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746B1 -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746B1
KR102434746B1 KR1020220050674A KR20220050674A KR102434746B1 KR 102434746 B1 KR102434746 B1 KR 102434746B1 KR 1020220050674 A KR1020220050674 A KR 1020220050674A KR 20220050674 A KR20220050674 A KR 20220050674A KR 102434746 B1 KR102434746 B1 KR 10243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icide
rail
rotating
fal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만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22005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746B1/ko
Priority to PCT/KR2023/005541 priority patent/WO20232110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또는 신설 난간에 결합되어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난간기둥들에 결합되는 지주본체들; 상기 지주본체들에 상하로 서로 이격되면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지부들; 상기 가지부들의 전방 단부에 회전축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일들;을 포함하고, 지주본체의 단면을 개선하고, 회전레일들의 간격을 최적으로 선택함과 동시에 레일결합구조를 개선한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이다.
본 발명은 지주본체의 단면을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재료가 절약될 뿐 아니라 큰 하중에도 견고히 잘 견디고,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지주본체나 가지부를 잡을 수 없을 뿐 아니라, 회전부재 상측이나 사이로 넘어갈 수 없어, 투신 및 자살 시도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레일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비용이 절감되고, 베어링의 설치가 신속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 빗물이 베어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회전레일에 작용하는 큰 하중에 잘 견디며, 곡선교량에서와 같이 회전레일들의 설치 방향이 점차 변화하는 경우에도 회전레일의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FALL AND SUICIDE PREVENTION SAFETY DEVICE WITH IMPROVED RESCUE PERFORMANCE}
본 발명은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구조물이나 신규 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 설치하여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량 등에서 투신자살·추락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로 교량 등의 가장자리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량 난간은 그 높이가 낮아, 사람이 비교적 쉽게 넘을 수 있어,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펜스를 넘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상기 펜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88906호, '보안, 월담, 추락, 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도 1a, 1b 참조). 이 종래기술은 '지지부(110, 110');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파이프(121)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22)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어링(123)과, 상기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어링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하우징캡(124)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25, 12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는 제1부(125a)와, 상기 제1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부(125b)와, 상기 제2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제3부(125c, 125c')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본체부(112)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제2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3부가 삽입되는 공간인 제1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삽입부(113)와, 상기 삽입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마감하며 내부에 상기 제2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3부가 삽입되는 공간인 제2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지지캡(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공간과 상기 제2삽입공간은, 상기 제2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3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캡은, 상기 제2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3부가 상기 제1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제2부의 일부분과 상기 제3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청구항 1 참조)'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지지부(110, 110')를 기존 난간에 고정하는 부분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하측으로 흘러내리거나, 차량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또는 고정시 기존의 난간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110, 110')의 삽입부(113)가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규격이 상이한 체결부재(125, 125')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부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또한 회전부와 결합된 체결부재를 삽입부에 고정하는 경우 무거운 회전부재를 작업원이 들고 있는 상태에서 체결하여야 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어려우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삽입부의 파손시 지지부까지 모두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부(120) 사이 간격이 넓어,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회전부재 사이로 지지부를 잡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폴리카보네이트부를 설치하거나, 지지부에 별도의 돌기를 형성함에 따른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121) 단부에 마감캡이 없어 일반 통행자가 파이프(121)의 단부를 손으로 만졌을 때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889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32119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주본체의 단면을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재료가 절약될 뿐 아니라 큰 하중에도 견고히 잘 견디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최 상측의 회전레일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 사이 간격, 최 하측의 회전레일과 그 하측의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 위에서 두번째 회전레일에서 맨 하측 회전레일 까지의 회전레일들 상호간의 간격 등을 최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지주본체나 가지부를 잡을 수 없을 뿐 아니라, 회전부재 상측이나 사이로 넘어갈 수 없어, 투신 및 자살 시도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레일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마감캡하우징이 회전레일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덮어 통행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회전레일을 회전축샤프트에 결합하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비용이 절감되고, 베어링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베어링의 설치가 신속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 빗물이 베어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회전레일에 작용하는 큰 하중에 잘 견디며, 곡선교량에서와 같이 회전레일들의 설치 방향이 점차 변화하는 경우에도 회전레일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는, 기존 또는 신설 난간에 결합되어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난간기둥들에 결합되는 지주본체들; 상기 지주본체들에 상하로 서로 이격되면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지부들; 상기 가지부들의 전방 단부에 회전축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일들이 회전함에 따라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주본체를 상기 난간기둥에 결합하는 기둥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결합구조는, 상기 지주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난간기둥을 배면에서 감싸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 사이에 상기 난간기둥을 삽입한 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주본체를 상기 