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452A -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452A
KR20210059452A KR1020190146928A KR20190146928A KR20210059452A KR 20210059452 A KR20210059452 A KR 20210059452A KR 1020190146928 A KR1020190146928 A KR 1020190146928A KR 20190146928 A KR20190146928 A KR 20190146928A KR 20210059452 A KR20210059452 A KR 20210059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upport
fall
securit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906B1 (ko
Inventor
박세만
Original Assignee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9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하우징캡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이 파이프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Description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SECURITY·CLIMB A WALL·FALL DEATH-LEAP PREVENTIVE ROLLINDER SYSTEM}
본 발명은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교량, 고층건물 등에서 투신하는 투신자살의 비율이 특히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투신자살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로는 교량, 고층건물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펜스가 있다.
하천이나 해상에 시공된 교량의 난간으로써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 교량에 인가되는 풍하중 및 주변 경관과의 조화나 디자인 및 관망성 등을 고려하여 1m 내외의 비교적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설치되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투신시도자가 펜스를 타고 올라가 고의적으로 투신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한편, 대형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2 내지 3m 가량의 높이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용 및 미관상의 이유로 1 내지 1.2m 남짓 되는 높이로 펜스가 설치되고 있어, 건물에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에도 교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의적인 투신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13호는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13호의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투신시도자가 회전부를 파지하는 경우 회전부가 회전하는 것을 이용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를 저지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13호의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따르면, 베어링이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데,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하다. 따라서, 종래 공보에 따른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따르면, 시스템이 가동됨에 따라 베어링이 파이프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어링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하우징캡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을 형성하며, 투신시도자가 파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암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캡은, 상기 베어링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에 노출된 상기 베어링에 접촉하여 상기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부를 압박하는 방식으로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에서 연장형상되는 제2부와, 상기 제2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3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3부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와, 상기 제3부가 압박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을 마감하는 지지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이 파이프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와 지지부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의 내부를 일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의 내부를 타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베어링과 하우징과 캡과 체결부재와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체결부재와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캡을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체결부재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 및 체결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 사이에 폴리카보네이트부가 설치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의 내부를 일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의 내부를 타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베어링과 하우징과 캡과 체결부재와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체결부재와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캡을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체결부재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 및 체결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100)은 지지부(110)와, 회전부(12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회전부(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지면이란, 지지부(110)가 설치될 바닥면, 즉, 아파트, 고층건물, 일반주택의 옥상의 가장자리의 시설물 또는 교량, 고속화도로, 보도육교, 선박 등의 바닥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구조물이란, 아파트, 고층건물, 일반주택의 옥상의 가장자리의 시설물 또는 교량, 고속화도로, 보도육교, 선박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된 기존의 난간 또는 공연장, 관광지, 운동장에 설치된 난간, 기타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된 H 빔등의 물체 등일 수 있다.
즉, 지지부(110)는 앙카를 이용하여 단독으로 지면에 설치되거나, 토공 방식으로 지면에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된 H 빔의 상단에 설치되거나, 기존의 난간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가 기존의 난간에 설치되는 경우, 투신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있어, 기존의 난간을 전체적으로 제거하는 불편함이 감소 되며, 투신 방지 시스템의 시공시, 기존의 난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시공시간 단축 및 시공단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 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투신시도자가 후술하는 회전부(120)를 파지함으로써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투신시도자의 무게중심이 교란되도록 자세가 변화되는 것으로써, 일단부가 구조물에 설치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회전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주물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여러 길이로 제조될 수 있는데, 제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상술한 뒤틀림 문제가 방지되도록 일측면에 돌출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결합부(111)와 본체부(112)와 삽입부(113)와 지지캡(114)을 포함한다.
결합부(111)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본체부(112)가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부(111)는 체결부재(125)에 의해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11)가 볼팅결합 등의 방법(구조물 자체를 손상시키는 형태로 결합)으로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기존의 구조물의 안전 등급과 관련하여 문제된다. 따라서, 결합부(111)가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111)는 구조물의 외면을 압박함으로써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구조물의 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음.)
