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869B1 - 가변형 휀스 - Google Patents

가변형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869B1
KR101088869B1 KR1020110079723A KR20110079723A KR101088869B1 KR 101088869 B1 KR101088869 B1 KR 101088869B1 KR 1020110079723 A KR1020110079723 A KR 1020110079723A KR 20110079723 A KR20110079723 A KR 20110079723A KR 101088869 B1 KR101088869 B1 KR 10108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ariable
pile
fenc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102011007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현장 또는 건물의 출입구 등에서 사용하는 휀스로, 가변부를 통해 펼침과 접힘의 넓이 조절을 통해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이동이 편리하며, 휀스에 내장된 말뚝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변형 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서 고정 또는 슬라이딩 되도록 서로 대면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대(100); 상기 고정대(100) 양 측면 상단과 하단 좌우방향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에 힌지(213)를 통해 결합되는 가변부(20); 및 상기 고정대(100) 일 측면에 부착되는 표지판(300); 상기 고정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고정대(100)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400); 및 상기 고정대(100)의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41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첫째, 말뚝이 구비되어 비포장 도로 또는 지면이 흙으로 형성되는 곳에서 말뚝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효과와 포장도로 또는 지면이 수평을 이루는 곳에서는 바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됨으로 이동의 편리성과 다수개의 휀스를 조립함으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휀스의 부피를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어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탈부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뛰어난 휀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가변형 휀스{Variable Fence}
본 발명은 가변형 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현장 또는 도로공사 사고위험 지역에 주의, 경고, 통제 등에서 사용하는 휀스로, 가변부를 통해 펼침과 접힘의 넓이 조절을 통해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이동이 편리하며, 휀스에 내장된 말뚝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변형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건설현장, 토목현장, 공사현장 및 사고위험 지역에 경고, 주의, 통제를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가변휀스, 차선규제블록, 휀스블록 (이하, "도로시설물"이라 칭함)과 같은 휀스들이 제시되었다.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10-0329348은 휀스의 지지대에 레일 또는 표시판을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문자표시에 따른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다. 또한, 휀스의 모든 구성요소를 재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파손시 수거하여 재성형 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양한 휀스들은 강풍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지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어 도로시설물의 하단을 앵커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지반에 도로시설물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할 경우 부득이하게 지반 상으로 체결부재가 노출되어 차량의 타이어 펑크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발로 밟아 신체의 타박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휀스의 긴급설치, 해제, 취급,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도로시설물 고정방식의 단점인 사고 위험 노출, 시공상 제한된 앵커볼트의 선정으로 인한 고정 강도의 제한, 시공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을 보완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하는 말뚝이 휀스에 고리를 통해 구비되며, 비포장 도로 또는 지면이 흙으로 형성되는 곳에서 상기 말뚝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도로 또는 지면이 수평을 이루는 곳에서는 바퀴를 이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휀스를 조립함으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휀스 부피의 확장 및 축소로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고정 또는 슬라이딩 되도록 서로 대면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대(100); 상기 고정대(100) 양 측면 상단과 하단 좌우방향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에 힌지(213)를 통해 결합되는 가변부(20); 및 상기 고정대(100) 일 측면에 부착되는 표지판(300); 상기 고정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고정대(100)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400); 및 상기 고정대(100)의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41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대(100)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말뚝지지대(110);
상기 말뚝지지대(110) 중앙에 삽입되는 말뚝(111)과, 상기 말뚝(111)을 고정하기 위한 말뚝핀(1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말뚝(111) 중앙에 말뚝핀(112)의 일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말뚝(111)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말뚝지지대(110)에 상기 말뚝핀(112) 일부가 걸쳐짐으로 말뚝(11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부(20)는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상기 제1,2가변관(210,21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바(212); 상기 고정바(212)의 양 끝단에 고정돌기(2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220) 내부에 스프링(2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일측면에 상기 고정돌기(220)가 삽입되는 돌기홈(2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양끝에 고정부재(200)와 고정핀(230)으로 결합되도록 고정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대(100) 측면에 자석(310)이 부착되고, 볼트 홈이 형성되어 상기 표지판(300)이 볼트를 통한 결합과 자석(310)을 통한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말뚝이 구비되어 비포장 도로 또는 지면이 흙으로 형성되는 곳에서 말뚝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포장도로 또는 지면이 수평을 이루는 곳에서는 바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됨으로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셋째, 다수개의 휀스를 조립함으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휀스의 부피를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어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탈부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뛰어난 휀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가변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부착면 실시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또다른 실시도이다.
