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764B1 -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764B1
KR100948764B1 KR1020080107382A KR20080107382A KR100948764B1 KR 100948764 B1 KR100948764 B1 KR 100948764B1 KR 1020080107382 A KR1020080107382 A KR 1020080107382A KR 20080107382 A KR20080107382 A KR 20080107382A KR 100948764 B1 KR100948764 B1 KR 10094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coating
raw material
slurr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근
곽치훈
Original Assignee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섬석 코팅 필름은, 레진과 솔벤트를 혼합하여 결합체를 만드는 결합체제조공정과; 결합체에 맥섬석 분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드는 슬러리제조공정과; 기저막을 준비한 후 기저막 위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하여 코팅막을 형성하는 코팅막형성공정과; 코팅막을 숙성 및 건조시켜 코팅 필름을 제조하는 코팅필름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성숙된 과일의 조기 숙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생명체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미네랄 용출율이 높고 중금속 제거 성능이 우수한 맥섬석 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시트, 맥섬석, 코팅, 필름

Description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MAKING METHOD OF MACSUMSUK COATED FILM}
본 발명은 일정한 기저막(종이) 위에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맥섬석과 열전도율이 좋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알루미늄 또는 동재료를 코팅하여 음식물의 신선한 보관, 열전도율을 높여서 침대매트 등에 사용하여 생명체의 성장을 촉진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포장재 및 보호내장재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미네랄 용출율이 높고 중금속 제거 성능이 우수한 맥섬석 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0.76㎛∼1000㎛사이의 파장대를 가진 적외선은 세부적으로 근적외선, 중간적외선, 원적외선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중 원적외선이란 3㎛∼1000㎛사이의 파장대를 가진 적외선으로서 그 중에서 특히 4㎛∼14㎛의 파장(인간신체에 있어서는 8㎛∼12㎛)을 가진 원적외선은 물분자를 활성화 시키고 공명(resonance)을 일으켜서 생명체에 흡수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온 하에서도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방출된 원적외선은 물, 고분자재료, 생체재료에 의해 흡수되어 세포분자를 활성화 하며, 이러한 원적외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것인 매트이다.
따라서, 음식물의 포장재, 생물의 보관용기, 의류나 기타 보호내장재 등에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한다면 매우 신선한 상태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원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전달율을 높여서 에너지절약은 물론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정에서 음식물 등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필름(wrap)으로서 5-15㎛의 두께를 가진 PVC(PolyvinylChloride) 또는 PE(Polyethylene)필름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필름은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음식물을 격리시키거나 음식건조로부터 음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음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기저막 위에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는 맥섬석코팅막을 형성하여 보다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성숙된 과일의 조기숙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맥섬석 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미네랄 용출율이 높고 중금속 제거 성능이 우수한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진과 솔벤트를 혼합하여 결합체를 만드는 결합체제조공정과; 결합체에 맥섬석 분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드는 슬러리제조공정과; 기저막을 준비한 후 기저막 위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하여 코팅막을 형성하는 코팅막형성공정; 코팅막을 숙성 및 건조시켜 코팅 필름을 제조하는 코팅필름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코팅막을 형성 후 롤링 머신을 이용해 코팅막에 광택을 내는 광택공정;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광택이 형성된 코팅막을 절단 가공하는 절단가공공정;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맥섬석 분체는, 맥섬석 원석을 세척기에 투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원료를 소정입경 이하로 조정하는 분급단계와; 분급된 원료에서 중사를 제거하는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와; 중사가 제거된 원료의 수분을 제거하는 침전단계와; 침전된 원료를 미분시키는 미분화단계와; 미분된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거쳐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코팅막을 형성하기 전 또는 후에 알루미늄, 구리 중 선택된 1 ~ 2 종의 슬러리를 기저막에 코팅하는 보조코팅공정이 더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성숙된 과일의 조기숙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미네랄 용출율이 높고 중금속 제거 성능이 우수한 맥섬석 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섬석 코팅 필름은, 맥섬석 나노 분체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발생 율이 높고, 보온 효과가 우수해 과일의 숙성 방지, 건강 유지 및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은, 레진과 솔벤트를 혼합하여 결합체를 만드는 결합체제조공정과; 결합체에 맥섬석 분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드는 슬러리제조공정과; 기저막을 준비한 후 기저막 위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하여 코팅막을 형성하는 코팅막형성공정; 코팅막을 숙성 및 건조시켜 코팅 필름을 제조하는 코팅필름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은, 코팅막을 형성 후 롤링 머신을 이용해 코팅막에 광택을 내는 광택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광택이 형성된 코팅막을 절단 가공하는 절단가공공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맥섬석 분체는, 맥섬석 원석을 세척기에 투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원료를 소정입경 이하로 조정하는 분급단계와; 분급된 원료에서 중사를 제거하는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와; 중사가 제거된 원료의 수분을 제거하는 침전단계와; 침전된 원료를 미분시키는 미분화단계와; 미분된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거쳐 수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막 형성후 알루미늄, 구리 중 선택된 1 ~ 2 종의 슬러리를 코팅하는 보조코팅공정이 더 추가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결합체제조공정
레진과 솔벤트를 혼합하여 결합체를 제조한다.
