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385B1 -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385B1
KR101349385B1 KR1020130084297A KR20130084297A KR101349385B1 KR 101349385 B1 KR101349385 B1 KR 101349385B1 KR 1020130084297 A KR1020130084297 A KR 1020130084297A KR 20130084297 A KR20130084297 A KR 20130084297A KR 101349385 B1 KR101349385 B1 KR 10134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rod
mount
circumferential surfac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길
이충희
남양윤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동광지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지엔티 filed Critical (주)동광지엔티
Priority to KR102013008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6Members preventing slipping of the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와, 상단지지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와, 다리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과, 다리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마운트에 장착되는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있게 되며, 마운트가 자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다리를 지면에 착지시키면, 마운트수평유지수단에 의하여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다리지지수단에 의하여 다리를 지지하여 삼각대를 설치한 다음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면 측량기기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삼각대의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Tripod fixing apparatus for geodetic survey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삼각대를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다리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삼각대를 수평을 이루는 지면은 물론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을 자동 유지하도록 지면에 착지되는 다리를 지지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후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측량기기의 수평이 맞춰지게 되어 삼각대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지측량에 있어서는 레벨기, 트랜지트,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량기기(측정기기)를 사용하며, 이들 정밀측량기기들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각대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측정기기와 측량기기는 동일하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측량용 삼각대에 요구되는 조건은 지면에 견고하게 착지되어 바람이나 외부 층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측량기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측정기기의 수평을 맞출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측량용 삼각대는 3개의 다리와, 다리들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구 및, 상단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측정기기 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다리의 상단이 상단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부다리의 하단에는 각각 버팀봉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버팀봉의 타단은 연결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오므렸을 때에는 다리들과 나란한 상태로 되고 다리를 벌렸을 때에는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다리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트는 상단지지구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운트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측량용 삼각대는 다리를 지면에 착지한 상태로부터 상부지지대를 기준으로 마운트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면에 설치된 측량기기의 수평을 조절하여야 하므로 측량기기의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수평을 조절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측량기기가 설치되는 마운트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삼각대의 다리가 단순히 다리 하단에 고정 결합된 착지부재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여 측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넘어지기 쉽고, 이에 따라 마운트에 장착된 고가의 측량장비가 지면과 충돌하여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측량기기가 설치되는 삼각대가 측지측량 작업 과정에서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아 마운트에 장착된 고가의 측량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72260호 (2004.12.28. 등록) “지피에스 측량용 삼각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288885호 (2001.02.12. 등록) “측량장비용 삼각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삼각대를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다리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지 않게 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각대를 수평을 이루는 지면은 물론 경사진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을 자동 유지하도록 지면에 착지되는 다리를 지지함으로써 삼각대 설치 후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써 측량기기의 수평이 맞춰지게 되어 삼각대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 상기 다리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 및 상기 마운트가 지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 및, 및, 상기 다리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대는 다리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힌지부와 힌지공을 등각도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공에 대응하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어 힌지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안내구를 구비한 상부다리와, 상기 안내구를 통하여 한 쌍의 다리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와, 상기 하부다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지면에 착지되는 착지부재 및 상기 안내구에 체결되어 선단이 하부다리에 밀착되는 다리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지지수단은, 상기 안내구의 내측면에서 돌츨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연결편이 구비된 실린더형 로드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에 외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봉형 로드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에 체결되어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나사와, 상기 조임나사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봉형 로드의 내측 단부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봉형 로드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편이 삽입되는 연결편이 구비된 연결링과, 상기 연결편을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은, 상기 상단지지대에 설치된 삽입공간에 삽입 고정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구형 내주면A가 구비된 3차원지지구와, 상기 구형 내주면A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A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A와 구형 외주면A보다 곡률이 작은 구형 내주면B가 구비된 라이너와, 상기 구형 내주면B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B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B가 구비된 3차원회동체와, 상기 3차원지지구에 법선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라이너의 구형 외주면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와, 상기 3차원회동체에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마운트가 직각으로 고정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링에 삽입되는 수직유지봉과, 상기 수직유지봉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고정수단은 상기 안내구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다리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바깥쪽 면에 돌출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힌지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레버와, 상기 연결레버의 하단에 연결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핀에 삽입 안내되는 안내장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에 박기 위한 박힘부가 형성된 지면고정못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고정장치.
