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736B1 -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736B1
KR101977736B1 KR1020180165839A KR20180165839A KR101977736B1 KR 101977736 B1 KR101977736 B1 KR 101977736B1 KR 1020180165839 A KR1020180165839 A KR 1020180165839A KR 20180165839 A KR20180165839 A KR 20180165839A KR 101977736 B1 KR101977736 B1 KR 10197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late
plate
guide surface
surface joint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희곤
장성열
최찬명
박기홍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이치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16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04Flat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 궤도빔(500) 단위 구간 사이의 신축이음부(501)에 설치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궤도빔(500)은 주행면(100), 안내면(200), 안정면(30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면(1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주행면 베이스판(110), 주행면 조인트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면(2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내면 베이스판(210), 안내면 조인트판(220)이 설치되며, 상기 안정면(3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정면 베이스판(310), 안정면 조인트판(320)이 설치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Joint of monorail track beam}
본 발명은, 모노레일 궤도빔의 단위 구간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노레일(monorail)은 교각의 상단에 철근콘크리트 궤도빔을 설치하고, 이것을 주행로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복렬의 고무타이어 바퀴를 장비한 차량이 주행하는 교통수단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서울의 어린이대공원, 롯데월드, 에버랜드 등에 유람용 모노레일이 건설되어 운행되고 있고, 2015년 개통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교통용 모노레일로 운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으로 꼽히는 지하철의 경우에 지중에 선로를 건설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많이 들고, 대규모인 단점이 있는 반면에, 모노레일은 분기기가 불필요하고, 건설에 필요한 면적이 지하철이나 다른 경전철에 비해 적어서 미관을 덜 해칠 뿐만 아니라, 건설비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경전철과 같이 한꺼번에 많은 인원을 동시에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으로서의 수송분담률을 높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 운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차량 운행 저감에 따른 도로 교통 소통의 개선과 더불어 차량 운행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운행에 따른 소음과 진동이 적고, 승차감이 우수하며, 운행 안전성도 우수하여 대구뿐만 아니라, 다른 대도시에서도 대중교통수단으로서 모노레일을 도입하기 위한 시장성 조사 및 시행 준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모노레일의 차량 주행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주행로의 기능을 하는 궤도빔인데, 통상 궤도빔은 도 1과 같이 철근콘크리트 궤도빔(10)을 일정 길이로 제조한 후, 일정 길이로 제조된 궤도빔을 지주(20) 위에 설치하고, 서로 연결함으로써 궤도빔의 상부가 모노레일 차량(C)의 타이어(T)를 안내하는 주행면이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교량과 같이 철근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궤도빔은 하중재하,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자연재해, 프리스트레싱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을 수용하기 위해, 단위 구간 사이에서 일정한 신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조된 궤도빔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 상부에 궤도빔을 이격되게 설치하면서 궤도빔 상부로 모노레일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교량 상판 등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신축이음장치(1)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일단부가 한쪽 궤도빔의 상면에 안착되게 고정 설치되는 반면에, 핑거(4)와 핑거삽탈홈(5)이 반복 형성된 조인트플레이트의 타단부는 이격되게 설치되는 궤도빔과 궤도빔 사이의 이격부에 지지되지 않고, 캔틸레버 형태로 설치되어 차량 주행시 작용하는 차량하중에 의해 조인트플레이트 일단부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처짐 현상이 심화되는 경우에 조인트플레이트의 균열 및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궤도빔을 설치하면 단위 구간과 단위 구간 사이에 약간의 단차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종래의 조인트플레이트는 이러한 단차를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단차를 없애기 위해서는 별도의 철판을 부착해야 하는 등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의 조인트플레이트는 일단부에 형성된 핑거삽탈홈(5)의 내측 단부가 레일몰드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핑거삽탈홈 내측 단부에 토사나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되면, 궤도빔 상면에 위치하는 핑거삽탈홈(5) 내측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작용에 저항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차량 운행에 커다란 장애가 되는 단점이 있었고, 조인트플레이트가 볼트 만에 의해 궤도빔에 고정되어 있어 볼트의 체결이 느슨해지거나, 볼트가 부러지는 경우 조인트플레이트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모노레일용 궤도빔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 궤도빔의 단차를 쉽게 해소하고, 일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0795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설치가 간편하고, 교체가 쉬우며,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노레일 궤도빔(500) 단위 구간 사이의 신축이음부(501)에 설치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궤도빔(500)은 주행면(100), 안내면(200), 안정면(30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면(1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주행면 