2. 슬러리제조공정
상기 결합체에 맥섬석 분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다.
슬러리를 형성하기 위한 장비로는 고속도 믹서를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Concentric twin despa machine, Sand mill machine, Line mill machi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맥섬석 분체는,
맥섬석 원석을 세척기에 투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원료를 소정입경 이하로 조정하는 분급단계와;
분급된 원료에서 중사를 제거하는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와;
중사가 제거된 원료의 수분을 제거하는 침전단계와;
침전된 원료를 미분화 및 건조시키는 미분화및건조단계;로 제조된다.
맥섬석 분체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단계는 채광된 원석에는 염분과 세균이나 부식물 등 다량의 유기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의 제거를 위한 공정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석 세척탱크에 투입하여 세척한다.
분급단계는 세척된 재료를 적절한 분급장치에 투입하여 소정입경 이하의 원료만을 분급하여 입경을 조정하다.
원심분리단계는 세척, 분급된 원료는 입경이 유사한 중사(TiO2Zr) 등이 포함되는데 중사는 원적외선의 방사파장이 짧고, 음이온이 발생하지 않으며, 강도도 낮다.
또한 비중이 커서 원료의 하부에 모여 균일한 입자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이를 제거한다.
따라서 비중처리를 수행하여 분급된 원료를 원심사이클론(cyclone)에 넣어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사를 제거한다.
침전단계는 입자를 세척시 청수와 혼합된 상태이므로 죽과 같은 상태로 이송되는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분자 응집제를 투입하면, 청수중에 콜로이드 입자형태로 분산되어 있던 재료는 응집되어 침전한다.
미분화및건조단계는 침전단계에서 침전된 입자를 미분화하는 단계이다.
미분화 및 건조 방법은 원료를 가열기에 넣어 수증기를 투입하여 가열하고, 급랭을 반복하여 수열 분해법을 수용하여 원료입자는 더욱 작은 입경의 미분입자가 된다.
이때 투입되는 수증기는 건조된 원료에 다시 수분이 부착되지 않도록 고온 건조한 과열증기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분급단계에서 소정의 입경 이하로 분급된 재료입자는 미분화 단계에서 수열 분해되므로 분쇄되어 분급된 입경보다 훨씬 작은 입경(약 1㎛이하)이 되어 표면적이 현저하게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미분입자의 표면적은 그 입경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그 표면적이 수열 분해되기 전보다 약 9배정도 증대된다.
또한 수열분해는 가열, 냉각에 따라 원료입자가 팽창, 수축하면서 분쇄되는 것이므로 분쇄된 형태가 불규칙하고, 표면조도가 높아, 가열법에 의해 제조된 동일 입경의 입자보다 표면적이 현저히 증대된다.
상기 미분화된 후 건조된 입자는 부착력이 반발력보다 커서, 쉽게 응집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미분화시킨 재료의 입자가 실제 사용할 때에는 다시 응집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미분화 단계에서 가열된 원료입자에 투입되는 수증기에 별도의 응집 방지제의 혼입이 필요하다.
