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853A -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3853A KR20160103853A KR1020150026759A KR20150026759A KR20160103853A KR 20160103853 A KR20160103853 A KR 20160103853A KR 1020150026759 A KR1020150026759 A KR 1020150026759A KR 20150026759 A KR20150026759 A KR 20150026759A KR 20160103853 A KR20160103853 A KR 20160103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link
- roller
- shaft rod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04H17/004—Unstable, e.g. rotatory or resiliently mounted fence panels, spik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교량난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와,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와, 상기 링크부의 하단에 체결부재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와, 상기 링크부와 레그부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교량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신방지장치로써 투신자의 체중에 대응되게 상,하 유동되며 회전을 이루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려는 투신자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교량의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된 링크부와 레그부를 파지하여 사용자가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설치된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도 투신자의 체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상,하 유동을 이루며 회전되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교량의 내측으로 투신자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링크부와 레그부의 결합 또는 롤러부의 회전되는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되지 않은 롤러부의 회전 또는 롤러부의 상,하 유동만으로도 투신자의 투신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장비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교량난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교량난간의 상부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롤러부가 교량난간의 내측 방향으로는 회전하지만, 교량난간의 외측 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가 교량난간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교량난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와,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와, 상기 링크부의 하단에 체결부재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와, 상기 링크부와 레그부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교량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신방지장치로써 투신자의 체중에 대응되게 상,하 유동되며 회전을 이루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려는 투신자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교량의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된 링크부와 레그부를 파지하여 사용자가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설치된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도 투신자의 체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상,하 유동을 이루며 회전되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교량의 내측으로 투신자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링크부와 레그부의 결합 또는 롤러부의 회전되는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되지 않은 롤러부의 회전 또는 롤러부의 상,하 유동만으로도 투신자의 투신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장비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교량난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교량난간의 상부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롤러부가 교량난간의 내측 방향으로는 회전하지만, 교량난간의 외측 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가 교량난간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난간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와 레그부를 통하여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의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란, 하천, 해수면, 호수면 등과 같이 이동 통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환경이 발생 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교량은 설치되는 위치의 특징에 따라 지상 또는 해상과 많은 높이 차이를 이루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교량의 특징에 따라 설치된 교량의 상부에서 투신사고가 빈번히 발생 되는 것이며, 실제 투신이 이루어져 목숨을 잃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설치된 교량의 상부로 난간을 설치하여 교량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투신사고를 예방하고자 하였으나, 종래에 설치된 교량난간은 투신자가 손쉽게 넘어갈 수 있어 투신사고의 예방을 원활하게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신사고의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투신방지 문구나 표장이 그려진 구조물이나, 스티커 등을 교량의 주변에 설치하거나, 투신자의 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각종 수단을 설치하여 교량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실시되고 있으나, 교량의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는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따라, 교량의 투신사고를 물리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문헌(1),문헌(2)와 같은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투신방지장치는 교량의 난간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도 회전을 이루는 회전봉이 쳐지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는 투신방지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투신자가 설치된 펜스의 상부로 올라가 펜스를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량의 외측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봉의 구성으로 인하여 투신방지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투신방지장치는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기도자가 교량의 난간을 타고 올라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교량난간에 롤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링부의 회전에 의하여 투신자가 교량의 난간을 타고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투신방지장치는 아치형 구조물이 적용된 교량에만 특화되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아치형 구조물에 올라 투신기동 및 소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에만 효과적인 것으로, 실제 교량난간을 넘어 투신하려는 투신자의 사고를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투신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하여 교량의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투신방지장치로서, 교량난간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도록 링크부에 결합되는 레그부의 구성을 통하여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상부를 넘어가고자 하는 