본 발명의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와, 상기 상단지지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와, 상기 다리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과, 상기 다리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삼각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마운트에 장착되는 측량기기가 훼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마운트가 자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다리를 지면에 착지시키면, 마운트수평유지수단에 의하여 마운트의 상면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다리지지수단에 의하여 다리를 지지하여 삼각대를 설치한 다음 마운트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면 측량기기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삼각대의 설치와 측량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상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는 다리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3차원회동체의 고정을 해제하고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를 연결링으로부터 분리하며 다리를 벌린 삼각대를 수평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3차원회동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의 길이를 조정하고 봉형로드를 연결링에 연결하여 다리를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 7은 3차원회동체의 고정을 해제하고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를 연결링으로부터 분리하며 다리를 벌린 삼각대를 경사 지면에 착지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3차원회동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실린더형 로드와 봉형 로드의 길이를 조정하고 봉형로드를 연결링에 연결하여 다리를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지지대(1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2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30), 상기 다리(20)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40); 상기 마운트(30)가 지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 및, 및, 상기 다리(2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지지대(10)는 다리(2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힌지부(11)와 힌지공(12)을 등각도 간격으로 구비한다.
상기 다리(20)는 상기 힌지부(11)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공(12)에 대응하는 힌지공(22)이 형성된 힌지부(21)와, 상기 힌지공(12, 22)에 삽입되어 힌지부(11, 21)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부(21)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25)와, 상기 다리부재(25)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안내구(26)를 구비한 상부다리(24)와, 상기 안내구(26)를 통하여 한 쌍의 다리부재(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27)와, 상기 하부다리(27)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지면에 착지되는 착지부재(28) 및 상기 안내구(26)에 체결되어 선단이 하부다리(27)에 밀착되는 다리조정나사(29)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다리(24)의 다리부재(25)와 안내구(26)는 다리부재(25)를 안내구(26)에 삽입한 상태에서 안내구(26)를 관통하는 고정나사(26a)를 다리부재(25)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착지부재(28)는 하단이 첨예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하부다리(27)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부(28a)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다리(27)와 착지부재(28)는 하부다리(27)의 하단부를 삽입부(28a)에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부(28a)를 관통하는 고정나사(28b)를 하부다리(27)의 하단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다리조정나사(29)는 별도의 공구 없이 현장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나비나사 등과 같이 손잡이가 달린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30)는 그 중앙부에 나사공(31)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55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나사부(55a)에는 2개의 너트(32)를 체결하여 마운트(3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운트(30)가 수직유지봉(55)에 대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측량기기(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홀(33)이 구비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기존의 마운트 중에서 장착하고자 하는 측량기기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리지지수단(40)은, 상기 안내구(26)의 내측면에서 돌츨되는 연결편(41)과, 상기 연결편(41)에 연결핀(42)으로 연결되는 연결편(43a)이 구비된 실린더형 로드(43)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외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봉형 로드(44)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체결되어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41)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4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나사(45)와, 상기 조임나사(45)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45a)와,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편(44a)이 삽입되는 연결편(46a)이 구비된 연결링(46)과, 상기 연결편(44a, 46a)을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임나사(45)는 별도의 공구 없이 현장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나비나사 등과 같이 손잡이가 달린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식 연결핀(47)은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47a)가 구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손잡이(47a)가 나비형으로 형성된 예를 예시하였으나 고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설치된 삽입공간(13)에 삽입 고정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구형 내주면A(51a)가 구비된 3차원지지구(51)와, 상기 구형 내주면A(51a)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A(51a)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A(52a)와 구형 외주면A(52a)보다 곡률이 작은 구형 내주면B(52b)가 구비된 라이너(52)와, 상기 구형 