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981A -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981A
KR20200004981A KR1020180078053A KR20180078053A KR20200004981A KR 20200004981 A KR20200004981 A KR 20200004981A KR 1020180078053 A KR1020180078053 A KR 1020180078053A KR 20180078053 A KR20180078053 A KR 20180078053A KR 20200004981 A KR20200004981 A KR 2020000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building
falling
supports
f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식
Original Assignee
오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식 filed Critical 오성식
Priority to KR102018007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981A/ko
Publication of KR2020000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추락자에게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로 인해 안전망에 가해지는 추락자의 충격에 의한 압력을 탄성체의 탄력을 이용해 흡수함으로써 추락자가 안전망 위에 무사히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고층건물(100) 중 아래층(저층이라 함)에 해당하는 저층(B) 폭방향으로 길게 고정시킨 지지틀(3)과,
상기 지지틀(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건물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신장부재 및 지지대(10)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10)에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0) 사이에 설치되어 추락자(화재 등으로 인해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사람 등 포함)를 받아낼 수 있는 안전망(20)과,
상기 안전망(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일측(22)이 연결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타측(23)은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탄성체(80)의 탄성력을 받도록 연결되되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탄성체(80)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망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은 복수 그룹을 한 묶음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은 각각의 탄성체(80)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Safty net for protecting from falling}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 사람이 실수로 추락하거나 고의로 투신을 하는 경우 또는 화재 등으로 추락하는 경우 그 추락하는 사람(추락자라 칭함)을
탄성부재의 쿠션으로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561800호의 출원자이면서 발명한 자이다.
그러므로 상기 등록번호의 기술을 인용함으로써 이 건 발명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류문명의 발전과 도시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인류는 지난 세기 동안 끊임없이 건물의 고층화를 추구하여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경제적 논리에 의해 건물의 고층화를 추구하면서 자원의 효율적 이용 등 장점도 많았지만 단점 또한 적지 아니하다. 그 대표적인 단점 가운데 하나가 생명보호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생활공간에서 밖으로 한발만 내디디면 추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물에서 많은 사람들이 생활하고 있는 것이다. 실수로 추락하기도 하고 스스로 투신하기도 하며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는 대피할 수가 없어 수많은 생명이 한꺼번에 몰살당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의 방법 가운데 하나가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9-0067815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완충매트를 지상에 설치하고 팽창에 대비하여야 하므로 넓은 공간을 차지해 공간활용에 부적합하고 낙하물에 의한 훼손 및 완충매트 팽창을 대비한 상시적인 주변 정비 등 지속적인 관리문제가 수반되어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아파트 단지 등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출입현관 상부에서 추락할 경우에는 매트를 활용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가스탱크 등의 설치 및 보관으로 더 큰 안전문제를 가져올 수 있으며 층마다 설치해야 하는 수많은 감지센서 등으로 인해 설치비 및 유지 관리비용이 적지 아니하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6-0014496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1-0034279 "이동식 안전망을 이용한 낙하물 구조 시스템"은 현대의 다양한 건물 형태를 고려해 볼 때 적용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특히 아파트가 탑상형일 경우 요철형태의 건물 표면에 레일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은 외관상으로나 기능적으로나 적합하지 않으며 판상형이라 하더라도 요철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범위는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게 된다.
좀 더 살펴보면, 건설공사 등 현장에서 작업 중 추락하거나 아파트 등 주거 또는 사무 공간에서 화재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추락하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사람들의 활동공간이 수평공간에서 수직공간으로 빠르게 변함에 따라 추락으로 인한 인명사고는 갈수록 늘어날 것이므로 고층에서 추락하는 추락자를 구조할 수 있는 시스템 또한 빠르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방법 :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10-0797554호 안전망 구조물을 보면 안전망 틀에 안전망이 직접 체결되는 구조로 추락자 또는 추락하는 물건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안전망을 뚫고 아래로 추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특허청 등록번호 10-1561800호에 해당하는 기술을 발명하였다.