베이스판(110), 주행면 조인트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면(2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내면 베이스판(210), 안내면 조인트판(220)이 설치되며, 상기 안정면(3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정면 베이스판(310), 안정면 조인트판(320)이 설치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에는,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상면(221)에서 하면(222)까지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공(234)이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공(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234)에 나사결합하는 무두볼트(235)에 의해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설치높이와 경사를 조절하고, 상기 안정면 조인트판(320)에는,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상면(321)에서 하면(322)까지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공(334)이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공(3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334)에 나사결합하는 무두볼트(335)에 의해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설치높이와 경사를 조절한다.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브라켓(250)이 설치되고, 상기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브라켓(350)이 설치된다.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250)은 몸체부(251), 걸이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350)은 몸체부(351), 걸이부(35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51, 351)가 앵커(260, 360)와 너트(261, 361)에 의해 궤도빔(500)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부(252, 3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과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한다.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하면(122),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하면(222)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하면(322)에는 패드삽입홈(128, 228, 3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128, 228, 328)에는 미끄럼패드(129, 229, 329)가 삽입 부착된다.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하면(122)에는 패드삽입홈(1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128)에는 미끄럼패드(129)가 삽입 부착되되, 상기 미끄럼패드(129)를 부착하기 전에 패드삽입홈(128)에 라이너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안내면 베이스판(210)의 상부에 절곡라이너(400)를 설치하되, 상기 절곡라이너(400)는 상판(401), 측판(402) 및 상기 상판(401)과 측판(402)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판(403)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401)은,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주행면 조인트판(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측판(402)은, 상기 안내면 베이스판(210)과 안내면 조인트판(2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 안내면 베이스판(210) 및 안정면 베이스판(310)에는, 앵커(111, 211, 311)와 볼트체결공(112, 212, 312)이 구비되고,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에는, 볼트홀(130, 230, 330)이 형성되어,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볼트(132, 232, 332)를 각각 상기 볼트체결공(112, 212, 312)에 체결하여 설치된다.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각각 상면(121, 221, 321), 하면(122, 222, 322), 정면(123, 223, 323), 배면(124, 224, 324), 경사면(125, 225, 325), 제1측면(126, 226, 326), 제2측면(127, 227, 327)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되, 상기 경사면(125, 225, 325)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상면(121)에는 논슬립홈(134)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인트판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공을 형성하고, 높이조절공에 무두볼트를 결합함으로써 조인트판 아래로 돌출된 무두볼트의 높이에 의해 조인트판의 높낮이와 경사를 조절하거나, 패드삽입홈에 높이 조절용 라이너를 부착하고 미끄럼패드를 부착하여 조인트판의 높낮이와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궤도빔에 단차가 있더라도 신축이음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조인트판에 의해 단차를 해소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궤도빔의 안내면이나 안정면에 설치한 신축이음장치가 낙하할 경우, 아래의 차량이나 사람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나, 탈락방지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안내면이나 안정면에 설치한 조인트판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인트판은 일측 궤도빔에 고정되고, 이격공간 건너편에 있는 타측 궤도빔까지 뻗어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어느 일측의 베이스판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타측의 조인트판이 베이스판을 누르고 있으므로 베이스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주행면 베이스판과 안내면 베이스판을 걸쳐서 절곡라이너를 설치하므로 주행면 베이스판과 안내면 베이스판을 유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즉, 주행면 베이스판과 안내면 베이스판이 절곡라이너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조가 되므로, 두 베이스판 중 어느 하나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이 없는 다른 베이스판과 절곡라이너의 결속에 의해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넷째, 조인트판의 하부에 미끄럼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차량하중이나 충격에 대해 조인트판과 궤도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미끄럼패드가 미끄러짐으로써 궤도빔의 신축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다.