응집방지제로서는 식물성 유지인 불포화지방산을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로 희석하고, 불포화 지방산의 열분해를 방지하는 염화철 안정제를 미량 첨가하여 혼합한 것이며, 또 상기 첨가된 염화철 안정제는 원료입자 사이에 혼입된 불포화 지방산은 미세한 유막을 형성하여 계면활성제 구실을 수행하여 미분화 된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미분체이면서 상호 응집력이 제거된 상태의 재료는 종래 방법에 의한 입자에 비하여 표면적과 표면조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어서 원적외선 방사량과 음이온의 방사강도가 아주 높을 뿐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월등하게 증대된다.
표 1은 맥섬석의 화학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맥섬석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Content(%) Chemical components Content(%)
SiO2 Al2O3 CaO MgO TiO2 ZrO2 44.55 30.21 6.20 4.76 4.21 1.85 Na2O K2O Fe2O3 P2O 5 MnO - 1.15 0.77 2.62 0.05 0.02 3.61
합 계 100.00
한편, 위와 같은 공정에 소성공정 및 나노분말화 공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소성공정은 약 1200~1250℃의 고온에서 소성한 후 약 3㎛정도로 미분화(微粉化)후 나노 입자화 하면 된다.
삭제
또, 소성공정이 끝난 후 나노분말화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Nano분체화(RESS법, 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 평균입도 0.1㎛) 즉, 초임계 급속팽창(RESS)법은, 구체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임계 급속팽창법을 사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온도나 압력 등의 외부요건의 변화에 의해 용매 용질계의 상평형 을 크게 변화시키는 결정화수법으로 계의 상태를 초임계상태에서 상온상압상태로 변화시키면 초임계유체는 기체가 되므로 용매 용질간의 친화력이 크게 감소하고 고체가 석출한다.
즉 압력을 고압에서 대기압까지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급속하게 변화시키는 급속팽창(RESS, 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법이라고 한다.
RESS법은 원리나 장치가 간단하고 저가이며, 초임계유체에 용해하지 않는 물질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는 초임계유체에 미량의 용매를 첨가하여 용해도의 촉진을 도모하는 실험이 있다.
화학적으로 초임계기체를 반응용매인 경우에는 밀도, 극성, 점성 등의 물성이나 또 용매화의 구조를 온도압력을 조작변수로 함으로 연속적으로 자유로이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반응속도 및 반응경로의 제어가 쉬우며, 저점성, 확산성이 높은 물질에서 이동속도가 기대되며, 임계점 근방에서는 열전도율이 극대를 나타내므로 높은 열 이동속도가 얻어지는 등 반응장으로 이점을 가지고 있다.
RESS법을 위한 장치는, 초임계유체공급부, 용질용해부, 미립자생성회수부로 구성된다.
용매용기에서 공급되는 용매는 정량펌프에 의해 가압되고 예열기를 통해 초임계유체가 된다.
용질이 충진된 용질충진용기를 통과하여 용질을 포화용해 한 초임계유체는 유량조절벨브 또는 미세노즐(내경10~50㎛)를 통하여 분출하고 미립자가 석출한다.
이러한 급속팽창노즐을 이용함으로서 일정압력 및 일정유량에서 장시간 연속조작이 실현가능하고 미립자의 안정생성이 가능하다.
또 팽창전 부분의 온도압력의 측정 및 정밀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생성한 미립자는 나노 미립자 회수장치에 의해 회수된다.
RESS법에 의한 미립자 제조에서는 용질용해부나 미립자생성부의 온도압력, 미립자회수부의 온도, 팽창노즐의 내경길이형태 등 많은 조작인자가 미립자의 입경이나 형태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이들의 조작인자의 변화는 결국 용질의 용해부와 미립자의 생성부 간의 과포화도, 미립자생부에서의 유체의 액상태, 용체팽창시의 유체역학적 효과(剪단력 등)에 관계된다.
RESS법에서는 용질을 용해한 초임계유체는 팽창노즐을 통하여 대기압하에서 팽창된다.
이 팽창과정에서는 용매 용질간의 상평형상태도, 온도압력의 변화에 수반하여 크게 변화하게 된다.