본체부(112)는 후술하는 회전부(120)가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타단부는 상술한 결합부(111)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12)는 결합부(11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본체부(112)는 결합부(111)가 구조물에 설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부(111)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이때, 본체부(112)의 폭이 결합부(111)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112)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본체부(112)의 제작시에 재료가 적게 투입되므로, 본체부(112)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부(112)에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회전부(120)가 설치되는 복수개 암(Arm)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암(Arm)의 형성구조 따르면, 암(Arm)의 단부에는 회전부(120)가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부(112)는 회전부(120)로 부터 이격되어 배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부(120)의 배치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본체부(112)를 파지하려고 할때, 복수개의 회전부(120) 사이로 팔을 넣어야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본체부(112)를 파지한 다음 팔을 굽히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며, 팔이 회전부(120) 사이에서 굽혀진다 하더라도 그 굽혀진 각도가 매우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관절(股關節)과 같은 큰 관절 부위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투신시도자가 본체부(112)를 따라 오르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2)는 지면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x)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설정된 각도(x)는 40도 내지 75도 사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둔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각도(x)는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둔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각도(x)가 예각인 경우 본체부(111)는 투신시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기설정된 각도(x)가 둔각인 경우 본체부(111)는 투신시도자가 위치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이러한 본체부(112)는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주변환경에 어울리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체부(112)에는 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12a)에 의해서, 투신시도자가 지지부(110)를 파지하여 오르려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2)의 일측면에는 첨단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돌출부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본체부(112)를 파지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삽입부(113)는 상술한 본체부(112)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이 개방되며 후술하는 제3부(125c)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지지캡(114)은 제3부(125c)가 압박되도록 삽입부(113)의 개방된 일측면을 마감하는 하는 것으로서, 삽입부(113)에 설치된다.
삽입공간에는 후술하는 제3부(125c)가 삽입, 설치되는데, 삽입공간은 상술한 지지캡(114)에 의해서 마감,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부(112)와 체결부재(125)와의 결합방법에 따르면, 제3부(125c)가 압박되는 형태로 본체부에 결합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상술한 본체부(11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써,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한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본체부(112)에 경사를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20) 사이의 간격은 투신시도자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일반적인 성인의 머리의 좁은 측의 폭(13cm 내지 15cm)보다 더 작은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인 성인의 신장이 170cm 라고 할 때, 회전부(120)는 상술한 간격을 고려하면, 3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120)의 하단은 구조물의 상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의 상면에 회전부(120)의 하단이 근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투신시도자가 구조물을 밟고 올라설 수 없어 투신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회전부(120)는 파이프(121)와 하우징(122)과 베어링(123)과 하우징캡(124)과 체결부재(125)를 포함한다.
파이프(121)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하우징캡(124)과, 베어링(123)과, 체결부재(125)가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121)는 투신시도자가 파지하는 경우 내부의 베어링(123) 구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며 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파이프(121)는 투신시도자가 쉽게 파지할 수 없도록 일반적인 사람의 손뼘 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121)는 중량은 감소 되면서 강도는 커지도록 알루미늄(Aluminum)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121)의 외주면에는 파이프(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21a)가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1a)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을 파지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어,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2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홈에는 지지부(110)에 설치된 것과 같은 첨단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탈부착가능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돌출부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하우징(122)은 파이프(1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베어링(123)이 중심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22)은 파이프(121)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가장자리에 돌출부분이 형성되며, 중심부분에는 베어링(123)이 수용,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베어링(123)은 상술한 하우징(122)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체결부재(125)의 일단부, 즉, 제1부(125a)가 삽입, 설치된다. 베어링(123)은 파이프(121)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파이프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가 회전되는 방식의 볼베어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123)의 일면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22)의 일측 부분에 의해서 지지되며, 타면은 후술하는 하우징캡(124)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베어링(123)의 지지구조에 의하면, 베어링(123)이 파이프(121)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123)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링이 외부의 일에서 자세가 변동가능한 이중 볼베어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123)에 따르면, 지지부(110)와 파이프(121)의 결합 각도가 다소 어긋나거나, 투신시도자의 자중에 의해서 지지부(110)와 파이프(121)의 배치 각도가 다소 어긋나는 경우에도 파이프(121)가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캡(124)은 베어링(123)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된 수용공간의 일측면에 노출된 베어링(123)에 접촉하여 베어링(123)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22)에 설치된다.
하우징캡(124)은 상술한 베어링(123)의 타면 가장자리 부분이 지지될 수 있도록 중심부분에 지지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면에 따르면, 베어링(123)의 타면이 지지되며, 일면은 하우징(122)에 의해 지지되므로, 베어링(123)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베어링(123)이 파이프(121)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캡(124)은 측면에서 보았을때, 하우징(122)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도록 가장자리 부분은 수직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가장자리 부분에서 중심부분으로 연결되는 부분 중 일부분은 요철 형태로 돌출, 함몰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형태의 부분에 따르면, 외부에서 빗물, 습기 등이 파이프(121)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 함몰된 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빗물, 습기 등이 베어링으로 유입되어 베어링(123)이 부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고, 겨울철의 경우, 빗물, 습기가 베어링(123)으로 유입되어 베어링(123)이 결빙됨으로써 파이프(121)가 회전하지 못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체결부재(125)는 지지부(110)와 베어링(123)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지지부(110)에 설치되며 타단부는 베어링(123)에 설치된다.
