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533A -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533A
KR20190053533A KR1020170149515A KR20170149515A KR20190053533A KR 20190053533 A KR20190053533 A KR 20190053533A KR 1020170149515 A KR1020170149515 A KR 1020170149515A KR 20170149515 A KR20170149515 A KR 20170149515A KR 20190053533 A KR20190053533 A KR 20190053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otation
joint
hol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126B1 (ko
KR102108126B9 (ko
Inventor
이관궁
Original Assignee
이관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6787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535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궁 filed Critical 이관궁
Priority to KR102017014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26B1/ko
Publication of KR10210812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2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은, 난간구조물에 연결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지면과 수직하도록 연결된 지주부를 갖는 포스트, 내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와 인접한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봉 및 상기 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 내측에 고정되고 베어링을 구비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회전볼트로 이루어진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DEATH LEAP DEFENSE SYSTEM AND A INSTALLATION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수년간 OECD 국가들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자살률은 현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교량, 고층건물 등에서 투신하는 투신자살의 비율이 특히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투신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 고층건물 등의 가장자리에 펜스를 설치하고 있다. 하천이나 해상에 시공된 교량의 난간으로써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 교량에 인가되는 풍하중 및 주변 경관과의 조화나 디자인 및 관망성 등을 고려하여 1m 내외의 비교적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펜스는 설치되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투신시도자가 펜스를 타고 올라가 고의적으로 투신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한편, 대형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2 내지 3m 가량의 높이로 펜스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용 및 미관상의 이유로 1 내지 1.2m 남짓 되는 높이로 펜스가 설치되고 있어, 건물에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에도 고인적인 투신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엔 역부족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투신을 방지할 수 있는 자살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은, 난간구조물에 연결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지면과 수직하도록 연결된 지주부를 갖는 포스트, 내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와 인접한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봉 및 상기 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 내측에 고정되고 베어링을 구비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회전볼트로 이루어진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부는, 상기 난간구조물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양측면에 상기 회전볼트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볼트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볼트홀과 일치되는 제1 조인트홀 및 상기 볼트홀과 인접한 볼트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조인트홀을 갖는 복수개의 조인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인트홀은 상기 조인트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일치하고, 상기 제2 조인트홀은 상기 조인트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일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볼트에는, 납작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홀의 일부와 일치되는 볼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홀과 인접한 볼트홀 사이에 상기 조인트홀의 나머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의 폭은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베어링과 상기 회전볼트 사이에 회전중심을 맞추는 회전중심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지지부 단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은, 회전봉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회전기어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기어연결단계, 상기 회전기어에 회전볼트를 연결하는 회전축연결 단계, 조인트부가 연결된 포스트를 난간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볼트가 연결된 회전봉을 상기 포스트와 인접한 포스트 사이로 인양하는 단계 및 인양된 상기 회전봉의 양측의 회전볼트를 상기 조인트부에 연결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연결단계는, 상기 회전기어를 상기 회전봉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연결 단계는, 상기 베어링과 상기 회전볼트 사이에 회전중심을 맞추는 회전중심조절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조인트부 일측에 위치한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제1 조인트홀을 납작볼트로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인트부 타측에 위치한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제2 조인트홀을 납작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은,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투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살방지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자살방지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회전봉과 회전부 결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 설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 난간에는 추락방지를 위한 난간구조물(200)이 설치된다. 난간구조물(200)은 주변 경관과의 조화, 디자인 또는 관망성 등을 고려하여 1m ~ 1.3m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살방지시스템(100)은 난간구조물(200)에 연결되어 사람이 고의로 투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살방지시스템(100)은 포스트(10) 및 회전봉(2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0)는 난간구조물(200)과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10)는 난간구조물(200)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10)의 높이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 및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트(10)의 높이는 약 1m ~ 1.3m로 이뤄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구조물(200)에 연결된 포스트(10) 상단까지의 높이는 지상에서 약 2m ~ 2.6m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의로 투신을 시도하는 자의 투신에 대한 의지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투신을 시도하더라도 약 2m 를 올라가는 일은 물리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람의 투신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봉(20)은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봉(20)은 포스트(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회전봉(20)은 포스트(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포스트(10)에 상하로 설치되는 회전봉(20)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00mm ~ 150mm 일 수 있다. 즉, 회전봉(20)과 회전봉(20)사이의 거리를 사람의 머리 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사람이 머리를 밀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봉(20)은 난간구조물(200)에서 사람들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봉(20)의 지름은 약 25cm ~ 35cm로 이뤄질 수 있다. 