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00U -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00U
KR20120004200U KR2020100012527U KR20100012527U KR20120004200U KR 20120004200 U KR20120004200 U KR 20120004200U KR 2020100012527 U KR2020100012527 U KR 2020100012527U KR 20100012527 U KR20100012527 U KR 20100012527U KR 20120004200 U KR20120004200 U KR 20120004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mpact energy
shock
cutting body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복식
엄재성
Original Assignee
최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복식 filed Critical 최복식
Priority to KR2020100012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200U/ko
Publication of KR20120004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정되는 후면고정부; 상기 후면고정부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전면완충부; 및 상기 전면완충부와 상기 후면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레일과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에너지를 절삭에너지로 전환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프레임부;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삭체; 및 인접한 상기 절삭체들 사이에 결합된 스플리터;로 구성된 제1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체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부에 다수개의 절삭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절삭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충돌후 보수작업시 전면완충부 및 절삭되어 둥글게 말린 절삭체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및 비용절감면에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절삭체가 효율적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차량충돌후 2차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에너지 흡수장치{SHOCK ENERGY ABSORBER}
본 고안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하고 충돌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나들목 분기점, 교각 및 교대, 터널과 지하차도 입구, 요금소 전면 등 차량의 충돌사고가 우려되는 지점에는 차량충돌시 충격을 완충하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체파손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도록 방호벽 등 다양한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 중 나열된 콘크리트벽체나 폐타이어로만 구성된 것은 차량 충돌시 그 충격완화 내지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로 양측에는 가이드레일판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측으로는 신축팽창되는 다수개의 자바라 등의 탄성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으나, 충돌에 의해 수축되었던 탄성체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충돌차량에 2차적인 충격력을 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2차 충격력에 의해 반발된 차량에 의해 제2의 충돌사고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다수개의 방호판과 각 방호판 사이에 장착된 링크구조의 접철바로 구성된 것, 또는 이동되는 각 방호판 사이에 고정된 다수개의 홀을 구비한 주름관으로 구성된 것 등이 있으나,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시간이 길어 생산성이나 조립작업성면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성부품인 탄성체나 접철바 또는 주름관 등은 그 규모가 크고 설치비용단가가 높아 차량충돌후 파손된 해당 구성부품을 교체시 설치비용면에서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와 관련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고안과 같은 충격흡수효율이 높고 비용도 저렴하며 단순한 구성으로 설치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삭체를 구성하고, 그 절삭체에 절삭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충격흡수효율이 높고 비용도 저렴하며 단순한 구성으로 설치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후면고정부;
상기 후면고정부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전면완충부; 및
상기 전면완충부와 상기 후면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레일과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에너지를 절삭에너지로 전환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프레임부;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삭체; 및 인접한 상기 절삭체들 사이에 결합된 스플리터;로 구성된 제1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체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부에 다수개의 절삭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절삭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충격흡수부의 상기 프레임부는
찬넬과 상기 찬넬 하부 양 내측으로 고정결합된 지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관통홀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체는 일단부에 형성된 절삭홈이 적어도 4개이거나 또는 측면부에 형성된 절삭라인이 적어도 4개이며,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관통홀에 대응되게 결합하고,
상기 스플리터는 중공의 원통체로 외측면 중심부에는 축방향에 수직하게 일정높이의 환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양 단부까지는 일정 곡률의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삭홈이 형성된 상기 인접한 절삭체의 일단부가 각각 상기 스플리터 양측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된 결합체의 돌출테두리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체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턱을 구비하여 상기 턱이 상기 지지부재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찬넬과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찬넬과 상기 지지부재의 결속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의 프레임부에 다단으로 중첩결합하여 충격에너지를 마찰력으로 전환하는 제2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부는
일정길이의 슬라이드슬롯과 볼트가 관통되는 핀홀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측부에서 중첩결합하는 다단으로 형성된 측면가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가드패널은
요철형상으로 절곡되게 구성되고 요홈부에 상기 슬라이드슬롯과 핀홀이 구비된 패널이거나 또는 판형상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부는
일정길이의 슬라이드슬롯과 볼트가 관통되는 핀홀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측상부에서 중첩결합하는 다단으로 형성된 상부덮개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패널은
일정곡률을 가진 둥근 판형상으로 양 측면 직선모서리에 상기 슬라이드슬롯과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체의 절삭라인은 상기 측면부 중 내측면부 또는 외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서,
상기 다수개의 절삭라인은 각각 상기 절삭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삭홈에 대응하여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체의 절삭라인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절삭체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감부로 마감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충돌후 보수작업시 전면완충부 및 절삭되어 둥글게 말린 절삭체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및 비용절감면에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절삭체가 효율적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차량충돌후, 2차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내부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내부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전방에서 본 단면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제1 충격흡수부의 요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결합도,
도 7a, 7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제1 충격흡수부의 요부 결합단면도와 작동상태도.
