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24B1 -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24B1
KR101924924B1 KR1020180034636A KR20180034636A KR101924924B1 KR 101924924 B1 KR101924924 B1 KR 101924924B1 KR 1020180034636 A KR1020180034636 A KR 1020180034636A KR 20180034636 A KR20180034636 A KR 20180034636A KR 101924924 B1 KR101924924 B1 KR 10192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eck
protrusion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복용
Original Assignee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나복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나복용 filed Critical 선풍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수 보도교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데크(110)가 열지어 형성된 데크부(100); 데크부(100)에 결합되어 데크부(100)의 자중 및 보도하중(P)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C1); 제1케이블(C1)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부(200);를 포함하되, 데크(110)의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를 포함하는 기둥부(120)가 형성되고, 제1케이블(C1)은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제1케이블 결합부(130)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데크부(100)에는 복수의 데크(110)가 보도하중(P)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제한 장치(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복수의 데크(110)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제1케이블(C1)에 의해 열지어 결합되는 현수 구조의 보도교 이다.
현수 보도교의 특성에 의해 이웃하는 복수의 데크(110)는 풍하중 및 보도하중(P)에 의해 상호 사이간격이 벌이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격제한 장치(30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PEDESTRIA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친환경적인 공사를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기술에서의 친환경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훼손을 최소화 하고,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빠른 시간내에 훼손된 자연을 복구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산림지역이나 국립공원 내에 설치되는 공공시설물은 최소한의 환경훼손과 신속한 급속공사를 필요로 한다.
교량(인도교)의 시공에 있어서 친환경적인 기술이라 함은 교각의 개수를 줄이고, 부대시설(부대시설이란 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동바리, 작업로, 밴트 등의 임시 구조물을 말한다.)을 최소화 하여 자연훼손을 줄이는 것이다.
아울러, 공기단축을 통하여 훼손된 자연을 신속하게 복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특허 제10-2013-0064256호 '현수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은 기초부와, 기초부에 세워 설치되며 메인케이블을 정착시키며 메인케이블에 장력을 부여하는 메인케이블 정착부와 상기 백스테이 케이블의 일끝단이 체결되는 백스테이 케이블 정착플레이트를 갖는 주탑과, 상기 주탑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주탑의 상부에 정착 고정되는 메인케이블과, 일끝단은 상기 주탑의 상부에 체결되고 타끝단은 상기 백스테이 고정용 기초부에 체결되는 백스테이 케이블과, 상기 주탑사이에 설치되는 바닥케이블과 상기 바탁케이블에 체결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발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케이블 정착부와 상기 백스테이 케이블 정착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축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케이블과 상기 백스테이 케이블은 상기 주탑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상기 주탑에 정착되고, 메인케이블은 동일한 크기의 모노케이블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성되어, 각각의 케이블에 상응하는 와이어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모노케이블을 현장에 반입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고, 크기와 무게가 작은 하나의 모노케이블로써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에 필요한 장비도 또한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2017-0055010호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현수보도교의 시공방법'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다수 개의 세그먼트형 현수바닥판의 구조에관한 것으로서, 상기 현수바닥판 구조는 교량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세그먼트와, 상기 바닥세그먼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메인케이블에 의해 현수되는 현수거치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세그먼트는, 양측에 위치한 각 지지빔, 상기 지지빔의 각 상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지지빔의 각 웨브 사이 또는 각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쉘플레이트 및, 상기 쉘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쉘플레이트와 각 지지빔 및 상판을 일체화시키는 쉘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현수거치빔은, 양측단에 위치하면서 메인케이블에 연결된 행어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는 행잉부와, 중앙에 위치하면서 상기 바닥세그먼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 오목한 거치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의 단턱플레이트와 거치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특허 제10-2009-0077983호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은 보행자의 통행을 위해 2개의 이격된 위치를 잇는 길이로 형성된 보강형과; 상기 보강형의 일단부 근처에 세워진 제1주탑과; 상기 보강형의 타단부 근처에 세워진 제2주탑과 ; 상기 보강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형의 양측 외측에 각각 배열되도록 상기 제1주탑과 상기 제2주탑의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주 케이블과; 상기 보강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보강형과 상기 주 케이블을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하는 다수의 행어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 케이블이 상기 보강형의 양측의 외측(外側)에 위치하고, 행어 케이블이 지면에 연직 방향과 경사지게 배열됨으로써, 행어 케이블의 긴장력의 수평 분력에 의한 구속력이 보강형의 교축 횡방향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도록 작용하여, 경간이 짧고 가벼운 보도용 보강형의 횡방향으로의 흔들림 변위를 억제하여 통행자들이 안정감있게 통행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있는 외관을 갖는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대한민국특허 제10-2013-0064256호 대한민국특허 제10-2017-0055010호 대한민국특허 제10-2009-0077983호