장치내에 설치한 유리셀에 용질을 충진하고 소정의 압력 및 온도로 조정한 이산화탄소를 도입한 후, 시상관찰법에 의해 일정온도에서의 압력변화에 수반하는 고액전이점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다.
RESS법에서는 노즐에서 분사시 급격한 감압에 수반하는 온도저하(쥬울톰슨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팽창전 부분 및 팽창노즐을 가열한다.
이 때에 팽창전부분의 온도압력에 의해서는 상상태가 초임계유채상 혹은 기 액상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얻어지는 미립자의 입경이나 형태에 크게 영향을 준다.
거기서, RESS법에 의한 미립자제조에 대하여 미립자생성부의 상상태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조건은 용질용해부의 온도압력을 각각 308.2K 및 15.0MPa로 하고 미립자 회수부의 온도를 290.8K로 하였다.
이 조건하에서 팽창전 온도를 314.0K 및 332.2K(전자는 팽창전의 상태가 초임계유체상, 후자는 기액상에 대응한다)로 하고 각각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초임계유체상에서 얻어진 미립자는 구상입자이고 1차입자의 최소입경은 50㎚, 평균입경은 280㎚이며 이 입경분포도 아주 좁은 것이었다.
이것은 나노미립자라고 부를 수 있는 레벨의 입경이고 결정사이즈로서는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도 아주 작다.
한편 기액상에서 얻어진 미립자는 초임계유체상에서 얻어진 것과는 달리, 1차입자가 응집하여 그 형상을 판별하기 어려운 것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 1차 입자의 최소입경은 60㎚정도, 평균입경은 480㎚이고, 입경분포도 초입계유체상에서의 것과 비교하면 아주 넓은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초고압을 이용한 시스템은 종래의 기기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나노사이즈로 분쇄분산유화가 가능하며, 복합입자의 제조, 입자의 표면개질, 입자의 형상변화까지 가능하다.
<표 2> 나노입자제조시 사용한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종류 품 명
음이온계 1차고급알킬술폰산염비누외 12종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외 9종
알킬벤젠술폰산염외 7종
알킬벤조이미다졸술폰산염
나프텐산염외 4종
3. 코팅막형성공정
기저막을 준비한 후 기저막 위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하여 코팅막을 형성한다.
기저막으로는, 알루미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 뿐만 아니라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필름과 같은Polyolefins 계의 필름, PVC(Polyvinyl Chloride)필름, PVDC(Polyvinyl Di-Chloride)필름, PS(Polystyrene)필름 등과 같은 플라스틱 화학 필름, 기타 얇은 종이, 얇은 금속호일, 얇은 천 등 기타 얇은 재료들이 본 발명의 기저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중, 열전달과 전자파의 차단목적이라면 알루미늄 필름을 기저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기저막 두께는 10㎛-100㎛가 적합하나 이 두께는 상기 코팅막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방법으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을 기저막(base film)으로서 준비한 다음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맥섬석 재료의 슬러리(40-45㎛)를 기저막 위에 코팅한다.
이때, 슬러리를 코팅하기 전에, 전자파를 차당하고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 늄 슬러리 또는 구리 슬러리를 PET 필름 위에 코팅(도포량 35㎛)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저막의 두께는 10㎛-30㎛로 함이 바람직하며 원적외선 맥섬석 코팅막의 두께는 40-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께는 상기 원적외선 맥섬석 코팅막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만일 상기의 제품을 가지고 음식물을 포장(wrapping)하는데 사용한다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맥섬석 재료가 주변에너지를 흡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어 방출된 원적외선은 음식물을 관통하게 되고 음식물내의 세포분자를 활성화하게 됨으로서 음식물을 보다 오랜 시간동안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위의 두께로 원적외선 맥섬석 재료의 슬러리를 PET필름 위에 코팅하는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장치로 수행하기엔 쉽지가 아니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대한 정밀한 코팅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코팅필름제조공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팅막을 숙성 및 건조시켜 코팅 필름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코팅 필름 제조 공정에서, 코팅막을 형성 후 롤링 머신을 이용해 코팅막에 광택을 내는 광택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 광택공정 후 광택이 형성된 코팅막을 절단 가공하는 절단가공공정이 추 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모든 공정에 보조코팅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보조코팅공정은, 코팅막 형성후 알루미늄, 구리 중 선택된 1 ~ 2 종의 슬러리를 코팅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
먼저, 50 ㎛PET(Polyethylene Telephthalate, 폴리에칠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텔 고분자 수지, PET film 종류 : A-PET 또는 C-PET)단면에 동색상 코팅(2액형 잉크, 80℃, 40m/min)을 수행했다.
