측량용 삼각대는 3개의 다리와, 다리들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구 및, 상단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측정기기 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다리의 상단이 상단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부다리의 하단에는 각각 버팀봉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버팀봉의 타단은 연결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오므렸을 때에는 다리들과 나란한 상태로 되고 다리를 벌렸을 때에는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다리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는 상단지지구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운트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측량용 삼각대는 다리를 지면에 착지한 상태로부터 상부지지대를 기준으로 마운트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면에 설치된 측량기기의 수평을 조절하여야 하므로 측량기기의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수평을 조절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측량기기가 설치되는 마운트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삼각대의 다리가 단순히 다리 하단에 고정 결합된 착지부재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여 측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넘어지기 쉽고, 이에 따라 마운트에 장착된 고가의 측량장비가 지면과 충돌하여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측량기기가 설치되는 삼각대가 측지측량 작업 과정에서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아 마운트에 장착된 고가의 측량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측량용 삼각대는 다리의 하단에 첨예형 착지부재가 결합된 것으로, 흙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착지부재의 하단 첨예부가 흙바닥에 어느 정도 파고들어간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삼각대가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게 되지만, 아스팔트 바닥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 또는 돌 바닥이나 타일 바닥 등과 같이 착지부재의 하단 첨예부가 파고들어갈 수 없는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삼각대가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게 되어 측량정밀도를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삼각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최적한 착지부재를 선택하여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으며, 삼각대를 아스팔트 바닥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 또는 돌 바닥이나 타일 바닥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삼각대가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아 측량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72260호 (2004.12.28. 등록) “지피에스 측량용 삼각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288885호 (2001.02.12. 등록) “측량장비용 삼각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삼각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최적한 착지부재를 선택하여 원터치식으로 착탈할 수 있으며, 삼각대를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다리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바닥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아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각대를 수평을 이루는 지면은 물론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을 자동 유지하도록 지면에 착지되는 다리를 지지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후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써 측량기기의 수평이 맞춰지게 되어 삼각대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 상기 다리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 및 상기 마운트가 지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 및, 및, 상기 다리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대는 다리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힌지부와 힌지공을 등각도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공에 대응하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어 힌지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안내구를 구비한 상부다리와, 상기 안내구를 통하여 한 쌍의 다리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 및, 상기 안내구에 체결되어 선단이 하부다리에 밀착되는 다리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지지수단은, 상기 안내구의 내측면에서 돌츨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연결편이 구비된 실린더형 로드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에 외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봉형 로드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에 체결되어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나사와, 상기 조임나사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봉형 로드의 내측 단부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봉형 로드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편이 삽입되는 연결편이 구비된 연결링과, 상기 연결편을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상단지지대에 설치된 삽입공간에 삽입 고정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구형 내주면A가 구비된 3차원회동지지구와, 상기 구형 내주면A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A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A와 구형 외주면A보다 곡률이 작은 구형 내주면B가 구비된 라이너와, 상기 구형 내주면B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B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B가 구비된 3차원회동체와,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에 법선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라이너의 구형 외주면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와, 상기 3차원회동체에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마운트가 직각으로 고정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링에 삽입되는 수직유지봉과, 상기 수직유지봉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상기 하부다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결합되며 구형 외주면을 가지는 3차원회동지지구와,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의 구형 외주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3차원회동체와, 상기 3차원회동체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관통되어 선단이 3차원회동지지구의 구형 외주면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와,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3차원회동체의 상면에 씌워지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더스트커버와,