그 기술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이 있으나 실린더 로드에 의한 완충작용이므로 완충력이 떨어진다. 즉 에어의 압력으로 로드가 신장되어 있어 에어의 압력이 높으면 완충력이 떨어져 안전망으로 낙하한 물체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안전망을 뚫고 추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층건물에서 사람이 실수로 추락하거나 고의로 투신을 하는 경우 또는 화재 등으로 추락하는 경우 그 추락하는 사람(추락자라 칭함)을 탄성부재의 쿠션으로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도 1 내지는 6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층건물(100) 중 아래층(저층이라 함)에 해당하는 저층(B) 폭방향으로 길게 고정시킨 지지틀(3)과,
상기 지지틀(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건물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신장부재 및 지지대(10)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10)에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0) 사이에 설치되어 추락자(화재등으로 인해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사람등 포함)를 받아낼 수 있는 안전망(20)과,
상기 안전망(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일측(22)이 연결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타측(23)은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탄성체(80)의 탄성력을 받도록 연결되되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탄성체(80)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망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은 복수 그룹(3가닥 내지는 20가닥)을 한 묶음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은 각각의 복수의 탄성체(80)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설명을 생략한 부호 10'은 연결끈을 탄성체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층건물에서 사람이 실수로 추락하거나 고의로 투신을 하는 경우 또는 화재 등으로 추락하는 경우 그 추락하는 사람(추락자라 칭함)을 탄성부재의 쿠션으로 안전하게 받아낼 수 있어 귀중한 생명을 구하는데 일조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또 탄성부재의 쿠션으로 안전하게 받아내면서 동시에 지지대가 접어지도록 하여 추락자를 그물망으로부터 튕겨져 나가지 못하도록 감싸줌으로서 추락자는 더욱 안전하게 안전망 위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요부 확대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5, 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7도는 종래의 건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로서 안전망을 지지하는 신장부재의 사시도,
제 8도는 제 7도의 분해사시도,
제 9도의 가)는 종래의 건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로서 기존의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 9도의 나)는 제 9도의 가)상태에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10, 11, 12, 13, 14도는 종래의 건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의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재차 살펴보고 그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고층건물(100) 중 아래층(저층이라 함)에 해당하는 저층(B) 폭방향으로 길게 고정시킨 지지틀(3)과,
상기 지지틀(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건물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신장부재 및 지지대(10)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10)에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0) 사이에 설치되어 추락자(화재등으로 인해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사람 등 포함)를 받아 낼 수 있는 안전망(20)과
상기 안전망(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일측(22)이 연결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타측(23)은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탄성체(80)의 탄성력을 받도록 연결되되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탄성체(80)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망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은 복수 그룹(3가닥 내지는 20가닥)을 한 묶음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은 각각의 복수의 탄성체(80)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하게 되면 탄성체(80)를 필요 이상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추락자가 안전망(20)에 추락하면 안전망(20)과 연결된 탄성체(80)의 쿠션으로 추락자의 충격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추락자는 안전하게 안착하는 것이다.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그 절개부에 힌지(70)를 부착하고 잠금장치(71)를 설치하여 상기 추락자의 중량으로 탄성체(80)가 설정된 쿠션의 압력 이상 받아 잠금장치(71)의 잠금해제부(72)를 간섭하여 잠금장치(71)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힌지(70)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지대(10)의 전방이 안전망(20) 방향으로 접어져 충격을 또 한번 흡수하고 추락자(200)를 감싸 추락자가 안전망(20)으로부터 튕겨나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교적 저층(예를 들어 아파트 10층 이하)에서 추락자(200)가 안전망으로 낙하하면 안전망(20)과 연결된 탄성체(80)의 쿠션으로 추락자의 충격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추락자가 안전하게 안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층 (예를 들어 아파트 10층 이상)에서 추락자(200)가 안전망으로 낙하하면 안전망(20)과 연결된 탄성체(80)의 쿠션으로 추락자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탄성체(80)가 설정된 쿠션의 압력 이상을 받아 상기 탄성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재(74)에 밀려 잠금장치(71)의 잠금해제부가 밀리거나 당겨지면 잠금장치(71)의 걸림부(73)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이처럼 걸림이 해제되면 지지대(10) 전방은 안전망 방향으로 접어지는데
잠금장치(71)가 잠금이 해제되면서 상기 힌지(70)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지대(10)의 전방이 안전망(20)방향으로 접어져 충격을 흡수하고 추락자(200)를 감싸 추락자가 안전망(20)으로부터 튕겨나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음은 도7 내지는 14도에 의해 설명한다.
고층건물(100) 중 아래층(저층이라 함)에 해당하는 저층(B)의 폭방향으로 길게 고정시킨 지지틀(3)과,
상기 지지틀(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에어를 공급하면 건물 전방으로 신장되고 에어공급을 중단하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실린더(31)를 포함한
실린더로드(30)와,
상기 지지틀(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31)에 에어를 공급하면 실린더로드(30)에 의해 건물 전방으로 신장되고 상기 실린더(31)에 에어공급을 중단하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이상(쌍이라 칭함)의 신장부재(10)와,
상기 쌍을 이루는 신장부재(1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신장부재(10) 양단에 지지되어 신장부재(10)가 신장되면 펼쳐져 추락자를 받아낼 수 있는 안전망(20)과,
상기 신장부재(1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신장부재(10) 사이에 상기 에어탱크에 충전된 에어를 상기 신장부재(10)에 공급하는 에어공급배관을 연결하되 상기 에어공급배관에 에어탱크의 에어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에어밸브와,
상기 에어밸브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갖되 상기 컨트롤박스는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에어밸브를 제어하는 상기 컨트롤박스를 포함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청구항 제 1항에 해당하는 구성이므로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를 공급하면 건물 전방으로 신장되고 에어공급을 중단하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실린더로드(30)가 있다.