도 6a, 6b은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표지판 부착 실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가변형 휀스에 대한 고정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가변형 휀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 3b는 휀스의 가변상태도이며, 도 4는 부착면 실시도이고, 도 5a, 5b는 또다른 실시도이며, 도 6a, 6b는 표지판 부착 실시도이고, 도 7은 말뚝을 이용한 휀스 고정상태도이다.
상기 각각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는 고정대(100), 말뚝지지대(110), 말뚝(111), 말뚝핀(112), 고정부재(200), 제1가변관(210), 제2가변관(211), 고정바(212), 힌지(213), 고정돌기(220), 돌기홈(221), 스프링(222), 고정핀(230), 고정홈(231), 표지판(300), 자석(310), 바퀴(400), 브레이크(410)로 이루어진다.
각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형 휀스는 지면에서 고정 또는 슬라이딩 되도록 서로 대면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대(100); 상기 고정대(100) 양 측면 상단과 하단 좌우방향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에 힌지(213)를 통해 결합되는 가변부(20); 및 상기 고정대(100) 일 측면에 부착되는 표지판(300); 상기 고정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고정대(100)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40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100)의 재질로는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대(100)의 하단 내측에는 말뚝지지대(110)가 구비된다.
상기 말뚝지지대(110)는 말뚝(111)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말뚝지지대(110) 중앙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말뚝(111)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말뚝(111)은 자갈로 이루어진 지면이나, 흙으로 이루어진 지면 등의 비포장 지면에서 휀스(10)를 고정할 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말뚝(111)을 고정하기 위해 말뚝핀(112)이 구비되며, 상기 말뚝핀(112)은 말뚝지지대(110) 일측에 고리로 형성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말뚝(11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말뚝(111)에 수평으로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말뚝(111) 중간에 둘레로 반원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말뚝핀(112)의 일부가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말뚝지지대(110)에 걸쳐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말뚝(111)을 사용할 때에는 말뚝핀(112)을 분리시키고, 말뚝(11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말뚝핀(112)을 고정함으로 비포장으로 이루어진 어떠한 지면에서도 휀스(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대(100) 하측에 바퀴(400)가 구비되어 비포장으로 이루어진 지면이 아닌 평평하게 포장된 지면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퀴(400)가 슬라이딩 될 때, 1차 고정은 바퀴(400)에 구성된 브레이크(410)가 그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각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면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대(100)의 사이에 가변부(20)가 구비된다.
