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482B1 - 지능형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482B1
KR101676482B1 KR1020160010392A KR20160010392A KR101676482B1 KR 101676482 B1 KR101676482 B1 KR 101676482B1 KR 1020160010392 A KR1020160010392 A KR 1020160010392A KR 20160010392 A KR20160010392 A KR 20160010392A KR 101676482 B1 KR101676482 B1 KR 10167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ink
roller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920A (ko
Inventor
김희섭
Original Assignee
김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섭 filed Critical 김희섭
Priority to KR102016001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4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지능형 안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는, 교량난간(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300)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사이에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200);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400); 및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10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롤러부(200)의 상부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롤러부(200)가 하강을 이루며 교량난간(10)의 내측으로 회전을 이루게 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의 무게중심 이탈을 기반으로 상기 롤러부(200)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유도하여, 상기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안전 장치{INTELLIGENT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지능형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난간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와 레그부를 통하여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의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란, 하천, 해수면, 호수면 등과 같이 이동 통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환경이 발생 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교량은 설치되는 위치의 특징에 따라 지상 또는 해상과 많은 높이 차이를 이루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교량의 특징에 따라 설치된 교량의 상부에서 투신사고가 빈번히 발생 되는 것이며, 실제 투신이 이루어져 목숨을 잃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설치된 교량의 상부로 난간을 설치하여 교량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투신사고를 예방하고자 하였으나, 종래에 설치된 교량난간은 투신자가 손쉽게 넘어갈 수 있어 투신사고의 예방을 원활하게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신사고의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투신방지 문구나 표장이 그려진 구조물이나, 스티커 등을 교량의 주변에 설치하거나, 투신자의 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각종 수단을 설치하여 교량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실시되고 있으나, 교량의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는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따라, 교량의 투신사고를 물리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문헌(1),문헌(2)와 같은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투신방지장치는 교량의 난간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도 회전을 이루는 회전봉이 쳐지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는 투신방지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투신자가 설치된 펜스의 상부로 올라가 펜스를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량의 외측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봉의 구성으로 인하여 투신방지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투신방지장치는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기도자가 교량의 난간을 타고 올라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교량난간에 롤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링부의 회전에 의하여 투신자가 교량의 난간을 타고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투신방지장치는 아치형 구조물이 적용된 교량에만 특화되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아치형 구조물에 올라 투신기동 및 소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에만 효과적인 것으로, 실제 교량난간을 넘어 투신하려는 투신자의 사고를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0116(2015.01.30)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74845(2002.04.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투신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하여 교량의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투신방지장치로서, 교량난간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도록 링크부에 결합되는 레그부의 구성을 통하여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지능형 안전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상부를 넘어가고자 하는 투신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신체의 이동을 이룰 수 없도록 구성하고, 투신자의 체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교량난간의 상부로 넘어가려는 투신자가 자연스럽게 교량의 내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한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파손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신사고 예방을 이룰 수 있어 투신사고 예방을 위한 전체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능형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난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와,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와, 상기 링크부의 하단에 체결부재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와, 상기 링크부와 레그부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는 바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길이방향의 끝단에 체결부재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양측 끝단에 회전부가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를 상호 연결하게 설치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축봉의 외측으로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는 상기 축봉의 삽입이 가능한 관통공을 갖는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롤러몸체의 관통공 내측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는 상기 축봉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을 갖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상기 축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봉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체의 일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부 및 니들롤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봉은 외주연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돌기와, 상기 레그부, 링크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돌출돌기가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봉은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원형의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끼움부의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바 형상의 제1안착돌기 및 제2안착돌기가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링크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1안착돌기가 결합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링크부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타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1삽입홈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2안착돌기가 결합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부는 상기 링크부의 일측이 결합될 시, 결합되는 링크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링크부의 유동을 제어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삽입홈에는 상기 축봉의 고정공과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교량난간을 