다섯째, 주행면 조인트판의 상면에 논슬립홈을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이 향상되어 차량 제동 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와의 마찰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논슬립홈 자체가 배수홈의 기능을 하게 되어, 조인트판과 차량 타이어와의 수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겨울철 눈이나 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눈, 비에도 제동거리를 줄여줌으로써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조인트판의 일단부와 신축이음 설치홈 내측 단부 간의 간격부가 상호 대향하는 조인트판의 경사면 사이의 간격과 공간적으로 연통해 있으므로 신축이음부 상면에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바람에 의해 쉽게 자연 배출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자연 배출되지 않더라도 작업자에 의해 청소, 제거하기가 쉬워 이물질 적체에 의한 신축이음장치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기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궤도빔과 신축이음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궤도빔과 신축이음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주행면과 안내면의 조인트판과 베이스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신축이음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주행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주행면 조인트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행면 조인트판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안내면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2는 안내면 조인트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안내면 조인트판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안정면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5는 안정면 조인트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안정면 조인트판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17, 18, 22는 탈락방지 브라켓의 제2실시예이다.
도 19, 20, 23은 탈락방지 브라켓의 제3실시예이다.
도 21은 탈락방지 브라켓의 제1실시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모노레일 궤도빔(500)은 주행면(100), 안내면(200), 안정면(30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면(100), 안내면(200), 및 안정면(300)의 위로 모노레일 차량의 타이어가 지나가게 되므로, 신축이음장치는 주행면(100), 안내면(200) 및 안정면(300) 모두에 설치된다.
신축이음장치는 궤도빔의 하나의 단위구간과 또다른 하나의 단위구간의 사이에 설치되게 되는데, 도4를 참조해서 보면, 왼쪽에 있는 궤도빔 단위 구간과 오른쪽에 있는 궤도빔 단위 구간 사이에 이격공간(s)이 있고, 상기 이격공간(s) 근처의 일정 구간이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신축이음부(501)가 된다.
신축이음부(501)에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궤도빔(500) 중 신축이음부(501)가 있는 부분은 홈이 형성된다.
상기 신축이음부(501)는 주행면(100), 안내면(200) 및 안정면(300) 모두에 걸쳐 구비되는데, 상기 주행면(1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주행면 베이스판(110) 및 주행면 조인트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면(2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내면 베이스판(210) 및 안내면 조인트판(220)이 설치되며, 상기 안정면(3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정면 베이스판(31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이 설치된다.
먼저 궤도빔(500)에, 주행면 베이스판(110), 안내면 베이스판(210) 및 안정면 베이스판(310)이 고정되고,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 안내면 베이스판(210) 및 안정면 베이스판(310)의 상부에 각각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이 설치된다.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의 하면에는 궤도빔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앵커(1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앵커(111)의 상부와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에는 볼트체결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공(1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주행면 조인트판(120)에는, 볼트홀(13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상면에는 볼트머리홈(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홀(130)에 볼트(132)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체결공(1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주행면 조인트판(12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안내면 베이스판(210)의 하면에는 궤도빔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앵커(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앵커(211)의 상부와 상기 안내면 베이스판(210)에는 볼트체결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공(2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면 조인트판(220)에는, 볼트홀(23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상면에는 볼트머리홈(2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홀(230)에 볼트(232)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체결공(2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안내면 조인트판(22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안정면 베이스판(310)의 하면에는 궤도빔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앵커(3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앵커(311)의 상부와 상기 안정면 베이스판(310)에는 볼트체결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공(3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안정면 조인트판(320)에는, 볼트홀(330)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상면에는 볼트머리홈(3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홀(330)에 볼트(332)를 삽입시킨 후, 상기 볼트체결공(3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안정면 조인트판(32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은, 상면(121), 하면(122), 정면(123), 배면(124), 경사면(125), 제1측면(126), 제2측면(127)을 포함한다.
상기 정면(123)과 배면(124)은 궤도빔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인데, 이 중 길이가 긴 면이 정면이 되고, 상기 제1측면(126)과 제2측면(127)은 궤도빔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인 면인데, 이중 길이가 긴 면이 제1측면이 되며, 상기 배면(124)과 제2측면(127)을 연결하는 면이 경사면(125)이 된다.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은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는데, 도 4, 5와 같이 총 4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가 한 세트로 설치되는데, 상기 경사면(125)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궤도빔의 신축에 따라 경사면 사이의 간격이 벌어졌다 좁아졌다 하게 된다.