투신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신체의 이동을 이룰 수 없도록 구성하고, 투신자의 체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교량난간의 상부로 넘어가려는 투신자가 자연스럽게 교량의 내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한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파손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신사고 예방을 이룰 수 있어 투신사고 예방을 위한 전체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난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와,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와, 상기 링크부의 하단에 체결부재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와, 상기 링크부와 레그부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는 바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길이방향의 끝단에 체결부재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양측 끝단에 회전부가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를 상호 연결하게 설치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축봉의 외측으로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는 상기 축봉의 삽입이 가능한 관통공을 갖는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롤러몸체의 관통공 내측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는 상기 축봉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을 갖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상기 축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봉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체의 일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부 및 니들롤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봉은 외주연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돌기와, 상기 레그부, 링크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돌출돌기가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봉은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원형의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끼움부의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바 형상의 제1안착돌기 및 제2안착돌기가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링크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1안착돌기가 결합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링크부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타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1삽입홈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2안착돌기가 결합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부는 상기 링크부의 일측이 결합될 시, 결합되는 링크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링크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삽입홈에는 상기 축봉의 고정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교량난간을 넘어가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없을 만큼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의 회전은 설치되는 교량의 내측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난간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레그부는 교량난간을 넘어가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자가 링크부와 레그부의 외측을 손으로 파지할 수 없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레그부의 일측에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전선을 통하여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의 관통공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몸체는 상기 램프의 불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교량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신방지장치로써 투신자의 체중에 대응되게 상,하 유동되며 회전을 이루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려는 투신자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교량의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된 링크부와 레그부를 파지하여 사용자가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설치된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도 투신자의 체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상,하 유동을 이루며 회전되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교량의 내측으로 투신자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링크부와 레그부의 결합 또는 롤러부의 회전되는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되지 않은 롤러부의 회전 또는 롤러부의 상,하 유동만으로도 투신자의 투신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장비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교량난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교량난간의 상부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롤러부가 교량난간의 내측 방향으로는 회전하지만, 교량난간의 외측 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가 교량난간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가 교량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요부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와 레그부가 탄성부재를 통하여 상,하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가 교량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그부의 일측에 감지센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부의 내측에 램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가 교량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요부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와 레그부가 탄성부재를 통하여 상,하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가 교량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그부의 일측에 감지센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부의 내측에 램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교량난간(10)의 상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와,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300)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롤러부(200)와,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으로 체결부재(P)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400)와,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단부에 개재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링크부(100)는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투신방지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교량난간(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링크부(100)와 결합되는 롤러부(200)와 회전부(300)의 유동에도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와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부(100)는 교량난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레그부(400)와의 