넘어가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없을 만큼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의 회전은 설치되는 교량의 내측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난간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레그부는 교량난간을 넘어가 투신을 이루고자 하는 투신자가 링크부와 레그부의 외측을 손으로 파지할 수 없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레그부의 일측에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전선을 통하여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의 관통공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몸체는 상기 램프의 불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교량난간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신방지장치로써 투신자의 체중에 대응되게 상,하 유동되며 회전을 이루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려는 투신자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교량의 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교량에 설치된 난간의 상부로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된 링크부와 레그부를 파지하여 사용자가 롤러부의 상부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교량난간을 이용한 투신사고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설치된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도 투신자의 체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상,하 유동을 이루며 회전되는 롤러부의 구성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교량의 내측으로 투신자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링크부와 레그부의 결합 또는 롤러부의 회전되는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되지 않은 롤러부의 회전 또는 롤러부의 상,하 유동만으로도 투신자의 투신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장비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투신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교량난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링크부, 롤러부, 회전부, 레그부,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교량난간의 상부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롤러부가 교량난간의 내측 방향으로는 회전하지만, 교량난간의 외측 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가 교량난간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롤러부의 상부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능형 안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지능형 안전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가 교량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의 회전부를 도시한 요부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와 레그부가 탄성부재를 통하여 상,하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가 교량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그부의 일측에 감지센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부의 내측에 램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교량난간(10)의 상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와,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300)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롤러부(200)와,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으로 체결부재(P)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400)와,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단부에 개재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링크부(100)는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지능형 안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교량난간(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링크부(100)와 결합되는 롤러부(200)와 회전부(300)의 유동에도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와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부(100)는 교량난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레그부(400)와의 결합을 통하여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교량난간(10)의 상부에 설치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부(10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바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길이방향의 끝단에는 결합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10)과 대향되는 길이방향의 끝단에는 체결공(12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10)은 체결부재(P)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롤러부(200)와 회전부(3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공(1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P)가 회전부(300)를 관통하며 상기 롤러부(200)에 결합 구성됨으로써, 교량난간(1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링크부(100)의 사이로 상기 롤러부(200)와 회전부(3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120)은 체결부재(P)를 통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레그부(40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공(120)의 일측으로는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 구성되되,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부(20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양측 끝단으로 회전부(300)가 결합되어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를 상호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축봉(210)과, 상기 축봉(2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300)를 통하여 축봉(210)의 외측으로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봉(210)은 상기 롤러몸체(22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몸체(22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부(300)와 양 측 끝단이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봉(210)은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외주연의 일측에 돌출돌기(21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회전부(300)의 고정체(310)와 축봉(210)의 일측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고정체(310)에 형성된 끼움홈(311)의 내측으로 상기 돌출돌기(211)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축봉(210)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부(300)가 축봉(210)의 양측부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축봉(210)은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원형의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213)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회전부(300)의 고정체(310)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체(310)에 형성되는 끼움홈(313)에 상기 축봉(210)의 끼움부(213)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축봉(210)의 양 측부로 회전부(30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220)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축봉(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측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20a)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롤러몸체(220)가 원형의 바 형상을 이루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축봉(210)이 롤러몸체(22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몸체(220)의 외측부를 교량난간(10)을 이용하여 투신하고자 하는 투신자가 원활하게 파지할 수 없는 구성이라면 상기 롤러몸체(220)의 형상과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축봉(210)과 롤러몸체(220)의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롤러몸체(220)가 내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부(300)의 구성을 통하여 일 방향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축봉(210)은 상기 롤러몸체(2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교량난간(10)이 해수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수의 영향에 의하여 장기간 설치된 상태로 있더라도 부식을 일으키지 않으며, 원활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용 및 설치 여건을 감안하여 