내주면B(52b)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B(52b)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B(53a)가 구비된 3차원회동체(53)와, 상기 3차원지지구(51)에 법선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와, 상기 3차원회동체(53)에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마운트(30)가 직각으로 고정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링(46)에 삽입되는 수직유지봉(55)과, 상기 수직유지봉(55)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량추(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차원회동체(53)에는 관통공(53b)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53b)에 수직유지봉(55)의 상단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마운트(3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유지봉(55)에 체결되는 너트(32)의 하면에 3차원회동체(53)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직유지봉(55)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55a)에 고정너트(53c)를 체결하여 3차원회동체(53)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3차원회동체(53)를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유지봉(55)과 중량추(56)는 수직유지봉(55)의 하단에는 나사부(55b)를, 중량추(56)의 상면에는 나사공(56a)을 형성하여 이들 나사부(55a)와 나사공(56a)을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은 상기 안내구(26)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다리(27)에 고정되는 고정구(61)와, 상기 고정구(61)의 바깥쪽 면에 돌출되는 힌지부(62)와, 상기 힌지부(62)에 힌지핀(63)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레버(64)와, 상기 연결레버(64)의 하단에 연결핀(65)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핀(65)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장공(6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에 박기 위한 박힘부(68)가 형성된 지면고정못(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61)는 고정나사(61a)를 관통시켜 상기 하부다리(27)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지면고정못(66)의 박힘부(68)의 하단은 첨예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20)가 접힌 상태에서 다리(20)를 펼쳐서 지면에 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다리지지수단(40)을 구성하는 봉형 로드(44)의 연결편(44a) 연결링(46)의 연결편(46a)을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47)을 인출하면,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와 봉형 로드(44)가 자중에 의하여 실린더형 로드(43)의 연결편(43a)과 안내구(26)의 연결편(41)을 연결하는 연결핀(42)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 회동하게 되고, 연결링(46)은 자증에 의하여 상기 수직유지봉(55)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중량추(56) 상에 안착된다(도 3 참조).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을 구성하는 3차원지지구(51)에 체결되어 있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를 이완시켜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의 선단이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3차원회동체(53)가 고정 해제되어 자유롭게 3차원회동할 수 있게 한 상태에서 다리(20)를 펼쳐 착지부재(28)가 지면에 착지되도록 한다(도 3 참조).
이때 수직유지봉(55)이 고정 결합된 3차원회동체(53)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수직유지봉(55)과 중량추(56)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3차원회동체(53)와 수직유지봉(55) 및 중량추(46)가 일체로 3차원회동하게 되어 수직유지봉(55)은 수직을 유지하게 되고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마운트(30)는 그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3차원지지구(51)에 나사체결된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를 조여서 그 선단이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 밀착되도록 하면, 라이너(52)의 구형 내주면B(52b)가 3차원회동체(53)의 구형 외주면B(53a)를 압박하게 되고, 3차원회동체(53)가 라이너(52)를 통해 3차원지지구(51)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연결링(46)을 수직유지봉(55)을 따라 대략 상부다리(24)의 하단에 구비된 안내구(26)의 높이로 들어 올려 상기 봉형 로드(44)의 연결편(44a)이 연결링(46)의 연결편(46a)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고 봉형 로드(44)의 연결편(44a)과 연결링(46)의 연결편(46a)에 착탈식 연결핀(47)을 끼워서 봉형 로드(43)를 연결링(46)에 연결한 다음, 실린더형 로드(43)에 체결된 조임나사(47)를 조여서 조임나사(47)의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43)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4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다리(20)가 실린더형 로드(43)와 봉형 로드(44) 및 연결링(46)을 통해 수직유지봉(55)에 지지되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상기 다리(20)의 착지부재(28)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면고정수단(60)의 연결레버(64)를 고정구(61)의 힌지부(62)에 대하여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시킴과 아울러 지면고정못(66)을 연결레버(64)의 하단에 대하여 연결핀(65)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시켜 박힘부(68)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연결레버(64)와 지면고정못(66)을 하방으로 눌러서 박힘부(58)가 지면에 박히도록 한다.
이때 다리(20)는 착지부재(28)를 통해 지면에 착지되어 있고, 지면고정못(66)은 연결레버(64)와 고정구(61)를 통해 하부다리(27)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리(20)가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40)에 측량기기를 장착하여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람이나 외부 진동 등이 삼각대와 측량기기에 가해지더라도 삼각대가 임의로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다리(20)를 접은 상태에서 삼각대를 세우면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의 연결레버(64)와 지면고정못(66)은 자중에 의하여 각각 힌지핀(63)과 연결핀(65)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게 된다(도 2의 가상선 표시 참조). 이때 상기 지면고정못(66)에는 상기 연결핀(65)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장공(6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면고정못(66)을 상부로 밀어올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도 2의 실선표시 참조).