본 발명은 교각을 설치하지 않아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현수 보도교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데크(110)가 열지어 형성된 데크부(100);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부(100)의 자중 및 보도하중(P)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C1); 상기 제1케이블(C1)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데크(110)는 복수의 가로부재(111)와 복수의 세로부재(112)가 격자구조로 결합되어 복수의 중공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1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중공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중량체(400)가 하측으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데크(110)의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를 포함하는 기둥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블(C1)은 상기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제1케이블 결합부(130)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데크부(100)에는 복수의 상기 데크(110)가 상기 보도하중(P)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제한 장치(300)가 설치된다.
상기 중량체(400)는 상기 중공부(113)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410); 상기 끼움부(410)의 상측 영역에서 형성되되, 이웃하는 한쌍의 상기 가로부재(111)와 상기 세로부재(112)의 상면에 하면이 올려지도록 측방으로 돌출형성된 턱부(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체(400)는 속이 빈 플라스특 구조로서,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421)를 통해 물(W)을 충전하여 상기 중량체(4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체(400)의 상기 끼움부(410)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격제한 장치(300)는 상기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블 결합부(130)가 돌출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일측 돌출부(310a),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일측 돌출부(310c), 후방타측 돌출부(310d)를 포함하는 돌출부(310);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3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3케이블(C3); 상기 제3케이블(C3)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일측 돌출부(310a)와 후방일측 돌출부(310c) 및 상기 전방타측 돌출부(310b)와 후방타측 돌출부(310d)의 사이 영역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일측 돌출부(310a), 후방일측 돌출부(310c),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타측 돌출부(310d)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유격방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격제한 장치(300)는 상기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블 결합부(130)가 돌출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일측 돌출부(310a),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일측 돌출부(310c), 후방타측 돌출부(310d)를 포함하는 돌출부(310); 상기 복수의 데크(110) 중 전방 데크(110a)의 상기 후방타측 돌출부(310d)와 후방 데크(110b)의 상기 전방타측 돌출부(310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봉 구조의 결합봉(330); 상기 결합봉(330)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전방 데크(110a)의 상기 후방타측 돌출부(310d)의 전방과 상기 후방 데크(110b)의 상기 전방타측 돌출부(310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유격방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블 결합부(130)는 상기 기둥부(1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부(131); 상기 돌부(13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기립부(132); 상기 기둥부(120), 상기 돌부(131), 상기 기립부(132)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1케이블(C1)이 측방향을 따라 1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 상기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덮개부(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케이블(C1)이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홀(h)이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케이블 정착장치(135)가 설치되되,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135)는 상기 제1케이블(C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 정착장치(135a)와 상기 제1케이블(C1)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하부 정착장치(135b)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20)의 중앙부 영역에는 제2케이블(C2)과 결합되는 제2케이블 결합부(140)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이 측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 상기 돌출부(310)의 돌출된 