그런 다음, 50㎛PET 인쇄분을 숙성(점착제, 경화제, 40℃, 2일)하였다.
한편, 35㎛알루미늄과 이형지 합지작업(도포량 35㎛, 120-130℃, 20-25m/min)을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35㎛알루미늄과 이형지 합지분을 숙성(40℃, 2일, 점착제, 경화제)하였다.
맥섬석분말을 준비한 후 맥섬석분말과 구리, 점착제를 혼합한 후 밀링 및 분산가공작업(1/10㎛화)을 수행하였다.
분산가공된 분말을 50㎛PET인쇄과 35㎛알루미늄 이형지 합지분에 합지(도포량 40-45㎛)하였다.
*그런 후 이형지 숙성(40℃, 2일)을 수행하였다.
한편, 50㎛PET와 35㎛알루미늄사이에 접착은 알루미늄의 전면에 접착하였다.
<실험예 1> 과일 부패 소요시간 검사
딸기가 담긴 합성수지 과일상자를 두 개 준비한 후 표면에 실시예1에서 제조된 코팅 필름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필름을 비교군으로 선택하여 상부에 덮은 후 부패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3> 과일 부패 시간
부패소요시간
비교군 8일
실시예1 15일
상기 실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필름이 음식물을 보다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성분 분석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코팅 필름을 SEM(JEOLJSM-6400, JAPAN)으로 분석하고, Si, Al, Ti, P, Ca, Mg, K, Fe, Mn, Cu, As, Cd, Pb 등의 원소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Jobin Yvon JY 38 plus, France)에 의하여 분석하되, 코팅 필름을 350 ㎖ 삼각플라스크에 시료와 증류수를 무게비로 0.5, 1.0, 1.5, 2.0 %가 되도록 달아넣고 분석하여 용출되는 무기질을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냈다.
<표 4> 성분 분석표
구성 함량(wt %)
SiO2 68.91
Al2O3 11.70
Fe2O3 1.50
MgO 1.70
K2O 2.19
Ca 2.18
Na 3.51
Na2O 7.80
Ig-loss 0.51
Mn ND
Cu ND
As ND
Cd ND
Pb ND
상기 분석 결과 본 발명의 코팅 필름은 미네랄의 용출율이 높고, Mn, Cu, As, Cd, Pb 등은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Fe는 음용수 수질기준보다 낮게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맥섬석 코팅 필름은 가정용 매트나 이불재료로도 사 용되어 질 수 있고 책상이나 의자와 같은 가구류, 학생용 가방이나 플라스틱 패드와 같은 학생용 문구류 등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 공정도.