스테인레스, 철,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부(200)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회전부(300)는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부(200)의 축봉(210)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으로 결합 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부(300)에 결합되는 축봉(210)이 상기 링크부(100)와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 구성됨으로써, 상기 축봉(210)과 회전부(300)의 결합 부위는 링크부(100)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회전을 이루지 않고,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에 결합되는 회전부(300)의 외측이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된 축봉(210)을 중심으로 롤러몸체(220)가 원활한 회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축봉(210)의 외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고정체(310)와, 상기 고정체(3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310)와 회전체(32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고정체(310)를 중심으로 회전체(320)가 일 방향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래치부(330) 및 니들롤러(34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에 결합되는 회전체(320)가 상기 축봉(210)과 결합되는 고정체(310)를 중심으로 일 방향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이루기 위한 상기 래치부(330) 및 니들롤러(340)의 구성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상기 회전체(320)가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종래의 래치구조 및 니들롤러의 구성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310)는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축봉(210)의 돌출돌기(211)가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끼움홈(311)과, 상기 축봉(210)의 고정공(21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P)가 관통 결합 될 수 있는 관통공(31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축봉(210)과 고정체(3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축봉(210)의 돌출돌기(221)가 상기 고정체(310)의 끼움홈(311)에 결합 된 후, 상기 고정공(21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P)가 상기 관통공(312)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312)의 일측에 위치된 링크부(100)의 결합공(110)에 체결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결합공(110)에 체결된 체결볼트(P)를 조절하여 상기 링크부(100), 축봉(210), 고정체(31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루면서도 상기 회전부(300)의 고정체(310)가 상기 롤러몸체(220)와 결합된 회전체(32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310)는 상기에서 설명한 축봉(210)의 끼움부(213)가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313)을 상기 관통공(312)의 일측에 구성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체(310) 및 축봉(210)이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체(310)와 축봉(210)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부(213)와 끼움홈(313)은 상기 끼움홈(313)의 내측으로 끼움부(213)가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루면서도 상기 고정공(212)과 관통공(312)에 결합되는 체결부재(P)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이라면, 상기 끼움부(213)와 끼움홈(313)의 형상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그부(40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 된다.
특히,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와 결합되되, 내측에 탄성부재(500)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링크부(100)가 상기 탄성부재(500)의 구성을 통하여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탄성부재(500)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는 바 형상을 이루는 제1안착돌기(510)와 제2안착돌기(520)가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500)의 제1안착돌기(510)를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500)의 제2안착돌기(52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레그부(400)에 결합되는 링크부(100)가 상기 탄성부재(500)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유동 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에 원활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결합되는 링크부(100)의 결합 부위에는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홈(130)과, 상기 안착홈(13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1안착돌기(510)가 결합 될 수 있는 제2안착홈(1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 탄성부재(500)가 밀착되어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링크부(100)에 결합된 탄성부재(500)의 타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삽입홈(410)과, 상기 제1삽입홈(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2안착돌기(520)가 결합 될 수 있는 제2삽입홈(4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으로 탄성부재(500)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00)의 제1안착돌기(510)가 링크부(100)의 제2안착홈(140)에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상기 링크부(100)의 제1안착홈에 결합되고, 이와 대향되게 위치된 탄성부재(500)의 제2안착돌기(520)가 상기 링크부(100)의 제2삽입홈(420)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상기 링크부(100)의 제1삽입홈에 결합을 이룸으로써,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에 탄성부재(50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안착돌기(510)와 제2안착돌기(52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안착돌기(510)가 결합 된 링크부(100)가 유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스프링(탄성부재)의 복원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1안착돌기(510)의 복원력에 따라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으로 탄성부재(500)를 개재하여 결합한 후에,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롤러부(200)의 상부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부(200)가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하강을 이루며 교량난간(10)의 내측으로 회전을 이루게 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롤러부(200)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고, 이에 따른 압력의 방향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부(200)의 상부로 전달되는 투신자의 압력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가 레그부(400)와 링크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을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부(200)의 상부를 넘어가려는 투신자가 도 7에서와 같은 롤러부(200)의 회전에 의하여 교량난간(10)의 내측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부(200)의 상승하는 힘에 따라 교량난간(1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은 롤러부(200)의 상,하 유동은 상기 롤러부(200)의 상부에 투신자의 무게로 인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도 7에서와 같이, 탄성부재(500)를 통하여 결합되는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유동으로 인하여, 상기 롤러부(200)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롤러부(200)로 전달되는 투신자의 무게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가 상기 탄성부재(500)를 통하여 굽혀진 상태에서 원상태의 위치로 복원을 이룸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부(200)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레그부(400)에는 도시한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이 결합되는 경우, 결합이 이루어지는 링크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100)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안착부(43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착부(43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에 결합되는 링크부(100)의 일측이 밀착되어 결합되고, 결합이 이루어진 레그부(400)를 중심으로 상기 링크부(100)가 유동되는 경우에는 유동을 이루는 링크부(100)의 유동 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롤러부(200)가 투신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상,하 