상기 상면(121)에는, 논슬립홈(134)이 형성되어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차량 타이어와의 수막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하면(122)의 제2측면(127) 가까운 쪽에는 패드삽입홈(1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128)에는 미끄럼패드(129)가 삽입 부착된다.
미끄럼패드가 완충기능과 미끄럼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미끄럼패드의 하면이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하면(122)보다 돌출되어 있어야 하고, 주행면 조인트판(120)이 설치되는 양쪽의 신축이음부(501)간에 단차가 있을 경우에는, 미끄럼패드(129)를 부착하기 전에 패드삽입홈(128)에 라이너를 부착함으로써 미끄럼패드가 하면(122) 아래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제1측면(126) 쪽이 볼트(132)에 의해 어느 일측의 궤도빔의 신축이음부(50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측면(127)은 타측 궤도빔의 신축이음부(501)에 놓이게 되어, 궤도빔의 신축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은, 상면(221), 하면(222), 정면(223), 배면(224), 경사면(225), 제1측면(226), 제2측면(227)을 포함한다.
상기 정면(223)과 배면(224)은 궤도빔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인데, 이 중 길이가 긴 면이 정면이 되고, 상기 제1측면(226)과 제2측면(227)은 궤도빔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인 면인데, 이중 길이가 긴 면이 제1측면이 되며, 상기 배면(224)과 제2측면(227)을 연결하는 면이 경사면(225)이 된다.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은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는데, 도 4, 5와 같이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가 한 세트로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225)의 간격이 궤도빔의 신축에 따라 벌어졌다 좁아졌다 하면서 궤도빔의 신축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면(221)에는,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논슬립홈(134)과 마찬가지로, 논슬립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면(226) 근처에는 상기 상면(221)에서 하면(222)까지 관통하는 볼트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222)의 제2측면(227) 가까운 쪽에는 패드삽입홈(2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228)에는 미끄럼패드(229)가 삽입 고정된다.
미끄럼패드의 고정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드삽입홈(228)에 볼트체결구멍을 형성하고, 고정용 볼트를 체결하여 미끄럼패드(229)를 고정할 수도 있다.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제1측면(226) 쪽이 볼트(232)에 의해 어느 일측의 궤도빔의 신축이음부(50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측면(227)은 타측 궤도빔의 신축이음부(501)에 놓이게 되어, 궤도빔의 신축을 수용하게 된다.
양측 궤도빔(500)은 안내면(200)에서도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안내면 조인트판(220)에는 상기 상면(221)에서 하면(222)까지 관통하는 높이조절공(234)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공(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공(234) 내부로 무두볼트(235)를 체결하여 상기 하면(222) 아래로 돌출되는 무두볼트(23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높낮이와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 12, 13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높이조절공(234)의 배열은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정면(223), 경사면(225), 제1측면(226), 제2측면(227)에 각각 평행하는 배열을 갖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높낮이와 경사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상면(321), 하면(322), 정면(323), 배면(324), 경사면(325), 제1측면(326), 제2측면(327)을 포함한다.
상기 정면(323)과 배면(324)은 궤도빔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인데, 이 중 길이가 긴 면이 정면이 되고, 상기 제1측면(326)과 제2측면(327)은 궤도빔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인 면인데, 이중 길이가 긴 면이 제1측면이 되며, 상기 배면(324)과 제2측면(327)을 연결하는 면이 경사면(325)이 된다.
상기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는데, 도 4, 5와 같이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가 한 세트로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325)의 간격이 궤도빔의 신축에 따라 벌어졌다 좁아졌다 하면서 궤도빔의 신축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면(321)에는,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논슬립홈(134)과 마찬가지로, 논슬립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면(326) 근처에는 상기 상면(321)에서 하면(322)까지 관통하는 볼트홀(330)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322)의 제2측면(327) 가까운 쪽에는 패드삽입홈(3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328)에는 미끄럼패드(329)가 삽입 고정된다.
미끄럼패드의 고정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드삽입홈(328)에 볼트체결구멍을 형성하고, 고정용 볼트를 체결하여 미끄럼패드(329)를 고정할 수도 있다.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제1측면(326) 쪽이 볼트(332)에 의해 어느 일측의 궤도빔의 신축이음부(501)에 고정되고, 상기 제2측면(327)은 타측 궤도빔의 신축이음부(501)에 놓이게 되어, 궤도빔의 신축을 수용하게 된다.