상기 3차원회동체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서 상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로킹볼이 구비된 볼로킹기구가 구비된 착탈식 결합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며 결합공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네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볼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홈과 상기 결합봉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되는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이 구비된 다침식 착지부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며 결합공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네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볼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홈과 상기 결합봉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착지봉과 상기 착지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지판과 상기 착지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착지패드가 구비된 면접촉식 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와, 상기 다리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과, 상기 다리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며, 다리고정수단으로서는 다침식 착지부재와 면접촉식 착지부재를 구비하여 삼각대를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에 따라 최적한 착지부재를 선택하여 원터치식으로 장착함으로써 다리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바닥에서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아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마운트가 자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다리를 지면에 착지시키면, 마운트수평유지수단에 의하여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다리지지수단에 의하여 다리를 지지하여 삼각대를 설치한 다음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면 측량기기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삼각대의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다리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다침식 착지부재가 장착된 삼각대를 수평 지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3은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의 3차원회동체와 다리고정수단의 3차원회동체의 고정을 해제하고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를 연결링으로부터 분리하며 다리를 벌려서 삼각대를 수평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의 3차원회동체와 다리고정수단의 3차원회동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의 길이를 조정하고 봉형로드를 연결링에 연결하여 다리를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삼각대를 지면타입편이 수평 지면에 안착 고정된 상태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7은 삼각대를 지면타입편이 수평 지면에 타입 고정된 상태로 설치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삼각대를 경사 지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8은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의 3차원회동체와 다리고정수단의 3차원회동체의 고정을 해제하고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를 연결링으로부터 분리하며 다리를 벌려서 삼각대를 경사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9는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의 하단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하고,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의 3차원회동체와 다리고정수단의 3차원회동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의 길이를 조정하고 봉형로드를 연결링에 연결하여 다리를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면접촉식 착지부재의 착지패드가 수평 지면에 안착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
그리고
도 12는 면접촉식 착지부재의 착지패드가 경사 지면에 안착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지지대(1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2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30), 상기 다리(20)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40); 상기 마운트(30)가 지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 및, 및, 상기 다리(2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지지대(10)는 다리(2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힌지부(11)와 힌지공(12)을 등각도 간격으로 구비한다.
상기 다리(20)는 상기 힌지부(11)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공(12)에 대응하는 힌지공(22)이 형성된 힌지부(21)와, 상기 힌지공(12, 22)에 삽입되어 힌지부(11, 21)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부(21)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25)와, 상기 다리부재(25)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안내구(26)를 구비한 상부다리(24)와, 상기 안내구(26)를 통하여 한 쌍의 다리부재(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2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다리(24)의 다리부재(25)와 안내구(26)는 다리부재(25)를 안내구(26)에 삽입한 상태에서 안내구(26)를 관통하는 고정나사(26a)를 다리부재(25)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마운트(30)는 그 중앙부에 나사공(31)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55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나사부(55a)에는 2개의 너트(32)를 체결하여 마운트(3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운트(30)가 수직유지봉(55)에 대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측량기기(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홀(33)이 구비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기존의 마운트 중에서 장착하고자 하는 측량기기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리지지수단(40)은, 상기 안내구(26)의 내측면에서 돌츨되는 연결편(41)과, 상기 연결편(41)에 연결핀(42)으로 연결되는 연결편(43a)이 구비된 실린더형 로드(43)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외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봉형 로드(44)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체결되어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41)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4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나사(45)와, 상기 조임나사(45)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45a)와,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편(44a)이 삽입되는 연결편(46a)이 구비된 연결링(46)과, 상기 연결편(44a, 46a)을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임나사(45)는 별도의 공구 없이 현장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나비나사 등과 같이 손잡이가 달린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식 연결핀(47)은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47a)가 구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손잡이(47a)가 나비형으로 형성된 예를 예시하였으나 고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설치된 삽입공간(13)에 삽입 고정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구형 내주면A(51a)가 구비된 3차원회동지지구(51)와, 상기 구형 내주면A(51a)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A(51a)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A(52a)와 구형 외주면A(52a)보다 곡률이 작은 구형 내주면B(52b)가 구비된 라이너(52)와, 상기 구형 내주면B(52b)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B(52b)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B(53a)가 구비된 3차원회동체(53)와,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51)에 