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681B1 -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681B1
KR101870681B1 KR1020180054868A KR20180054868A KR101870681B1 KR 101870681 B1 KR101870681 B1 KR 101870681B1 KR 1020180054868 A KR1020180054868 A KR 1020180054868A KR 20180054868 A KR20180054868 A KR 20180054868A KR 101870681 B1 KR101870681 B1 KR 10187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receptor
moving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준
유금도
민관식
이근상
이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원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8005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을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 지적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높이조절에 따른 중부굴곡폴대와 상부굴곡폴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부굴곡폴대 및 지적측량기기가 갖는 하중에 의해 중부굴곡폴대가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중부굴곡폴대가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HEIGHT ADJUSTMENT SYSTEM OF TRIPOD FOR SURVEYING}
본 발명은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을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 지적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높이조절에 따른 중부굴곡폴대와 상부굴곡폴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부굴곡폴대 및 지적측량기기가 갖는 하중에 의해 중부굴곡폴대가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중부굴곡폴대가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적측량은 토지를 필지 단위별로 등록하여 토지에 대한 물권이 미치는 한계(위치, 크기, 모양, 경계 등)를 밝히기 위한 측량으로 2차원(x,y)위치만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지적측량을 위해서는 기초측량이 이루어지는 데, 기초측량은 지적측량에 필요한 기초점의 설치를 위해서 실시하거나 세부측량을 시행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이다. 지적측량에는 표척과 삼각대가 필요하며 각각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고, 이하에서 설명과 이해를 간단하며 쉽게 하기 위하여 삼각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지적측량은 물권이 미치는 한계를 밝히기 위한 측량이기 때문에 주택 지역이 주요 대상이 된다.
그러나, 주택의 경우 처마와 같은 지붕의 돌출부로 인해, 상기 돌출부의 하부 평면 위치를 정확히 측량하기 어렵다.
특히, GPS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할 시는 더욱 어려움이 컸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측량기기가 설치되는 폴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폴대의 상단에 측량기기를 설치함으로써, 측량하고자 하는 위치를 측량했다.
그러나 종래에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폴대의 횡방향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워, 지붕의 다양한 돌출부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측량의 정밀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폴대를 고정하는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폴대를 설치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79604호(2015.01.08.)에는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는 중부굴곡폴대와 상부굴곡폴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부굴곡폴대 및 지적측량기기가 갖는 하중에 의해 중부굴곡폴대가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중부굴곡폴대가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79604호(2015.01.08.)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조절을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 지적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높이조절에 따른 중부굴곡폴대와 상부굴곡폴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부굴곡폴대 및 지적측량기기가 갖는 하중에 의해 중부굴곡폴대가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중부굴곡폴대가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각대 형상의 지지대(100); 하부가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210)와,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제1관통홀(221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1c)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제1수용공간(2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221a)과 연통되는 제1개구홀(221b)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홀(221b)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제1수용부(221)와 상기 제1관통홀(22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22)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2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용체(220)를 포함하는 하부굴곡폴대(200); 일측 전면에 제1고정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311) 및 상기 제1삽입부(3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222)에 걸리는 제1걸림부(312)를 구비하는 제1이동체(310)와, 하부가 상기 제1이동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제2수용공간(321)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321)과 연통되는 제2개구홀(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홀(322)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제2수용체(320)와, 하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고정홀(331)이 형성되는 삽입체(330)와, 타측이 상기 삽입체(330)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 전면에 제3고정홀(341a)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341) 및 상기 제2삽입부(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342)를 구비하는 제2이동체(340)를 포함하는 중부굴곡폴대(300); 타측이 개방되어 제2관통홀(411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411c)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체(340)의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수용공간(411a)이 형성되며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수용공간(411a)과 연통되는 제3개구홀(411b)이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홀(411b)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제2수용부(411) 및 상기 제2관통홀(41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돌출부(412)를 구비하는 제3수용체(410)와,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측량기기설치체(420)를 포함하는 상부굴곡폴대(400); 상기 제1개구홀(221b)을 관통하며, 상기 제1고정홀(31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500); 상기 제2개구홀(322)을 관통하며, 상기 제2고정홀(33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600); 상기 제3개구홀(411b)을 관통하며, 상기 제3고정홀(34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체결부재(700); 및 상기 측량기기설치체(4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적측량기기(800)를 포함하는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는 지지부(9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900)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910);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920);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판(9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9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9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판(91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931);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931)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바(932); 및 상기 하부바(9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931)를 지지하는 스프링(93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931)는,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934)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933)의 상부와 안정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조절을 통한 다양한 위치에서 지적측량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수용체로부터 제3수용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이조절에 따른 중부굴곡폴대와 상부굴곡폴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른 상부굴곡폴대 및 지적측량기기가 갖는 하중에 의해 중부굴곡폴대가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중부굴곡폴대가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서 지지수단이 상,하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는 지지대(100), 하부굴곡폴대(200), 중부굴곡폴대(300), 상부굴곡폴대(400), 제1체결부재(500), 제2체결부재(600), 제3체결부재(700) 및 지적측량기기(8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복수의 지지다리(110) 및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20)을 포함하며, 삼각대 형태를 이룬다.