정도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데크(110) 중 전방에 설치된 전방 데크(110a)의 후면에는 후방패드(151)가 설치되고, 후방에 설치된 후방 데크(110b)의 전면에는 전방패드(152)가 설치되며, 상기 후방패드(151)의 후면에는 전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후방 홈부(151h)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패드(152)의 전면에는 상기 후방 홈부(151h)에 대응되는 전방돌부(152h)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홈부(151h)의 깊이(L1)는 상기 돌출부(310)와 상기 유격방지부(320)의 이격거리(L2)의 2배의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는 상기 제2케이블(C2)의 상면을 덮도록 하면에서 상향으로 상향 홈(141h)이 형성된 결합부 상부(141); 상기 제2케이블(C2)의 하면을 덮도록 상면에서 하향으로 하향 홈(142h)이 형성된 결합부 하부(142);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 홈(141h)과 상기 하향 홈(142h)으로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2케이블(C2)의 외면에는 케이블커버(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커버(160)는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를 통해 상기 제2케이블(C2)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수 보도교 시공방법은 상기 케이블 고정부(200)를 설치하는 케이블 고정부 설치단계; 상기 케이블 고정부(200)에 상기 제1 케이블(C1), 상기 제2 케이블(C2), 상기 제3 케이블(C3)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200) 중 전방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 고정부(200)에서, 상기 제1 케이블(C1), 상기 제2케이블(C2), 상기 제3케이블(C3)이 모두 결합되도록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데크결합단계; 상기 데크결합단계를 반복수행하되, 먼저 설치된 상기 데크(110)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다음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데크부 형성단계; 상기 유격방지부(320)를 상기 제3 케이블(C3)에 설치하는 유격제한 장치 설치단계; 상기 중량체(400)를 결합하는 중량체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격제한 설치단계에서, 상기 유격방지부(320)는 상기 돌출부(310)와 상기 이격거리(L2)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이용한 현수 타입의 보도교로서, 교각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대한민국특허 제10-2013-0064256호의 현수보도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대한민국특허 제10-2017-0055010호의 현수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대한민국특허 제10-2009-0077983호의 현수 보도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케이블에 복수의 데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데크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수 보도교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가 형성된 데크에 중량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가 형성된 데크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케이블결합부, 유격제한장치, 중량체가 설치된 데크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정착장치가 결합된 제1케이블결합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정착장치와 하부 정착장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케이블 설치 공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케이블 결합부에 한 쌍의 제1케이블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케이블, 제2케이블 제3케이블이 측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도록 데크(110)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케이블 결합부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케이블 결합부에 케이블커버가 결합된 제2케이블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케이블 결합부에 케이블커버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 제3케이블, 유격방지부에 의해 유격제한장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 제3케이블, 유격방지부에 의해 유격제한장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 결합봉, 유격방지부에 의해 유격제한장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 결합봉, 유격방지부에 의해 유격제한장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패드 및 전방패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패드에 후방홈부가 형성되고, 전방패드의 전면에 전방돌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광하협구조의 중량체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수 보도교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데크(110)가 열지어 형성된 데크부(100); 데크부(100)에 결합되어 데크부(100)의 자중 및 보도하중(P)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C1); 제1케이블(C1)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부(200);를 포함하되, 데크(110)는 복수의 가로부재(111)와 복수의 세로부재(112)가 격자구조로 결합되어 복수의 중공부(113)가 형성되고, 데크(110)에 형성된 복수의 중공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중량체(400)가 하측으로 끼움결합되며, 데크(110)의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를 포함하는 기둥부(120)가 형성되고, 제1케이블(C1)은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제1케이블 결합부(130)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데크부(100)에는 복수의 데크(110)가 보도하중(P)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제한 장치(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복수의 데크(110)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제1케이블(C1)에 의해 열지어 결합되는 현수 구조의 보도교 이다.
현수 보도교의 특성에 의해 이웃하는 복수의 데크(110)는 풍하중 및 보도하중(P)에 의해 상호 사이간격이 벌이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격제한 장치(300)가 설치된다.