이 상태에서 마운트(30)의 상면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마운트(30)에 측량기기를 장착하여 측랑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지면이 수평인 경우에는 3개의 다리(20)를 이루는 상부다리(24)와 하부다리(27)의 전장이 모두 동일하거 되고 상기 착지부재(28)의 착지점을 잇는 삼각형이 정삼각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수직유지봉(55)이 3개의 다리(20)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므로 연결링(46)과 각 다리(20)의 안내구(26) 사이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실린더형 로드(43)와 봉형 로드(44)의 전장도 모두 동일하게 된다.
한편 지면이 경사진 경우에는 각 다리(20)에 대응하는 지면의 높이에 따라 다리(20)의 길이를 다르게 조정하여 마운트(30)의 상면이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다리(20)의 길이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안내구(26)에 체결된 다리조정나사(29)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상부다리(27)를 승강시켜 상부다리(24)와 하부다리(27)를 포함하는 다리(20)의 길이를 조정하고 다리조정나사(18)를 조여서 그 선단이 하부다리(27)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다리(20)를 길이 조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경사진 지면의 높은 쪽에 위치하는 다리(20)의 길이는 짧게 조정하고 낮은 쪽에 위치하는 다리(20)는 길게 조정한다.
지면의 경사에 따라 각각 길이 조정된 다리(20)들을 지면에 착지한 상태에서 착지부재(28)가 이루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 아닌 임의의 삼각형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3차원회동체(53)와 수직유지봉(54)의 작용으로 수직유지봉(55)은 수직을 이루게 되고 수직유지봉(55)의 상단에 고정 결합됨 마운트(30)의 상면은 수평을 이루게 된다(도 7 참조).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3차원회동체(53)의 고정과정과 다리(20)의 지지과정과 다리(20)의 지면 고정 과정을 거친 다음 마운트(30)에 측량기기를 장착하면 측량기기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측량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도 8 및 도 9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상부지지대 20 : 다리
21 : 힌지부 24 : 상부다리
25 : 다리부재 26 : 안내구
27 : 하부다리 28 : 착지부재
29 : 다리조정나사 30 : 마운트
40 : 다리지지수단 41, 43a, 44a, 46a : 연결편
42, 47 : 연결핀 43 : 실린더형 로드
44 : 봉형 로드 45 : 조임나사
46 : 연결링 50 : 마운트수평유지수단
51 : 3차원지지구 52 : 라이너
53 : 3차원회동체 54 :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
55 : 수직유지봉 56 : 중량추
57 : 조임나사 60: 다리고정수단
61 : 고정구 62 : 힌지부
63 : 힌지핀 64 : 연결레버
65 : 연결핀 66 : 지면고정못
67 : 안내장공 68 : 박힘부

Claims (1)

  1. 상단지지대(1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설치되는 3개의 다리(20)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마운트(30), 상기 다리(20)를 벌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수단(40); 상기 마운트(30)가 지동적으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 및, 상기 다리(2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리고정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지지대(10)는 다리(2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3개의 힌지부(11)와 힌지공(12)을 등각도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다리(20)는 상기 힌지부(11)에 대응하며 상기 힌지공(12)에 대응하는 힌지공(22)이 형성된 힌지부(21)와, 상기 힌지공(12, 22)에 삽입되어 힌지부(11, 21)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부(21)에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25)와, 상기 다리부재(25)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안내구(26)를 구비한 상부다리(24)와, 상기 안내구(26)를 통하여 한 쌍의 다리부재(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27)와, 상기 하부다리(27)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지면에 착지되는 착지부재(28) 및 상기 안내구(26)에 체결되어 선단이 하부다리(27)에 밀착되는 다리조정나사(29)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지지수단(40)은, 상기 안내구(26)의 내측면에서 돌츨되는 연결편(41)과, 상기 연결편(41)에 연결핀(42)으로 연결되는 연결편(43a)이 구비된 실린더형 로드(43)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외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봉형 로드(44)와, 상기 실린더형 로드(43)에 체결되어 선단이 실린더형 로드(43)의 내부에서 봉형 로드(4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조임나사(45)와, 상기 조임나사(45)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손잡이(45a)와,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봉형 로드(44)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편(44a)이 삽입되는 연결편(46a)이 구비된 연결링(46)과, 상기 연결편(44a, 46a)을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핀(47)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수평유지수단(50)은, 상기 상단지지대(10)에 설치된 삽입공간(13)에 삽입 고정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구형 내주면A(51a)가 구비된 3차원지지구(51)와, 상기 구형 내주면A(51a)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A(51a)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A(52a)와 구형 외주면A(52a)보다 곡률이 작은 구형 내주면B(52b)가 구비된 라이너(52)와, 상기 구형 내주면B(52b)에 삽입되며 구형 내주면B(52b)에 대응하는 구형 외주면B(53a)가 구비된 3차원회동체(53)와, 상기 3차원지지구(51)에 법선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라이너(52)의 구형 외주면A(52a)에 밀착되는 3차원회동체 고정나사(54)와, 상기 3차원회동체(53)에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마운트(30)가 직각으로 고정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링(46)에 삽입되는 수직유지봉(55)과, 상기 수직유지봉(55)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중량추(56)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고정수단(60)은 상기 안내구(26)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다리(27)에 고정되는 고정구(61)와, 상기 고정구(61)의 바깥쪽 면에 돌출되는 힌지부(62)와, 상기 힌지부(62)에 힌지핀(63)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레버(64)와, 상기 연결레버(64)의 하단에 연결핀(65)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핀(65)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장공(6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면에 박기 위한 박힘부(68)가 형성된 지면고정못(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고정장치.
