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666B1 -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666B1
KR101759666B1 KR1020160051428A KR20160051428A KR101759666B1 KR 101759666 B1 KR101759666 B1 KR 101759666B1 KR 1020160051428 A KR1020160051428 A KR 1020160051428A KR 20160051428 A KR20160051428 A KR 20160051428A KR 101759666 B1 KR101759666 B1 KR 10175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lower plate
cantilever
suppor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16005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과 연결된 복수 개의 캔틸레버(cantilever); 캔틸레버에 의해 양 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하판부재; 하판부재 위에 위치되는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와 캔틸레버를 연결하는 신축수용모듈을 포함하고, 신축수용모듈은, 캔틸레버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 홀더와 연결되고, 캔틸레버의 상방에 위치되어 하판부재를 하판부재의 신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및 캔틸레버와 하판부재 사이에서 홀더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SIDEWALK STRUCTUR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이라 함은 강이나 개울 또는 계곡 등과 같이 고저가 심한 지형을 차량 혹은 사람이 건너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의 주변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교량 중에서 최근에 만들어진 교량에는 차도의 양측으로 인도가 함께 시공되고 있으나 차량의 이동을 주요 목적으로 시공된 과거의 교량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한 인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최근들어 레저 문화가 발달함은 물론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는 자전거가 애용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도로가 많은 곳에 설치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교량 에서는 차도 혹은 인도를 좁히거나 변경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교량 부분에서는 부득이하게 자전거 도로가 일시적으로 단절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종래의 확장인도는 교량 상판의 신축 및 차량의 통행에 따른 진동 또는 신축에 의한 하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어,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확장 인도의 바닥면이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은 물론 구조적 안전성에도 심각한 위해를 끼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교량의 상판은 계절별 혹은 기온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신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인데, 교량 상판에 대한 폭 방향으로의 신축은 확장 인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나 교량 상판에 대한 길이방향 즉,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방향에 따른 신축 시에는 교량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 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확장 인도의 발판 등이 들뜨거나 벌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통행자 및 자전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교량의 신축 작용으로 인한 확장 인도의 신축으로 인해 확장 인도에 대한 구조적인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것으로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량 자체의 신축은 물론 확장 인도 자체에도 신축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대부분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는 교량에 비하여 금속재 브라켓 및 강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확장 인도는 상호 간의 신축량이 각기 달라 그로 인한 비틀림이나 벌어짐 등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기존의 확장 인도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 및 시공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 교통 흐름에도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고, 많은 인력과 자재 및 시공기간을 소요하게 되어 지극히 비경제적일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28742 호 (2014. 08. 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을 증축하여 인도를 확보함에 있어서, 기존 교량의 진동 및 온도에 의한 신축에 따른 하중을 회피하기 위하여 롤러를 포함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금속재가 신축 또는 진동 시에 이동될 수 있는 신축구간을 확보함으로써 진동 및 온도에 의한 신축에 따른 하중을 회피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금속재가 신축 또는 진동 시에 타 구조물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금속재가 신축 또는 진동 시에 타 \구조물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고, 신축 및 진동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구성을 모듈화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과 연결된 복수 개의 캔틸레버(cantilever); 캔틸레버에 의해 양 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하판부재; 하판부재 위에 위치되는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와 캔틸레버를 연결하는 신축수용모듈을 포함하고, 신축수용모듈은, 캔틸레버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 홀더와 연결되고, 캔틸레버의 상방에 위치되어 하판부재를 하판부재의 신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및 캔틸레버와 하판부재 사이에서 홀더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이 제공된다.