도 8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제1 충격흡수부의 절삭체의 다른 실시예로서, 절삭체에 절삭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내부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내부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전방에서 본 단면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제1 충격흡수부의 요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결합도, 도 7a, 7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제1 충격흡수부의 요부 결합단면도와 작동상태도, 도 8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제1 충격흡수부의 절삭체의 다른 실시예로서, 절삭체에 절삭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크게 후면고정부(300), 전면완충부(100), 충격흡수부(200)로 구성되며, 도로의 설치부지에 미리 시공된 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면고정부(300)는 앙카볼트를 통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충격흡수부(200)를 통해 전면완충부(100)와 연결된다.
전면완충부(100)는 후면고정부(10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중공의 반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양측의 측면모서리는 후술하는 제1 충격흡수부(220)의 전방 첫번째 프레임부(222) 전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이때, 전면완충부(100)와 상기 프레임부(222) 사이에 고정지지대(110)를 게재하여 후술하는 측면가드패널(240)과의 결합에 결속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격흡수부(200)는 전면완충부(100)와 후면고정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충격흡수부(220)와 제2 충격흡수부(240, 250)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충격흡수부(220)는 전면완충부(100)와 후면고정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50)과 가이드와이어(73)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이 전면완충부()에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절삭에너지로 전환하여 2차적으로 흡수하도록, 다수개의 프레임부(222); 다수개의 프레임부(222)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삭체(224; 224a,224b); 및 인접한 절삭체들(224a,224b) 사이에 결합된 스플리터(226);로 구성된다.
프레임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레일(50)과 가이드와이어부(70)의 가이드와이어(73)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찬넬(222a)과 상기 찬넬(222a) 하부 양 내측으로 가로방향으로 고정결합된 지지부재(2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222b)에는 가이드와이어(7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관통홀(h)이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프레임부(222)는 다수개 구비되며, 다수개 프레이부(222) 사이에는 후술하는 절삭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2개 배치된다.
가이드와이어(73)는 상기 관통홀(h)에 대응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2줄이 설치된 것으로, 일단부는 전면완충부(100)가 위치하는 지면에 매설된 고정핀(71)에 고정된 샤클(7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후면고정부(300)의 수직부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가이드와이어(73)의 타단부는 그 자체로 볼트너트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소정직경의 홀을 쉽게 관통할 수 있어 조립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마감부(75)로 마감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찬넬(222a)의 형상을 단면이 "ㄷ" 자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고, 지지부재(222b)의 형상을 H빔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부(222)는 찬넬(222a)과 지지부재(222b)를 연결시키는, 즉 찬넬(222a) 상부 양 내측과 지지부재(222b)를 결합시켜 결속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T"자 형상(도 5 참조) 또는 "V"자 형상의 보강부재(222c)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부재(222b)의 하부 저면 중심위치에는 레일(50)에 끼워져 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후크(55)가 볼트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절삭체(224)는 일정치수의 내직경(r)과 외직경(R)을 가진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일단부에는 모서리를 따라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절삭홈이 형성된다. 절삭홈이 형성된 절삭체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스플리터(226)가 끼움결합되고, 절삭체(224)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부(222)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결합체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절삭홈의 개수가 4개보다 적으면, 차량 충돌시 절삭체(224)의 절삭된 부분의 말림현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방사상으로 뻗치게 되어 프레임부(222)가 레일을 따라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절삭체(224)는 배치순서에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직경(r)은 일정치수로 유지하고 외직경(R)은 점차적으로 치수가 커지도록 구성하여 내직경(r)과 외직경(R)의 차이인 두께(t)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t1<t2<t3<t4