상기 지지판(120)은 상부에 체결돌기(121)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굴곡폴대(200)는 지지체(210) 및 제1수용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210)는 하부에 체결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11)은 상기 체결돌기(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홈(211) 및 상기 체결돌기(121)는 압입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체(220)는 제1수용부(221) 및 제1돌출부(222)를 포함하며, 'ㄱ'자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체(210)로부터 굴곡되게 연장된다.
상기 제1수용부(221)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제1관통홀(221c)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221c)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제1수용공간(2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221a)과 연통되는 제1개구홀(221b)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홀(221b)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눈금은 상기 제1개구홀(221b)의 상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부(222)는 상기 제1관통홀(22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관통홀(221c)을 이루는 둘레가 상기 제1수용공간(221a)을 이루는 둘레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중부굴곡폴대(300)는 제1이동체(310), 제2수용체(320), 삽입체(330) 및 제2이동체(340)를 포함하며,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이동체(310)는 일측 전면에 제1고정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311) 및 상기 제1삽입부(3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222)에 걸리는 제1걸림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부(312)는 상기 제1수용부(221)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지시하고, 상기 제1이동체(310)가 상기 제1수용부(2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수용체(320)는 하부가 상기 제1이동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제2수용공간(321)이 형성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321)과 연통되는 제2개구홀(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홀(322)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눈금은 상기 제2개구홀(322)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체(330)는 하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고정홀(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수용된 상기 삽입체(330)의 하부는 상기 제2수용체(320)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지시한다.
상기 삽입체(330)는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삽입체(330)와 상기 제2수용체(3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측량장비의 이동성 및 보관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이동체(340)는 타측이 상기 삽입체(330)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 전면에 제3고정홀(341a)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341) 및 상기 제2삽입부(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3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체(310)와 상하 대향된다.
상기 제1걸림부(312)는 상기 제1수용부(221)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지시하고, 상기 제1이동체(310)가 상기 제1수용부(2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걸림부(342)는 후술되는 제2수용부(411)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지시하며, 상기 제2이동체(340)가 상기 제2수용부(4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부굴곡폴대(400)는 제3수용체(410) 및 측량기기설치체(420)를 포함하며, 상기 중부굴곡폴대(3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수용체(410)는 제2수용부(411) 및 제2돌출부(4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체(34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수용부(411)는 타측이 개방되어 제2관통홀(411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411c)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체(340)의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수용공간(411a)이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홀(411b)에 이웃되게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제2돌출부(412)는 상기 제2관통홀(411c)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411c)을 이루는 둘레가 상기 제3수용공간(411a)을 이루는 둘레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측량기기설치체(420)는 'ㄱ'자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3수용체(410)로부터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룬다.