난간기둥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또는/및 베이스플레이트커버 내측에 구비되는 고무가스켓을 포함하여 상기 난간기둥에 손상을 주지 아니할 뿐 아니라 상기 지주본체가 상기 난간기둥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의 상호 결합은 풀림방지와셔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지주본체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감소하여 재료가 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주본체는 전후로 폭이 넓은 웨브와 상기 웨브의 후방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지부들은 상기 지주본체의 웨브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가지웨브와 상기 가지웨브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지부들의 전방 단부에 상기 회전축샤프트를 결합하는 샤프트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결합구조는, 상기 가지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확장된 평면 형상의 가지결합면, 상기 가지결합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체결부와, 상기 샤프트체결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체결부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체결부와 체결부마감캡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체결부는 상기 가지결합면에 상응하는 평면 형상으로 상기 가지결합면에 결합되는 샤프트결합면과, 상기 샤프트결합면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축샤프트의 배면이 안착되는 호면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샤프트의 단면 이상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가 삽입 안착되는 샤프트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마감캡은 상기 샤프트삽입부의 전방을 덮는 마갑캡과, 상기 마감캡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삽입부의 내측에 긴밀히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에 전면에 밀착되는 호면을 포함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들 중 최 상측의 회전레일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 사이 간격은 5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상기 최 상측의 회전레일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의 사이로 상기 지주본체나 가지부를 잡을 수 없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들 중 최 하측의 회전레일과 그 하측의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은 1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상기 최 하측의 회전레일과 그 하측의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에 발을 디딜 수 없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들 중 위에서 두번째 회전레일에서 맨 하측 회전레일 까지의 회전레일들 상호간의 간격은 15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회전레일들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들 중 최 상측의 회전레일은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와 내측으로 함몰된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부와 요부는 모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부의 외측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요부의 내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을 상기 회전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구조는 상기 회전레일의 단부를 덮는 마감캡하우징, 상기 마감캡하우징의 중앙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는 상기 베어링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하우징은 상기 회전레일의 단부 둘레에 밀착되는 외부링, 상기 외부링의 중앙쪽에 구비되는 내부링, 상기 외부링에서 내부링까지 깔떼기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연결링, 상기 연결링과 내부링의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베어링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내부링, 베어링하우징 및 베어링덮개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링과 연결링과 베어링하우징의 내측을 연결하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연결링과 내부링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빗물유입차단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빗물유입차단링의 단부둘레에 테두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본체의 단면을 상측으로 갈수록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재료가 절약될 뿐 아니라 큰 하중에도 견고히 잘 견딜수 있다.
또한, 최 상측의 회전레일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 사이 간격, 최 하측의 회전레일과 그 하측의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 위에서 두번째 회전레일에서 맨 하측 회전레일 까지의 회전레일들 상호간의 간격 등을 최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지주본체나 가지부를 잡을 수 없을 뿐 아니라, 회전부재 상측이나 사이로 넘어갈 수 없어, 투신 및 자살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마감캡하우징이 회전레일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덮어 통행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회전레일을 회전축샤프트에 결합하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비용이 절감되고, 베어링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베어링의 설치가 신속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 빗물이 베어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회전레일에 작용하는 큰 하중에 잘 견디며, 곡선교량에서와 같이 회전레일들의 설치 방향이 점차 변화하는 경우에도 회전레일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 1a, 1b는 종래기술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기둥결합구조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지주본체 및 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샤프트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샤프트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회전축샤프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샤프트결합구조에 회전축샤프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최 상측 회전레일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에 베어링이 설치된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에 베어링덮개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에 의해 회전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기둥결합구조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지주본체 및 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샤프트결합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샤프트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회전축샤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샤프트결합구조에 회전축샤프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최 상측 회전레일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에 베어링이 설치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의 마감캡하우징에 베어링덮개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레일결합구조에 의해 회전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는, 기존 또는 신설 난간에 결합되어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난간기둥(2)들에 결합되는 지주본체(10)들; 상기 지주본체(10)들에 상하로 서로 이격되면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지부(12)들; 상기 가지부(12)들의 전방 단부에 회전축샤프트(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일(30)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일(30)들이 회전함에 따라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본체(10)들은 이미 시공되어 사용중인 기존 난간의 난간기둥(2)에 결합되거나, 또는 안전난간과 함께 시공되는 신설 난간의 난간기둥(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주본체(10)는 난간기둥(2)마다 결합하거나, 하나 또는 둘 건너 결합될 수 있다. 지주본체(10)들은 상하 방향으로 곧게 형성되거나, 전방으로 일정 각도록 경사지거나,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서서히 굽거나, 후방으로 일정 각도록 경사지거나,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서서히 굽거나, 중간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등 현장 상황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 전면 등은 교량의 경우 차도쪽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 배면 등은 차도 반대쪽을 지칭한다.