양측 궤도빔(500)은 안정면(300)에서도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안정면 조인트판(320)에는 상기 상면(321)에서 하면(322)까지 관통하는 높이조절공(334)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공(3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공(334) 내부로 무두볼트(335)를 체결하여 상기 하면(322) 아래로 돌출되는 무두볼트(33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높낮이와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 15, 16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높이조절공(334)의 배열은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정면(323), 경사면(325), 제1측면(326), 제2측면(327)에 각각 평행하는 배열을 갖도록 배열하여 효율적으로 높낮이와 경사를 조절 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공과 무두볼트에 의한 조인트판의 높낮이 조절은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 및 안정면 조인트판 뿐만 아니라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주행면 조인트판, 안내면 조인트판, 안정면 조인트판의 평면형상이 위의 설명과 도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행면 베이스판과 안내면 베이스판을 유기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안내면 베이스판(210)의 상부에 절곡라이너(4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절곡라이너(400)는 상판(401), 측판(402) 및 상기 상판(401)과 측판(402)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판(403)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판(401)은,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주행면 조인트판(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측판(402)은, 상기 안내면 베이스판(210)과 안내면 조인트판(2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절곡라이너(400)는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과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을 고정시키는 볼트(132, 232)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상판(401)과 측판(402)에는 볼트홀(404)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라이너(400)에 의해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안내면 베이스판(210)이 연결되는 구조가 되므로, 두 베이스판 중 어느 하나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파손이 없는 다른 베이스판과 절곡라이너가 파손된 베이스판을 잡고 있을 수 있으므로 탈락과 낙하가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과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주행면에 설치되는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중 바깥쪽에 설치되는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정면(123)에 이탈방지홈(133)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이탈방지홈(133)에 끼워질 수 있는 이탈방지키를 주행면 베이스판(1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1에는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제1실시예의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이 적용된 신축이음부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1 (a)에 있는 탈락방지 브라켓(250)은, 몸체부(251), 걸이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51)에는 앵커홀(253)이 형성되며, 궤도빔(500)의 안내면(200)에는 앵커(26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홀(253)에 앵커(260)를 삽입시키고, 너트(26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탈락방지 브라켓(250)이 궤도빔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1실시예의 걸이부(252)는 도 21 (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몸체부(251)로부터 직각으로 꺾인 형태이고, 상기 걸이부(252)가 도 12, 13에 도시된 ㄱ자 형태로 꺾인 형태인 이탈방지홈(233)에 삽입됨으로써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도 21 (b)에 있는 탈락방지 브라켓(350)은, 몸체부(351), 걸이부(35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51)에는 앵커홀(353)이 형성되며, 궤도빔(500)의 안정면(300)에는 앵커(36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홀(353)에 앵커(360)를 삽입시키고, 너트(36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탈락방지 브라켓(350)이 궤도빔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352)가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1실시예의 걸이부(352)는 도 21 (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몸체부(351)로부터 직각으로 꺾인 형태이고, 상기 걸이부(352)가 도 16에 도시된 ㄱ자 형태로 꺾인 형태인 이탈방지홈(333)에 삽입됨으로써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도 22에는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 18에는 제2실시예의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이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 (a)에 있는 탈락방지 브라켓(250)은, 몸체부(251), 걸이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51)에는 앵커홀(253)이 형성되며, 궤도빔(500)의 안내면(200)에는 앵커(26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홀(253)에 앵커(260)를 삽입시키고, 너트(26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탈락방지 브라켓(250)이 궤도빔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2실시예의 걸이부(252)는 도 22 (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몸체부(251)로부터 직각으로 꺾인 ㄴ자 형태이고, 상기 ㄴ자 형태인 걸이부(2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정면(223)과 상면(221) 일부를 덮음으로써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도 