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862B1 -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 Google Patents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862B1
KR100930862B1 KR1020070118675A KR20070118675A KR100930862B1 KR 100930862 B1 KR100930862 B1 KR 100930862B1 KR 1020070118675 A KR1020070118675 A KR 1020070118675A KR 20070118675 A KR20070118675 A KR 20070118675A KR 100930862 B1 KR100930862 B1 KR 10093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bridge
aircraft
frame
main bod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117A (ko
Inventor
유재복
김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ublication of KR2008004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식 경사로는 탑승교와 항공기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보도판과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이 탑승교에서 항공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그러므로, 탑승교와 항공기의 높이차가 소정 이상이어도, 특히 항공기가 소형이어서 항공기와 탑승교의 높이 차가 크도, 상기 이동식 경사로로 보상하면, 탑승교의 경사도를 규정 이내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와 탑승교 사이에 상기 이동식 경사로가 개재되므로, 항공기 도어의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탑승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탑승교가 항공기에 직접 접현되지 않고, 상기 이동식 경사로에 인접되게 설치되므로, 항공기가 소형인 경우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탑승교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MOVABLE RAMP FOR CONNECTING BETWEEN AIRCRAFT AND BOARDING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경사로의 본체 부위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개략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1,112 : 제 1,2 프레임
114,115 : 제 1,2 지지부재 121,122 : 제 1,2 링크
125 : 턴버클바 210 : 메인보도판
220,230 : 제 1,2 보조보도판
본 발명은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의 터미널 건물은 고층으로 건축된다. 그리고, 승객들은 공항의 터미널 건물 2층 또는 3층의 출입구에서 항공기에 탑승하거나, 항공기에서 공항의 터미널 건물 2층 또는 3층의 출입구로 내린다.
이때, 승객들이 공항의 터미널 건물에서 직접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고, 항공기에서 공항의 터미널 건물로 직접 내릴 수 있도록, 공항의 터미널 건물과 항공기의 출입문 사이에는 탑승교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탑승교는 수평면에 대하여 4.8°∼7.1°이내의 범위로 유지될 것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로인해, 항공기의 출입문과 공항의 터미널 건물의 출입구 사이의 높이 차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는 탑승교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소형 항공기인 경우에는 항공기와 공항의 터미널 건물 사이의 높이 차가 더욱 심해, 탑승교를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형 항공기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 탑승교를 접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탑승교의 하중에 비하여 소형 항공기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로인해, 탑승교를 소형 항공기에 접현하면 소형 항공기가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탑승교를 소형 항공기에 접현할 때는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항의 터미널 건물의 출입구와 항공기의 높이 차가 소정이상인 경우 및 소형 항공기인 경우에도 탑승교를 통하여 승객들이 탑승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항공기와 탑승교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식 경사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는, 공항 터미널 건물의 출입구에 연결된 탑승교와 항공기의 출입문을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 가능한 본체; 일측은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고 타측은 상기 항공기측을 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탑승교측에서 상기 항공기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면과 가까와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승객들의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보도판; 상기 메인보도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탑승교와 상기 메인보도판을 연결하는 제 1 보조보도판; 및 상기 메인보도판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항공기와 상기 메인보도판을 연결하는 제 2 보조보도판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경사로의 본체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는 항공기의 출입문과 공항 터미널 건물의 출입구에 연결된 탑승교를 연결하여 승객들이 공항 터미널에서 항공기로 직접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공기에서 공항 터미널로 직접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지면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하고, 상공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는 제 1, 2 프레임(111,112), 제 1, 2 지지부재(114,115), 제 1, 2 링크(121,122), 턴버클바(Turnbuckle Bar)(125), 복수의 바퀴(129)를 가지면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100)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11)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하면에는 지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바퀴(129)가 결합된다. 제 2 프레임(112)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프레임(1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면과 평행을 이룬다.