가지부(12)들은 지주본체(10)의 전방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지부(12)들은 2개이상 형성될 수 있다. 가지부(12)들의 길이는 상측으로 갈수록 길어지거나, 상측으로 갈수록 짧아지거나, 길어졌다 짧아지거나, 짧아졌다 길어지거나 어느 것도 가능하다.
지주본체(10)의 높이와 절곡 형상, 가지부(12)이 개수와 길이 등에 대한 다양한 형상은 도 16a 내지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레일(30)들은 인접한 가지부(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지부(12)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축샤프트(50)는 가지부(12)의 단부에 결합되고, 회전레일(30)은 회전축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회전레일(30)을 잡는 경우 회전레일(30)이 회전함에 따라 안전난간을 넘어 투신 및 자살을 시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지주본체(10)를 상기 난간기둥(2)에 결합하는 기둥결합구조는, 상기 지주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난간기둥(2)을 배면에서 감싸는 베이스플레이트(2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2)는 지주본체(10)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거나 지주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2)는 난간기둥(2)의 형상에 대응한다. 즉, 난간기둥(2)이 사각형인 경우 베이스플레이트(22)는 난간기둥(2)의 배면을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는 평판 형상이거나 난간기둥(2)을 전면에서 감싸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2)이 원형인 경우 베이스플레이트(22)는 난간기둥(2)의 배면을 감싸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 역시 전면을 감싸는 반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 사이에 상기 난간기둥(2)을 삽입한 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주본체(10)를 상기 난간기둥(2)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 또는/및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 내측에 구비되는 고무가스켓(26)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가스켓(26)은 별개의 부재로 삽입되거나 또는 베이스플레이트(22)나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 내측에 코팅되거나 접착제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고무가스켓(26)은 지주본체(10)가 결합될 때 난간기둥(2)에 손상을 주지 아니할 뿐 아니라, 지주본체(10)가 상기 난간기둥(2)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무가스켓(26)은 통행하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24)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재인 볼트에는 풀림방지와셔를 포함하여 풀림이 방지되게 할 수 있다. 교량 등의 경우 차량에 의한 진동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므로, 풀림방지와셔는 상기 차량 진동에 의한 볼트의 풀림을 잘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주본체(1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을 점차 감소시켜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즉, 휨모멘트 등이 작게 작용하는 상측의 단면을 작게하고, 크게 작용하는 하측의 단면을 크게 하여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면의 감소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거나, 또는 상측 일정 지점의 상부에서만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지주본체(10)는 전후로 폭이 넓은 웨브와 상기 웨브의 후방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주본체(1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면의 감소는 웨브 또는 리브에서만 감소하거나, 또는 웨브와 리브에서 동시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가지부(12)들은 상기 지주본체(10)의 웨브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가지웨브와 상기 가지웨브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지부(12)들은 T자 형상 또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지부(12)들 역시 전방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할 수 있다.
