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498B1 -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498B1
KR101744498B1 KR1020160012687A KR20160012687A KR101744498B1 KR 101744498 B1 KR101744498 B1 KR 101744498B1 KR 1020160012687 A KR1020160012687 A KR 1020160012687A KR 20160012687 A KR20160012687 A KR 20160012687A KR 101744498 B1 KR101744498 B1 KR 10174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antilever
cantilever member
bridg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환
Original Assignee
오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환 filed Critical 오석환
Priority to KR1020160012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일측에 시공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로서, 교량의 연결 측면에 상기 캔틸레버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와; 상기 연결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보도부의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연결 측면에 위치한 제2위치에서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게 설치되고, 휨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탄성 부재와; 상기 제2위치보다 높으면서 상기 연결 측면에 위치하는 기준 위치를 향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보다 근접하게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시키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탄성 부재에 의하여 보도부의 제1위치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보상력으로 상시 작용하게 되므로, 보도부의 자중과 활하중 등의 작용 하중을 상쇄시켜, 공용 중에 보도부에 작용하는 반복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보다 안정된 상태로 보도부를 유지할 수 있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STRUCTURE OF SUPPORTING CANTILEVER MEMBER}
본 발명은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용 교량의 옆에 캔틸레버 부재로 형성되어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하는 캔틸레버 부재를 보다 안정된 구조계로 시공하는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의 도로는 자동차가 통행하는 차도와, 차도의 가장자리에 경계석을 두고 인도가 마련된다. 최근에는 자전거의 통행량이 많아지면서 인도 상에 자전거용 도로를 설치하거나, 차도의 가장자리에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는 영역을 차선으로 표시하는 형태로 자전거용 도로가 설치되고 있다.
한편, 도심지 이외에 인적이 적은 지방도로나 산업도로 등에는 시공 당시에 자전거용 도로가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이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도시가 팽창하여 시공 당시에 인적이 적은 지역에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게 되면, 시공 당시에 설치되지 않았던 자전거용 도로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대체로 자전거용 도로는 차도와 함께 나란히 위치하는 것이 주행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이미 시공되어 사용되고 있는 차도의 주변에 자전거용 도로를 시공하는 것은 공간의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이미 가격이 높아진 주변의 토지를 수용해야 하므로 비용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미 시공되어 있는 차도를 따라 나란히 자전거용 도로를 시공하거나, 차도를 시공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형태로 자전거용 도로를 함께 시공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조(92) 상에 상판이 얹혀져 차도(91)가 교량(9)으로 이미 시공된 경우에는, 차도(91)를 따라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하는 보도부(1)의 설치가 필요해진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9)의 측면(9S)에 보도부(1)를 고정 볼트(10)에 의해 캔틸레버 형태로 고정하여, 차도(91)와 나란히 보도부(1)를 시공(55)하였다. 그러나, 교량(9)의 측면(9s)에 고정 볼트(10)로 고정된 보도부(1)는 그 자중과 통행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 등의 활하중 등의 작용 하중(Fs)에 의하여, 하방으로 내려 앉는 방향의 모멘트(M1)가 작용하고, 이 모멘트(M1)로 인하여 고정 볼트(10)가 추출되는 방향의 인발력(Px)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특히, 시공 단계에서는 고정 볼트(10)가 충분히 큰 깊이만큼 교량 측면(9s)에 삽입 고정되어 보도부(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지만, 공용 중에 작용하는 하중(Fs)이 반복하중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 연한이 길어질 수록 고정 볼트(10)의 체결 상태가 점점 느슨해지면서, 보도부(1)의 추락 위험이 커지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도부(1)와 교량(9)을 연결하는 연결보 등을 설치하여 보도부(1)에 작용하는 하중(Fs)을 지지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지만, 이와 같은 시도는 지속적인 보수 보강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구조계로서 보도부(1)를 교량(9)에 고정 설치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점점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캔틸레버 형태로 설치되는 구조물(이하, '캔틸레버 부재'라고 함)이 연결부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계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교량의 차도와 나란히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하는 캔틸레버 부재를 캔틸레버 부재 형태로 설치하는 데 있어서, 교량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캔틸레버 