제 1 지지부재(114)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하단부측은 상기 탑승교측 제 1 프레임(111)의 부위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항공기측 제 2 프레임(112)의 부위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부재(115)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하단부측은 상기 항공기측 제 1 프레임(111)의 부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탑승교측 제 2 프레임(112)의 부위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즉, 한쌍의 제 1 지지부재(114) 중, 어느 하나(114a)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1,112)의 길이방향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다른 하나(114b)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1,112)의 길이방향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대향한다. 그리고, 한쌍의 제 1 지지부재(115) 중, 어느 하나(115a)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1,112)의 길이방향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다른 하나(115b)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1,112)의 길이방향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대향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부재(114a)와 어느 하나의 제 2 지지부재(115a)는 상호 X자 형태로 교차하고, 다른 하나의 제 1 지지부재(114b)와 다른 하나의 제 2 지지부재(115b)는 상호 X자 형태로 교차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부재(114a)와 어느 하나의 제 2 지지부재(115a)의 교차 부위 및 다른 하나의 제 1 지지부재(114b)와 다른 하나의 제 2 지지부재(115b)의 교차부위는 힌지바(119)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결합되고, 한쌍의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14,115)는 힌지바(119)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링크(12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의 제 1 지지부재(114a,114b)에 각각 결합되어 한쌍의 제 1 지지부재(114)를 일체로 연결하고, 제 2 링크(122)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의 제 2 지지부재(115a,115b)에 각각 결합되어 한쌍의 제 2 지지부재(115)를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링크(121,122)는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에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버클바(125)는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에 결합되어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를 상호 가까와지는 형태 및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턴버클바(125)는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방향인 스크류(126)와 스크류(126)의 일측 외주면 및 타측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제 1 및 제 1 너트(127a,127b)를 가진다. 이때, 제 1 및 제 2 너트(127a,127b)는 제 1 및 제 2 링크(121,122)에 각각 결합된 다.
그러면, 스크류(12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126)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제 1 및 제 2 너트(127a,127b)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스크류(12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126)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제 1 및 제 2 너트(127a,127b)에 점점 가까와진다. 즉, 스크류(126)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제 1 너트(127a)와 제 2 너트(127b)는 상호 가까와지고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하므로, 제 1 너트(127a)가 결합된 제 1 링크(121)와 제 2 너트(127b)가 결합된 제 2 링크(122)도 상호 가까와지고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한다.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가 상호 가까와지면 지면에 대한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의 경사각이 각각 크므로, 지면을 기준으로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의 높이가 높다. 그리고,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가 상호 멀어지면 지면에 대한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의 경사각이 각각 작으므로, 지면을 기준으로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의 높이가 낮다. 그러면, 제 1 프레임(111)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14,115)에 결합된 제 2 프레임(112)의 높이도 지면에 대하여 높아지고 낮아지는 것이다.
제 1 지지부재(114)의 원활한 슬라이딩운동을 위하여 제 1 지지부재(114)의 상단부측에는 제 1 슬라이딩바(117)의 하단부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제 2 지지부재(115)의 원활한 슬라이딩운동을 위하여 제 2 지지부재(115)의 하단부측에는 제 2 슬라이딩바(118)의 상단부측이 각각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슬라이딩바(117)의 상단부측은 제 2 프레임(112)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된 한쌍의 제 1 지지레일(131)에 각각 삽입 지지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슬라이딩바(118)의 하단부측은 제 1 프레임(112)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된 한쌍의 제 2 지지레일(132)에 각각 삽입 지지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 1 링크(121)와 제 2 링크(122)가 상호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하면,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바(117,118)는 제 1 및 제 2 지지레일(131,132)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하고, 이로인해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이 변하면서 제 1 지지부재(114)와 제 2 지지부재(115)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제 2 프레임(112)의 상면에는 탑승객들이 밟고 다니는 메인보도판(210)이 설치된다. 그러면, 메인보도판(210)과 제 2 프레임(112)의 자중 및 메인보도판(2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바(117,118)가 상기 항공기측으로 각각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지지레일(131,132)에는 제 1 및 제 2 지지레일(131,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31a,132a)이 각각 형성되고, 관통공(131a,132a)에는 제 1 및 제 2 스토퍼(134,135)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면, 제 1 스토퍼(134)에 상기 항공기측을 향하는 제 1 슬라이딩바(117)의 상단부측 일면이 접촉되어 걸리고, 제 2 스토퍼(135)에 상기 항공기측을 향하는 제 2 슬라이딩바(118)의 하단부측 일면이 접촉되어 걸리므로,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바(117,118)가 상기 항공기측으로 각각 슬라이딩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14,115)가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제 1 지지부재(111)와 제 2 지지부재(112)에는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 2 프레임(112)의 높이를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자(137,138)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자(137)의 단부측과 제 2 자(138)의 단부측은 상호 겹치게 설치되는데, 제 1 자(137)와 제 2 자(138)의 겹친 길이를 설정된 데이타와 비교 환산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제 2 프레임(112) 까지의 높이를 측정한다.