상기 가변부(20)는 일측의 고정대(100)와 타측의 고정대(100) 내측 상단과 하단 좌우방향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고정부재(200)가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접합 및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 일측에 고정홈(23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부(20)는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부(20)는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가변관(210,211) 내부에 고정바(212)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일측의 고정대(100)와 타측의 고정대(100) 내측 상단과 하단 좌우방향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00)는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200)와 결합되며, 상기 제1,2가변관(210,211)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200)는 힌지(213)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213)로 결합됨에 따라, 휀스(10)의 가변시 가변부(20)가 접힘으로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212)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확장 및 축소 되도록 상기 고정바(212) 양끝 일측면에 고정돌기(2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220)가 결합되는 돌기홈(221)이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220) 하단 내부에는 스프링(222)이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돌기(220)를 누름에 탄성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작용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홈(221)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200)와 제1가변관(210), 제2가변관(211)에 형성된 고정홈(231)에 고정핀(230)이 삽입됨으로 휀스(10)의 접힘과 펴짐시 흔들림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형 휀스의 고정대(100) 측면에 자석(310)이 형성되어, 스틸로 이루어진 표지판(300)이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스틸로 이루어진 표지판(300)이 아닌 목재 또는 섬유 재질의 표지판(300) 경우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100) 측면에 볼트 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도면을 참고하여 가변형 휀스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가변형 휀스가 접힌 상태로서,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일측과 고정부재(200)가 힌지(213)로 결합되어 대면되어 이루어진 고정대(100)를 양방향으로 당김에 도 3a와 같이 펼쳐지고, 상기 도 3a에서 더 넓은 휀스(10)를 필요로 하는 경우 고정돌기(220)를 눌러 대면되어 이루어진 고정대(100)를 양방향으로 당김에 도 3b와 같이 고정바(212)가 노출되어 펼쳐지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또다른 실시예로, 가변부(20)가 1단으로 이루어지는 가변형 휀스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a, 5b는 도 3a, 3b와 마찬가지로 고정돌기(220)를 눌러 고정대(100)를 양방향으로 당김으로 고정바(212)가 노출되어 펼쳐지는 것이나, 도 3a, 3b에서 보는 2단의 가변형 휀스보다 좁은 공사현장 또는 출입구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6a,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지판(300)이 가변형 휀스 측면에 구비되는 자석(310) 또는 볼트로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지판(300)은 야광의 물질 또는 반사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간 또는 야간에도 눈에 띄도록 하여 공사현장에서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에서는 가변형 휀스가 비포장으로 이루어진 지면에 말뚝(111)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면에서 좌측 그림의 경우 포장된 도로나 평평한 콘크리트 지면에서 바퀴를 통해 슬라이딩 되어 이동시키는 것이며, 우측 그림의 경우 흙이나 자갈로 이루어진 비포장 지면에서 말뚝핀(112)을 제거하고 말뚝(111)을 지면에 타발 시킴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대(100) 양측의 고정부재 홈에 고정부재(200)와 가변부(20)를 다수개 연장시켜 결합함으로 사용장소에 맞게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변부(20)를 통한 접힘과 펼쳐짐 및 고정바(212)로 인한 확장 및 축소, 바퀴를 이용한 슬라이딩 이동과 말뚝(111)을 이용한 고정되는 가변형 휀스에 대한 것으로 다방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휀스 100 : 고정대
110 : 말뚝지지대 111 : 말뚝
112 : 말뚝핀 200 : 고정부재
210 : 제1가변관 211 : 제2가변관
212 : 고정바 213 : 힌지
220 : 고정돌기 221 : 돌기홈
222 : 스프링 230 : 고정핀
231 : 고정홈 300 : 표지판
310 : 자석 400 : 바퀴
410 : 브레이크

Claims (8)

  1. 지면에서 고정 또는 슬라이딩 되도록 서로 대면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대(100);
    상기 고정대(100) 양 측면 상단과 하단 좌우방향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에 힌지(213)를 통해 결합되는 가변부(20); 및
    상기 고정대(100) 일 측면에 부착되는 표지판(300);
    상기 고정대(1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고정대(100)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400); 및
    상기 고정대(100)의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41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스.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대(100)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말뚝지지대(110);
    상기 말뚝지지대(110) 중앙에 삽입되는 말뚝(111)과, 상기 말뚝(111)을 고정하기 위한 말뚝핀(1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스.
  3. 제2항에서,
    상기 말뚝(111) 중앙에 말뚝핀(112)의 일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말뚝(111)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말뚝지지대(110)에 상기 말뚝핀(112) 일부가 걸쳐짐으로 말뚝(11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스.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가변부(20)는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상기 제1,2가변관(210,211)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바(212);
    상기 고정바(212)의 양 끝단에 고정돌기(2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220) 내부에 스프링(2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스.