그리고, 하판부재는 상기 신축방향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신축에 의하여 접촉이 될 수 있고, 접촉이 되는 면이 지지롤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판부재는 양단부 측에 각각 걸림부를 포함하고, 가이드는 하판부재의 일 단부의 걸림부를 신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장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공은 지지롤러가 지지하는 하판부재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신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하판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판부재를 연결지지하는 리브부와 상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리브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완충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축수용모듈에 의해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와 하판부재와 고정되는 캔틸레버가 서로 교호(交互)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을 증축하여 인도를 확보함에 있어서, 기존 교량의 진동 및 온도에 의한 신축에 따른 하중을 회피하기 위하여 롤러를 포함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금속재가 신축 또는 진동 시에 이동될 수 있는 신축구간을 확보함으로써 진동 및 온도에 의한 신축에 따른 하중을 회피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금속재가 신축 또는 진동 시에 타 구조물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금속재가 신축 또는 진동 시에 타 구조물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증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량의 구조물을 서로 연결시키고, 신축 및 진동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구성을 모듈화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수용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b)는 지지롤러와 스토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부재를 나타낸 도면, (b)는 하판부재의 상판부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c)는 중앙하판부재가 롤러를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층으로 형성된 상판부재와 하판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c)는 하판부재 간의 위치된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 (b)는 고정부재의 완충돌출부를 나타낸 고정부재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은 차량 또는 지면으로부터 교량에 전해지는 진동 및 온도변화 등에 따른 신축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응력을 완화 또는 회피할 수 있는 구조물로, 상기 구조물의 재료가 지닌 물성치에 따라 후술할 각 구성들 간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가 철(Fe)이라고 할 때, 철의 열 팽창계수는 약
Figure 112016040486104-pat00001
이므로 최저기온 영하 50도이고 최고기온 영상 50도일 때 1 m 당 신축길이는 약 1.23 mm 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은 이러한 재료의 팽창계수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은 교량(1)으로부터 차량 등이 통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고, 캔틸레버(cantilever)(100), 하판부재(200), 상판부재(300) 및 신축수용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캔틸레버(100)는 교량(1)과 볼트 등에 의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캔틸레버(100)의 상측에 하판부재(200)가 위치되어 하판부재(200)는 캔틸레버(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하판부재(200)는 하판부재(200)의 상측에 위치한 상판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캔틸레버(100)는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인접한 두 개의 캔틸레버(100)에 각각 하판부재(200)의 양단이 위치되어 서로 수직방향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캔틸레버(100)와 하판부재(200)는 신축수용모듈(40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하판부재(200)의 신축방향, 즉 하판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캔틸레버(10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의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부재(300) 지지를 목적 중 하나로 포함하며 위치되는 하판부재(200)는 기 결정된 강도를 지니고 있어야 하므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반면에, 하판부재(200) 위에 위치되는 상판부재(300)는 도보를 목적으로 설치되므로 금속 소재가 아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부재(300)는 나무나 우레탄이 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신축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은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수용모듈(40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b)는 지지롤러(430)와 스토퍼(210)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우선, 신축수용모듈(400)을 설명하자면, 신축수용모듈(400)은 홀더(410) 및 가이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410)는 캔틸레버(100)의 상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414)와 몸체(4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414)와 몸체(412)는 각각 일지점에 형성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조임부(413)에 의하여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지지부(414)가 회전에 의하여 캔틸레버(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에 