그리고 상기 쌍을 이루는 신장부재(10) 사이에 안전망(2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신장부재(10)에 지지되고,
상기 실린더로드(30)는 에어탱크에서 에어를 공급받는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여 긴급하게 건물로부터 탈출할 경우, 다시 말해 화염을 피해 사람이 건물에서 뛰어 내리는 경우 및 뛰어 내리기 전 관리자가 지지틀(3) 주변이나 관리실에서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 관리실의 조작부와 연동된 컨트롤박스는 에어밸브를 개방하여 에어탱크에 충전된 에어를 실린더(31)에 공급한다.
상기 에어탱크는 에어가 고압으로 충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고압(高壓)의 에어를 유입받은 실린더(31)가 그 고압이 충전되므로 실린더로드(30)가 신속히 신장되고 그로 인해 신장부재(10) 또한 건물 전방으로 신장되므로 신장부재(10)에 연결된 그물망 형태의 안전망(20)이 신속히 건물전방으로 펼쳐져 추락자를 받아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컨트롤박스가 감지부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고층건물(100)에서 추락하는 사람(추락자라 칭함)이 있을 경우 추락자(200)를 감지하도록 고층건물(100)의 외벽을 스크린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에 추락자(200)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300)를 설치하여 상기 감지부(300)가 추락자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부와 연동된 상기 컨트롤박스가 에어밸브를 동작시켜 신장부재(10)에 에어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락자는 움직이는 물체로서 CCTV(적외선감지부와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일반카메라 포함)가 감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CCTV가 추락자를 감지하면 그 신호는 컨트롤박스에서 읽어들이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프로그램은 컨트롤박스에 내장되는 마이콤이 예를 들어 감지부에서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에어밸브를 개방하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미도시한 신호음 발생장치나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시켜 안전망(20)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를 알림으로서 야간에 긴급하게 뛰어내리는 이용자로 하여금 뛰어내릴 위치를 확인해 줄 수 있다.
다음은 감지부인 CCTV(301)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CCTV는 고층건물 외벽에 노출되는 물체가 사람인지의 여부 및 추락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있어야 하나 단순한 CCTV(카메라) 기능에 사람의 추락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접목하는 방법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설치위치는 지상의 적정한 위치, 맞은 편 건물이나 측면 건물의 적정한 위치를 선정하되 사생활보호를 위해서 정면에 설치하는 것은 지양하고 측면 30도 정도의 위치에서 건물 외벽을 스크린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가 건물외벽을 측면에서 스크린함으로써 건물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건물 외벽 바깥으로 돌출되는 사람의 모습과 동작을 감지부가 훨씬 용이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신장부재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신장부재(10)는 길이를 갖되 일측 끝단은 지지틀(3)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힌지부(4)에 힌지축(5)으로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힌지축(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상기 지지틀(3) 방향으로 접어지거나 상기 지지틀(3)로부터 펴지는 한쌍의 연결바(6,6')와, 상기 한쌍의 연결바(6,6') 사이에 추락자(200)를 받아낼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한쌍의 연결바(6,6')에 고정되는 안전망(20)과,
상기 연결바(6,6')의 길이방향의 어느 위치에 실린더로드(30) 끝단이 연결되고 실린더(31)는 상기 지지틀(3)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30)가 신장하면
상기 연결바(6,6')가 힌지축(5)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바(6,6') 타측이 회동하여 건물 전방으로 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도 10의 나]참조].
다음은 신장부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시와 같이, 힌지축(5)에 연결바(6,6')가 헛돌지 않도록 서로 일체로 고정한 다음 상기 힌지축(5)에 전방으로 향하는 별도의 연결대(7) 일측을 결합하고
그 연결대(7) 타측 끝단에 실린더로드(30) 끝단을 힌지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바(6,6')는 상기 연결대(7)가 실린더로드(30)에 의해 동작하면 힌지축(5)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그로 인해 힌지축(5)에 고정된 연결바(6,6')가 회동하여 지지틀(3)의 벽면으로 접어지거나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 또는 추락자가 발생하면 관리자가 조작부(감지부 포함)를 조작하거나 내장된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그 신호에 따라 컨트롤박스는 에어밸브를 개방하여 실린더(31)에 에어를 공급한다.