또한, 하나의 절삭체(224)도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차이를 두고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절삭체(224)의 두께차이에 의해 차량 충돌시 최전방에 배치된 절삭체가 인접한 절삭체보다 먼저 절삭되어 둥글게 말리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절삭체의 두께 차이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장치가 충격에너지가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모두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큰 충격에너지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절삭체(224)의 두께 차이를 두지 않고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체의 절삭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절삭체(224',224")의 측면부 중 외측면부 또는 내측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절삭라인(L1,L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절삭라인(L1,L2)을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수개의 절삭라인(L1,L2) 각각은 절삭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삭홈과 대응하여 연계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절삭체(224',224")의 절삭라인(L1,L2)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절삭체(224',224")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절삭라인(L1,L2)을 절삭체에 형성시, 절삭체에 절삭홈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는 차량충돌시 인접한 절삭체 사이에 게재된 스플리터에 의해 절삭체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인 절삭라인 부분에서 절삭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절삭체(224)의 타단부에는 모서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턱(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턱을 지지부재(222b)의 관통홀(h)과 대응되는 위치에 직접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스플리터(226)는 중공의 원통체로, 외측면 중심부에는 축방향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로부터 양 단부까지는 일정곡률의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스플리터(226)의 양 단부가 소정곡률의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차량 충돌에 따라 흡수된 충격에너지가 절삭에너지로 변하면서 절삭체(224; 224a,224b)의 절삭된 부분의 말림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스플리터(226)의 양 단부가 절삭체(224)의 일단부에 끼움결합되어야 하므로, 스플리터(226)의 양 단부의 외직경은 절삭체(224)의 내직경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며, 스플리터(226)의 환형돌출부의 직경은 절삭체(224)의 외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절삭체(224)의 절삭된 부분의 말림현상이 원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합체(230)는 중심에 홀이 구비된 원판형상으로 홀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부면 위로 돌출된 소정 직경의 돌출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체(230)의 하부면은 지지부재(222B)의 관통홀(h)에 대응하여 지지부재(222b)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며, 상부면의 돌출테두리에는 절삭체(224)의 타단부가 끼움결합되므로, 돌출테두리의 외직경은 절삭체(224)의 내직경(R)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충격흡수부(240, 250)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의 프레임부에 다단으로 중첩결합하여 충격에너지를 마찰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측면가드패널(240) 및/또는 상부덮개패널(250)로 구성된다.
측면가드패널(240)은 요철형상으로 절곡되게 구성된 것으로, 요홈부에는 일정길이의 슬라이드슬롯(242)과 볼트부(244)의 볼트(244b)가 관통되는 핀홀이 구비된다. 볼트(244b)는 볼트지지체(244a)에 의해 지지되어 볼트부(244)가 슬라이드슬롯(2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서 중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요철형상으로 절곡되게 구성되고 요홈부에 슬라이드슬롯과 핀홀이 구비된 패널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편평한 판형상의 패널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측면가드패널(240)은 상술한 프레임부(222) 측부에 다단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일단이 서로 중첩되는 결합구조로서, 상기 전면완충부(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에 따라 순차적인 마찰력을 발휘하며 중첩결합된다.
예를들면, 제1 측면가드패널의 슬라이드슬롯(242)의 일단과 대응되는 제2 측면가드패널의 핀홀은 중첩되게 배치되며, 볼트부(244)에 의해 프레임부(222)의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볼트(244b)의 조임정도에 따라 중첩되게 결합된 측면가드패널(240)의 밀림현상에 따른 마찰력 크기가 결정되고 측면가드패널(240)에서의 충격흡수정도가 결정된다.