체결부재(125)는 보다 상세하게, 베어링(123)에 결합되는 제1부(125a)와, 제1부(125a)에서 연장형상되는 제2부(125b)와, 제2부(125b)에서 연장형성되되 제2부(125b)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3부(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부(125c)는 상술한 삽입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삽입공간은 상술한 지지캡(114)에 의해서 마감,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부(112)와 체결부재(125)와의 결합방법에 다르면, 제3부(125c)가 압박되는 형태로 본체부에 결합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25')의 제3부(125')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110')의 단부에도 이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부(125')의 관통홀과 지지부(110')의 홀은 볼트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110)와,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100)에 따르면, 베어링(123)이 파이프(121)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100)에 따르면, 파이프(121)와 지지부(1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되어, 시공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관성 확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100)의 파이프(121)의 직경이 감소하는 경우, 한쌍의 파이프(121)의 간격이 벌어져 벌어진 간격으로 손을 뻗어 본체부(112)를 파지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한쌍의 파이프(121) 사이에 폴리카보네이트부(P)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필요성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110, 110' : 지지부
111 : 결합부
112 : 본체부
112a : 돌기
113 : 삽입부
114 : 지지캡
120 : 회전부
121 : 파이프
121a : 블레이드
122 : 하우징
123 : 베어링
124 : 하우징캡
125, 125' : 체결부재
125a : 제1부
125b : 제2부
125c, 125c' : 제3부
P : 폴리카보네이트부

Claims (5)

  1.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하우징캡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을 형성하며, 투신시도자가 파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암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베어링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캡은,
    상기 베어링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에 노출된 상기 베어링에 접촉하여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부를 압박하는 방식으로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에서 연장형상되는 제2부와, 상기 제2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3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3부가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와, 상기 제3부가 압박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을 마감하는 지지캡을 포함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0190146928A 2019-11-15 2019-11-15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28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28A KR102288906B1 (ko) 2019-11-15 2019-11-15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28A KR102288906B1 (ko) 2019-11-15 2019-11-15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52A true KR20210059452A (ko) 2021-05-25
KR102288906B1 KR102288906B1 (ko) 2021-08-11

Family

ID=7614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928A KR102288906B1 (ko) 2019-11-15 2019-11-15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638B1 (ko) * 2021-06-30 2022-03-08 주식회사 한독이앤씨 투신 및 추락방지용 안전휀스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259B1 (ko) *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KR102563057B1 (ko) * 2023-04-21 2023-08-04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자살 방지용 안전펜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53A (ko) * 2015-02-25 2016-09-02 김희섭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KR20170000373U (ko) * 2015-07-17 2017-01-25 위성의 투신 방지용 감시시스템
KR20190053533A (ko) * 2017-11-10 2019-05-20 이관궁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53A (ko) * 2015-02-25 2016-09-02 김희섭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KR20170000373U (ko) * 2015-07-17 2017-01-25 위성의 투신 방지용 감시시스템
KR20190053533A (ko) * 2017-11-10 2019-05-20 이관궁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638B1 (ko) * 2021-06-30 2022-03-08 주식회사 한독이앤씨 투신 및 추락방지용 안전휀스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WO2023211087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WO2023211084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906B1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9452A (ko)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US20220195677A1 (en) System for preventing fall and suicide
KR101714973B1 (ko)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US6550189B2 (en) Weather shelter
KR102321195B1 (ko)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1886249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EP2388878B1 (en) Transmission line tower
KR102341979B1 (ko)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모서리 보호 장치
KR20210059486A (ko)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방어체계에 따른 설계 방법
GB2495695A (en) A fast erecting pylon with offset arms and a landmark component
WO2011032240A1 (pt) Sistema de proteção contra descargas atmosféricas diretas e indiretas para estruturas verticais elevadas
KR100468149B1 (ko)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KR102477828B1 (ko)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EP3458656A1 (en) Scaffold anchor
KR200334047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타워크레인의 타워고정 장치
KR20080005582U (ko) 계단 안전 난간대
Jones et al. A case study of the impact of wind and wave action on floating dock anchorage systems on Lake Brownwood, Texas
CN209075893U (zh) 活动板房逃生装置
FR2962746A1 (fr) Support catenaire
JP5835779B2 (ja) 安定的な梯子の架設ができるラダーレシーバー
KR200189726Y1 (ko) 계단 난간의 핸드바와 모서리 보호대 연결장치
CA3157299A1 (en) Anti-vermin apparatus for protecting suspended lines
WO2022018317A1 (es) Módulo de extensión prefabricado acoplable en voladizo a una fachada de un edificio y método de instalación
JPH05161239A (ja) 避雷用埋設導体の設置方法及びその装置
FR3130866A1 (fr) Dispositif d'ancrage pour toiture de modules de construction modulaire, et module de construction modulair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d'anc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