부재를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력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캔틸레버 부재와 교량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 볼트에 작용하는 인발력이 근본적으로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안정된 지지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교량의 측면에 캔틸레버 부재를 결합하는 고정 볼트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연한의 증가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캔틸레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계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량의 측면(연결부)에 고정 설치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능력을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보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결부에 캔틸레버 부재가 설치되는 지지 구조로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연결부에 위치한 제2위치에서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게 설치되고, 휨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탄성 부재와; 상기 제2위치보다 높으면서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는 기준 위치를 향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보다 근접하게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시키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캔틸레버 부재의 제1위치와 연결부의 제2위치에 각각 탄성 부재의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제2위치의 상측의 연결부에 위치한 기준 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캔틸레버 부재의 제1위치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보상력으로 상시 작용하게 되므로, 캔틸레버 부재의 자중과 활하중 등의 작용 하중을 상쇄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차도가 형성되어 있는 교량의 측면에 고정 볼트로 결합된 캔틸레버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제1위치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보상력에 의해 캔틸레버 부재의 작용 하중이 상쇄됨으로써, 공용 중에 캔틸레버 부재에 작용하는 반복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캔틸레버 부재를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교량의 일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캔틸레버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캔틸레버 부재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더라도,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캔틸레버 부재를 지지하므로 캔틸레버 부재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이 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저면이 함께 향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위치와 접하는 탄성 부재의 끝단이 보다 수직 방향에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위치를 보다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보상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볼록한 곡면은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된 지점을 형성함으로써, 제1위치와 접하는 탄성 부재의 끝단은 기준 위치를 향하는 기울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에 도입된 탄성 복원력이 제1위치에 작용할 때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수직 성분과, 기준 위치를 향하는 수평 성분의 힘이 보상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 성분의 보상력은 고정 볼트를 교량 측면을 향하여 작용하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탄성 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보상력의 수평 성분에 의하여 오히려 고정 볼트가 보다 교량에 박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캔틸레버 부재의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캔틸레버 부재에 작용하는 작용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 중 일부가 소성 변형이 되더라도, 유지 관리 시에 탄성 부재를 보다 더 변형시켜 일정한 탄성 복원력으로 캔틸레버 부재에 작용하는 작용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캔틸레버 부재가 안정된 구조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의 일단이 상기 기준 위치에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하여 잡아당기는 턴 버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유지 부재는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턴버클을 죄는 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기준 위치를 향하여 근접하는 탄성 변형시키는 힘을 도입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교축 직각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의 1/2 이하이고,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중립축 상연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탄성 부재의 제1위치를 가능한 상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교량의 측면 높이가 제한적인 경우에도, 좁은 범위 내에서 탄성 부재에 의하여 캔틸레버 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보상력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량의 측벽에 부착된 연결 플레이트로 형성되되, 상기 제2위치는 상기 교량의 측벽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는 교량의 측면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교량의 