제 1 프레임(111)의 하면에 바퀴(12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인보도판(210)을 밟고서 승객들이 통행할 때, 본체(100)가 유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제 1 프레임(111)에는 유동방지부재(141)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유동방지부재(141)는 하강하여 지면에 밀착되는데, 이로인해 본체(100)가 유동하지 않는 것이다.
제 1 프레임(111)의 하면에 결합된 복수의 바퀴(129) 중, 일부는 본체(10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캐스터(129a)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상면, 즉 제 2 프레임(112)의 상면에는 메인보도판(210)이 결합된다. 메인보도판(210)은 승객들이 디디는 통로를 형성하는데,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고 타측은 상기 항공기측을 향한다. 이때, 메인보도판(210)은 상기 탑승교측에서 상기 항공기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가까와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탑승교측과 상기 항공기측의 높이 차가 커도, 경사진 메인보도판(210)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탑승교의 경사도를 규정된 경사도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탑승교측과 상기 항공기측의 높이 차가 큰 경우에도 상기 탑승교를 사용할 수 있다.
메인보도판(210)의 경사는 메인보도판(210)의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메인보도판(210)은 편평하게 형성하고 제 2 프레임(112)의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메인보도판(210)은 지면에 대하여 4.8°∼7.1°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는 메인보도판(210)의 일측면에는 제 1 보조보도판(220)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항공기측을 향하는 메인보도판(210)의 타측면에는 제 2 보조보도판(230)이 힌지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은 접혀진 상태에서는 메인보도판(210)의 상면과 각각 접촉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탑승교 및 상기 항공기와 각각 접촉하여, 상기 탑승교와 메인보도판(210) 및 상기 항공기와 메인보도판(210)을 각각 연결한다.
이때, 제 1 보조보도판(220)은 상기 탑승교측에서 메인보도판(210)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가까와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 2 보조보도판(230)은 메인보도판(210)에서 상기 항공기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가까와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탑승교측과 상기 항공기측의 높이 차가,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에 의해서도 보상되므로, 상기 탑승교의 경사도를 규정된 경사도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탑승교측과 상기 항공기측의 높이 차가 큰 경우에도 상기 탑승교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은 승객들의 발이 상기 항공기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 사이 및 상기 탑승교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에는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을 당겨서 접고 펼치기 위한 제 1 및 제 2 로프(241,242)가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의 상면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완충부재(244,245)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완충부재(244,245)는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이 각각 펼쳐진 상태에서 접힐 때, 메인보도판(210)의 상면과 각각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이로인해, 메인보도판(210), 제 1 보조보도판(220) 및 제 2 보조보도판(230)이 손상되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의 하면에는 제 1 및 제 2 롤러(247,248)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롤러(247,248)는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이 각각 접힌 상태에서 펼쳐질 때, 상기 탑승교 및 상기 항공기와 각각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이로인해, 상기 탑승교, 상기 항공기, 제 1 보조보도판(220) 및 제 2 보조보도판(230)이 손상되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항공기에 승객들이 탑승하고 내림에 따라, 그리고 화물들이 적재되고 내려짐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바퀴에 작용하는 하중이 변하므로, 지면에서부터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까지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제 2 보조보도판(230)이 펼쳐지면, 제 2 롤러(248)가 상기 항공기와 접촉하므로, 상기 항공기의 높이가 변하여도, 제 2 롤러(248)의 구름운동에 의하여 제 2 보조보도판(230)은 원활하게 힌지 형태로 운동한다. 즉, 제 2 롤러(248)는 상기 항공기의 높이 변화에 따라 제 1 보조보도판(220)이 원활하게 힌지 형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탑승교는 신축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에 접근/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탑승교는 본체(100)로 접근하면서 본체(100)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상기 탑승교가 본체(100)에 가까이 접근하면 상기 탑승교의 접근 속도를 줄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에는 상기 탑승교에서 송신된 신호를 상기 탑승교로 반사하는 반사판(151)이 설치된다. 반사판(151)은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는 본체(100)의 부위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의 중량과 크기는 상기 탑승교의 중량과 크기에 비하여 대단히 작고 가볍다. 그러므로, 상기 탑승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에 직접 접촉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가 유동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탑승교가 상기 본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는 본체(100)에 결합된 돌출바(161)(도 3a 참조)와 일측은 돌출바(161)에 지지되고 타측은 돌출바(16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탑승교가 접촉되는 탄성부재(163)로 마련된다.