교량은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의 고유진동수(frequency of vibration of normal mode)와 다른 고유진동수(frequency of vibration of normal mode)를 갖도록 설계된다. 교량 고유의 고유진동수와 하중에 의한 고유진동수가 같으면, 하중이 증폭되어 변형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중량체(400)를 설치하는 것은 도보하중(P)에 의해 교량의 출렁거림이 증가되는 경우, 데크(110)의 중량을 변화시켜 교량의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중량체(400)는 중공부(113)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410); 끼움부(410)의 상측 영역에서 형성되되, 이웃하는 한쌍의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의 상면에 하면이 올려지도록 측방으로 돌출형성된 턱부(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400)는 속이 빈 플라스특 구조로서,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421)를 통해 물(W)을 충전하여 상기 중량체(4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체(400)의 상기 끼움부(410)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23, 24와 같이 중량체(400) 내부에 물(W)을 충전하여 데크(110)의 중량을 무겁게 한다.
또한, 중량체(400)는 도보하중(P)에 의해 흔들거리는 현수 보도교를 빠르게 복원시키는 역활을 한다.
아울러, 복수의 데크(110)에는 보도용 발판이 설치되는데, 보도용 발판의 두께로 턱부(420)의 두께를 형성하여 보도용 발판 상면과 중량체(400) 상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유격제한 장치(300)는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케이블 결합부(130)가 돌출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일측 돌출부(310a),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일측 돌출부(310c), 후방타측 돌출부(310d)를 포함하는 돌출부(310); 전후방향을 따라 돌출부(3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3케이블(C3); 제3케이블(C3)에 결합되되, 전방일측 돌출부(310a)와 후방일측 돌출부(310c) 및 전방타측 돌출부(310b)와 후방타측 돌출부(310d)의 사이 영역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일측 돌출부(310a), 후방일측 돌출부(310c),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타측 돌출부(310d)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유격방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격제한 장치(300)는 이웃하는 데크(110)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3케이블(C3)을 설치하고, 제3케이블(C3)에 유격방지부(320)를 설치한다.
유격방지부(320)는 도 18과 같이,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310) 사이 영역에 한 쌍으로 설치되되, 돌출부(310)에 인접하여 이격거리(L2)를 갖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유격제한 장치(300)는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케이블 결합부(130)가 돌출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일측 돌출부(310a),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일측 돌출부(310c), 후방타측 돌출부(310d)를 포함하는 돌출부(310); 복수의 데크(110) 중 전방 데크(110a)의 후방타측 돌출부(310d)와 후방 데크(110b)의 전방타측 돌출부(310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봉 구조의 결합봉(330); 결합봉(330)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전방 데크(110a)의 후방타측 돌출부(310d)의 전방과 상기 후방 데크(110b)의 전방타측 돌출부(310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유격방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격제한 장치(300)는 도 19와 같이 복수의 데크(110) 중 전방 데크(110a)의 후방타측 돌출부(310d)와 후방 데크(110b)의 전방타측 돌출부(310b)를 관통하도록 결합봉(330)이 설치되고, 결합봉(330)의 양 가장자리에 단부에 이격거리(L2) 만큼 이격되어 유격방지부(320)가 결합된다.
제1케이블 결합부(130)는 기둥부(1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부(131); 돌부(13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기립부(132); 기둥부(120), 돌부(131), 기립부(132)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케이블(C1)이 측방향을 따라 1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덮개부(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케이블(C1)은 현수 보도교의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 케이블로서, 상기 설치곤간부(133)에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케이블(C1)이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홀(h)이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케이블 정착장치(135)가 설치되되, 케이블 정착장치(135)는 제1케이블(C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 정착장치(135a)와 제1케이블(C1)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하부 정착장치(135b)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 공간부(133)에는 상기 제1케이블(C1)을 고정하기 위해 도 10과 같은 정착장치(135)가 설치된다.
이때, 정착장치(135)는 제1케이블(C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 정착장치(135a)와 제1케이블(C1)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하부 정착장치(135b)가 결합되는데, 상부 정착장치(135a)는 돌부(131)의 하면에 미리 결합되고, 하부 정착장치(135b)는 덮개부(134)의 상면에 미리 결합되어 덮개부(134)의 설치시 정착장치(135)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기둥부(120)의 중앙부 영역에는 제2케이블(C2)과 결합되는 제2케이블 결합부(140)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이 측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도록, 제2케이블 결합부(140), 돌출부(310)의 돌출된 정도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과 같이, 기둥부(120)의 중앙부 영역에는 메인케이블인 제1케이블(C1)의 하중을 분담하고, 제1케이블(C1) 파손 및 파단시 보도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케이블인 제2케이블(C2)이 결합된다.