법선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와, 상기 3차원회동체(53)에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마운트(30)가 직각으로 고정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링(46)에 삽입되는 수직유지봉(55)과, 상기 수직유지봉(55)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량추(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차원회동체(53)에는 관통공(53b)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53b)에 수직유지봉(55)의 상단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마운트(3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유지봉(55)에 체결되는 너트(32)의 하면에 3차원회동체(53)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직유지봉(55)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55a)에 고정너트(53c)를 체결하여 3차원회동체(53)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3차원회동체(53)를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유지봉(55)과 중량추(56)는 수직유지봉(55)의 하단에는 나사부(55b)를, 중량추(56)의 상면에는 나사공(56a)을 형성하여 이들 나사부(55a)와 나사공(56a)을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은
상기 하부다리(27)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구(61)와, 상기 고정구(6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봉(62)과, 상기 지지봉(62)의 하단에 결합되며 구형 외주면(63a)을 가지는 3차원회동지지구(63)와,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63)의 구형 외주면(63a)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64a)을 가지는 3차원회동체(64)와, 상기 3차원회동체(64)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관통되어 선단이 3차원회동지지구(63)의 구형 외주면(63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와, 상기 지지봉(62)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부(66a)와 상기 원통부(66a)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3차원회동체(64)의 상면에 씌워지는 플랜지부(66b)를 가지는 더스트커버(66)와,
상기 3차원회동체(64)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공(67a)과 상기 결합공(67a)의 내주면에서 상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로킹볼(68a)이 구비된 볼로킹기구(68)가 구비된 착탈식 결합구(67)와,
상기 결합공(67a)에 삽입되며 결합공(67a)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봉(71)과 상기 결합봉(71)의 네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볼(68a)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홈(72)과 상기 결합봉(71)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73)과 상기 원판(73)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되는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구비된 다침식 착지부재(70)와,
상기 결합공(67a)에 삽입되며 결합공(67a)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봉(81)과 상기 결합봉(81)의 네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볼(68a)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홈(82)과 상기 결합봉(81)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착지봉(83)과 상기 착지봉(83)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지판(84)과 상기 착지판(84)의 하면에 부착되는 착지패드(85)가 구비된 면접촉식 착지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61)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다리(27)의 하단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구(61)의 벽면에 관통되는 고정나사(61a)의 선단을 하부다리(27)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하부다리(27)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지지봉(62)은 도시예와 같이 상기 고정구(6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단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고정나사를 고정구(61)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63)는 상기 지지봉(6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3차원회동지지구(63)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63b)을 형성하여 이 결합공(63b)에 상기 지지봉(62)을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상기 지지봉(62)의 하단부에 나사부(62a)를 형성하고, 3차원회동지지구(63)의 중심에 결합공(63b)을 형성하여 3차원회동지지구(63)의 상하단에서 나사부(62a)에 결합너트(62b)를 체결하여 3차원회동지지구(63)의 상하면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는 별도의 공구 없이 현장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나비나사 등과 같이 손잡이가 달린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65a)는 도시예에서는 상기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의 손잡이(65a)가 나비형으로 형성된 예를 예시하였으나 고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더스트커버(66)는 고무 등과 같이 신축성과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스트커버(66)는 상기 플랜지부(66b)를 위에서 밑으로 관통하는 고정나사(66c)를 3차원회동체(64)의 상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3차원회동체(64)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결합구(67)는 결합나사(67b)를 밑에서 위로 관통시켜 3차원회동체(64)의 하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3차원회동체(64)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볼로킹기구(68)는 상기 착탈식 결합구(67)에 법선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공(68d)에 상기 로킹볼(68a)과 압축스프링(68b)을 삽입하고 설치공(68d)의 외측 단부에 마개(68c)를 압입하여 로킹볼(68a)이 결합공(67a)의 내주면에서 상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개(68c)는 결합공(67a)의 외측단에 압입 고정할 수도 있으나, 결합공(67a)의 외측단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마개(68c)의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마개(68c)를 결합공(67a)의 외주측에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침식 착지부재(70)의 결합부(73)와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은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면접촉식 착지부재(80)는 결합봉(81)과 착지봉(83)을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착지봉(83)과 착지판(84)은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착지패드(85)는 마찰계수가 큰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착지판(84)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착지패드(85)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미세돌기(8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침식 착지부재(70)와 면접촉식 착지부재(80)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침식 착지부재(70)와 면접촉식 착지부재(80)를 착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다침식 착지부재(70) 또는 면접촉식 착지부재(80)의 결합봉(71, 81)을 착탈식 결합구(67)의 결합공(67a)에 밑에서 위로 삽입하면, 결합봉(71, 81)은 결합공(67a)의 내주면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킹볼(68a)을 누르면서 삽입되고, 로킹홈(72, 82)이 로킹볼(68a)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로킹볼(68a)이 압축스프링(68b)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돌출되면서 로킹홈(72, 82)에 삽입되어 로킹된다.
