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751Y1 -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751Y1
KR200372751Y1 KR20-2004-0030215U KR20040030215U KR200372751Y1 KR 200372751 Y1 KR200372751 Y1 KR 200372751Y1 KR 20040030215 U KR20040030215 U KR 20040030215U KR 200372751 Y1 KR200372751 Y1 KR 200372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manhole
fall prevention
fall
preven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희
Original Assignee
문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희 filed Critical 문재희
Priority to KR20-2004-0030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은 추락방지부재가 맨홀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턱에 그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추락방지부재의 타단에는 위험표시부재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추락방지부재는 사다리모양을 하며, 지지턱에 대하여 소정 각도 선회 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표시부재는 높이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추락방지부재에 대하여 소정 각도 선회 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Manhole cover having a safe structure}
본 고안은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 등의 추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노면(路面)에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구멍으로, 관의 굵기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통풍이나 관거(管渠)의 연락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맨홀은 시공하기가 수월한 원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 사각형 ·타원형 등도 사용되고 있다.
맨홀의 입구는 통상적으로 맨홀뚜껑으로 막는다. 통상적으로 맨홀의 입구를 막는 데 사용되는 맨홀뚜껑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뚜껑(200)은 지면에 매설되는 본체(210), 외부덮개(220) 및 내부덮개(23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210)에는 외부덮개(22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턱(211)이 형성되며, 또한, 내부덮개(23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턱(21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210)에는 사람 등이 출입할 수 있는 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은 외력이나 맨홀을 통해 흐르는 하수 등의 범람에 의해 외부로 탈락되어 보행자나 차량 등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맨홀뚜겅을 분실하거나 맨홀뚜껑을 열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 맨홀주위를 지나는 보행자나 차량의 바퀴 등이 맨홀에 빠질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맨홀뚜껑에 추락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맨홀뚜껑의 분실시 등에 보행자 등이 맨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락방지부재에 위험표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맨홀 작업시 별도의 위험표시판이 요구되지 않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맨홀뚜껑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추락방지부재와 지지턱의 선회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추락방지부재와 지지턱의 고정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는 도 1의 맨홀뚜껑의 위험표시부재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도 5의 위험표시부재의 높이조절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추락방지부재와 위험표시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사시도; 및
도 8은 종래기술의 맨홀뚜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맨홀뚜껑 110 : 본체
111 : 제1지지턱 112 : 제2지지턱
113 : 홀 120 : 외부덮개
130 : 추락방지부재 131 : 세로부재
132 : 결합판 135 : 가로부재
140 : 위험표시부재 141 : 프레임
142 : 가이드부재 143 : 결합부재
145 : 높이조절부재 147 : 선회부재
149 : 표지판 150 : 지그
160 : 걸고리 170 : 높이조절버튼
171 : 스프링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맨홀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턱에 그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락방지부재와, 추락방지부재의 타단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험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맨홀뚜껑의 추락방지부재는 사다리모양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부재는 지지턱에 대하여 소정 각도 선회 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표시부재는 추락방지부재에 대하여 높이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력을 갖고 있어 하수 등의 범람시 자립이 가능하다.
또한, 위험표시부재는 추락방지부재에 대하여 소정 각도 선회 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맨홀본체(110), 본체(110)를 덮는 외부덮개(120), 본체(11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락방지부재(130) 및 추락방지부재(13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험표시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맨홀본체(110)를 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사각형 등의 다른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모양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체(110)는 통상적인 맨홀뚜껑의 본체와 동일하며, 그 내벽에 외부덮개(12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턱(111)과 추락방지부재(13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턱(112)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는 그 내부에 사람 등이 드나들 수 있는 홀(113)이 형성된다.
외부덮개(1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며 제1지지턱(111)에 의해 지지된다.
추락방지부재(130)는 세로부재(131)와 가로부재(135)를 갖는 사다리모양을 하며, 추락방지부재(1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부재(131)는 본체(110)의 제2지지턱(112)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락방지부재(130)를 사다리모양으로 구성하였으나 그 모양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추락방지부재(130)의 세로부재(1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측에 철 등으로 만들어지는 결합판(132)이 부착되며, 결합판(132)에는 원형부(133a)와 사각부(133b)로 구성되는 결합홈(133)이 세로부재(131)의 일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지그(150)는 제2지지턱(112)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이때, 볼트(153)가 지그(150)에 형성된 관통홀(153) 및 제2지지턱(112)에 형성된 관통홀(114)을 관통하여 너트(154)와 결합된다.