상기 측량기기설치체(420)는 상기 중부굴곡폴대(300)의 길이조절방식을 통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체결부재(500)는 상기 제1개구홀(221b)을 관통하며, 상기 제1고정홀(31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체결부재(500)의 결합방식은 압입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600)는 상기 제2개구홀(322)을 관통하며, 상기 제2고정홀(3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체결부재(600)의 결합방식은 압입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재(700)는 상기 제3개구홀(411b)을 관통하며, 상기 제3고정홀(34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체결부재(700)의 결합방식은 압입방식 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적측량기기(800)는 상기 측량기기설치체(4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GPS측량기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지붕의 처마 밑을 측량할 필요가 있을 시, 지붕의 처마 밑은 GPS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워 정밀한 측량을 수행하기 어렵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적도 제작을 위한 기초측량 또는 세부측량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120)이 측량지점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대(100)를 배치한 후, 상기 제1이동체(31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수용체(320)가 지붕 처마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재(500)를 통해 상기 제1이동체(310)를 상기 제1수용체(220)에 고정하여 상기 제1이동체(310)가 지시하는 상기 하부굴곡폴대(200)의 눈금을 확인한다.
계속해서 상기 눈금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이동체(340)를 상기 제3수용체(410)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상부굴곡폴대(400)의 눈금을 확인하면서 상기 제2이동체(340)를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3체결부재(700)를 통해 상기 제3수용체(410)에 고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330)를 상기 제2수용체(320)에 삽입하여 상기 중부굴곡폴대(300) 및 상기 상부굴곡폴대(400)가 지붕 처마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2체결부재(600)를 통해 상기 삽입체(300)가 상기 제2수용체(3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적측량기기(800)를 상기 측량기기설치체(420)에 결합하고 구동하여 해당 위치의 평면 좌표를 구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측량 작업을 통해 다양한 위치의 평면 좌표를 구할 수 있으며, 기존에 보유한 측량 데이터 및 새로 측량하여 확보한 측량 데이터를 통해 지적도를 작성하거나 지적도상의 등록사항을 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는 지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00)는 주택 지붕의 처마 밑 이외의 장소에 대한 측량 시,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여 상기 지적측량기기(800)가 배치되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이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900)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910),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920) 및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판(9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93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910)은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판(920)은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9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판(91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931),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931)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바(932) 및 상기 하부바(9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931)를 지지하는 스프링(93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바(931)는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934)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933)의 상부와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931)는 상부가 상기 상판(910)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수단(930)은 상기 상판(91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9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931)를 상기 상판(9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9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932)는 하부가 상기 하판(920)을 통과하고, 상기 지지수단(930)은 상기 하판(9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바(93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하부바(932)를 상기 하판(9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고정부재(936) 및 상기 스프링(933)과 상기 하판(9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바(932)에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93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조절부재(9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판(910)은 양단부가 상기 제3수용체(4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3수용체(410)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바(931)가 통과하는 중공(91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판(920)은 양단부가 제1수용체(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수용체(220)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바(932)가 통과하는 중공(9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바(931,9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고정부재(935,936) 및 상기 탄성력조절부재(937)를 조절 즉, 풀림 함에 따라 상기 중공(911,921)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하판(910,9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주택 지붕의 처마 밑을 측량할 필요가 있을 시, 상기 지지수단(930)에 대한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대한 미사용시, 상기 지지수단(930)이 상기 상,하판(910,9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933)은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9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외력에 의한 상기 제3수용체(41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지지수단(930)은 상기 제1,3수용체(220,410)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상부바(93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9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9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931)는 양측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931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바(932)는 상부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931a)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932a)가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938)는 상기 가이드돌기(932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931)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길이조절부재(938)는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바(93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상부바(93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932)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931)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하부바(93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력조절부재(937)를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93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하부굴곡폴대