측면에 철판이나 기타 소재의 플레이트를 덧댄 표면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교량 측면에 설치되는 연결 플레이트가 교량 측면의 하측까지 하방 연장되어, 연결부의 제2위치가 교량 측면의 저면보다 하측의 연결 플레이트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중립축 상연(예를 들어, 상부 플랜지에 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캔틸레버 부재의 하측(예를 들어, 캔틸레버 부재의 저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교량의 측면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탄성 부재를 원활하게 설치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캔틸레버 부재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고정 볼트를 교량 측면에 밀착시키는 보상력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캔틸레버 부재'는 반드시 하나의 부재에 국한하지 아니하며 2개 이상의 부재가 결합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기둥이나 측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캔틸레버 부재'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교량의 측면에 결합 설치되는 보도부나, 신호등이나 가로등이 설치된 가로 빔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연결부'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캔틸레버 부재'의 연결부가 고정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캔틸레버 부재가 교량의 캔틸레버 부재인 경우에는 '연결부'은 교량의 '측면'이 되며, 캔틸레버 부재가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가로 빔인 경우에는 가로 빔과 연결되는 기둥의 연결부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보도부'는 캔틸레버 부재의 일례로서,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하므로, 보도부를 제작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강재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형태로 시공될 수도 있으며, 강화 섬유나 강화 플라스틱이 포함되는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보도부'는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지지 능력을 갖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차도를 형성하는 교량의 시공 이후에 별도로 시공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차도를 형성하는 교량과 함께 시공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연결 측면'이라는 용어는 연결부에서 캔틸레버 부재가 결합되는 표면으로 정의한다. 즉, 캔틸레버 부재가 보도부로 형성되어 캔틸레버 부재가 교량에 결합되는 표면이나, 탄성 부재가 힌지 결합되거나 접촉 설치되는 표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 측면'이 연결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구성만 예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연결 측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교량 측면 그 자체나, 필요나 장식 등의 이유로 교량의 측면에 부착된 다양한 형태의 부착물의 표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깥 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캔틸레버 부재의 저면과 연결 측면(또는 교량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도3 및 도4a를 기준으로, 캔틸레버 부재가 교량에 연결되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우하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하는 보도부 등의 캔틸레버 부재와 연결부(예를 들어, 교량의 연결 측면)를 탄성 부재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캔틸레버 부재에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활하중 등의 작용하중을 상쇄시키는 보상력으로 공용 중 상시 작용하게 함으로써, 차도가 형성되어교량의 측면에 고정 볼트로 결합된 캔틸레버 부재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보상력에 의해 캔틸레버 부재의 작용 하중이 상쇄되어, 공용 중에 캔틸레버 부재에 작용하는 반복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됨에 따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캔틸레버 부재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바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양만큼 탄성 변형이 탄성 부재에 도입된 상태이더라도, 캔틸레버 부재와 접촉하는 제1위치에서 상방으로 밀어내는 보상력의 수직 성분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어, 동일한 사양의 탄성 부재로 보상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상기 볼록한 곡면이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된 지점을 형성하여, 제1위치에서는 기준 위치를 향하는 기울기로 탄성 부재가 형성됨에 따라, 탄성 부재에 도입된 탄성 복원력이 제1위치에 작용할 때에 수평 방향의 보상력이 고정 볼트를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탄성 부재에 의해 작용하는 보상력의 수평 성분에 의하여 오히려 고정 볼트가 보다 교량에 박혀진 상태를 강화하여, 장시간 동안 캔틸레버 부재를 안정된 구조계로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와 캔틸레버 부재의 사이에 단부가 미끄러지는 형태의 탄성 부재로 캔틸레버 부재의 작용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탄성 부재를 보다 캔틸레버 부재 및 연결부에 근접하게 배치한 상태로 보상력을 작용하게 하므로, 캔틸레버 부재의 작용 하중을 상쇄시키는 탄성 부재로 인한 풍하중의 영향 및 저항 성분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 부재로서 겹판 스프링을 적용하여 캔틸레버 부재의 작용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시간 동안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성 영역 내에서 유지되므로, 신뢰성있는 보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캔틸레버 부재에 작용하는 작용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 중 일부가 소성 변형이 되거나 하중 조건이 변경되더라도, 유지 관리 시에 탄성 부재에 보다 더 큰 탄성 변형을 도입하거나 도입하였던 탄성 변형량을 완화시켜 조정함으로써, 사용 조건에 따라 자유 자재로 캔틸레버 부재의 보상력을 설치 중이나 유지 보수시에 언제든지 재긴장 형태로 조정하여 반영구적으로 캔틸레버 부재를 유지시키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에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깊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에 대해서도 캔틸레버 부재를 안정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교량에 캔틸레버 부재를 시공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도1의 캔틸레버 부재의 작용 하중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4a는 도3의 'A'부분의 확대도,