즉, 상기 탑승교가 본체(100)측으로 접근하여 탄성부재(163)에 접촉되면, 상기 탑승교는 이를 감지하여 정지한다. 이로인해, 상기 탑승교가 본체(100)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메인보도판(210)의 상측에는 복수의 수직 및 수평지지바(313,315)가 설치되고, 수직지지바(313)에는 지붕(310)이 설치된다.
돌출바(161)는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는 지지바(313)에 설치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71은 운반용 손잡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의 작용을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3d는 도 1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로 놓여진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를 손잡이(171)를 잡고 밀어서 공항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항공기측으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스토퍼(134,135)를 제 1 및 제 2 지지레일(131,132)로부터 각각 빼낸 다음, 턴버클바(125)의 스크류(126)를 회전시켜,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 하단측 조금 상측에 메인보도판(210)이 위치되도록,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14,115)의 높이를 조절한 후, 제 1 및 제 2 스토퍼(134,135)를 제 1 및 제 2 지지레일(131,132)에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보도판(220)을 펼쳐서 본체(100)측으로 접근한 상기 탑승교에 제 1 롤러(247)를 접촉 지지시키고, 제 2 보조보도판(230)을 펼쳐서 제 2 롤러(248)를 상기 항공기에 접촉 지지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동방지부재(141)를 하강시켜 지면과 밀착시킨 후, 승객들이 탑승 또는 내리도록 하면 된다.
상기 항공기로부터 승객들이 탑승 또는 내림을 완료하면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220,230)을 접고, 상기 탑승교를 이동시킨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를 상기 항공기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을 닫은 후, 상기 항공기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는 탑승교와 항공기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보도판과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이 탑승교에서 항공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그러므로, 탑승교와 항공기의 높이차가 소정이상이어도, 특히 항공기가 소형이어서 항공기와 탑승교의 높이 차가 크도,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로 보상하면, 탑승교의 경사도를 규정 이내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와 탑승교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가 개재되므로, 항공기 도어의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탑승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탑승교가 항공기에 직접 접현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사로에 인접되게 설치되므로, 항공기가 소형인 경우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탑승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9)

  1. 공항 터미널 건물의 출입구에 연결된 탑승교와 항공기의 출입문을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높이 조절 가능한 본체;
    일측은 상기 탑승교측을 향하고 타측은 상기 항공기측을 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탑승교측에서 상기 항공기측으로 갈수록 상기 지면과 가까와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승객들의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보도판;
    상기 메인보도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탑승교와 상기 메인보도판을 연결하는 제 1 보조보도판; 및
    상기 메인보도판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항공기와 상기 메인보도판을 연결하는 제 2 보조보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 1 프레임; 제 1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바퀴;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된 제 2 프레임; 일단부측은 상기 탑승교측 상기 제 1 프레임의 부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항공기측 상기 제 2 프레임의 부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지지부재; 일단부측은 상기 항공기측 상기 제 1 프레임의 부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탑승교측 상기 제 2 프레임의 부위에 힌지 결합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 상기 한쌍의 제 1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 1 링크: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 2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를 상호 가까와지는 형태 및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시켜 상기 제 2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턴버클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1 지지부재의 타단부측에는 제 1 슬라이딩바의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바의 타측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삽입 지지되는 한쌍의 제 1 지지레일이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재의 일단부측에는 제 2 슬라이딩바의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바의 타측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삽입 지지되는 한쌍의 제 2 지지레일이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레일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바가 상기 항공기측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에는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의 높이를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자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이동식 경사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이 각각 펼쳐졌을 때 상기 탑승교 및 상기 항공기와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롤러가 각각 설치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보도판이 각각 접혔을 때 상기 메인보도판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완충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탑승교에서 송신된 신호를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측 상기 본체의 부위에는 상기 탑승교가 상기 본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탑승교측 상기 본체의 부위에 결합된 돌출바와 일측은 상기 돌출바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돌출바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탑승교가 접촉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사로.