이때,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은 측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케이블 고정부(200)에서 각각 고정되는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이 상호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여 마찰 및 쓸림현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웃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데크(110) 중 전방에 설치된 전방 데크(110a)의 후면에는 후방패드(151)가 설치되고, 후방에 설치된 후방 데크(110b)의 전면에는 전방패드(152)가 설치되며, 후방패드(151)의 후면에는 전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후방 홈부(151h)가 형성되고, 전방패드(152)의 전면에는 후방 홈부(151h)에 대응되는 전방돌부(152h)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홈부(151h)의 깊이(L1)는 돌출부(310)와 유격방지부(320)의 이격거리(L2)의 2배의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21, 22와 같이 후방패드(151)와 전방패드(152)가 이웃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데크(110)에 설치된다.
이때 후방패드(151)에 형성된 후방홈부(151h)의 깊이(L1)를 돌출부(310)와 유격방지부(320)의 이격거리(L2)에 2배의 길이로 형성한 것은 복수의 데크(110)가 벌어지더라도 통행자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돌부(152h)와 후방홈부(151h)의 깊이(L1)에 의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케이블 결합부(140)는 제2케이블(C2)의 상면을 덮도록 하면에서 상향으로 상향 홈(141h)이 형성된 결합부 상부(141); 제2케이블(C2)의 하면을 덮도록 상면에서 하향으로 하향 홈(142h)이 형성된 결합부 하부(142);를 구비하고, 상향 홈(141h)과 하향 홈(142h)으로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제2케이블(C2)의 외면에는 케이블커버(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커버(160)는 제2케이블 결합부(140)를 통해 제2케이블(C2)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2케이블 결합부(14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5, 16과 같이 제2케이블 결합부(140)에 결합되는 제2케이블(C2)의 외면에는 제2케이블결합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제2케이블(C2)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커버(16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수 보도교 시공방법은 케이블 고정부(200)를 설치하는 케이블 고정부 설치단계; 케이블 고정부(200)에 제1케이블(C1), 제2 케이블(C2), 제3 케이블(C3)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200) 중 전방에 설치된 케이블 고정부(200)에서,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이 모두 결합되도록 데크(110)를 설치하는 데크결합단계; 데크결합단계를 반복수행하되, 먼저 설치된 데크(110)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다음 데크(110)를 설치하는 데크부 형성단계; 유격방지부(320)를 제3 케이블(C3)에 설치하는 유격제한 장치 설치단계; 중량체(400)를 결합하는 중량체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케이블 설치단계가 완료되면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200) 중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200)에서 기 설치된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에 데크(110)를 가 설치한다.
가설치된 데크(110)는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와 완전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즉,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200)가 설치된 곳 중 어느 한 곳에서 반대편에 설치되는 데크(110)부터 순차적으로 가설치하고, 이를 슬라이딩시켜 밀어내기식으로 데크(110)를 시공한다.
따라서 데크(110) 설치를 위한 별도의 벤트가 필요하지 않는다.
복수의 데크(110) 설치가 완료되어 데크부(100)의 시공이 완료되면 유격방지부(320)가 돌출부(310)로 부터 이격거리(L2)를 갖도록 설치된다.