결합을 통하여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교량난간(10)의 상부에 설치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부(10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바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길이방향의 끝단에는 결합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10)과 대향되는 길이방향의 끝단에는 체결공(12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10)은 체결부재(P)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롤러부(200)와 회전부(3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공(1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P)가 회전부(300)를 관통하며 상기 롤러부(200)에 결합 구성됨으로써, 교량난간(1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링크부(100)의 사이로 상기 롤러부(200)와 회전부(3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120)은 체결부재(P)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레그부(40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공(120)의 일측으로는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 구성되되,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부(20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양측 끝단으로 회전부(300)가 결합되어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를 상호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축봉(210)과, 상기 축봉(2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300)를 통하여 축봉(210)의 외측으로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봉(210)은 상기 롤러몸체(22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몸체(22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부(300)와 양 측 끝단이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봉(210)은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외주연의 일측에 돌출돌기(21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회전부(300)의 고정체(310)와 축봉(210)의 일측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고정체(310)에 형성된 끼움홈(311)의 내측으로 상기 돌출돌기(211)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축봉(210)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부(300)가 축봉(210)의 양측부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축봉(210)은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원형의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213)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회전부(300)의 고정체(310)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체(310)에 형성되는 끼움홈(313)에 상기 축봉(210)의 끼움부(213)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축봉(210)의 양 측부로 회전부(30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220)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축봉(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20a)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롤러몸체(220)가 원형의 바 형상을 이루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축봉(210)이 롤러몸체(22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몸체(220)의 외측부를 교량난간(10)을 이용하여 투신하고자 하는 투신자가 원활하게 파지할 수 없는 구성이라면 상기 롤러몸체(220)의 형상과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축봉(210)과 롤러몸체(220)의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롤러몸체(220)가 내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부(300)의 구성을 통하여 일 방향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축봉(210)은 상기 롤러몸체(2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교량난간(10)이 해수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수의 영향에 의하여 장기간 설치된 상태로 있더라도 부식을 일으키지 않으며, 원활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용 및 설치 여건을 감안하여 스테인레스, 철,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부(200)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회전부(300)는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부(200)의 축봉(210)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으로 결합 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부(300)에 결합되는 축봉(210)이 상기 링크부(100)와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 구성됨으로써, 상기 축봉(210)과 회전부(300)의 결합 부위는 링크부(100)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회전을 이루지 않고,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에 결합되는 회전부(300)의 외측이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된 축봉(210)을 중심으로 롤러몸체(220)가 원활한 회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축봉(210)의 외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고정체(310)와, 상기 고정체(3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310)와 회전체(32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고정체(310)를 중심으로 회전체(320)가 일 방향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래치부(330) 및 니들롤러(34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에 결합되는 회전체(320)가 상기 축봉(210)과 결합되는 고정체(310)를 중심으로 일 방향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이루기 위한 상기 래치부(330) 및 니들롤러(340)의 구성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상기 회전체(320)가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종래의 래치구조 및 니들롤러의 구성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310)는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축봉(210)의 돌출돌기(211)가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끼움홈(311)과, 상기 축봉(210)의 고정공(21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P)가 관통 결합 될 수 있는 관통공(31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축봉(210)과 고정체(3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축봉(210)의 돌출돌기(221)가 상기 고정체(310)의 끼움홈(311)에 결합 된 후, 상기 고정공(21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P)가 상기 관통공(312)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312)의 일측에 위치된 링크부(100)의 결합공(110)에 체결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결합공(110)에 체결된 체결볼트(P)를 조절하여 상기 링크부(100), 축봉(210), 고정체(31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루면서도 상기 회전부(300)의 고정체(310)가 상기 롤러몸체(220)와 결합된 회전체(3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310)는 상기에서 설명한 축봉(210)의 끼움부(213)가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313)을 상기 관통공(312)의 일측에 구성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체(310) 및 축봉(210)이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체(310)와 축봉(21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부(213)와 끼움홈(313)은 상기 끼움홈(313)의 내측으로 끼움부(213)가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루면서도 상기 고정공(212)과 관통공(312)에 결합되는 체결부재(P)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이라면, 상기 끼움부(213)와 끼움홈(313)의 형상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그부(40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 된다.