KR1020130084297A 2013-07-17 2013-07-17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4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297A KR101349385B1 (ko) 2013-07-17 2013-07-17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297A KR101349385B1 (ko) 2013-07-17 2013-07-17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385B1 true KR101349385B1 (ko) 2014-01-16

Family

ID=5014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297A KR101349385B1 (ko) 2013-07-17 2013-07-17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1419A (zh) * 2014-06-16 2014-09-24 苏州华徕光电仪器有限公司 一种用于光学测绘仪器的可调三脚架
KR101492364B1 (ko) 2014-01-03 2015-02-11 윤석준 레이더 관측기 및 상업용 관측기용 삼각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461A (ja) * 1993-03-26 1994-10-07 Seikosha Co Ltd 光波距離計用プリズム支持装置
JPH1019571A (ja) * 1996-07-04 1998-01-23 Taihei Sangyo:Kk 測量用ポール保持装置
KR100678644B1 (ko) * 2006-05-04 2007-02-02 김은주 지형 측량용 스태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461A (ja) * 1993-03-26 1994-10-07 Seikosha Co Ltd 光波距離計用プリズム支持装置
JPH1019571A (ja) * 1996-07-04 1998-01-23 Taihei Sangyo:Kk 測量用ポール保持装置
KR100678644B1 (ko) * 2006-05-04 2007-02-02 김은주 지형 측량용 스태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64B1 (ko) 2014-01-03 2015-02-11 윤석준 레이더 관측기 및 상업용 관측기용 삼각대
CN104061419A (zh) * 2014-06-16 2014-09-24 苏州华徕光电仪器有限公司 一种用于光学测绘仪器的可调三脚架
CN104061419B (zh) * 2014-06-16 2016-05-25 苏州华徕光电仪器有限公司 一种用于光学测绘仪器的可调三脚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489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56755B1 (ko) 수준측량용 삼각대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60259B1 (ko)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비한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시스템
KR101341488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56754B1 (ko) 수준 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KR200372260Y1 (ko) 지피에스 측량용 삼각대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CN109163714B (zh) 复杂地形条件下测量定位坐标转换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171729B1 (ko) 수준점 및 기준점 측량과 표석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KR101349956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349385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KR101444889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충격 보호장치
KR10134922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고정장치
CN216479910U (zh) 一种地理测绘用调节支架
JP4541448B1 (ja) 三脚支持装置、三脚装置、三脚用支持部材および三脚支持方法
KR101464170B1 (ko) 측량시 거리측정기 휴대장치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1480720B1 (ko) 정밀 수준 측량용 스타프 고정장치
CN212107605U (zh) 一种煤矿钻探用辅助标杆
CN209557970U (zh) 一种新型测绘仪支架
KR101358459B1 (ko)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을 위한 측량장치 지면 고정시스템
KR101700852B1 (ko) 고소구간 안전진단을 위한 핸드 크레인
CN210070915U (zh) 一种水准仪
CN211694213U (zh) 一种野外地形测绘架
CN211118367U (zh) 一种建筑施工测量测绘用定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