상기 결합공(67a)과 결합봉(71, 81)은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봉(71, 81)이 결합공(67a) 내에서 헛돌지 않는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결합공(67a)과 결합봉(71, 81)은 정사각형의 횡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에서 삽입하더라도 무방하다.
다침식 착지부재(70)가 장착된 삼각대를 수평을 이루는 지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다리지지수단(40)을 구성하는 봉형 로드(44)의 연결편(44a) 연결링(46)의 연결편(46a)을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47)을 인출하면,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와 봉형 로드(44)가 자중에 의하여 실린더형 로드(43)의 연결편(43a)과 안내구(26)의 연결편(41)을 연결하는 연결핀(42)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 회동하게 되고, 연결링(46)은 자증에 의하여 상기 수직유지봉(55)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중량추(56) 상에 안착된다(도 3 참조).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을 구성하는 3차원회동지지구(51)에 체결되어 있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를 이완시켜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의 선단이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3차원회동체(53)가 고정 해제되어 자유롭게 3차원회동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다리(20)를 벌리고, 벌어진 다리(20)의 하단에 구비된 다리고정수단(60)을 지면에 고정시킨다.
다침식 착지부재(70)를 결합한 경우에는 삼각대의 다리를 지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안착식 고정방법과 다침식 고정방법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안착식 고정방법은 다침식 착지부재(70)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파고 들어갈 수 없는 아스팔트 바닥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에 삼각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고, 다침식 고정방법은 흙바닥과 같이 다침식 착지부재(70)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파고 들어갈 수 있는 바닥에 착지하는 방법이고, 안착식 고정방법은 아스팔트 바닥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 또는 돌 바닥이나 타일 바닥과 같이 다침식 착지부재(70)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파고 들어갈 수 없는 바닥에 착지하는 방법이다.
안착식 고정방법에 의하여 삼각대를 수평 지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을 구성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이완시켜 3차원회동체(64)와 이에 결합된 다침식 착지부재(70)가 자중에 의하여 3차원 회동하여 수직을 이루게 한 다음, 다시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조여서 3차원회동체(64)와 다침식 착지부재(66)가 수직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 경우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타입되지 않고 지면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로 되지만,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로 구성되어 있어 삼각대에 바람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삼각대가 지면에서 미끄러지거나 위치이동하는 일이 없게 되어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침식 고정방법에 의하여 삼각대를 수평 지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을 구성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이완시켜 3차원회동체(64)와 이에 결합된 다침식 착지부재(70)가 자중에 의하여 3차원 회동하여 수직을 이루게 한 다음, 다시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조여서 3차원회동체(64)와 착지부재(66)가 수직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침식 착지부재(70)에 힘을 가하여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타입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이 경우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타입된 상태로 삼각대를 지지하게 되기 때문에 삼각대가 매우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되어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봉(62)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부(66a)와 3차원회동체(64)의 상면에 씌워지는 플랜지부(66b)를 가지는 더스트커버(6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먼지나 흙 등 이물질이 3차원회동지지구(63)와 3차원회동체(64) 사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3차원회동체(64)의 3차원회동 동작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고정수단(60)에 의하여 삼각대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유지봉(55)이 고정 결합된 3차원회동체(53)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수직유지봉(55)과 중량추(56)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3차원회동체(53)와 수직유지봉(55) 및 중량추(46)가 일체로 3차원회동하게 되어 수직유지봉(55)은 수직을 유지하게 되고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마운트(30)는 그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51)에 나사체결된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를 조여서 그 선단이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 밀착되도록 하면, 라이너(52)의 구형 내주면B(52b)가 3차원회동체(53)의 구형 외주면B(53a)를 압박하게 되고, 3차원회동체(53)가 라이너(52)를 통해 3차원회동지지구(51)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연결링(46)을 수직유지봉(55)을 따라 대략 상부다리(24)의 하단에 구비된 안내구(26)의 높이로 들어 올려 상기 봉형 로드(44)의 연결편(44a)이 연결링(46)의 연결편(46a)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고 봉형 로드(44)의 연결편(44a)과 연결링(46)의 연결편(46a)에 착탈식 연결핀(47)을 끼워서 봉형 로드(43)를 연결링(46)에 연결한 다음, 실린더형 로드(43)에 체결된 조임나사(47)를 조여서 조임나사(47)의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43)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4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다리(20)가 실린더형 로드(43)와 봉형 로드(44) 및 연결링(46)을 통해 수직유지봉(55)에 지지되도록 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이 상태에서 마운트(30)의 상면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마운트(30)에 측량기기를 장착하여 측랑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도 6 참조).