있어서, 캔틸레버(100)의 상면에 헐겁게 맞물리는 경우, 높이보상부재(415)를 캔틸레버(100)와 지지부(414)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결합 및 고정을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캔틸레버(100)와 지지부(414)가 결합 및 고정이 되면 몸체(412)와 지지부(414)를 조임부를 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부(413)는 예를 들어 볼트가 될 수 있으며, 몸체(412)와 지지부(414)를 회전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몸체(412)에는 축공(4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축공(411)은 가이드(420)에 형성되는 축공(421)과 일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두 축공(411, 421)이 관통 가능하게 일치되도록 위치되고 축공(411, 421)에는 지지롤러(430)에 형성되는 지지롤러축(431)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롤러축(431)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다른 지지롤러축도 상술한 내용과 같이 반대측 단부에 홀더(410)가 위치되어 양단부의 지지롤러축(431)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에 의하여 지지롤러(430), 가이드(420) 및 홀더(41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하판부재(200)는 적어도 일부가 'ㄷ'자 형태의 가이드(420)의 면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지지롤러(430)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진동 또는 신축 등에 의해 하판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변위이동이 발생할 때, 지지롤러(430)에 의하여 상기 변위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420)는 하판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의 변위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마주하는 두 면이 하판부재(200)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으로 인해 하판부재(200)는 일부 구간 왕복되므로 하판부재(200)의 각 지점은 신축구간이 형성되는데, 가이드(420)의 상기 두 면에는 상기 신축구간을 확보하기 위한 신축방향으로 장공(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공(422)에는 장공(422)에 대응되는 하판부재(200)의 위치에, 걸림부(220)가 형성되어 걸림부(220)가 장공(422)을 통해 가이드(420) 외측으로 돌출되고, 장공(422)에 의해 하판부재(220)는 신축방향으로 이동이 안내 및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장공(422)은 하판부재(200)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는 걸림부(220)를 안내 할 수도 있지만, 장공(422)은 신축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신축수용모듈(400)의 지지롤러(430)에 의해 지지되는 하판부재(200)가 포함하는 걸림부(2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공(422)은 두 개의 지지롤러(430)가 각각 하나의 하판부재(200)의 단부를 지지하는 경우, 하나의 장공(422)이 두 걸림부(220)의 신축구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지지롤러(430)는 하판부재(200)를 신축방향으로 마착력을 최소화하고 응력의 발생없이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가이드(420)와 연결되는 지지롤러(430)는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지지롤러(430)는 하나의 캔틸레버(100)와 그와 인접한 두 개의 캔틸레버(100)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판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판부재(200)는 교량(1)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가 배열될 수 있고, 하나의 가이드(420) 상에 두 개의 하판부재(200)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서로 마주하는 면은 기 결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간격은 상술한 재료의 팽창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간격이며, 상술한 간격은 신축길이에 의해 하판부재(200)가 최대로 팽창되었을 때의 신장된 길이의 두 배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단이 지지롤러(430)에 의해 지지되는 하판부재(200)가 수축될 경우, 상기 수축된 하판부재(200)의 길이가 하판부재(200)를 지지하는 두 지지롤러(430)의 축간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두 지지롤러(430)의 축간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수축된 하판부재(200)의 길이가 형성되면, 하판부재(200)를 고정 또는 견인 등을 할 수 있는 부재가 없을 때 구조물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판부재(200)의 양 단면에는 스토퍼(21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10)는 하판부재(200)의 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형성되는 스토퍼(210)는 지지롤러(430)와 서로 대향하는 면이 지지롤러(4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 즉,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10)에 형성된 곡면은 하판부재(200)가 수축되는 경우, 기 결정된 구간 내에서 신축구간이 형성되지만 구조물의 파손, 진동 또는 마모 등에 의하여 신축구간으로부터 하판부재(200)가 이탈되는 경우에 구조물로부터 하판부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부재(200)를 나타낸 도면, (b)는 하판부재(200)의 상판부재(300)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c)는 중앙하판부재(270)가 롤러(250)를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의 (a)는 캔틸레버(100)가 연장된 방향으로 하판부재(200)가 세 개 배열된 구조이다. 물론, 하판부재(200)는 세 개 이상의 복수 개가 위치될 수 있지만, 세 개가 위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캔틸레버(100)의 양단부 측에 위치한 두 개의 하판부재(200)를 단부하판부재(290), 두 개의 단부하판부재(290) 사이에 위치된 하판부재(200)를 중앙하판부재(270)라고 기재하도록 한다.