그로 인해 실린더로드(30)가 신장하여 상기 연결대(7)를 힌지축(5)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틀의 가로방향인 양방향으로 회동시켜 연결바(6,6')의 끝단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펼친다.
이렇게 연결바(6,6')가 펼쳐지면, 동시에 연결바(6,6')에 연결된 안전망(20)이 한쌍의 연결바(6,6') 사이에서 펼쳐진다.
다음은 추락자의 충격을 흡수하고자 하는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연결바(6,6')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30)는 상기 쌍으로 된 연결바(6,6') 사이 방향인 내측에 설치하여 추락자(200)가 안전망(20)으로 추락하면 신장된 실린더 로드(3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상기 안전망의 재질은 탄성재로 하고 안전망의 네 방향 끝단 부위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하거나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는, 추락자가 펼쳐진 안전망(20)으로 추락하면 그물망 형태의 안전망(20) 자체가 1, 2차 충격을 흡수하나 그 흡수만으로 추락자를 보호할 수 없어 3차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실린더 로드를 한 쌍의 연결바 사이인 내측에 설치하도록 하였다(도 12참조).
다시 정리하면, 도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30)가 연결바가 접어지는 방향에 설치되어 있어 추락자가 안전망(20)에 추락하면 그 충격에 의해 실린더로드(30)가 쿠션을 받게 된다. 이 쿠션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3단계의 충격흡수 과정을 거쳐 추락자는 안전망 위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연결바 끝단에 힌지축으로 연결시킨 제2신장부를 설명하고자 한다.
연결바(6,6') 끝단에 제2신장부(12)의 일측이 힌지축(13)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연결바(6,6')의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되 상기 연결바(6,6') 위에다 겹쳐(포개지다)지도록 회동하는 상기 제2신장부(12)와,
상기 제2신장부(12)의 길이방향의 어느 위치에 제1실린더 로드(40) 끝단이 힌지축(4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실린더 로드(40)가 수용되는 실린더(42)는 상기 연결바(6,6') 끝단부분에 힌지축(43)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실린더 로드(40)가 신장하면 상기 제2신장부(12)가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신장부(12) 타측이 연결바(6,6')로부터 펴지도록 구성된다(도 7, 8, 10 참조).
상기 구성은 연결바 끝단에 안전망이 설치된 제2신장부(12)를 더 설치하여 건물 벽으로부터 멀리 추락하는 추락자를 받아내고자 상기 제2신장부(12)를 연결바(6,6')로부터 연장시킨 구성이다.
다음은 또 다른 신장부재를 도 14에 의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와 같이 신장부재를 다단으로 신장되거나 다단으로 축소하는 에어실린더로 구성하였다.
그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도 14의 가)는 실린더로드(26)가 에어실린더(25)에 수용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30)에 의해 지지틀(3) 방향으로 접어진 상태이다.
그리고 도 14의 나)는 지지틀(3)로부터 펼쳐진 다음 다단으로 실린더 로드(26)가 신장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에어실린더(31)가 지지틀(3)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다음 실린더 로드(30)가 전방으로 신장되는 과정에 상기 실린더로드(26)에 연결된 미도시한 그물망(20)이 펼쳐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펼쳐지는 그물망(20)은 도 11에서 확인되는 그물망과 동일하고, 전체가 펼쳐질 경우 도 11의 다)와 같이 펼쳐진다.
마지막으로, 신장부재(10)가 외부에서 바라볼 때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신장부재를 커버하는 커버(50)를 갖되 건물에 지지된 지지틀(3)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장부재(10)가 상기 지지틀(3)의 전방으로 신장하면 상기 신장부재(10)에 밀려 상기 커버(50)가 상기 지지틀(3)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커버(50)가 자석 등을 이용하여 지지틀(3)에 지지되는 경우 신장부재(10)가 신장되면 커버가 문이 열리듯이 열리는 것이다.