도4b 및 도4c는 도3의 'A'부분의 확대부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가 도시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B'부분의 확대도,
도8은 도7의 절단선 C-C에 따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3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100)는, 자전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부(1)가 캔틸레버 부재로 적용된 것으로서, 교량의 연결부에 보도부(1)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10)와, 보도부(1)와 교량 측면(9s)이 만나는 지점 근처의 기준 위치에 힌지(110a) 결합된 유지 부재(110)와, 연결부와 보도부(1)에 각각 힌지(120a) 결합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고 유지 부재(110)에 의해 탄성 변형이 유지되는 탄성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량(9)은 보도부(1)를 설치하기 이전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교량일 수도 있고, 보도부(1)의 설치와 동시에 시공되는 교량일 수도 있다. 보도부(1)는 교량 측면(9s)에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측면(9s)에 강판 등의 연결 플레이트(130)를 매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교량 측면(9s)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보도부(1)가 연결 설치되거나 탄성 부재(120)가 힌지 설치되는 교량 측면(9s) 또는 연결 플레이트(130)의 표면을 '연결 측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연결부'라는 기재는 본 실시예에서의 '교량'에 해당한다)
상기 보도부(1)는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하는 통로를 차도(91)와 나란히 형성하기 위하여 교량(9)의 측면(9s)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부(1)는 정해진 길이로 미리 제작된 후에 교량의 연결부에 고정 볼트(10)로 결합되는 형태로 시공된다.
여기서, 보도부(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로만 제작될 수도 있지만, 강재에 콘크리트가 합성되어 보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줄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를 주 재료로 제작되고 고정 볼트(10)로 연결되는 부분만 강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지 부재(110)는, 일단이 보도부(1)와 연결부가 접하는 기준 위치에 힌지(110a) 결합되고, 타단이 기준 위치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봉 형태로 형성된다.
유지 부재(110)는 외주면의 일부 이상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하나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3 및 도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된 2개의 봉을 이들 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조임 블럭(112)로 연결하여, 조임 블럭(112)을 회전(112r) 시키는 것에 의하여 2개의 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턴버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사봉의 끝단에 걸림 너트(114)에 의하여 탄성 부재(120)의 바깥 면이 접촉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조임 블럭(112)을 회전(112r)시켜 나사봉의 길이를 보다 더 짧게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120)의 중앙부가 기준 위치(Po)를 향하여 근접(D1)시키는 탄성 변형시키는 힘(F1)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턴버클로 유지 부재(110)가 형성됨에 따라, 설치 이후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턴버클을 조이는 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120)에 추가적인 탄성 변형을 시키거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풀려진 상태를 최초 설치 시점의 탄성 변형량이 되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힘을 추가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 때, 유지 부재(110)의 일단이 기준 위치에서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120)의 중앙부가 기준 위치에 보다 근접한 방향(D1)으로 잡아당기는 힘(F1)을 도입하면서 유지 부재(110)에 발생되는 미세한 회전 변위를 기준 위치(Po)에서의 힌지 결합에 의해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110)는 나사봉에 걸림 너트(114)가 체결되어 있고, 탄성 부재(120)의 중앙부의 바깥면이 걸림 너트(114)에 걸려있으므로, 탄성 부재(120)에 도입된 탄성 변형된 상태를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걸림 너트(114)가 하나의 너트로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이중 너트 구조로 걸림 너트(114)가 설치되어 탄성 부재(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 너트(114)가 제자리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0)는 탄성 한도 내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강재나 스프링강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120)는 일단이 보도부(1)의 제1위치(P1)에서 힌지(120a)결합되고, 타단이 연결부의 제2위치(P2)에서 힌지(120a) 