또한, 지그(150)는 그 일단에 결합홈(133)의 사각부(133b)와 대응하는 결합돌기(151)가 형성되며, 결합홈(133)에 결합돌기(151)이 결합됨으로써 추락방지부재(130)가 지그(150)에 대하여, 또한 제2지지턱(112)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일정각도, 본 실시예에서는 90도로 선회한 추락방지부재(130)는 결합홈(133)의 사각부(133b)에 지그(150)의 결합돌기(151)가 삽입되어 추락방지부재(130)가 더 이상 선회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추락방지부재(130)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추락방지부재(130)의 세로부재(13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타단측에 관통홀(134)이 형성된다. 관통홀(134)에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철재료의 걸고리(160)가 삽입되며 걸고리(160)는 제2지지턱(112)에 형성된 관통홀(115)에 동시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추락방지부재(130)가 본체(11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외력이나 맨홀을 통해 흐르는 하수 등의 범람에 의해 추락방지부재(130)가 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위험표시부재(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모양의 프레임(141), 높이조절부재(145) 및 결합부재(147)를 구비한다.
프레임(141)에는 그 일변에 원통파이프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42)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가이드부재(142)는 높이조절부재(145)가 삽입되어 자유롭게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141)의 양면에는 위험을 알리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표지판(149)을 부착한다. 이로 인해, 하수 등의 역류 등으로 인해 맨홀뚜껑이 열릴 경우 부력에 의해 위험표시부재(140)가 자립하게 되기 때문에 위험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2)가 결합된 프레임(141)의 타측에는 판형의 결합부재(143)를 리벳결합을 통해 고정되게 결합하며, 결합부재(143)에는 관통홀(143a)을 형성한다.
결합부재(143)의 관통홀(143a)에는, 도 6과 같이, 그 내부에 스프링(171)이 게재된 상태로 조절버튼(170)이 결합되며, 조절버튼(170)의 하부는 높이조절부재(145)에 형성되는 다수의 높이조절홈(146)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홈(146)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조절부재(145)의 외주면을 따라 90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높이조절부재(145)가 가이드부재(142)에 대하여 길이조절 뿐만 아니라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조절버튼(170)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조절버튼(170)이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져서 높이조절부재(145)를 결합부재(143)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스프링(171)에 복원력에 의해 조절버튼(170)이 원위치로 회복되고 높이조절부재(145)의 높이조절홈(145)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재(145)가 고정된다.
높이조절부재(145)는 원통파이프로 길이방향과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관통홀(146)이 형성되어 프레임(141)에 결합되며, 이때 가이드부재(142)에 높이조절부재(145)가 삽입된다.
또한, 높이조절부재(145)의 하단에는, 도 7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방지부재(130)의 가로부재(135)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부재(147)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한다.
선회부재(147)는 그 외주면에 "ㄷ"모양의 위치고정홈(148)을 형성하며, 위치고정홈(148)에는 가로부재(135)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136)를 삽입한다. 따라서, 추락방지부재(130), 보다 구체적으로 가로부재(135)에 대하여 일정각도 선회한 위험표시부재(140), 보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재(145)는 위치고정돌기(136)가 위치고정홈(148)의 수평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험표시부재(140)가 추락방지부재(13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맨홀뚜껑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위험표시부재(140) 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험표시부재(140)를 세워서(가로부재(135)에 대하여 선회시켜서)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한편, 맨홀 내부로 사람 등이 출입할 경우에는 걸고리(160)를 위로 당겨 세로부재(131)로부터 분리시킨 후 추락방지부재(130)를 세운(본체(110)에 대하여 선회시킨) 다음 세로부재(131)에 형성된 결합홈(133)의 사각부(133b)에 지그(150)의 결합돌기(151)가 삽입되도록 하여 추락방지부재(130)를 고정시킨다. 또한, 위험표시부재(140)를 세워(가로부재(135)에 대하여 선회시켜)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고안의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고안의 맨홀뚜껑에 의하면, 맨홀뚜껑에 위험을 알리기 위한 위험표시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별도의 위험표시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위험표시부재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 등에 탑승한 경우와 같이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한 사람들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맨홀뚜껑에는 추락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덮개를 열고 작업하거나, 외부덮개가 분실되는 경우에 보행자 또는 차량의 바퀴 등이 맨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수 등의 범람에 의해 외부덮개가 분실되더라도 추락방지부재가 맨홀뚜껑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행자 등이 맨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맨홀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턱에 그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락방지부재; 및