여기서 캔틸레버(100)의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배열된 단부하판부재(290)와 마지막에 배열된 단부하판부재(290)는 서로 롤러(25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롤러(250)의 양단면에 형성되는 롤러(250)의 축이 단부하판부재(29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롤러(250)의 원형 단면은 절반 이상이 단부하판부재(290)에 매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매몰이 되지 않은 부부은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판부재(300)를 지지하고, 구조물에 전달되는 진동 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신축에 의한 이동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b)와 같이 상판부재(300)에 형성될 수 있는 분절구간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많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c)를 참조하면, 하판부재(200)는 캔틸레버(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위치된 중앙하판부재(270)를 포함하고, 중앙하판부재(270)는 롤러(2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인접한 두 개의 캔틸레버(100)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롤러(2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25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므로, 중앙하판부재(270)는 롤러(250)의 회전운동에 대한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방으로 롤러(250)를 지지해야 하므로, 롤러(250)의 회전을 보조하는 보조롤러(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롤러(271)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지만,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을 포함하여 롤러(250)의 중심축으로부터 양측에서 지지하는 실시예가 더 안정적일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층으로 형성된 상판부재와 하판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b)는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c)는 하판부재 간의 위치된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과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판부재(300)와 하판부재(200)가 접합된 실시예이다. 여기서, 상판부재(300)는 우레탄 소재를 포함하는 얇은 우레탄층(310)을 의미하며, 하판부재(200)는 도보가능한 기 결정된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되는 하판부재(200a)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레탄층(310)은 하판부재(200a)의 신축에 따른 변화는 탄성을 지닌 우레탄층(310)이 수용가능하므로 하판부재(200a)와 우레탄층(310) 간의 신축에 의한 응력 및 변위이동을 위한 별도의 부재없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와 (c)를 참조하면 두 개의 하판부재(200a)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완충부재(280)가 위치되어 교량(1)의 신축방향으로 발생하는 각 하판부재(200a) 간의 이격틈을 채우는 보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재(280)는 기 결정된 수준으로 경화된 고무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하판부재(200a)의 신축에 의한 이격틈을 상기 보상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c)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280)는 내부에 공간(Cavity)(281)을 포함할 수 있어서, 완충부재(280)가 압축응력을 받을 시에도 응력을 수용하기 위하 압축될 수 있는 이동범위를 더욱 크게 형성(Performance)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부재(300)와 하판부재(200)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b)는 고정부재(260)의 완충돌출부(261)을 나타낸 고정부재(26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판부재(300)와 하판부재(200)의 연결 및 상판부재(300)와 다른 상판부재(300)와의 연결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시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260)가 될 수 있다. 고정부재(260)는 두 개의 상판부재(300) 사이에 위치되어 하판부재(200)와 고정될 수 있고, 완충돌출부(261), 고정부(262), 지지부(263) 및 리브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60)는 하판부재(200)의 상면과 접촉면이 되는 고정부(262)가 볼트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접촉될 수 있다. 볼트에 의한 고정의 경우에는 볼트 머리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음으로 상판부재(300)가 지지되는 지지부(263)는 상기 볼트 머리부분이 돌출되는 높이 이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60)의 지지부(263)는 상판부재(300)를 향한 방향 즉, 리브부(264)를 중심으로 상판부재(300)가 양쪽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는 양방향, 상판부재(300)가 한쪽에만 위치되는 경우는 상판부재(300)가 위치되는 한 방향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6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판부재(300)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리브부(264)가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리브부(264)로부터 상판부재(300)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완충돌출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완충돌출부(261)는, 하판부재(200)가 수축되면서 하판부재(200)와 고정된 복수 개의 고정부재(260)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인접한 두 고정부재(260)가 상기 두 고정부재(260) 사이에 위치되는 상판부재(300)에 압축응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압축응력을 완화하기 위한 기능을 완충돌출부(261)가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돌출부(261)은 금속 또는 탄성을 지닌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이 실시되기 위하여 하나의 캔틸레버(100)에 하나 이상의 신축수용모듈(400)이 결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하판부재(200)가 양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음을 가정한 설명이다.