특히,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와 결합되되, 내측에 탄성부재(500)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링크부(100)가 상기 탄성부재(500)의 구성을 통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탄성부재(500)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는 바 형상을 이루는 제1안착돌기(510)와 제2안착돌기(520)가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500)의 제1안착돌기(510)를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500)의 제2안착돌기(52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레그부(400)에 결합되는 링크부(100)가 상기 탄성부재(500)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유동 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에 원활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결합되는 링크부(100)의 결합 부위에는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홈(130)과, 상기 안착홈(13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1안착돌기(510)가 결합 될 수 있는 제2안착홈(1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 탄성부재(500)가 밀착되어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링크부(100)에 결합된 탄성부재(500)의 타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삽입홈(410)과, 상기 제1삽입홈(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2안착돌기(520)가 결합 될 수 있는 제2삽입홈(4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으로 탄성부재(500)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00)의 제1안착돌기(510)가 링크부(100)의 제2안착홈(140)에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상기 링크부(100)의 제1안착홈에 결합되고, 이와 대향되게 위치된 탄성부재(500)의 제2안착돌기(520)가 상기 링크부(100)의 제2삽입홈(420)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상기 링크부(100)의 제1삽입홈에 결합을 이룸으로써,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에 탄성부재(50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안착돌기(510)와 제2안착돌기(52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안착돌기(510)가 결합 된 링크부(100)가 유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스프링(탄성부재)의 복원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1안착돌기(510)의 복원력에 따라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으로 탄성부재(500)를 개재하여 결합한 후에,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롤러부(200)의 상부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부(200)가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하강을 이루며 교량난간(10)의 내측으로 회전을 이루게 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롤러부(200)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고, 이에 따른 압력의 방향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부(200)의 상부로 전달되는 투신자의 압력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가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을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부(200)의 상부를 넘어가려는 투신자가 도 7에서와 같은 롤러부(200)의 회전에 의하여 교량난간(10)의 내측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부(200)의 상승하는 힘에 따라 교량난간(1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은 롤러부(200)의 상,하 유동은 상기 롤러부(200)의 상부에 투신자의 무게로 인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도 7에서와 같이, 탄성부재(500)를 통하여 결합되는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유동으로 인하여, 상기 롤러부(200)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롤러부(200)로 전달되는 투신자의 무게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가 상기 탄성부재(500)를 통하여 굽혀진 상태에서 원상태의 위치로 복원을 이룸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부(200)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레그부(400)에는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이 결합되는 경우, 결합이 이루어지는 링크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100)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안착부(43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착부(43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에 결합되는 링크부(100)의 일측이 밀착되어 결합되고, 결합이 이루어진 레그부(400)를 중심으로 상기 링크부(100)가 유동되는 경우에는 유동을 이루는 링크부(100)의 유동 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롤러부(200)가 투신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상,하 유동을 이루도록 작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링크부(100)가 레그부(400)의 일측에서 과다하게 하강을 이루거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결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투신방지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의 제2삽입홈(420)에는 상기 축봉(210)의 고정공(212)과 결합되는 체결부재(P)를 결합할 수 있는 삽입공(421)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으로 체결부재(P)를 결합하여 레그부(400)의 일측으로 탄성부재(500), 링크부(100), 회전부(300), 롤러부(200)가 순차적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한 쌍의 링크부(100) 내측에 축봉(210)과 연결되며 설치되는 롤러몸체(220)의 구성을 도시한 도 8 및 9에서와 같이, 상기 축봉(210)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220a)을 갖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구성한 후 상기 축봉(2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축봉(210)과 결합되는 회전부(300)의 구성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축봉(21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몸체(220) 회전을 통하여 상기 롤러몸체(220)의 상측으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도 9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롤러몸체(220)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유지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러한 롤러몸체(220)를 적용하는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는 감지센서(60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감지센서(600)는 전선을 통하여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와 연결되게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롤러부(200)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여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감지센서(600)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상기 레그부(400)와 결합을 이루는 링크부(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투신자의 위치확인에 따른 후속조치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구성은 물론이고, 이러한 제어부(700)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제실과 같은 기능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80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램프(800)의 불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다.