결합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20)가 휘는 탄성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탄성 부재(120)의 양단부에서 회전 변위로 탄성 변형이 허용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120)의 탄성 변형을 충분히 도입하여 보도부(1)를 들어올리는 힘(Ry)을 충분히 도입하기 위하여, 제1위치(P1)는 보도부(1)의 중립축 상연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탄성 부재(120)는 중앙부가 기준 위치(Po)를 향하는 방향(D1)으로 탄성 변형되고, 보도부(1)의 공용 중에 탄성 부재(120)의 탄성 변형된 상태가 유지 부재(110)에 의하여 유지되므로, 보도부(1)의 공용 중에는 탄성 부재(110)에 의하여 힘(Rx, Ry)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120)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탄성 부재에 의한 힘(Rx, Ry)은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수직 성분의 수직력(Ry)이 보상력으로 상시 작용하므로, 보도부(1)는 탄성 부재(120)의 수직 성분의 수직력(Ry)으로 유도되는 보상 모멘트(Mr)로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 및 활하중 등의 작용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도(91)가 형성되어 있는 교량의 측면(9s)에 고정 볼트(10)로 결합된 보도부(1)는 탄성 부재(120)에 의하여 제1위치(P1)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보상력(Ry)에 의해 보도부(1)의 작용 하중이 상쇄됨으로써, 공용 중에 보도부(1)에 작용하는 활하중이나 풍하중 등의 반복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보도부(1)가 교량 측면(9s)에 연결된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 부재(120)는, 도3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와 보도부(1)의 저면이 함께 향하는 (기준 위치(Po)로부터 멀어지는) 바깥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탄성 부재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위치(P1)에서의 탄성 부재(120)의 끝단이 보다 수직 방향에 근접하게 세워진 상태가 되어, 탄성 부재(120)에 의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1위치(P1)에서 작용하는 힘(Rx, Ry)의 수직력(Ry)이 보다 상방향으로 근접하면서 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도, 탄성 부재(120)의 볼록한 곡면은 제1위치(P1)에 인접한 영역에서 제1위치(P1)에 비하여 기준 위치(Po)로부터 보다 이격(e)된 지점(Px)을 형성함으로써, 제1위치(P1)와 접하는 탄성 부재(120)의 끝단은 기준 위치(Po)를 향하는 기울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20)에 도입된 힘이 제1위치(P1)에 작용할 때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수직 성분(Ry)과, 기준 위치(Po)를 향하는 수평 성분의 힘(Rx)이 보상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 성분의 보상력(Rx)은 고정 볼트(10)를 교량 측면(9s)을 향하여 인발시키는 형태가 아니라 미는 형태로 작용하므로, 장시간 동안 보도부(1)의 사용에도 탄성 부재(120)에 의해 작용하는 보상력의 수평 성분(Rx)에 의하여 오히려 고정 볼트(10)가 보다 교량에 보다 박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보도부(1)의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탄성 부재(120)의 일부 이상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의 부분과 직선 형태의 부분(120z)이 변곡점(120b)으로 연결되어, 탄성 부재(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도되는 제1위치(P1)에서의 보상력(R)을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부재(120)는 직선 형태가 서로 변곡점(120b)에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탄성 부재에 탄성 변형이 발생되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부분들이 연결되는 변곡부(120b)에서 응력이 집중되므로, 도4a에 도시된 전체적인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부재(120)에 비하여 보다 큰 단면을 필요로 하지만, 제1위치(P1)에서 고정 볼트(10)를 향하는 보상력(R)의 수평 성분(Rx)을 자유자재로 크게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2개 이상의 변곡부가 구비된 형태에서도,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20', 120")의 일부가 제1위치(P1)에 인접한 영역에서 제1위치(P1)에 비하여 기준 위치(Po)로부터 보다 이격(e)된 지점(Px)을 형성한 상태로 탄성 변형되면, 이 지점(Px)의 주변으로부터 제1위치까지는 탄성 부재(120', 120")에 도입된 탄성 복원력에 의한 수평 방향 성분의 보상력(Rx)이 고정 볼트(10)를 교량 측면(9s)을 향하여 미는 형태로 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의 보다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교량의 측면(9s)에 설치되어 보도부(1)가 연결되는 연결 측면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 플레이트(130)가 설치되지 아니하고 직접 교량의 측면(9s)이 연결 측면을 형성하여, 보도부(1)가 직접 교량 측면(9s)에 고정 볼트(10)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 부재(120)가 충분히 넓은 공간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12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위치(P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교량의 측면(9s)에 연결 플레이트(130')가 설치되되, 연결 플레이트(130')의 하단이 교량 측면(9s)의 저면보다 하측까지 연장되고, 탄성 부재(12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2위치(P2)가 교량 측면(9s)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교량 측면(9s)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거나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와의 간섭에 의해 탄성 부재(120)의 설치 공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분히 넓은 공간에서 탄성 부재(120)를 설치하여 보도부(1)에 보상력(R)을 