22 (b)에 있는 탈락방지 브라켓(350)은, 몸체부(351), 걸이부(35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51)에는 앵커홀(353)이 형성되며, 궤도빔(500)의 안정면(300)에는 앵커(36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홀(353)에 앵커(360)를 삽입시키고, 너트(36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탈락방지 브라켓(350)이 궤도빔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352)가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2실시예의 걸이부(352)는 도 22 (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몸체부(351)로부터 직각으로 꺾인 ㄱ자 형태이고, 상기 ㄱ자 형태인 걸이부(352)가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정면(323)과 상면(321) 일부를 덮음으로써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도 23에는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 20에는 제3실시예의 탈락방지 브라켓(250, 350)이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3 (a)에 있는 탈락방지 브라켓(250)은, 몸체부(251), 걸이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51)에는 앵커홀(253)이 형성되며, 궤도빔(500)의 안내면(200)에는 앵커(26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홀(253)에 앵커(260)를 삽입시키고, 너트(26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탈락방지 브라켓(250)이 궤도빔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3실시예의 걸이부(252)는 도 23 (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몸체부(251)로부터 직각으로 꺾인 판형이고, 상기 판형인 걸이부(2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정면(223)과 고정볼트(25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도 23 (b)에 있는 탈락방지 브라켓(350)은, 몸체부(351), 걸이부(35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51)에는 앵커홀(353)이 형성되며, 궤도빔(500)의 안정면(300)에는 앵커(36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앵커홀(353)에 앵커(360)를 삽입시키고, 너트(36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탈락방지 브라켓(350)이 궤도빔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352)가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되는데, 제3실시예의 걸이부(352)는 도 23 (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몸체부(351)로부터 직각으로 꺾인 판형이고, 상기 판형인 걸이부(352)가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정면(323)과 고정볼트(35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앵커홀(253, 353)은 도 21, 22,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고정위치를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주행면
110. 주행면 베이스판
111. 앵커 112. 볼트체결공
120. 주행면 조인트판
121. 상면 122. 하면
123. 정면 124. 배면
125. 경사면 126. 제1측면
127. 제2측면 128. 패드삽입홈
129. 미끄럼패드 130. 볼트홀
131. 볼트머리홈 132. 볼트
133. 이탈방지홈 134. 논슬립홈
200. 안내면
210. 안내면 베이스판
211. 앵커 212. 볼트체결공
220. 안내면 조인트판
221. 상면 222. 하면
223. 정면 224. 배면
225. 경사면 226. 제1측면
227. 제2측면 228. 패드삽입홈
229. 미끄럼패드 230. 볼트홀
231. 볼트머리홈 232. 볼트
233. 이탈방지홈 234. 높이조절공
235. 무두볼트
250. 탈락방지 브라켓
251. 몸체부 252. 걸이부
253. 앵커홀 254. 고정볼트
260. 앵커 261. 너트
300. 안정면
310. 안정면 베이스판
311. 앵커 312. 볼트체결공
320. 안정면 조인트판
321. 상면 322. 하면
323. 정면 324. 배면
325. 경사면 326. 제1측면
327. 제2측면 328. 패드삽입홈
329. 미끄럼패드 330. 볼트홀
331. 볼트머리홈 332. 볼트
333. 이탈방지홈 334. 높이조절공
335. 무두볼트
350. 탈락방지 브라켓
351. 몸체부 352. 걸이부
353. 앵커홀 354. 고정볼트
360. 앵커 361. 너트
400. 절곡라이너 401. 상판
402. 측판 403. 연결판
404. 볼트홀
500. 궤도빔 501. 신축이음부
s. 이격공간

Claims (10)

  1. 삭제
  2. 모노레일 궤도빔(500) 단위 구간 사이의 신축이음부(501)에 설치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궤도빔(500)은 주행면(100), 안내면(200), 안정면(30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면(1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주행면 베이스판(110), 주행면 조인트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면(2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내면 베이스판(210), 안내면 조인트판(220)이 설치되며,
    상기 안정면(300)의 신축이음부(501)에는 안정면 베이스판(310), 안정면 조인트판(3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에는,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상면(221)에서 하면(222)까지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공(234)이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공(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234)에 나사결합하는 무두볼트(235)에 의해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설치높이와 경사를 조절하고,
    상기 안정면 조인트판(320)에는,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상면(321)에서 하면(322)까지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공(334)이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공(3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334)에 나사결합하는 무두볼트(335)에 의해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설치높이와 경사를 조절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브라켓(250)이 설치되고,