다음, 삼각대를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다리고정수단(6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안착식 고정방법과 다침식 고정방법의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안착식 고정방법에 의하여 경사 지면에 삼각대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을 구성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이완시켜 3차원회동체(64)와 이에 결합된 다침식 착지부재(70)가 자중에 의하여 3차원 회동하여 3차원회동체(64)와 이에 결합된 다침식 착지부재(70)가 수직을 이루게 한 다음,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한다.
이때, 다침식 착지부재(70)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은 수직을 이루는 상태이고 지면은 경사져 있으므로 하단 첨예형 착지편(74) 중 일부만 지면에 착지된다(도 8 참조).
이 상태에서 삼각대의 중량에 의하여 다침식 착지부재(70)가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3차원회동체(64)와 다침식 착지부재(70)는 하단 첨예형 착지편(74)과 지면의 접촉점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하부다리(27)는 3차원회동체(63)의 3차원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하여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 모두가 경사진 지면에 착지된다(도 9 참조).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의 착지가 완료되면,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조여서 선단이 3차원회동체(64)의 구형 외주면(64a)에 밀착되도록 하여 3차원회동체(64)가 회동하지 못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착식 고정방법에 의한 경사 지면에 대한 다리의 고정이 완료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안착식 고정방법에 의한 경사 지면에 대한 삼각대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침식 착지부재(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경사 지면에 모두 착지된 상태이므로 삼각대에 바람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삼각대가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게 되어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침식 고정방법에 의하여 경사 지면에 삼각대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안착식 고정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의하여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 모두가 경사 지면에 모두 안착되도록 한 다음,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를 조여서 선단이 3차원회동체(64)의 구형 외주면(64a)에 밀착되도록 하여 3차원회동체(64)가 회동하지 못하지 못하게 하고, 다침식 착지부재(70)를 눌러서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타입되도록 하면 삼각대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삼각대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침식 착지부재(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지면에 타입된 상태이므로 삼각대에 바람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삼각대가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게 되어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삼각대를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다리(20)에 대응하는 지면의 높이에 따라 다리(20)의 길이를 다르게 조정하여 마운트(30)의 상면이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다리(20)의 길이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안내구(26)에 체결된 다리조정나사(28)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상부다리(27)를 승강시켜 상부다리(24)와 하부다리(27)를 포함하는 다리(20)의 길이를 조정하고 다리조정나사(18)를 조여서 그 선단이 하부다리(27)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다리(20)를 길이 조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경사진 지면의 높은 쪽에 위치하는 다리(20)의 길이는 짧게 조정하고 낮은 쪽에 위치하는 다리(20)는 길게 조정한다.
지면의 경사에 따라 각각 길이 조정된 다리(20)들을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각 하부다리(27)에 결합된 착지고정부재(65)들이 이루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 아닌 임의의 삼각형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3차원회동체(53)와 수직유지봉(54)의 작용으로 수직유지봉(55)은 수직을 이루게 되고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고정 결합됨 마운트(30)의 상면은 수평을 이루게 된다(도 9 참조).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3차원회동체(53)의 고정과정과 다리(20)의 지지과정을 거친 다음 마운트(30)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면 측량기기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측량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도 10 참조).