210 : 지지체 220 : 제1수용체
300 : 중부굴곡폴대 310 : 제1이동체
320 : 제2수용체 330 : 삽입체
340 : 제2이동체 400 : 상부굴곡폴대
410 : 제3수용체 420 : 측량기기설치체
500 : 제1체결부재 600 : 제2체결부재
700 : 제3체결부재 800 : 지적측량기기
900 : 지지부 910 : 상판
920 : 하판 930 : 지지수단
931 : 상부바 932 : 하부바
933 : 스프링 934 : 플랜지
935 : 상부고정부재 936 : 하부고정부재
937 : 탄성력조절부재 938 : 길이조절부재

Claims (1)

  1. 삼각대 형상의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지지체(210)와,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일측 방향으로 제1수용공간(221a)이 형성되는 제1수용부(221)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2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용체(220)를 포함하는 하부굴곡폴대(200);
    일측 전면에 제1고정홀(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2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부(311)를 구비하는 제1이동체(310)와, 하부가 상기 제1이동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제2수용공간(321)이 형성되는 제2수용체(320)와, 하부가 상기 제2수용공간(321)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고정홀(331)이 형성되는 삽입체(330)와, 타측이 상기 삽입체(330)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 전면에 제3고정홀(341a)이 형성되는 제2삽입부(341) 및 상기 제2삽입부(3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이동체(340)를 포함하는 중부굴곡폴대(300);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2이동체(340)의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수용공간(411a)이 형성되는 제2수용부(411)를 구비하는 제3수용체(410)와,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중심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측량기기설치체(420)를 포함하는 상부굴곡폴대(400);
    상기 제1고정홀(31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500);
    상기 제2고정홀(33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600);
    상기 제3고정홀(341a)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체결부재(700); 및
    상기 측량기기설치체(4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적측량기기(800)를 포함하는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체(220)로부터 상기 제3수용체(410)를 지지하는 지지부(9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900)는,
    상기 제3수용체(4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910);
    상기 제1수용체(2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920);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판(9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9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9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판(91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바(931);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931)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하부바(932); 및
    상기 하부바(9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920)으로부터 상기 상부바(931)를 지지하는 스프링(93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931)는,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934)가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933)의 상부와 안정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KR1020180054868A 2018-05-14 2018-05-14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KR10187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68A KR101870681B1 (ko) 2018-05-14 2018-05-14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68A KR101870681B1 (ko) 2018-05-14 2018-05-14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681B1 true KR101870681B1 (ko) 2018-06-25

Family

ID=6280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68A KR101870681B1 (ko) 2018-05-14 2018-05-14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082B1 (ko) * 2018-08-23 2018-12-27 (주)에이스기술단 초고압 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102218197B1 (ko) * 2020-07-30 2021-02-23 (주)비아이티 측지측량을 위한 삼각대의 높이조절을 통해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04B1 (ko) * 2014-06-18 2015-01-08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KR20160071851A (ko) * 2014-12-12 2016-06-22 한국철도공사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04B1 (ko) * 2014-06-18 2015-01-08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KR20160071851A (ko) * 2014-12-12 2016-06-22 한국철도공사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082B1 (ko) * 2018-08-23 2018-12-27 (주)에이스기술단 초고압 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102218197B1 (ko) * 2020-07-30 2021-02-23 (주)비아이티 측지측량을 위한 삼각대의 높이조절을 통해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2686B (zh) 用于车辆传感器校准的便携式设备
KR101479604B1 (ko) 정밀 지적측량을 위한 측량장비
CN105161851B (zh) 应用于雷达模拟器校准过程的手动天线对准装置及方法
KR101870681B1 (ko) 측지측량용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KR101349652B1 (ko)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US20100212169A1 (en) Reflector Target Tripod for Survey System with Light Emitter and Pivoting Bracket for Enhanced Ground Marking Accuracy
CN210689644U (zh) 一种与无人机配合盘煤用的全站仪
KR101820122B1 (ko)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101668320B1 (ko) 측지측량시 장비 보호장치
KR101752794B1 (ko) 우천시 측량 레벨 보호장치
CN210219087U (zh) 一种岩土工程用测绘装置
US7604208B2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 leveling multi-pod
KR102001924B1 (ko) 측지측량 기기의 높이조절장치
KR100987035B1 (ko) 전자파 측정용 보조장치
KR102160640B1 (ko) 측량용 삼각대의 보호 시스템
KR102056757B1 (ko) 측지측량을 위한 표척과 삼각대의 높이조절장치
CN202928479U (zh) 尺寸测量装置
KR101666165B1 (ko) 측량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구조
KR101550403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개량형 포터블 gps 수신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KR101984507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CN107462262B (zh) 一种激光准直设备的水准泡调试装置
CN211401012U (zh) 一种用于定位、检测模板预留孔位置的装置
US5077906A (en) Surveying rod leveling device
CN2213981Y (zh) 工程放样器
CN213271731U (zh) 一种测绘用标杆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