C1 : 제1케이블 C2 : 제2케이블
C3 : 제3케이블 P : 보도하중
100 : 데크부 110 : 데크
120 : 기둥부 120a : 전방일측 기둥부
120b : 전방타측 기둥부 120c : 후방일측 기둥부
120d : 후방타측 기둥부 130 : 제1케이블 결합부
131 : 돌부 132 : 기립부
133 :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 134 : 덮개부
135 : 케이블정착장치 140 : 제2케이블 결합부
151 : 후방패드 152 : 전방패드
160 : 케이블커버 200 : 케이블고정부
300 : 유격제한장치 310 : 돌출부
320 : 유격방지부 330 : 결합봉
400 : 중량체 410 : 끼움부
420 : 턱부

Claims (15)

  1.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데크(110)가 열지어 형성된 데크부(100);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부(100)의 자중 및 보도하중(P)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C1);
    상기 제1케이블(C1)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한 쌍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데크(110)는 복수의 가로부재(111)와 복수의 세로부재(112)가 격자구조로 결합되어 복수의 중공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1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중공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중량체(400)가 하측으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데크(110)의 모서리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를 포함하는 기둥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블(C1)은 상기 전방일측 기둥부(120a), 전방타측 기둥부(120b), 후방일측 기둥부(120c), 후방타측 기둥부(120d)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제1케이블 결합부(130)에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데크부(100)에는 복수의 상기 데크(110)가 상기 보도하중(P)에 의해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제한 장치(30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 결합부(130)는
    상기 기둥부(1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부(131);
    상기 돌부(13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기립부(132);
    상기 기둥부(120), 상기 돌부(131), 상기 기립부(132)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1케이블(C1)이 측방향을 따라 1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
    상기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덮개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400)는
    상기 중공부(113)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410);
    상기 끼움부(410)의 상측 영역에서 형성되되, 이웃하는 한쌍의 상기 가로부재(111)와 상기 세로부재(112)의 상면에 하면이 올려지도록 측방으로 돌출형성된 턱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400)는 속이 빈 플라스특 구조로서,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421)를 통해 물(W)을 충전하여 상기 중량체(4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400)의 상기 끼움부(410)는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제한 장치(300)는
    상기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블 결합부(130)가 돌출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일측 돌출부(310a),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일측 돌출부(310c), 후방타측 돌출부(310d)를 포함하는 돌출부(310);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3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3케이블(C3);
    상기 제3케이블(C3)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일측 돌출부(310a)와 후방일측 돌출부(310c) 및 상기 전방타측 돌출부(310b)와 후방타측 돌출부(310d)의 사이 영역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일측 돌출부(310a), 후방일측 돌출부(310c),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타측 돌출부(310d)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유격방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제한 장치(300)는
    상기 데크(11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블 결합부(130)가 돌출된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일측 돌출부(310a), 전방타측 돌출부(310b), 후방일측 돌출부(310c), 후방타측 돌출부(310d)를 포함하는 돌출부(310);
    상기 복수의 데크(110) 중 전방 데크(110a)의 상기 후방타측 돌출부(310d)와 후방 데크(110b)의 상기 전방타측 돌출부(310b)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봉 구조의 결합봉(330);
    상기 결합봉(330)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전방 데크(110a)의 상기 후방타측 돌출부(310d)의 전방과 상기 후방 데크(110b)의 상기 전방타측 돌출부(310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유격방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 설치 공간부(133)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케이블(C1)이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홀(h)이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케이블 정착장치(135)가 설치되되,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135)는
    상기 제1케이블(C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 정착장치(135a)와 상기 제1케이블(C1)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하부 정착장치(135b)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9. 제8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20)의 중앙부 영역에는 제2케이블(C2)과 결합되는 제2케이블 결합부(140)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블(C1), 제2케이블(C2), 제3케이블(C3)이 측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 상기 돌출부(310)의 돌출된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10. 제9항에 있어서,
    이웃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데크(110) 중 전방에 설치된 전방 데크(110a)의 후면에는 후방패드(151)가 설치되고,
    후방에 설치된 후방 데크(110b)의 전면에는 전방패드(152)가 설치되며,
    상기 후방패드(151)의 후면에는 전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후방 홈부(151h)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패드(152)의 전면에는 상기 후방 홈부(151h)에 대응되는 전방돌부(152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홈부(151h)의 깊이(L1)는
    상기 돌출부(310)와 상기 유격방지부(320)의 이격거리(L2)의 2배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는
    상기 제2케이블(C2)의 상면을 덮도록 하면에서 상향으로 상향 홈(141h)이 형성된 결합부 상부(141);
    상기 제2케이블(C2)의 하면을 덮도록 상면에서 하향으로 하향 홈(142h)이 형성된 결합부 하부(142);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 홈(141h)과 상기 하향 홈(142h)으로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2케이블(C2)의 외면에는 케이블커버(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커버(160)는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를 통해 상기 제2케이블(C2)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블 결합부(14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현수 보도교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200)를 설치하는 케이블 고정부 설치단계;
    상기 케이블 고정부(200)에 상기 제1 케이블(C1), 상기 제2 케이블(C2), 상기 제3 케이블(C3)을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200) 중 전방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 고정부(200)에서, 상기 제1 케이블(C1), 상기 제2케이블(C2), 상기 제3케이블(C3)이 모두 결합되도록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데크결합단계;
    상기 데크결합단계를 반복수행하되, 먼저 설치된 상기 데크(110)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다음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데크부 형성단계;
    상기 유격방지부(320)를 상기 제3 케이블(C3)에 설치하는 유격제한 장치 설치단계;
    상기 중량체(400)를 결합하는 중량체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제한 설치단계에서,
    상기 유격방지부(320)는 상기 돌출부(310)와 상기 이격거리(L2)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보도교 시공방법.