  6. 제5항에서,
    상기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일측면에 상기 고정돌기(220)가 삽입되는 돌기홈(2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관(210)과 제2가변관(211) 양끝에 고정부재(200)와 고정핀(230)으로 결합되도록 고정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스.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고정대(100) 측면에 자석(310)이 부착되고, 볼트 홈이 형성되어 상기 표지판(300)이 볼트를 통한 결합과 자석(310)을 통한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스.



KR1020110079723A 2011-08-10 2011-08-10 가변형 휀스 KR10108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23A KR101088869B1 (ko) 2011-08-10 2011-08-10 가변형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23A KR101088869B1 (ko) 2011-08-10 2011-08-10 가변형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869B1 true KR101088869B1 (ko) 2011-12-06

Family

ID=4550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723A KR101088869B1 (ko) 2011-08-10 2011-08-10 가변형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16A (ko) * 2015-01-21 2016-07-29 나상철 도로차단용 바리케이트
KR101822833B1 (ko) * 2017-08-08 2018-01-29 정석건설 주식회사 가림장치
KR20230015804A (ko) * 2021-07-23 2023-01-31 이희원 접이식 진입 금지봉
KR102674333B1 (ko) * 2021-11-30 2024-06-10 김효준 스마트 안전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657U (ja) 1999-08-17 2000-03-03 有限会社 第一安全機材 単管バリケ―ド用の伸縮二重管
KR200238706Y1 (ko) 2001-01-17 2001-10-27 김병진 접철식 안전 펜스
KR200352002Y1 (ko) 2004-03-02 2004-06-02 리드세이프티(주) 접이식 고정대가 구비된 안전휀스
KR200354101Y1 (ko) 2004-04-08 2004-06-23 김성수 개선된 절첩식 공사안내 표시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657U (ja) 1999-08-17 2000-03-03 有限会社 第一安全機材 単管バリケ―ド用の伸縮二重管
KR200238706Y1 (ko) 2001-01-17 2001-10-27 김병진 접철식 안전 펜스
KR200352002Y1 (ko) 2004-03-02 2004-06-02 리드세이프티(주) 접이식 고정대가 구비된 안전휀스
KR200354101Y1 (ko) 2004-04-08 2004-06-23 김성수 개선된 절첩식 공사안내 표시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16A (ko) * 2015-01-21 2016-07-29 나상철 도로차단용 바리케이트
KR102355244B1 (ko) * 2015-01-21 2022-01-25 나상철 도로차단용 바리케이트
KR101822833B1 (ko) * 2017-08-08 2018-01-29 정석건설 주식회사 가림장치
KR20230015804A (ko) * 2021-07-23 2023-01-31 이희원 접이식 진입 금지봉
KR102537980B1 (ko) * 2021-07-23 2023-05-26 이희원 접이식 진입 금지봉
KR102674333B1 (ko) * 2021-11-30 2024-06-10 김효준 스마트 안전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209B2 (en) Breakaway signpost adapter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088869B1 (ko) 가변형 휀스
KR101523005B1 (ko) 확장형 인도교
US7537412B2 (en) Breakaway signpost
KR20120004200U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CN110616658A (zh) 道路临时分隔防撞护栏装置及防撞栏杆单元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2029425B1 (ko) 확장 인도교
KR101252766B1 (ko) 도로 확장형 보조교량
KR101924924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964817B1 (ko) 조립형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101773346B1 (ko) 해체방지 기능이 향상된 볼라드
KR101170631B1 (ko) 도로의 캔틸레버식 확장 구조
KR101744498B1 (ko)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272869B1 (ko) 다기능 시선 유도봉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KR101414511B1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101609760B1 (ko)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KR200381832Y1 (ko) 보행 금지대.
KR20120014397A (ko) 분리대
KR102201354B1 (ko) 태양광 패널용 가드레일 구조체
KR200278555Y1 (ko) 도로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