유동을 이루도록 작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링크부(100)가 레그부(400)의 일측에서 과다하게 하강을 이루거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결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지능형 안전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의 제2삽입홈(420)에는 상기 축봉(210)의 고정공(212)과 결합되는 체결부재(P)를 결합할 수 있는 삽입공(421)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으로 체결부재(P)를 결합하여 레그부(400)의 일측으로 탄성부재(500), 링크부(100), 회전부(300), 롤러부(200)가 순차적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한 쌍의 링크부(100) 내측에 축봉(210)과 연결되며 설치되는 롤러몸체(220)의 구성을 도시한 도 8 및 9에서와 같이, 상기 축봉(210)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220a)을 갖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구성한 후 상기 축봉(2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축봉(210)과 결합되는 회전부(300)의 구성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축봉(21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몸체(220) 회전을 통하여 상기 롤러몸체(220)의 상측으로 투신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도 9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롤러몸체(220)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유지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러한 롤러몸체(220)를 적용하는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는 감지센서(60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감지센서(600)는 전선을 통하여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와 연결되게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롤러부(200)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여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감지센서(600)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상기 레그부(400)와 결합을 이루는 링크부(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투신자의 위치확인에 따른 후속조치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구성은 물론이고, 이러한 제어부(700)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제실과 같은 기능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80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램프(800)의 불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다.
이는, 본 발명인 투신방지장치를 교량난간(10)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교량의 외형 변화에 따라 교량의 미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램프(800)의 점등을 통하여 본 발명인 지능형 안전 장치가 설치된 교량(10)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인 지능형 안전 장치를 교량난간(10)에 적용하여 사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파트의 베란다, 옥상의 난간, 빌딩과 같이, 지상에서 이격 된 높이를 가지는 건물 등에도 적용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아파트나 빌딩 등의 투신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교량난간 100:링크부
110: 결합공 120: 체결공
130: 제1안착홈 140: 제2안착홈
200: 롤러부 210: 축봉
211: 돌출돌기 212: 고정공
213: 끼움부 220: 롤러몸체
220a: 관통공 300: 회전부
310: 고정체 311,313: 끼움홈
312: 관통공 400: 레그부
410: 제1삽입홈 420: 제2삽입홈
421: 삽입공 430: 안착부
500: 탄성부재 510: 제1안착돌기
520: 제2안착돌기 P: 체결부재

Claims (5)

  1. 교량난간(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100);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 회전부(300)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100)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200);
    상기 링크부(100)의 하단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레그부(400); 및
    상기 링크부(100)와 레그부(400)의 단부에 개재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10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링크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롤러부(200)의 상부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롤러부(200)가 하강을 이루며 교량난간(10)의 내측으로 회전을 이루게 됨으로써, 투신을 시도하는 투신자의 무게중심 이탈을 기반으로 상기 롤러부(200)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유도하여, 상기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롤러부(20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탄성부재(500)는,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바 형상의 제1안착돌기(510) 및 제2안착돌기(520)가 구비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부(100)는,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홈(130)과, 상기 안착홈(13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1안착돌기(510)가 결합되는 제2안착홈(140)을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400)는,
    상기 링크부(100)에 결합된 탄성부재(500)의 타측이 안착 결합되는 제1삽입홈(410)과, 상기 제1삽입홈(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부재(500)의 일 방향 끝단에 구비된 제2안착돌기(520)가 결합되는 제2삽입홈(420)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100)의 일측이 결합될 시, 결합되는 링크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링크부(100)의 유동을 제어하는 안착부(4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100)는,
    바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공(110); 및
    상기 결합공(110)과 대향되는 길이방향의 끝단에 체결부재(P)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체결공(120)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200)는,
    양측 끝단에 회전부(300)가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100)를 상호 연결하게 설치되는 축봉(210); 및
    상기 축봉(2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300)를 통하여 축봉(210)의 외측으로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몸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축봉(210)의 삽입이 가능한 관통공(220a)을 갖는 원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으로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축봉(210)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체(310); 및
    상기 고정체(3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310)와 회전체(32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체(320)의 일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래치부(330); 및
    니들롤러(340)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축봉(210)은,
    외주연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돌기(211);
    상기 레그부(400), 링크부(10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P)의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공(212); 및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 원형의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310)는,
    상기 돌출돌기(211)가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는 끼움홈(311);
    상기 체결부재(P)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312); 및
    상기 끼움부(213)의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관통공(312)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3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홈(420)에는,
    상기 축봉(210)의 고정공(212)과 결합되는 체결부재(P)가 관통되는 삽입공(421)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안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400)의 일측에는 감지센서(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감지센서(600)는 전선을 통하여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안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220)의 관통공(220a) 내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는 다수개의 램프(80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몸체(220)는 상기 램프(800)의 불빛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안전 장치.