도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2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위치를 보도부(1)의 중립축 하연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탄성 부재(120)를 설치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해지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탄성 부재(1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탄성 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직선 형태나 곡선 형태 및 이들이 변곡부를 기준으로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탄성 부재(120)의 일부가 기준 위치(Po)로부터 제1위치(P1)까지의 거리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탄성 부재(120)에 의해 도입되는 보상력(R)의 수평 성분(Rx)이 고정 볼트(10)의 결합력을 배가시키는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1실시예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100, 100', 100")에서의 탄성 부재(120, 120', 120")의 형태 및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200)를 상술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200)도 역시, 자전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부(1)가 캔틸레버 부재로 적용된 것으로서, 교량의 연결 측면에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10)와, 보도부(1)와 교량 측면(9s)이 만나는 지점 근처의 기준 위치에 힌지(110a) 결합된 유지 부재(110)와, 연결부와 보도부(1)에 각각 힌지(120a) 결합된 상태로 탄성 변형되고 유지 부재(110)에 의해 탄성 변형이 유지되는 제2탄성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조(100)와 제2탄성 부재(220)의 형상과 설치 형태에 있어서 주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20)의 양단이 힌지 결합(120a)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2탄성 부재(220)의 제1단(220a1)은 보도부(1)의 상부 플랜지(1u)와 접촉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제2탄성 부재(220)의 제2단(220a2)은 연결 측면(연결 플레이트(230)의 표면과 접촉하는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2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유지 부재(110)의 걸림 너트(214)를 죄거나 별도의 수단으로 탄성 부재(120)의 중앙부가 기준 위치(Po)에 보다 근접하도록 제2탄성 부재(220)를 탄성 변형시키는 힘(F1)을 도입하면, 탄성 부재(120)의 양단부(220a1, 220a2)는 상부 플랜지(1u)의 저면과 연결부를 따라 기준 위치(Po)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때, 제2탄성 부재(220)의 양단부(220a1, 220a2)의 슬라이딩 경로의 양측에는 돌출된 안내 부재(235)가 형성되어, 제2탄성 부재(220)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2탄성 부재(220)의 양단부(220a1, 220a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는 안내 부재(235)의 사잇 공간의 범위로 제한된다. 따라서, 제2탄성 부재(220)의 양단부(220a1, 220a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가 연결 플레이트(230)에 돌출 형성된 안내 부재(235)에 의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제2탄성 부재(220)의 휨 변형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2탄성 부재(220)에 힘(F1)이 도입되어 제2탄성 부재(220)의 중앙부가 기준 위치(Po)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변형량 및 변형 방향이 틀어짐없이 항상 일정해지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해진 힘(F1)이 제2탄성 부재(220)에 도입되면, 제2탄성 부재(22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항상 일정한 보상력으로 보도부(1)에 작용하므로, 보도부(1)에 작용하는 하중(Fs)을 신뢰성있게 보상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제2유지 부재(210)의 걸림 너트(214)를 죄는 것에 의해 제2탄성 부재(220)의 탄성 변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치 이후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걸림 너트(214)를 죄는 것에 의하여 제2탄성 부재(220)에 추가적인 탄성 변형을 시키거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풀려진 상태를 최초 설치 시점의 탄성 변형량이 되도록 탄성 변형시키는 힘을 추가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탄성 부재(220)는 다양한 형태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가 겹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높은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시간 동안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성 영역 내에서 유지되므로, 신뢰성있는 보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탄성 부재(220)가 충분히 넓은 공간에 설치되고, 제2탄성 부재(220)의 일단을 통해 보도부(1)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보상력(R)을 도입하는 구조(20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측면(9s)에 연결 플레이트(230')가 설치되되, 연결 플레이트(230')의 하단이 교량 측면(9s)의 저면보다 하측까지 연장되고, 제2탄성 부재(220)의 제2단(220a2)이 교량 측면(9s)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탄성 부재(220)의 제1단(220a1)은 보도부(1)의 저면(예를 들어, 하부 플랜지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2탄성 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보도부(1)를 들어올리는 모멘트(Mr)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교량 측면(9s)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거나 보도부(1)와의 간섭에 의해 제2탄성 부재(220)의 설치 공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분히 넓은 공간에서 제2탄성 부재(220)를 설치하여 보도부(1)에 보상력(R)을 