도 11은 면접촉식 착지부재(80)를 사용하여 안착식 고정방법에 의하여 수평 지면에 삼각대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면접촉식 착지부재(80)를 사용하여 안착식 고정방법에 의하여 경사 지면에 삼각대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면접촉식 착지부재(80)는 착지판(84)의 하면에 부착되는 착지패드(85)가 마찰계수가 큰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하면에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미세돌기(8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스팔트 바닥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타일 바닥 등과 같이 다침식 착지부재(70)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파고 들어갈 수 없는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 삼각대에 바람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되어 수평 지면은 물론 경사 지면에 설치하더라도 쉽게 넘어지거나 위치이동하지 않아 측량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상부지지대 20 : 다리
21 : 힌지부 24 : 상부다리
25 : 다리부재 26 : 안내구
27 : 하부다리 28 : 다리조정나사
30 : 마운트 40 : 다리지지수단
41, 43a, 44a, 46a : 연결편 42, 47 : 연결핀
43 : 실린더형 로드 44 : 봉형 로드
45 : 조임나사 46 : 연결링
50 : 마운트수평유지수단 51 : 3차원회동지지구
52 : 라이너 53 : 3차원회동체
54 :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 55 : 수직유지봉
56 : 중량추 57 : 조임나사
60: 지면고정수단 61 : 고정구
62 : 지지봉 63 : 3차원회동지지구
64 : 3차원회동체 65 :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
66 : 더스트커버 67 : 착탈식 결합구
68 : 볼로킹기구 70 : 다침식 착지부재
71, 81 : 결합봉 72, 82 : 로킹홈
73 : 원판 74 : 하단 첨예형 착지편
80 : 면접촉식 착지부재 83 : 착지봉
84 : 착지판 85 : 착지패드
86 : 미끄럼방지용 미세돌기

Claims (1)

  1. 상단지지대(1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2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30), 상기 다리(20)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40); 상기 마운트(30)가 지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 및, 상기 다리(2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대(10)는 다리(2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힌지부(11)와 힌지공(12)을 등각도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다리(20)는 상기 힌지부(11)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공(12)에 대응하는 힌지공(22)이 형성된 힌지부(21)와, 상기 힌지공(12, 22)에 삽입되어 힌지부(11, 21)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부(21)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25)와, 상기 다리부재(25)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안내구(26)를 구비한 상부다리(24)와, 상기 안내구(26)를 통하여 한 쌍의 다리부재(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27) 및, 상기 안내구(26)에 체결되어 선단이 하부다리(27)에 밀착되는 다리조정나사(28)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지지수단(40)은, 상기 안내구(26)의 내측면에서 돌츨되는 연결편(41)과, 상기 연결편(41)에 연결핀(42)으로 연결되는 연결편(43a)이 구비된 실린더형 로드(43)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외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봉형 로드(44)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체결되어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43)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4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나사(45)와, 상기 조임나사(45)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45a)와,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편(44a)이 삽입되는 연결편(46a)이 구비된 연결링(46)과, 상기 연결편(44a, 46a)을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47)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설치된 삽입공간(13)에 삽입 고정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구형 내주면A(51a)가 구비된 3차원회동지지구(51)와, 상기 구형 내주면A(51a)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A(51a)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A(52a)와 구형 외주면A(52a)보다 곡률이 작은 구형 내주면B(52b)가 구비된 라이너(52)와, 상기 구형 내주면B(52b)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B(52b)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B(53a)가 구비된 3차원회동체(53)와,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51)에 법선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와, 상기 3차원회동체(53)에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마운트(30)가 직각으로 고정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링(46)에 삽입되는 수직유지봉(55)과, 상기 수직유지봉(55)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량추(56)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은 상기 하부다리(27)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구(61)와, 상기 고정구(6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봉(62)과, 상기 지지봉(62)의 하단에 결합되며 구형 외주면(63a)을 가지는 3차원회동지지구(63)와, 상기 3차원회동지지구(63)의 구형 외주면(63a)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64a)을 가지는 3차원회동체(64)와, 상기 3차원회동체(64)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관통되어 선단이 3차원회동지지구(63)의 구형 외주면(63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65)와, 상기 지지봉(62)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부(66a)와 상기 원통부(66a)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3차원회동체(64)의 상면에 씌워지는 플랜지부(66b)를 가지는 더스트커버(66)와, 상기 3차원회동체(64)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공(67a)과 상기 결합공(67a)의 내주면에서 상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로킹볼(68a)이 구비된 볼로킹기구(68)가 구비된 착탈식 결합구(67)와, 상기 결합공(67a)에 삽입되며 결합공(67a)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봉(71)과 상기 결합봉(71)의 