도 2는 맥섬석 분체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낸 그래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레진과 솔벤트를 혼합하여 결합체를 만드는 결합체제조공정과;
    상기 결합체에, 맥섬석 원석을 세척기에 투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원료를 소정입경 이하로 조정하는 분급단계와, 분급된 원료에서 중사를 제거하는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와, 중사가 제거된 원료의 수분을 제거하는 침전단계와, 침전된 원료를 미분시키는 미분화단계와, 미분된 원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거쳐 수득된 맥섬석 분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드는 슬러리제조공정과;
    기저막을 준비한 후 기저막 위에 상기 슬러리를 코팅하여 코팅막을 형성하는 코팅막형성공정;
    롤링 머신을 이용해 상기 코팅막에 광택을 내는 광택공정;
    상기 광택이 형성된 코팅막을 절단 가공하는 절단가공공정;
    상기 코팅막을 숙성 및 건조시켜 코팅 필름을 제조하는 코팅필름제조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코팅막을 형성하기 전 또는 후에 알루미늄, 구리 중 선택된 1 ~ 2 종의 슬러리를 기저막에 코팅하는 보조코팅공정이 더 추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80107382A 2008-10-30 2008-10-30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KR10094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382A KR100948764B1 (ko) 2008-10-30 2008-10-30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382A KR100948764B1 (ko) 2008-10-30 2008-10-30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764B1 true KR100948764B1 (ko) 2010-03-23

Family

ID=421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382A KR100948764B1 (ko) 2008-10-30 2008-10-30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239A1 (ko) * 2018-12-20 2020-06-25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 과립 항균 플라스틱 마스터배치 제조 방법
RU2782260C1 (ru) * 2018-12-20 2022-10-25 МАКСУМСУК ДжиЭм КО., ЛТД.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й пластиковой маточной смес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гранул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892Y1 (ko) 1999-11-25 2000-08-16 주식회사진성 기능성 마스크
KR100404456B1 (en) 2002-11-29 2003-11-05 Macsumsuk General Medical Co L Method for making far infrared ray-emitting ceramics for coating roasting plate
KR20040050153A (ko) * 2002-12-09 2004-06-16 김순옥 기능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72751Y1 (ko) 2004-10-26 2005-01-14 문재희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892Y1 (ko) 1999-11-25 2000-08-16 주식회사진성 기능성 마스크
KR100404456B1 (en) 2002-11-29 2003-11-05 Macsumsuk General Medical Co L Method for making far infrared ray-emitting ceramics for coating roasting plate
KR20040050153A (ko) * 2002-12-09 2004-06-16 김순옥 기능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72751Y1 (ko) 2004-10-26 2005-01-14 문재희 안전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239A1 (ko) * 2018-12-20 2020-06-25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 과립 항균 플라스틱 마스터배치 제조 방법
RU2782260C1 (ru) * 2018-12-20 2022-10-25 МАКСУМСУК ДжиЭм КО., ЛТД.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й пластиковой маточной смес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грану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nalan et al. Nanocomposite films and coatings using inorganic nanobuilding blocks (NBB):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opportunities in the food packaging sector
Qi et al. Hydroxyapatite hierarchically nanostructured porous hollow microspheres: rapid, sustainable microwave‐hydrothermal synthesis by using creatine phosphate as an organic phosphorus source and application in drug delivery and protein adsorption
JP4063464B2 (ja) 鱗片状シリカ粒子、硬化性組成物、それからなる硬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Tunç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methyl cellulos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films
Youssef Polymer nanocomposites as a new trend for packaging applications
ES2364211B1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partículas de filosilicatos laminares con tamaño controlado y productos obtenidos por dicho proceso.
KR20210069082A (ko) 리펄핑 가능한 절연 종이 제품 및 이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Cheng et al. Kaolinite nanomaterials: prepar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 applications
JP2009531267A (ja) 粒子状無機材料の製造方法
Molki et al. Properties investigation of polyvinyl alcohol barrier films reinforced by calcium carbonate nanoparticles
Cabedo et al. Inorganic-based nanostructures and their use in food packaging
Thiyagu et al. Effect of nanosilica and neem tree oil on antimicrobial,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insulate of biodegradable composite film
KR100948764B1 (ko) 맥섬석 코팅 필름 제조방법
TW200405901A (en) Agglomerate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im et al. Grinding characteristics of crystalline graphite in a low-pressure attrition system
ES2320617B1 (es) Nuevos materiales nanocompuestos con propiedades de bloqueo de la radiacion electromagnetica infrarroja, ultravioleta y visible y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on.
Foud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nO nanoparticles for antibacterial paints
US5393716A (en) Process for producing anti-blocking compositions
JP7316239B2 (ja) カーボンブラック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27880A (zh) 一种环保凹凸棒石吸附/干燥剂的制备工艺
Ge et al. The morphological control of anisotropic polystyrene/silica hybrid particles prepared by radiation miniemulsion polymerization
Madani et al. Magnetic polystyrene nanocapsules with core-shell morphology obtained by emulsifier-free miniemulsion polymerization
JP2003253141A (ja) 樹脂用配合剤
CN106046421A (zh) 一种改性纳米碳酸钙的制备方法
KR20010053271A (ko)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로이루어진 2축 배향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