웨브와 리브를 포함하는 지주본체(10) 및 가지부(12)는 비틀림 저항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가지부(12)들의 전방 단부에 상기 회전축샤프트(50)를 결합하는 샤프트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샤프트(50)는 가지부(12)들의 단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회전레일(30)에 삽입되어 회전레일(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샤프트(5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므로, 이탈방지를 위한 별도의 형상이 불필요하여 가공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결합구조는, 상기 가지부(12)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확장된 평면 형상의 가지결합면(42), 상기 가지결합면(42)에 결합되는 샤프트체결부(44)와, 상기 샤프트체결부(44)의 전방에 결합되는 체결부마감캡(46)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50)는 상기 샤프트체결부(44)와 체결부마감캡(46) 사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가지결합면(42)은 가지부(12)의 단부에서 확장된 평면으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상하에 하나 이상씩 작용하중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지결합면(42)에 형성되는 구멍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의 미소한 조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체결부(44)는 상기 가지결합면(42)에 상응하는 평면 형상으로 상기 가지결합면(42)에 결합되는 샤프트결합면(442)과, 상기 샤프트결합면(442)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축샤프트(50)의 배면이 안착되는 호면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샤프트(50)의 단면 이상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50)가 삽입 안착되는 샤프트삽입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샤프트결합면(442)은 가지결합면(4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결합면(442)에는 가지결합면(42)과 동일한 위치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결합면(442)과 가지결합면(42)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호 끼워 맞출 수 있는 끼움요부와 끼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끼움요부와 끼움돌부는 샤프트결합면(442)을 가지결합면(42)의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되게 하여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상호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샤프트삽입부(444)는 샤프트결합면(442)의 전방에 전방이 개방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내부에는 회전축샤프트(50)의 배면이 안착되는 호면 예컨데 반호면을 포함하여 회전축샤프트(5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샤프트삽입부(444)는 회전축샤프트(50)의 단면 이상 전방으로 연장되어 회전레일(30)이 결합된 회전축샤프트(50)를 설치한 경우 저절로 떨어지지 아니함으로써, 작업자가 회전레일(30)을 지지하지 아니하고도 후속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마감캡(46)은 상기 샤프트삽입부(444)의 전방을 덮는 마감캡(462)과, 상기 마감캡(462)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삽입부(444)의 내부 즉, 회전축샤프트(50)가 삽입되는 부분에 긴밀히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50)에 전면에 밀착되는 호면을 포함하는 밀착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마감캡(46)은 마감캡(462)이 샤프트삽입부(444)의 전면에 접하고, 밀착부(464)는 샤프트삽입부(444)의 내부에 긴밀히 삽입되고, 동시에 회전축샤프트(50)의 전면에 밀착됨으로써 회전축샤프트(5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볼트 등의 체결부재는 체결부마감캡(46)의 마감캡(462)과 밀착부(464) 및 회전축샤프트(50)를 관통하여 샤프트체결부(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30)들 중 최 상측의 회전레일(30)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30) 사이 간격은 5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상기 최 상측의 회전레일(30)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30) 사이로 상기 지주본체(10)나 가지부(12)를 잡을 수 없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회전레일(30)들이 회전하는 상황에서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안전난간을 넘고자 하는 경우 가능한 상측의 지주본체(10)나 가지부(12)를 잡게되는데, 본 실시예는 상측의 지주본체(10)나 가지부(12)를 잡지 못하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를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레일(30)들 중 최 하측의 회전레일(30)과 그 하측의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은 1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상기 최 하측의 회전레일(30)과 그 하측의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에 발을 디딜 수 없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투신 및 자살 시도자는 안전난간을 넘기 위해 상부를 손으로 잡음과 동시에 하부 어딘가에 발을 디뎌야 하는데 본 실시예는 발을 디딜 수 있는 공간을 배제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레일(30)들 중 위에서 두번째 회전레일(30)에서 맨 하측 회전레일(30) 까지의 회전레일(30)들 상호간의 간격은 15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어린아이라 하더라도 회전레일(30)들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30)들 중 최 상측의 회전레일(30)은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32)와 내측으로 함몰된 요부(34)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돌부(32)와 요부(34)가 반복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동자가 주로 잡게 되는 최 상측의 회전레일(3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돌부(32)와 요부(34)는 모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부(32)는 외측으로 볼록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요부(34)는 외측으로 볼록하면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예컨데, 돌부(32)는 곡율반경이 작으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요부(34)는 곡율반경이 크면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돌부(32)와 요부(34)가 모두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은 외력에 의한 굽힘, 찌글어짐, 비틀림 등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돌부(32)의 외측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리브(322)가 회전레일(3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요부(34)의 내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리브(342)가 회전레일(3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리브(322)와 내측리브(342)는 