도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탄성 부재(220)의 제1단이 보도부(1)의 저면(보도부의 저면에 별도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과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2탄성 부재(220)의 설치 공정이 보다 용이해지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100")는, 연결 측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9s')으로 형성되더라도,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탄성 부재(120"')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를 지지하므로,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나타난 구성(300)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100, 100', 100") 중 어느 하나와,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200, 200') 중 어느 하나가 함께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면에 예시된 탄성 부재(120,...) 및 유지 부재(110) 등의 구성은 실시예 별로 조합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100, 100', 100", 200, 200')는,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하는 캔틸레버 부재인 보도부(1)와 교량(9)의 연결부를 탄성 부재(120,...)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보도부(1)에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활하중 등의 작용하중을 상쇄시키는 보상력으로 공용중 상시 작용하게 함으로써, 교량의 측면에 고정 볼트(10)로 결합된 보도부(1)에 대하여 탄성 부재(120,...)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도입되는 보상력(R)에 의해 보도부(1)의 작용 하중(Fs)을 상쇄시킴으로써, 공용 중에 보도부에 작용하는 반복 하중(활하중, 풍하중 포함)과 고정 하중 등을 견딜 수 있게 됨에 따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보다 안정된 상태로 보도부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100, 100', 100", 200, 200')는, 유지 부재(110)의 걸림 너트(114, 214)에 의하여 탄성 부재(120,...)의 탄성 변형을 구속하여 유지시켜 탄성 복원력이 보도부(1)에 보상력(R)으로 작용하게 구성되므로, 걸림 너트(114, 214)를 추가적으로 죄거나 푸는 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120,...)에 도입되는 탄성 변형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보도부(1)를 교량에 시공할 때 뿐만 아니라 교량의 유지 관리 시에, 보도부(1)에 작용하는 하중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보상 조건을 도입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탄성 부재(120, 120', 120")가 보도부(1)와 접촉하는 제1위치(P1)에서는 기준 위치(Po)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된 지점(Px)이 탄성 부재(120,...)에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 부재(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보상력(R)이 제1위치(P1)에서 고정 볼트를 교량으로 박는 방향으로 수평 성분의 보상력(Rx)이 작용하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탄성 부재(120,..)에 의해 작용하는 보상력(R)의 수평 성분(Rx)에 의하여 오히려 고정 볼트가 보다 교량에 박혀진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도부의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 부재가 교량의 측면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보도부(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12에 도시된 제7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신호등이나 가로등을 지지하는 가로 빔(2)을 캔틸레버 부재로 형성하고, 기둥(92)을 연결부로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1: 보도부 9: 교량
9s: 교량 측면 10: 고정 볼트
100, 100', 100", 200, 200', 300: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110: 유지 부재
114: 걸림 너트 120, 120', 120", 220: 탄성 부재
130, 230: 연결 플레이트

Claims (23)

  1. 연결부에 캔틸레버 부재가 설치되는 지지 구조로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연결부에 위치한 제2위치에서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저면이 함께 향하는 바깥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고 탄성 휨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한 곡면이 기준 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태로 구속 설치된 탄성 부재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부재의 휨 변형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제2위치보다 높으면서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자유단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이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하여 유지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를 향하는 수평 성분의 보상력이 상기 캔틸레버 부재를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미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볼록한 곡면은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된 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일단이 상기 기준 위치에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하여 잡아당기는 턴 버클로 형성되어,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힘을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가 설치된 이후에, 상기 턴 버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탄성 변형시키는 힘을 추가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2개 이상의 변곡점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비하여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된 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6.