즉, 신축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발생할 때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일 경우에는 일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도 구조물을 형성하는 재료에 따른 상기 팽창계수를 고려하여 각 구성들의 간격이 조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량(1)의 통행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캔틸레버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통행방향으로 복수 개의 캔틸레버가 배열될 때 홀수 또는 짝수 번째에 해당하는 캔틸레버(100)에만 신축수용모듈(4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신축수용모듈(400)이 결합되지 않은 캔틸레버(100)에는 하판부재(200)의 단부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신축수용모듈(400)에 의해 하판부재(200)를 지지하는 상기 캔틸레버(100)와 하판부재(200)와 고정되는 캔틸레버(100)가 서로 엇갈려 교호(交互)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실시의 일 예로, 예시하지 않은 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간이 캔틀레버(100)에 연결된 경우에 교량의 신축에 의해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로써 발생하는 난간을 구성하는 구성들간의 내부응력이 상기 완충부재(280)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완화되는 경우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교량
100 : 캔틸레버
200, 200a : 하판부재
210 : 스토퍼
220 : 걸림부
250 : 롤러
260 : 고정부재
261 : 완충돌출부
262 : 고정부
263 : 지지부
264 : 리브부
270 : 중앙하판부재
271 : 보조롤러
280 : 완충부재
281 : 공간
290 : 단부하판부재
300 : 상판부재
310 : 우레탄층
400 : 신축수용모듈
410 : 홀더
411 : 축공
412 : 몸체
413 : 조임부
414 : 지지부
415 : 높이보상부재
420 : 가이드
421 : 축공
422 : 장공
430, 430a : 지지롤러
431 : 지지롤러축

Claims (7)

  1. 교량과 연결된 복수 개의 캔틸레버(cantilever);
    상기 캔틸레버에 의해 양 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 위에 위치되는 상판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캔틸레버를 연결하는 신축수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수용모듈은,
    상기 캔틸레버와 고정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와 조임부에 의해 결합이 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지지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캔틸레버와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캔틸레버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하판부재를 상기 하판부재의 신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하판부재 사이에서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 각각의 일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상기 관통공 간이 상기 조임부에 의해 결합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는, 상기 신축방향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롤러와 신축에 의하여 접촉이 될 수 있고, 상기 접촉이 되는 면이 상기 지지롤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는 양단부 측에 각각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판부재의 일 단부의 걸림부를 상기 신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장공을 더 포함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상기 지지롤러가 지지하는 상기 하판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를 상기 신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상판부재를 연결지지하는 리브부와 상기 상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리브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완충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용모듈에 의해 상기 하판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하판부재와 고정되는 상기 캔틸레버가 서로 교호(交互)배치되는,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20160051428A 2016-04-27 2016-04-27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75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28A KR101759666B1 (ko) 2016-04-27 2016-04-27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28A KR101759666B1 (ko) 2016-04-27 2016-04-27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666B1 true KR101759666B1 (ko) 2017-07-19

Family

ID=5942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28A KR101759666B1 (ko) 2016-04-27 2016-04-27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86A (zh) * 2018-09-26 2019-01-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免维护快速拼装桥墩吊篮
KR102401684B1 (ko)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868A (ja) * 1998-09-24 2000-04-04 Nippon Steel Corp 極軽荷重条件にも適した免震装置
KR101389523B1 (ko) * 2013-11-25 2014-04-29 주식회사 노빌테크 부모멘트 저감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23005B1 (ko) * 2014-07-18 2015-05-26 주식회사 미르이엔씨 확장형 인도교
KR101554357B1 (ko) * 2014-06-30 2015-09-21 주식회사 준이앤씨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868A (ja) * 1998-09-24 2000-04-04 Nippon Steel Corp 極軽荷重条件にも適した免震装置
KR101389523B1 (ko) * 2013-11-25 2014-04-29 주식회사 노빌테크 부모멘트 저감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54357B1 (ko) * 2014-06-30 2015-09-21 주식회사 준이앤씨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23005B1 (ko) * 2014-07-18 2015-05-26 주식회사 미르이엔씨 확장형 인도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86A (zh) * 2018-09-26 2019-01-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免维护快速拼装桥墩吊篮
KR102401684B1 (ko)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666B1 (ko)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20180003416U (ko) 교량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0757212B1 (ko) 면진 핑거 조인트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JP6191369B2 (ja) 道路橋用伸縮装置
KR100658535B1 (ko) 신축이음장치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KR101641492B1 (ko) 슬라이딩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1977736B1 (ko)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KR100939183B1 (ko) 지진시 수평강성을 갖는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0680819B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 구조
KR101767489B1 (ko) 모노레일용 궤도빔 신축이음장치
KR10157188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1744498B1 (ko)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CN110607744A (zh) 一种防止桥头跳车的路桥伸缩结构
KR101428748B1 (ko)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CN110195408B (zh) 桥梁伸缩缝防尘装置及其防尘减震装置
KR100899161B1 (ko) 교량의 경관용 케이블의 완충정착 장치
KR101874007B1 (ko) 내진 및 진동절감형 조립식 확장보도
KR101865828B1 (ko) 슬라이딩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JP6611978B1 (ja) 乗り越え装置
KR100874463B1 (ko) 보행용 교량의 가동단 구조
KR101298542B1 (ko)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