KR1020070118675A 2006-11-21 2007-11-20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KR100930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394 2006-11-21
KR20060115394 200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117A KR20080046117A (ko) 2008-05-26
KR100930862B1 true KR100930862B1 (ko) 2009-12-16

Family

ID=3966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675A KR100930862B1 (ko) 2006-11-21 2007-11-20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583B1 (ko) * 2011-08-23 2013-08-23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경사로
CN111942611B (zh) * 2020-08-24 2021-08-24 山东交通学院 一种用于机场移动登机梯的导轨架升降旋向装置
CN113636082B (zh) * 2021-07-08 2024-03-29 凌云(宜昌)航空装备工程有限公司 一种运输机自行装备装卸货桥
KR102650800B1 (ko) * 2021-12-14 2024-03-2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리프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334U (ja) 1982-12-04 1984-06-13 株式会社犬塚製作所 プラツトフオ−ムの手摺り
JPS62197696U (ko) 1986-06-07 1987-12-16
KR20000012455U (ko) * 1998-12-18 2000-07-05 백영문 모터 구동식 테이블 리프터
WO2001044049A1 (de) 1999-12-17 2001-06-21 Schopf Maschinenbau Gmbh Fahrbares gerät zum be- und entladen von flugzeu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7334U (ja) 1982-12-04 1984-06-13 株式会社犬塚製作所 プラツトフオ−ムの手摺り
JPS62197696U (ko) 1986-06-07 1987-12-16
KR20000012455U (ko) * 1998-12-18 2000-07-05 백영문 모터 구동식 테이블 리프터
WO2001044049A1 (de) 1999-12-17 2001-06-21 Schopf Maschinenbau Gmbh Fahrbares gerät zum be- und entladen von flug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117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342B2 (ja) 航空機に搭乗したり降りたりするための廊下
US7069611B2 (en) Regional boarding ramp for commuter aircraft
CA2706238C (en) Retractable access platform
US3913497A (en) Movable step assembly for transit vehicles
US9637975B2 (en) Adaptable platform for loading and unloading railway cars
KR101886436B1 (ko) 정비 차량이 제공된 공중 케이블을 갖는 이송 설비
KR100930862B1 (ko)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US3793662A (en) Aircraft loading bridge
US20060049312A1 (en) Airport bridge people lift
CN109610807A (zh) 一种折叠护栏以及包含其的高架作业台
US11174605B2 (en) Mezzanine gate assembly
ES2773687T3 (es) Conjunto de escalera paralelográmico con sistema de inclinación de superficies de paso para ampliar el área de trabajo
KR101299583B1 (ko) 이동식 경사로
CN110395645B (zh) 折叠伸缩式维修升降梯
KR100561709B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CN209873538U (zh) 一种伸缩平台
KR101912178B1 (ko)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US20170225928A1 (en) Truss construction for a passenger conveyor comprising a drawer mechanism
KR20150124625A (ko)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
KR20150139023A (ko)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N113144640B (zh) 一种用于舞台的可调节倾角升降吊桥
CN215232130U (zh) 一种用于舞台的可调节倾角的升降吊桥
KR102084127B1 (ko) 인명구조 사다리차용 확장형 접근계단
CN118029766A (zh) 一种地铁站通道的行人交通组织装置
CA2557420A1 (en) Automatic baggage lift leveling and lift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from a movable structure such as a jet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