회전레일(3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측으로 볼록한 돌부(32)와 요부(34), 외측리브(322) 및 내측리브(342)로 인하여 동일한 재료의 다른 회전레일(30)에 비해 휨, 찌글러짐 등에 대한 강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외측리브(322)는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회전레일(30)을 잡기 어렵게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일(30)을 상기 회전축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결합구조는, 상기 회전레일(30)의 단부를 덮는 마감캡하우징, 상기 마감캡하우징의 중앙에 설치되는 베어링(6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50)는 상기 베어링(64)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하우징은 상기 회전레일(30)의 단부 둘레에 밀착되는 외부링(622), 상기 외부링(622)의 중앙쪽에 구비되는 내부링(623), 상기 외부링(622)에서 내부링(623)까지 깔떼기 형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연결링(624), 상기 연결링(624)과 내부링(623)의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하우징(626), 상기 베어링하우징(626)의 내측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베어링덮개(62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64)은 상기 내부링(623), 베어링하우징(626) 및 베어링덮개(627)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마감캡하우징은 전체적으로 회전레일(30)의 단부를 덮음으로써, 회전레일(30)의 내측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통행자가 회전레일(30)을 손으로 만지더라도 상해를 입을 염려가 없다.
외부링(622)은 회전레일(30)의 단부에 밀착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나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외부링(622)의 내측에는 둘레방향으로 끼움부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끼움부들은 회전레일(30)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짐으로써, 마감캡하우징와 회전레일(30)의 구조적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회전레일(30)이 단부에서 내측으로 찌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628)들 역시 회전레일(30)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짐으로써, 마감캡하우징와 회전레일(30)의 구조적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회전레일(30)이 단부에서 찌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링(623)은 외부링(622)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베어링(64)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링(623)의 중앙에는 회전축샤프트(50)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624)은 외부링(622)과 내부링(623)을 연결하는 것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깔떼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링(624)은 내측으로 오목한 깔떼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베어링(64)을 빗물 등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회전축샤프트(50)의 노출을 최소화 시켜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회전축샤프트(50)나 가지부(12)를 잡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깔떼기 형상은 외부링(622), 내부링(623), 베어링하우징(626), 빗물유입차단링(629) 등과 함께 회전레일(30)과 회전축샤프트(50)의 연결부위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626)은 상기 연결링(624)과 내부링(623)의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이 베어링하우징(626)의 내측에 베어링(6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622)과 연결링(624)과 베어링하우징(626)의 내측을 연결하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62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628)들은 마감캡하우징의 강성을 더욱 증가시켜 회전레일(30)과 회전축샤프트(50)의 연결부위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베어링덮개(627)는 상기 베어링하우징(626)의 내측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어링덮개(627)는 베어링하우징(626) 또는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628)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덮개(627)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연결링(624)과 내부링(623)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빗물유입차단링(6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링(622)과 연결링(624)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빗물유입차단링(629)에 의해 베어링(64) 내부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빗물유입차단링(629)에서 하측으로 낙하함으로써, 베어링(64)을 잘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차단링(629)의 단부둘레에 테두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 테두리는 빗물이 베어링(64)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난간기둥
10: 지주본체
12: 가지부
22: 베이스플레이트
24: 베이스플레이트커버
26: 고무가스켓
30: 회전레일
32: 돌부
322: 외측리브
34: 요부
342: 내측리브
42: 가지결합면
442: 샤프트결합면
444: 샤프트삽입부
462: 마감캡
464: 밀착부
50: 회전축샤프트
622: 외부링
623: 내부링
624: 연결링
626: 베어링하우징
627: 베어링덮개
628: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
629: 빗물유입차단링
64: 베어링

Claims (10)

  1. 기존 또는 신설 난간에 결합되어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난간기둥들에 결합되는 지주본체들;
    상기 지주본체들에 상하로 서로 이격되면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지부들;
    상기 가지부들의 전방 단부에 회전축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일들이 회전함에 따라 투신자살·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레일을 상기 회전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결합구조는 상기 회전레일의 단부를 덮는 마감캡하우징, 상기 마감캡하우징의 중앙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샤프트는 상기 베어링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상기 마감캡하우징은 상기 회전레일의 단부 둘레에 밀착되는 외부링, 상기 외부링의 중앙쪽에 구비되는 내부링, 상기 외부링에서 내부링까지 깔떼기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연결링, 상기 연결링과 내부링의 연결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는 베어링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내부링, 베어링하우징 및 베어링덮개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외부링과 연결링과 베어링하우징의 내측을 연결하면서 내측으로 돌출된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과 