KR1020180034636A 2018-03-26 2018-03-26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924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36A KR101924924B1 (ko) 2018-03-26 2018-03-26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36A KR101924924B1 (ko) 2018-03-26 2018-03-26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924B1 true KR101924924B1 (ko) 2019-02-22

Family

ID=6558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636A KR101924924B1 (ko) 2018-03-26 2018-03-26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4747A (zh) * 2019-12-16 2020-04-28 中国人民解放军63921部队 一种快速架设的缆索支撑桥梁
KR102117698B1 (ko) * 2019-07-29 2020-06-01 주식회사 에넥스트 출렁다리시스템
KR102188255B1 (ko) * 2020-07-31 2020-12-08 (주)신흥이앤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상판 단위체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및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시공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983A (ko) 2001-10-16 2009-07-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구조, 재생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KR20120002706A (ko) * 2010-07-01 2012-01-09 우혁근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64256A (ko) 2011-12-08 2013-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언어 자동표시장치
KR20160131395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부분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이 가능한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리본교량 시공방법
KR20170055010A (ko) 2017-03-06 2017-05-18 주식회사유한양행 베이킹 소다를 함유하는 칫솔모 및 그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
KR101804986B1 (ko) * 2017-05-24 2017-12-06 (주)신흥이앤지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983A (ko) 2001-10-16 2009-07-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기록 매체 및 데이터 구조, 재생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KR20120002706A (ko) * 2010-07-01 2012-01-09 우혁근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64256A (ko) 2011-12-08 2013-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언어 자동표시장치
KR20160131395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부분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이 가능한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리본교량 시공방법
KR20170055010A (ko) 2017-03-06 2017-05-18 주식회사유한양행 베이킹 소다를 함유하는 칫솔모 및 그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
KR101804986B1 (ko) * 2017-05-24 2017-12-06 (주)신흥이앤지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98B1 (ko) * 2019-07-29 2020-06-01 주식회사 에넥스트 출렁다리시스템
CN111074747A (zh) * 2019-12-16 2020-04-28 中国人民解放军63921部队 一种快速架设的缆索支撑桥梁
KR102188255B1 (ko) * 2020-07-31 2020-12-08 (주)신흥이앤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상판 단위체와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및 내풍 기능을 갖는 보도 현수교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24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48649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2374283B1 (ko)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804986B1 (ko)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KR101664785B1 (ko)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1920038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FI874442A (fi) Terrassanlaeggning.
KR101920039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54657B1 (ko) 측면빔과 슬래브세그먼트를 이용한 하로교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ATE257874T1 (de) Vorgefertigte hochstrasse
KR101252766B1 (ko) 도로 확장형 보조교량
KR101691914B1 (ko)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20130013527A (ko)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JP2004232296A (ja) アーチ橋及びアーチフレーム構造
KR101929885B1 (ko)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55618A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728811B1 (ko) 울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