이는, 본 발명인 투신방지장치를 교량난간(10)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교량의 외형 변화에 따라 교량의 미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램프(800)의 점등을 통하여 본 발명인 투신방지장치가 설치된 교량(10)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인 투신방지장치를 교량난간(10)에 적용하여 사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파트의 베란다, 옥상의 난간, 빌딩과 같이, 지상에서 이격 된 높이를 가지는 건물 등에도 적용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아파트나 빌딩 등의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교량난간
100:링크부
110: 결합공 120: 체결공
130: 제1안착홈 140: 제2안착홈
200: 롤러부 210: 축봉
211: 돌출돌기 212: 고정공
213: 끼움부 220: 롤러몸체
220a: 관통공 300: 회전부
310: 고정체 311,313: 끼움홈
312: 관통공 400: 레그부
410: 제1삽입홈 420: 제2삽입홈
421: 삽입공 430: 안착부
500: 탄성부재 510: 제1안착돌기
520: 제2안착돌기 P: 체결부재
110: 결합공 120: 체결공
130: 제1안착홈 140: 제2안착홈
200: 롤러부 210: 축봉
211: 돌출돌기 212: 고정공
213: 끼움부 220: 롤러몸체
220a: 관통공 300: 회전부
310: 고정체 311,313: 끼움홈
312: 관통공 400: 레그부
410: 제1삽입홈 420: 제2삽입홈
421: 삽입공 430: 안착부
500: 탄성부재 510: 제1안착돌기
520: 제2안착돌기 P: 체결부재
Claims (19)
- 교량난간(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와,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300)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사이에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200)와,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400)와,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10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00)는
바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공(110)과, 상기 결합공(110)과 대향되는 길이방향의 끝단에 체결부재(P)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00)는
양측 끝단에 회전부(300)가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100)를 상호 연결하게 설치되는 축봉(210)과,
상기 축봉(2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300)를 통하여 축봉(210)의 외측으로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몸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축봉(210)의 삽입이 가능한 관통공(220a)을 갖는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으로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축봉(210)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220a)을 갖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상기 축봉(2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신방지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축봉(210)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체(310)와, 상기 고정체(3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310)와 회전체(32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부(330) 및 니들롤러(3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210)은 외주연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돌기(211)와, 상기 레그부(400), 링크부(10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P)의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공(21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310)는 상기 돌출돌기(211)가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끼움홈(311)과, 상기 체결부재(P)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210)은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원형의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310)는 상기 끼움부(213)의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관통공(312)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0)는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바 형상의 제1안착돌기(510) 및 제2안착돌기(520)가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00)는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홈(130)과, 상기 안착홈(13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1안착돌기(510)가 결합되는 제2안착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 링크부(100)에 결합된 탄성부재(500)의 타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삽입홈(410)과, 상기 제1삽입홈(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2안착돌기(520)가 결합되는 제2삽입홈(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이 결합될 시, 결합되는 링크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링크부(100)의 유동을 제어하는 안착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420)에는
상기 축봉(210)의 고정공(212)과 결합되는 체결부재(P)가 관통되는 삽입공(421)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00)는
교량난간을 넘어가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없을 만큼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00)의 회전은 설치되는 교량의 내측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난간(10)에 설치되는 링크부(100)와 레그부(400)는 교량난간을 넘어가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자가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외측을 손으로 파지할 수 없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는 감지센서(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600)는 전선을 통하여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80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램프(800)의 불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759A KR101676481B1 (ko) | 2015-02-25 | 2015-02-25 |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PCT/KR2015/005639 WO2016137058A1 (ko) | 2015-02-25 | 2015-06-05 |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US15/311,230 US20170356215A1 (en) | 2015-02-25 | 2015-06-05 | Jump suicide prevention device for bridge railing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759A KR101676481B1 (ko) | 2015-02-25 | 2015-02-25 |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0392A Division KR101676482B1 (ko) | 2016-01-28 | 2016-01-28 | 지능형 안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3853A true KR20160103853A (ko) | 2016-09-02 |