내부링의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빗물유입차단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캡하우징보강리브들은 상기 회전레일의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마감캡하우징과 상기 회전레일의 구조적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회전레일이 단부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본체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감소하여 재료가 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주본체는 전후로 폭이 넓은 웨브와 상기 웨브의 후방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들 중 최 상측의 회전레일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 사이 간격은 5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상기 최 상측의 회전레일과 그 바로 하측의 회전레일의 사이로 상기 지주본체나 가지부를 잡을 수 없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들 중 최 하측의 회전레일과 그 하측의 상기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은 1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상기 최 하측의 회전레일과 그 하측의 기존 또는 신설 난간의 상면과의 사이에 발을 디딜 수 없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들 중 위에서 두번째 회전레일에서 맨 하측 회전레일 까지의 회전레일들 상호간의 간격은 150mm이하로 하여,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회전레일들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투신 및 자살 시도가 용이하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50674A 2022-04-25 2022-04-25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3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74A KR102434746B1 (ko) 2022-04-25 2022-04-25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PCT/KR2023/005541 WO2023211087A1 (ko) 2022-04-25 2023-04-24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74A KR102434746B1 (ko) 2022-04-25 2022-04-25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746B1 true KR102434746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674A KR102434746B1 (ko) 2022-04-25 2022-04-25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4746B1 (ko)
WO (1) WO20232110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87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651A (ja) * 2005-05-24 2007-01-11 Tanaka Seisakusho:Kk 転落防止用手すり
JP2010248771A (ja) * 2009-04-15 2010-11-04 Foodei Planning:Kk 乗越え防止手摺棒
KR20160103853A (ko) * 2015-02-25 2016-09-02 김희섭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KR101891772B1 (ko) * 2017-07-26 2018-08-24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20190053533A (ko) * 2017-11-10 2019-05-20 이관궁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90101530A (ko) * 2018-02-23 2019-09-02 이관궁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KR20210059452A (ko) * 2019-11-15 2021-05-2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20210110935A (ko) * 2020-03-02 2021-09-10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651A (ja) * 2005-05-24 2007-01-11 Tanaka Seisakusho:Kk 転落防止用手すり
JP2010248771A (ja) * 2009-04-15 2010-11-04 Foodei Planning:Kk 乗越え防止手摺棒
KR20160103853A (ko) * 2015-02-25 2016-09-02 김희섭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KR101891772B1 (ko) * 2017-07-26 2018-08-24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20190053533A (ko) * 2017-11-10 2019-05-20 이관궁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90101530A (ko) * 2018-02-23 2019-09-02 이관궁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KR20210059452A (ko) * 2019-11-15 2021-05-2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288906B1 (ko) 2019-11-15 2021-08-1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20210110935A (ko) * 2020-03-02 2021-09-10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321195B1 (ko) 2020-03-02 2021-11-03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87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1087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739B1 (ko)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34746B1 (ko)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34767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JP4856744B2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KR101807668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및 그 난간기둥에 연결되는 연결봉 연결구조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20160064048A (ko) 난간용 목재 지주
KR200421527Y1 (ko)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0915395B1 (ko)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울타리
KR200474645Y1 (ko) 전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KR102105120B1 (ko)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KR20150010510A (ko) 울타리용 연결 장치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2193738B1 (ko) 조립식 난간
KR200436308Y1 (ko) 차광 및 차선 유도 기능을 가진 교통 안전 난간
KR101787290B1 (ko) 다기능 차선규제봉
KR200390596Y1 (ko)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KR20140055618A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2664006B1 (ko)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KR102620886B1 (ko) 난간
KR101097928B1 (ko) 조립용 난간
KR200423525Y1 (ko) 조립식 안전통로
KR200376099Y1 (ko) 난간지주 보강구조
KR101535213B1 (ko) 조립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펜스 연결 구조물
KR20140013772A (ko) 자중 맞춤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키-형 조립식 가로등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