상부덮개패널(250)은 일정곡률을 가진 둥근판 형상으로, 양 측면 직선모서리에는 일정길이의 슬라이드슬롯(252)과 볼트(254)가 관통되는 핀홀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부덮개패널(250)은 상술한 프레임부(222) 측상부 모서리에 다단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일단이 서로 중첩되는 결합구조로서, 측면가드패널(2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완충부(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에 따라 순차적인 마찰력을 발휘하며 중첩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전용도로의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입구, 교각, 고속도로 분기점 등에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정면 즉, 전면완충부(100)에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전면완충부(100)는 차량 충돌과 동시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전면완충부(10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동시에 충격흡수부(200)의 제1 충격흡수부(220)의 프레임부(222)도 하부 레일(50) 및 가이드와이어(73)를 따라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222)의 후방 밀림에 따라, 이와 동시에 인접한 프레임부(222)와 프레임부(222) 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프레임부(222)에 일단부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 타단부가 고정결합된 절삭체(224a, 224b)는 각 일단부 사이에 끼움되어 게재된 스플리터(226)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플리터(226)에 상대적으로 가해지는 미는 힘에 의해 절삭체(224a, 224b)의 각 일단부의 절삭홈 또는 절삭라인이 4개 부분으로 절삭되면서 둥글게 말리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1 충격흡수부(220)에서는 충격에너지를 절삭에너지로 2차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작은(즉, t1) 전면완충부(100)쪽의 절삭체(224a)부터 먼저 절삭되어 둥글게 말리면서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점차적으로 흡수하므로, 작은 충격에너지부터 큰 충격에너지까지 전부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이와 같은 프레임부(222)의 후방 밀림에 따라, 프레임부 측부와 측상부에 다단으로 이루어져 각각 중첩결합된 측면가드패널(240) 및/또는 상부덮개패널(250)도 프레임부(222)의 측부와 측상부에 각각 고정된 볼트(244b, 254)가 각 슬라이드슬롯(242, 25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프레임부(222)와 함께 동시에 후방으로 밀리면서 중첩되게 된다.
이때 측면가드패널(240) 및/또는 상부덮개패널(250)이 각각 중첩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충격에너지를 또한 2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의해, 충돌후 보수작업시 전면완충부 및 절삭되어 둥글게 말린 절삭체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및 비용절감면에서도 경제적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50: 레일 70: 가이드와이어부
73: 가이드와이어 100: 전면완충부
200: 충격흡수부 220: 제1 충격흡수부
222: 프레임부 224,224',224": 절삭체
226: 스플리터 230: 결합체
240: 측면가드패널 242,252: 슬라이드슬롯
244: 볼트부 250: 상부덮개패널
300: 후면고정부 h: 관통홀
L1,L2: 절삭라인

Claims (14)

  1.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후면고정부;
    상기 후면고정부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전면완충부; 및
    상기 전면완충부와 상기 후면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레일과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에너지를 절삭에너지로 전환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프레임부;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삭체; 및 인접한 상기 절삭체들 사이에 결합된 스플리터;로 구성된 제1 충격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삭체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부에 다수개의 절삭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절삭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흡수부의
    상기 프레임부는
    찬넬과 상기 찬넬 하부 양 내측으로 고정결합된 지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관통홀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체는
    일단부에 형성된 절삭홈이 적어도 4개이거나 또는 측면부에 형성된 절삭라인이 적어도 4개이며,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관통홀에 대응되게 결합하고,
    상기 스플리터는
    중공의 원통체로 외측면 중심부에는 축방향에 수직하게 일정높이의 환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양 단부까지는 일정 곡률의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절삭홈이 형성된 상기 인접한 절삭체의 일단부가 각각 상기 스플리터 양측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된 결합체의 돌출테두리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체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턱을 구비하여 상기 턱이 상기 지지부재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직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찬넬과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찬넬과 상기 지지부재의 결속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의 프레임부에 다단으로 중첩결합하여 충격에너지를 마찰력으로 전환하는 제2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부는
    일정길이의 슬라이드슬롯과 볼트가 관통되는 핀홀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측부에서 중첩결합하는 다단으로 형성된 측면가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드패널은
    요철형상으로 절곡되게 구성되고 요홈부에 상기 슬라이드슬롯과 핀홀이 구비된 패널이거나 또는 판형상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부는
    일정길이의 슬라이드슬롯과 볼트가 관통되는 핀홀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측상부에서 중첩결합하는 다단으로 형성된 상부덮개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패널은