KR101676481B1 KR101676481B1 (ko) | 2016-11-15 |
Family
ID=5678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6759A KR101676481B1 (ko) | 2015-02-25 | 2015-02-25 |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356215A1 (ko) |
KR (1) | KR101676481B1 (ko) |
WO (1) | WO2016137058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0658A (ko) * | 2019-10-04 | 2021-04-14 | (주)월드비텍 |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
KR20210059452A (ko) * | 2019-11-15 | 2021-05-25 |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
KR102403041B1 (ko) * | 2021-12-28 | 2022-05-30 | 다스코 주식회사 | 회동식 안전난간 |
KR102434746B1 (ko) * | 2022-04-25 | 2022-08-22 | 주식회사 예건 |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
KR102539800B1 (ko) * | 2023-01-02 | 2023-06-08 | (주)이알코리아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1772B1 (ko) * | 2017-07-26 | 2018-08-24 |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
CN108999081B (zh) * | 2018-06-30 | 2021-01-19 | 广州国伟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高架桥应急车道专用警示护栏及其使用方法 |
KR102078510B1 (ko) * | 2019-08-23 | 2020-02-17 | 박상원 | 추락 방지 안전펜스 |
US11028614B1 (en) | 2019-11-14 | 2021-06-08 | Roll Guard, Inc. | Animal repelling device |
KR102642817B1 (ko) * | 2023-12-01 | 2024-03-04 | 주식회사 웰콘 | 난간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845Y1 (ko) | 2002-01-21 | 2002-05-13 | (주)오성건설 | 교량난간의 자살방지장치 |
KR101054443B1 (ko) * | 2004-05-27 | 2011-08-04 | 이윤복 |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
KR20110101634A (ko) * | 2010-03-09 | 2011-09-16 | (주)일도산업 | 롤러형 방호 울타리 |
KR20140000566U (ko) * | 2012-07-16 | 2014-01-27 | 임나리 | 엘이디조명체가 구비된 계단용 난간 |
KR20140134457A (ko) * | 2013-05-14 | 2014-11-24 | (주)에스디시스템 |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
KR101490116B1 (ko) | 2014-07-29 | 2015-02-05 | 서희택 | 투신방지용 펜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2284B1 (ko) * | 2004-10-28 | 2005-03-14 | 주식회사 진성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안전난간 |
KR100595482B1 (ko) * | 2005-10-18 | 2006-07-03 | (주)에스디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추락 방지용 베란다 건축용 난간 구조 |
JP2010248771A (ja) * | 2009-04-15 | 2010-11-04 | Foodei Planning:Kk | 乗越え防止手摺棒 |
-
2015
- 2015-02-25 KR KR1020150026759A patent/KR10167648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05 US US15/311,230 patent/US201703562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6-05 WO PCT/KR2015/005639 patent/WO201613705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845Y1 (ko) | 2002-01-21 | 2002-05-13 | (주)오성건설 | 교량난간의 자살방지장치 |
KR101054443B1 (ko) * | 2004-05-27 | 2011-08-04 | 이윤복 |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
KR20110101634A (ko) * | 2010-03-09 | 2011-09-16 | (주)일도산업 | 롤러형 방호 울타리 |
KR20140000566U (ko) * | 2012-07-16 | 2014-01-27 | 임나리 | 엘이디조명체가 구비된 계단용 난간 |
KR20140134457A (ko) * | 2013-05-14 | 2014-11-24 | (주)에스디시스템 |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
KR101490116B1 (ko) | 2014-07-29 | 2015-02-05 | 서희택 | 투신방지용 펜스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0658A (ko) * | 2019-10-04 | 2021-04-14 | (주)월드비텍 |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
KR20210059452A (ko) * | 2019-11-15 | 2021-05-25 |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
KR102403041B1 (ko) * | 2021-12-28 | 2022-05-30 | 다스코 주식회사 | 회동식 안전난간 |
KR102434746B1 (ko) * | 2022-04-25 | 2022-08-22 | 주식회사 예건 |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
KR102539800B1 (ko) * | 2023-01-02 | 2023-06-08 | (주)이알코리아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37058A1 (ko) | 2016-09-01 |
US20170356215A1 (en) | 2017-12-14 |
KR101676481B1 (ko) | 2016-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6481B1 (ko) |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 |
JP6836555B2 (ja) | 墜落防止及び飛び降り自殺防御回転体システム | |
KR101676482B1 (ko) | 지능형 안전 장치 | |
US6530454B1 (en) | Two-way locking device for height safety apparatus | |
NO20000908L (no) | Apparat til beskyttelse mot vannlekkasje | |
ATE434811T1 (de) | System zur abschreckung von personen vom betätigen einer fluchttür eines rettungswegs | |
KR101714973B1 (ko) |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 |
TW200519027A (en) | Conveyor | |
CN207000751U (zh) | 一种可翻转的格栅盖组件和船舶检修系统 | |
KR20110011926U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쇼어 갱 웨이 | |
KR20210040658A (ko) |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 |
EP1923700A4 (en) | DEVICE FOR THE PERMANENT AND CONTINUOUS CONTROL OF STEEL CABLES USED IN TRANSPORT OR LIFTING FACILITIES FOR STAFF AND MATERIALS | |
US3866356A (en) | Safety gate | |
KR101886249B1 (ko) |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 |
FR2960892A1 (fr) | Installation de securite et de secours pour trappe escamotable automatisee | |
KR200274845Y1 (ko) | 교량난간의 자살방지장치 | |
JP4249557B2 (ja) | 列車用車椅子渡り板 | |
KR101701144B1 (ko) |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 |
FR3055782B1 (fr) | Dispositif anti-envol et antivol d'objet(s) agence(s) sur un sol | |
DE60229436D1 (de) | System zum erfassen des passierens einer person oder eines gegenstandes durch einen räumlich begrenzten eingang/ausgang | |
KR200368323Y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회전문 | |
KR20190014952A (ko) | 탑 사이드 모듈의 감시 및 차단 시스템 | |
KR102642817B1 (ko) | 난간 | |
KR200493728Y1 (ko) | 로컬 피트 펌프 원거리 조작 장치 | |
JP2017036547A (ja) | 落下防止網付き防護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