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교량의 일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캔틸레버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캔틸레버 부재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량의 측벽에 부착된 연결 플레이트로 형성되되, 상기 제2위치는 상기 교량의 측벽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10.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 부재는 신호등이나 가로등을 설치하는 가로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11.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자유단이고, 제1단부가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저면에 접촉하는 자유단인 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하여 볼록하게 휜 형태로 설치되는 제2탄성 부재와;
    상기 제2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캔틸레버 부재의 저면의 교차 지점에 보다 근접한 볼록하게 탄성 변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 부재는 겹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60012687A 2016-02-02 2016-02-02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74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87A KR101744498B1 (ko) 2016-02-02 2016-02-02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87A KR101744498B1 (ko) 2016-02-02 2016-02-02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498B1 true KR101744498B1 (ko) 2017-06-20

Family

ID=5928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687A KR101744498B1 (ko) 2016-02-02 2016-02-02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96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우리이엔씨 진동 저감 조립체를 구비하는 교량 확장형 인도 구조물
KR20240013963A (ko) * 2022-07-22 2024-01-31 해강산업주식회사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59B1 (ko) * 2010-03-22 2011-07-05 장은환 박스구조물용 내력보강재를 이용한 우각부 내력성능 및 내진력 보강 방법
KR101102937B1 (ko) * 2011-05-02 2012-01-10 주식회사 원일산업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18209B1 (ko) * 2011-05-06 2012-03-13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교량 설치용 보도교의 발판 지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179770B1 (ko) * 2011-10-06 2012-09-04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59B1 (ko) * 2010-03-22 2011-07-05 장은환 박스구조물용 내력보강재를 이용한 우각부 내력성능 및 내진력 보강 방법
KR101102937B1 (ko) * 2011-05-02 2012-01-10 주식회사 원일산업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18209B1 (ko) * 2011-05-06 2012-03-13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교량 설치용 보도교의 발판 지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179770B1 (ko) * 2011-10-06 2012-09-04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96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우리이엔씨 진동 저감 조립체를 구비하는 교량 확장형 인도 구조물
KR102148034B1 (ko) 2018-06-01 2020-08-26 (주)우리이엔씨 진동 저감 조립체를 구비하는 교량 확장형 인도 구조물
KR20240013963A (ko) * 2022-07-22 2024-01-31 해강산업주식회사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KR102646162B1 (ko) 2022-07-22 2024-03-12 해강산업주식회사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498B1 (ko)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550058B1 (ko) 확장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2029425B1 (ko) 확장 인도교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9373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차량 주행 도로의 박스 구조물
KR101774990B1 (ko) 케이블 정착단의 군집하중 전담 디바이스를 활용한 응력 분산형 케이블 교량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101252766B1 (ko) 도로 확장형 보조교량
KR100658535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088869B1 (ko) 가변형 휀스
KR200418034Y1 (ko) 방음벽 지주받침대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1259169B1 (ko) 교량의 확장형 인도교 고정 설치장치 및 고정 설치방법
KR101814532B1 (ko) 통행로의 좌굴 방지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현수교
KR101829791B1 (ko) 교량구조물, 교량구조물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0454387B1 (ko)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899161B1 (ko) 교량의 경관용 케이블의 완충정착 장치
KR101428748B1 (ko)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확장 인도 구조물
JPH0413490B2 (ko)
KR100733004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 방지구조
KR20150024195A (ko) 배수홀을 포함하는 헌치부재 및 이를 활용한 교량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