KR1020160010392A 2016-01-28 2016-01-28 지능형 안전 장치 KR10167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392A KR101676482B1 (ko) 2016-01-28 2016-01-28 지능형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392A KR101676482B1 (ko) 2016-01-28 2016-01-28 지능형 안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59A Division KR101676481B1 (ko) 2015-02-25 2015-02-25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920A KR20160103920A (ko) 2016-09-02
KR101676482B1 true KR101676482B1 (ko) 2016-11-23

Family

ID=5694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392A KR101676482B1 (ko) 2016-01-28 2016-01-28 지능형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1768A (zh) * 2018-03-06 2018-08-17 苏州亮磊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基于水上桥梁的智能汽车防护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409B (zh) * 2017-12-21 2023-10-27 香港中文大学(深圳) 一种柔性蠕动攀爬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43B1 (ko) * 2004-05-27 2011-08-04 이윤복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1150457B1 (ko) * 2011-12-28 2012-05-29 (주)한가람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45Y1 (ko) 2002-01-21 2002-05-13 (주)오성건설 교량난간의 자살방지장치
KR100460710B1 (ko) * 2002-09-14 2004-12-08 삼립산업 주식회사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1490116B1 (ko) 2014-07-29 2015-02-05 서희택 투신방지용 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43B1 (ko) * 2004-05-27 2011-08-04 이윤복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1150457B1 (ko) * 2011-12-28 2012-05-29 (주)한가람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1768A (zh) * 2018-03-06 2018-08-17 苏州亮磊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基于水上桥梁的智能汽车防护系统
CN108411768B (zh) * 2018-03-06 2020-07-24 何祥燕 一种基于水上桥梁的智能汽车防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920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481B1 (ko)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KR101676482B1 (ko) 지능형 안전 장치
JP6836555B2 (ja) 墜落防止及び飛び降り自殺防御回転体システム
US3076522A (en) Bridge scaffold apparatus
CA2480354A1 (en) Safety flooring assembly
AU757167B2 (en) Two-way locking device for height safety apparatus
US3586124A (en) Safety ladder for above-ground swimming pool
KR101607652B1 (ko)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20110011926U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쇼어 갱 웨이
KR20170054858A (ko)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장치
WO1994015673A2 (en) Safety trolley restraint system for railroad bridges
KR101526279B1 (ko) 모험 시설용 발판
KR101020501B1 (ko) 난간지주의 안전유리 설치각도 조절장치
EP2392736B1 (fr) Installation de sécurité et de secours pour trappe escamotable automatisée
JP2018042701A (ja) 命綱取付け用ガイド
KR102447799B1 (ko)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200372751Y1 (ko)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KR20080102582A (ko) 월담 방지구를 부착한 다목적 안전 펜스
JP6410690B2 (ja) 落下防止網付き防護柵
NO153113B (no) Sikringsinnretning for aapne kummer o.l. (kuvern)
JP5324366B2 (ja) 下水路系内作業安全装置
KR200367314Y1 (ko) 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FR2729693A1 (fr) Trappe de securite a garde-corps automatique
JP3038456U (ja) 安全手摺自在継手
GB2504462A (en) Rail anchor point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