    일정곡률을 가진 둥근 판형상으로 양 측면 직선모서리에 상기 슬라이드슬롯과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체의 절삭라인은 상기 측면부 중 내측면부 또는 외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절삭라인은 각각 상기 절삭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삭홈에 대응하여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체의 절삭라인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절삭체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마감부로 마감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20100012527U 2010-12-03 2010-12-03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1200042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27U KR20120004200U (ko) 2010-12-03 2010-12-03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27U KR20120004200U (ko) 2010-12-03 2010-12-03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00U true KR20120004200U (ko) 2012-06-13

Family

ID=4661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527U KR20120004200U (ko) 2010-12-03 2010-12-03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200U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10B1 (ko) * 2013-01-29 2013-06-11 (주) 금성산업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1381407B1 (ko) * 2012-06-25 2014-04-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1445347B1 (ko) * 2014-02-25 2014-10-02 (주)남국산업 파단력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WO2015068985A1 (ko) * 2013-11-05 2015-05-14 신성컨트롤 주식회사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20150111764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모든길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WO2018151360A1 (ko) * 2017-02-16 2018-08-23 주식회사 태백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EP3511469A1 (de) * 2018-01-15 2019-07-17 Alpina Sicherheitssysteme GmbH Anpralldämpfung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KR102150498B1 (ko) * 2020-04-27 2020-09-01 주식회사 새로운길 충격흡수장치
KR20200116621A (ko) * 2019-04-02 2020-10-13 오영일 차량 충격 흡수 장치
US20230228048A1 (en) * 2020-08-17 2023-07-20 Stuer-Egghe Bvba Impact-attenuating device, vehicle and trailer comprising an impact-attenuating device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407B1 (ko) * 2012-06-25 2014-04-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1273410B1 (ko) * 2013-01-29 2013-06-11 (주) 금성산업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AU2014295833B2 (en) * 2013-11-05 2017-03-02 Shinsung Control Co., Ltd. Crash Cushion
WO2015068985A1 (ko) * 2013-11-05 2015-05-14 신성컨트롤 주식회사 충돌 충격 흡수장치
CN105658875A (zh) * 2013-11-05 2016-06-08 新盛产业株式会社 碰撞冲击吸收装置
US9725857B2 (en) 2013-11-05 2017-08-08 Shinsung Control Co., Ltd. Crash cushion
CN105658875B (zh) * 2013-11-05 2017-09-01 新盛产业株式会社 碰撞冲击吸收装置
EA031371B1 (ru) * 2013-11-05 2018-12-28 Шинсунг Контрол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амортизации удара при столкновении
KR101445347B1 (ko) * 2014-02-25 2014-10-02 (주)남국산업 파단력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20150111764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모든길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WO2018151360A1 (ko) * 2017-02-16 2018-08-23 주식회사 태백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EP3511469A1 (de) * 2018-01-15 2019-07-17 Alpina Sicherheitssysteme GmbH Anpralldämpfung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KR20200116621A (ko) * 2019-04-02 2020-10-13 오영일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2150498B1 (ko) * 2020-04-27 2020-09-01 주식회사 새로운길 충격흡수장치
US20230228048A1 (en) * 2020-08-17 2023-07-20 Stuer-Egghe Bvba Impact-attenuating device, vehicle and trailer comprising an impact-attenu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4200U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000588B1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JP6273032B2 (ja) 衝突衝撃吸収装置
KR101053878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GB2221235A (en) Energy-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KR20150098393A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JP2015094100A (ja) ガードレール端末部緩衝袖ビーム
KR101879200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US9611601B1 (en) Crash absorbing guardrail panel assembly
KR101253076B1 (ko) 가드빔이 결합된 보강가드레일 및 보강가드레일 시공방법
JP2001200513A (ja) 車両用衝撃吸収装置
KR101307290B1 (ko)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5372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JP4349753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ES2301730T3 (es) Sistema de retencion de vehiculos.
KR101875505B1 (ko) 도로용 충격 흡수 장치
KR101351197B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KR101217832B1 (ko) 직, 간접 고정방식의 개방형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948987B1 (ko) 가드레일 지주 구조체
KR101214012B1 (ko) 2단 가드레일
KR101286738B1 (ko) 도로분리대
CA1292905C (en) Energy 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KR20090093691A (ko) 도로설치용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