네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볼(68a)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홈(72)과 상기 결합봉(71)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73)과 상기 원판(73)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되는 복수개의 하단 첨예형 착지편(74)이 구비된 다침식 착지부재(70)와, 상기 결합공(67a)에 삽입되며 결합공(67a)에 대응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결합봉(81)과 상기 결합봉(81)의 네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볼(68a)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홈(82)과 상기 결합봉(81)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착지봉(83)과 상기 착지봉(83)의 하단에 결합되는 착지판(84)과 상기 착지판(84)의 하면에 부착되는 착지패드(85)가 구비된 면접촉식 착지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20130091870A 2013-08-02 2013-08-02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4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870A KR101341488B1 (ko) 2013-08-02 2013-08-02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870A KR101341488B1 (ko) 2013-08-02 2013-08-02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488B1 true KR101341488B1 (ko) 2013-12-13

Family

ID=4998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870A KR101341488B1 (ko) 2013-08-02 2013-08-02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4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64B1 (ko) 2014-01-03 2015-02-11 윤석준 레이더 관측기 및 상업용 관측기용 삼각대
KR102358129B1 (ko) * 2021-03-17 2022-02-08 대한민국 다각도 지주를 구비한 파공봉쇄장치
CN116336330A (zh) * 2023-04-18 2023-06-27 重庆欣荣土地房屋勘测技术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测绘仪器用快速对中整平装置
KR102635222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측지측량용 표척을 멀티로 고정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635223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지표면의 수준 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635221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지면에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구조
CN117967939B (zh) * 2024-04-02 2024-05-28 湖南汇华新材料有限公司 一种摄影拍照用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709A (ko) * 1998-12-19 2000-07-05 최운지 측량장비용 삼각대
KR20020060410A (ko) * 2001-01-11 2002-07-18 송재인 휴대용 지지대의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0893535B1 (ko) * 2007-08-06 2009-04-15 충무정밀 주식회사 삼각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709A (ko) * 1998-12-19 2000-07-05 최운지 측량장비용 삼각대
KR20020060410A (ko) * 2001-01-11 2002-07-18 송재인 휴대용 지지대의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0893535B1 (ko) * 2007-08-06 2009-04-15 충무정밀 주식회사 삼각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64B1 (ko) 2014-01-03 2015-02-11 윤석준 레이더 관측기 및 상업용 관측기용 삼각대
KR102358129B1 (ko) * 2021-03-17 2022-02-08 대한민국 다각도 지주를 구비한 파공봉쇄장치
CN116336330A (zh) * 2023-04-18 2023-06-27 重庆欣荣土地房屋勘测技术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测绘仪器用快速对中整平装置
CN116336330B (zh) * 2023-04-18 2024-01-05 重庆欣荣土地房屋勘测技术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测绘仪器用快速对中整平装置
KR102635222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측지측량용 표척을 멀티로 고정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2635223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지표면의 수준 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635221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지면에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구조
CN117967939B (zh) * 2024-04-02 2024-05-28 湖南汇华新材料有限公司 一种摄影拍照用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488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35489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56755B1 (ko) 수준측량용 삼각대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69117B1 (ko) 지면 고정이 용이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구조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KR10134921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49956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60259B1 (ko)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비한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시스템
KR102171729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US20050151035A1 (en) Multiple function geomatics pole support device
CN110726057B (zh) 一种快速调平的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KR10134922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고정장치
KR101619402B1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444889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충격 보호장치
KR101356754B1 (ko) 수준 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CN210219087U (zh) 一种岩土工程用测绘装置
JP4541448B1 (ja) 三脚支持装置、三脚装置、三脚用支持部材および三脚支持方法
KR101795007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1464170B1 (ko) 측량시 거리측정기 휴대장치
KR101349385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2068208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고정을 위한 장치
KR101403476B1 (ko)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349225B1 (ko) 정밀수준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