3 ; 지지틀 4 ; 힌지
51 13, 41,43 ; 힌지축 6,6' ; 연결바
7 : 연결대
10 ; 신장부재 12 ; 제2신장부
20 ; 안전망 21 ; 연결끈
22 ; 일측 23 ; 타측
30, 40 ; 실린더 로드 31, 42 ; 실린더
70 ; 힌지 71 ; 잠금장치
72 ; 잠금해제부 73 ; 걸림부
74 ; 압축부재 80 ; 탄성체
100; 고층건물 200; 추락자
300; 감지부 301; CCTV
B : 저층

Claims (2)

  1. 고층건물(100) 중 아래층(저층이라 함)에 해당하는 저층(B) 폭방향으로 길게 고정시킨 지지틀(3)과,
    상기 지지틀(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건물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신장부재 및 지지대(10)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10)에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0) 사이에 설치되어 추락자(화재등으로 인해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사람 등 포함)를 받아 낼 수 있는 안전망(20)과
    상기 안전망(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일측(22)이 연결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 타측(23)은 지지대(10)에 설치되는 탄성체(80)의 탄성력을 받도록 연결되되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탄성체(80)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망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수십 가닥의 연결끈(21)은 복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은 각각의 탄성체(80)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10)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그 절개부에 힌지(70)를 부착하고 잠금장치(71)를 설치하여 상기 추락자의 중량으로 탄성체(80)가 설정된 쿠션의 압력 이상을 받아 잠금장치(71)의 잠금해제부(72)를 간섭하여 잠금장치(71)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힌지(70)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지대(10)의 전방이 안전망(20)방향으로 접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추락자(200)를 감싸 추락자가 안전망(200)으로부터 튕겨나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1020180078053A 2018-07-05 2018-07-05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20200004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53A KR20200004981A (ko) 2018-07-05 2018-07-05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53A KR20200004981A (ko) 2018-07-05 2018-07-05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81A true KR20200004981A (ko) 2020-01-15

Family

ID=6915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53A KR20200004981A (ko) 2018-07-05 2018-07-05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98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957A (zh) * 2020-02-11 2021-04-20 安徽理工大学 一种高空智能防坠防风锁窗装置
CN113530206A (zh) * 2021-06-22 2021-10-22 吴小龙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081402B (zh) * 2020-09-15 2021-12-17 湖南金辉建设集团有限公司 基于多点分散化缓冲结构的建筑施工防掉落装置
KR20220050421A (ko) * 2020-10-16 2022-04-25 서울특별시 교량 추락사고 방지장치
KR102438511B1 (ko) * 2022-06-20 2022-08-3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제체 외관 조사망 구축 장치
KR20230006947A (ko) * 2021-07-05 2023-01-12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CN116077843A (zh) * 2022-12-30 2023-05-09 浙江省平阳中学 高楼坠落应急救援装置
CN116290863A (zh) * 2023-03-29 2023-06-23 华南理工大学 摔落保护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957A (zh) * 2020-02-11 2021-04-20 安徽理工大学 一种高空智能防坠防风锁窗装置
CN112081402B (zh) * 2020-09-15 2021-12-17 湖南金辉建设集团有限公司 基于多点分散化缓冲结构的建筑施工防掉落装置
KR20220050421A (ko) * 2020-10-16 2022-04-25 서울특별시 교량 추락사고 방지장치
CN113530206A (zh) * 2021-06-22 2021-10-22 吴小龙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006947A (ko) * 2021-07-05 2023-01-12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KR102438511B1 (ko) * 2022-06-20 2022-08-3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제체 외관 조사망 구축 장치
CN116077843A (zh) * 2022-12-30 2023-05-09 浙江省平阳中学 高楼坠落应急救援装置
CN116077843B (zh) * 2022-12-30 2023-08-29 浙江省平阳中学 高楼坠落应急救援装置
CN116290863A (zh) * 2023-03-29 2023-06-23 华南理工大学 摔落保护装置
CN116290863B (zh) * 2023-03-29 2024-02-06 华南理工大学 摔落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981A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101561800B1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US4782541A (en) Earthquake protective bed
JP4167653B2 (ja) 耐震救命装置
JP2009228409A (ja) 歩道設置型防災シェルター
JP4837795B1 (ja) 建物倒壊防止機能付き家具
CA2082026A1 (en) Safety net arrangement for building elevator shafts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1380202B1 (ko) 재난시 인명을 구조하는 안전룸 기능을 구비한 재난 안전 건물
US20030226713A1 (en) Fire escape
CN209874371U (zh) 一种电梯井道防护装置
JP3312171B2 (ja) 地震等災害用の安全装置
US9101787B2 (en) High rise emergency escape system
US20130098708A1 (en)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H09177363A (ja) 室内耐震防御フレーム
CN205778409U (zh) 防盗逃生窗
CN105927132B (zh) 防盗逃生窗
WO2004067879A1 (en) Safety cushion apparatus
CN109519034A (zh) 一种多功能楼房安全防护网
WO2018098964A1 (zh) 避震床及其床体
KR101111887B1 (ko) 화재 피난을 위한 회전 사다리형 안전 난간대
JPH08260751A (ja) 災害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