    상기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 브라켓(350)이 설치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250)은 몸체부(251), 걸이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탈락방지 브라켓(350)은 몸체부(351), 걸이부(35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51, 351)가 앵커(260, 360)와 너트(261, 361)에 의해 궤도빔(500)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부(252, 352)가 안내면 조인트판(220)과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탈락을 방지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하면(122), 안내면 조인트판(220)의 하면(222)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의 하면(322)에는 패드삽입홈(128, 228, 3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128, 228, 328)에는 미끄럼패드(129, 229, 329)가 삽입 부착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하면(122)에는 패드삽입홈(128)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128)에는 미끄럼패드(129)가 삽입 부착되되, 상기 미끄럼패드(129)를 부착하기 전에 패드삽입홈(128)에 라이너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안내면 베이스판(210)의 상부에 절곡라이너(400)를 설치하되,
    상기 절곡라이너(400)는 상판(401), 측판(402) 및 상기 상판(401)과 측판(402)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판(403)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401)은,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과 주행면 조인트판(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측판(402)은, 상기 안내면 베이스판(210)과 안내면 조인트판(220) 사이에 설치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 베이스판(110), 안내면 베이스판(210) 및 안정면 베이스판(310)에는, 앵커(111, 211, 311)와 볼트체결공(112, 212, 312)이 구비되고,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에는, 볼트홀(130, 230, 330)이 형성되어,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볼트(132, 232, 332)를 각각 상기 볼트체결공(112, 212, 312)에 체결하여 설치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각각 상면(121, 221, 321), 하면(122, 222, 322), 정면(123, 223, 323), 배면(124, 224, 324), 경사면(125, 225, 325), 제1측면(126, 226, 326), 제2측면(127, 227, 327)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 안내면 조인트판(220) 및 안정면 조인트판(320)은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되,
    상기 경사면(125, 225, 325)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면 조인트판(120)의 상면(121)에는 논슬립홈(134)이 형성되는,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KR1020180165839A 2018-12-20 2018-12-20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KR10197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39A KR101977736B1 (ko) 2018-12-20 2018-12-20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39A KR101977736B1 (ko) 2018-12-20 2018-12-20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736B1 true KR101977736B1 (ko) 2019-05-13

Family

ID=6658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839A KR101977736B1 (ko) 2018-12-20 2018-12-20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3411A (zh) * 2020-12-09 2021-04-16 江西理工大学 一种悬挂式轨道梁无缝对接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53A (ko) 2015-07-13 2017-01-23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 시스템용 모노레일 죠인트
KR101767489B1 (ko) * 2017-01-11 2017-08-23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모노레일용 궤도빔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53A (ko) 2015-07-13 2017-01-23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 시스템용 모노레일 죠인트
KR101767489B1 (ko) * 2017-01-11 2017-08-23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모노레일용 궤도빔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3411A (zh) * 2020-12-09 2021-04-16 江西理工大学 一种悬挂式轨道梁无缝对接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1011B1 (en) Highway median barrier and parapet
ES2692647T3 (es) Sistema de fijación de carriles para áreas de transición
KR101977736B1 (ko) 모노레일 궤도빔의 신축이음장치
US4325510A (en) Adjustable spring clip
KR101637527B1 (ko) 난간 브라켓
KR101767489B1 (ko) 모노레일용 궤도빔 신축이음장치
KR20180126272A (ko) 철도 건널목의 보판
CA1206938A (en) Highway railway crossing and cap therefor
KR100623462B1 (ko) 도로용 가드레일
CN211815555U (zh) 一种桥梁的伸缩缝装置
KR101192660B1 (ko) 연결 장치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
US3720406A (en) Shock-absorbing abutment block for vehicle parking areas
US4326670A (en) Adjustable spring clip
CN110678607B (zh) 具有带凸缘轮的轨道交通工具的轨道组件
JP3451976B2 (ja) プラットホーム先端弾性タイル
JPH07305315A (ja) ガードレール等の仮設装置
JP4511330B2 (ja) 高架道路の雨水遮蔽板
JP6449945B2 (ja) 車線分離体、及びその車線分離体の施工方法
KR200272166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US20210140121A1 (en) Rail junction assembly
JP2859188B2 (ja) まくらぎの弾性支承具
KR100920524B1 (ko)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KR200148808Y1 (ko) 차량 방호용 난간의 가드 레일
JP7267534B2 (ja) 杭の沈下を抑制する部材、踏み板部材を有する構造物、踏み板部材を有する構造物の設置方法
KR200268165Y1 (ko)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