    상기 추락방지부재의 타단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험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재는 사다리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재는 상기 지지턱에 대하여 소정 각도 선회 후 위치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표시부재는 상기 추락방지부재에 대하여 높이 및 방향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표시부재는 상기 추락방지부재에 대하여 소정 각도 선회 후 위치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KR20-2004-0030215U 2004-10-26 2004-10-26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KR200372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215U KR200372751Y1 (ko) 2004-10-26 2004-10-26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215U KR200372751Y1 (ko) 2004-10-26 2004-10-26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751Y1 true KR200372751Y1 (ko) 2005-01-14

Family

ID=4944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215U KR200372751Y1 (ko) 2004-10-26 2004-10-26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75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64B1 (ko) 2008-10-30 2010-03-23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KR101727718B1 (ko) * 2016-11-01 2017-04-18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절첩식 난간
KR102078656B1 (ko) * 2019-10-28 2020-04-0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전자석을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방법
WO2022243585A1 (es) * 2021-05-19 2022-11-24 Martinez Mas Juan Manuel Protección colectiva y señalización de registros en edificación y obra civil
KR200497164Y1 (ko) * 2022-12-06 2023-08-14 오소정 맨홀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용 중간 덮개 잠금장치
KR102630380B1 (ko) * 2022-09-01 2024-01-29 이용운 보행자의 추락방지와 함께 침수 시에 맨홀 위치를 파악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추락방지용 맨홀
KR20240047229A (ko)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테크윌 자립식 추락 위험 경고 표지판과 질식사고 방지 사다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 맨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64B1 (ko) 2008-10-30 2010-03-23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KR101727718B1 (ko) * 2016-11-01 2017-04-18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절첩식 난간
KR102078656B1 (ko) * 2019-10-28 2020-04-07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전자석을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뚜껑 개폐방법
WO2022243585A1 (es) * 2021-05-19 2022-11-24 Martinez Mas Juan Manuel Protección colectiva y señalización de registros en edificación y obra civil
KR102630380B1 (ko) * 2022-09-01 2024-01-29 이용운 보행자의 추락방지와 함께 침수 시에 맨홀 위치를 파악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추락방지용 맨홀
KR20240047229A (ko)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테크윌 자립식 추락 위험 경고 표지판과 질식사고 방지 사다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 맨홀
KR200497164Y1 (ko) * 2022-12-06 2023-08-14 오소정 맨홀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용 중간 덮개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6659A (en) Road excavation cover
KR200372751Y1 (ko)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AU737431B2 (en) Non tippable pop-up caution sign
KR101651876B1 (ko) 맨홀 뚜껑 지지틀 조립체
KR102270400B1 (ko) 다기능 맨홀 출입용 안전 디바이스
KR100725352B1 (ko) 맨홀뚜껑 이탈방지장치
KR102321195B1 (ko)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200354130Y1 (ko) 사다리의 안전장치
KR20010111886A (ko) 하수도 맨홀의 악취 방지장치
US8091292B1 (en) Low force egress and safety apparatus for subterranean window wells
JP2002220820A (ja) 工事穴用筒形安全柵
JP2008019636A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係止部材
KR101104835B1 (ko) 접철식 배수덮개
JP3614841B2 (ja) カーポート
KR200270820Y1 (ko)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맨홀
JPH0632967Y2 (ja) マンホール用防護柵
JP4234577B2 (ja) 車止めポスト
KR101278589B1 (ko)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20090012331U (ko) 맨홀 안전커버
KR102632899B1 (ko) 보행자의 추락방지와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기능을 겸비한 맨홀
KR102664006B1 (ko)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JP3456907B2 (ja) 枠組足場用の足場板補助ボード取付装置
KR20240026658A (ko) 사용성이 향상된 가드레일 안전발판
KR100798228B1 (ko) 지하구조물 출입문에 구비된 지하구조물용 안전장치
KR100937480B1 (ko) 자동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