즉, 회전봉(20)의 지름은 사람이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회전봉(20)을 파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살방지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회전봉(20)은 회전부(40)를 매개로 포스트(1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40)는 회전기어(41)와 회전볼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볼트(45)는 회전봉(20)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기어(41)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기어(41) 내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봉(20)에 연결된 회전볼트(45)는 포스트(10)와 연결된 조인트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봉(20)의 지름을 회전볼트(4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회전볼트(45)는 조인트부(30) 양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봉(20)의 회전중심과 회전기어(41) 및 회전볼트(45)의 회전중심은 일치한다. 조인트부(30)는 포스트(10) 상하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어, 다수의 회전봉(20)이 포스트(1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봉(20)의 회전은 일측방향으로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봉(20)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사람이 회전봉(20)을 파지했을 때, 회전봉(20)을 타고 오르려는 사람을 떨어뜨리기 위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봉(20)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살방지의 효과를 발생시키고, 시공시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조인트부(30) 양측으로 위치한 회전봉(20)과 회전봉(20) 사이 거리(W)는 30 ~ 60m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발폭은 약 130mm 이고, 청소년인 경우에도 약 100mm 이므로, 조인트부(30)를 밟고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람이 조인트부(30)를 밟아 자살방지시스템을 넘어 투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봉(20)과 회전봉(20) 사이의 거리는 40mm 일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부(30)의 지름은 회전봉(2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사람은 조인트부(30)를 발로 밟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를 통해 투신자살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자살방지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회전봉과 회전부 결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포스트(10)와 회전봉(20)은 조인트부(3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10)는 결합부(15) 및 지주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5)는 난간구조물(200)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15)는 지주부(11)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5)는 난간구조물(200)에 끼워지며 일측이 개방되며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1 결합부(15a) 및 제1 결합부(15a)에 연결되어 난간구조물(200)을 감싸는 제2 결합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15a)와 제2 결합부(15b)는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15a)와 제2 결합부(15b)는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주부(1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부(15)에 연결될 수 있다. 지주부(11)는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주부(11)와 지주부(11) 사이로 시야를 확보하여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13)는 지주부(11)에 연결되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는 지주부(11)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13)는 사람들을 향해 돌출 될 수 있다.
지지부(13)는 지주부(11)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돌출길이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13)는 지주부(11) 상단에서 지주부(11) 하단에 위치한 지지부(13)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이 지주부(11)를 올라갈수록, 지주부(1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어렵게 만들어 고의적인 투신을 방지할 수 있다,
조인트부(30)는 지지부(13) 단부에 연결되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인트부(30)의 지름은 회전볼트(45)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인트부(30)는 지지부(13) 외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조인트부(31) 내측에는 지지부(13)가 삽입될 수 있는 홀(31c)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31) 홀(31c) 내측으로 지지부(1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d)가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3) 단부는 조인트부(31) 홀(31c)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부(13)의 단부가 조인트부(31)의 홀(31c)에 끼워진다.
조인트부(31)와 지지부(13) 사이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갭(G)은 1 ~ 2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31)는 이탈방지부(31d)로 인해 일측방향으로만 지지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조인트부(31)에 회전볼트(45)가 양측으로 결합되면서 조인트부(31)로부터 지지부(13)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조인트부(31)는 지지부(13)와 상대적으로 유동이 가능하므로, 조인트부(31) 양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볼트(45)와 조인트부(31)가 다소 중심이 어긋나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부(30)에는 복수개의 조인트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홀(31)은 제1 조인트홀(31a)과 제2 조인트홀(3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홀(31)은 조인트부(3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며, 조인트부(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30) 양측면으로 회전볼트(45)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인트홀(31a)은 조인트부(30) 일측으로 연결되는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인트홀(31b)은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인접한 볼트홀(45a)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조인트홀(31b)은 조인트부(30) 타측으로 연결되는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인트홀(31a)은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인접한 볼트홀(45a)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조인트부(30) 일측면에서 제1 조인트홀(31a)을 통해 회전볼트(45)와 연결하고, 조인트부(30) 타측면에서는 제2 조인트홀(31b)을 통해 회전볼트(45)와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인트부(30)는 양측면의 회전볼트(45)와 서로 다른 조인트홀(31)로 연결되므로, 조인트부(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인트홀(31)의 두께는 1/2로 줄일 수 있다. 즉, 동일한 조인트홀(31)에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을 관통한 납작볼트(52)가 양측에서 끼워질 경우, 조인트부(30)의 두께는 일측의 납작볼트 가 삽입되는 길이와 타측의 납작볼트가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조인트홀(31a) 및 제2 조인트홀(31b)로 나누어 양측면으로 연결되는 회전볼트(45)와 결합되므로, 어느 한측의 납작볼트가 삽입되는 길이만큼 줄일 수 있어, 조인트부의 두께를 1/2로 줄일 수 있다.
회전볼트(45)는 조인트부(30) 양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볼트(45)에는 볼트홀(45a)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5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5a)은 조인트홀(31) 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5a)은 회전볼트(45)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조인트홀(31)의 위치에 맞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볼트(45)는 제1 조인트홀(31a) 또는 제2 조인트홀(31b)의 배치와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볼트(45)를 조인트부(30)에 결합하는 것은 회전봉(20)과 지주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작업공간을 고려할 때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조인트부(30)와 회전볼트(45)는 볼트홀(45a)과 조인트홀(31)을 일치시키고, 볼트가 관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외부인에 의해 볼트가 제거되어 해체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해 양쪽 회전봉을 모두 제거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측면에서 다소 불리한면이 있다.
다른 예로, 회전볼트(45)의 복수개의 볼트홀(45a)을, 볼트홀(45a)과 인접한 볼트홀(45a) 사이로 제2 조인트홀(31)이 위치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인트홀(31a) 및 제2 조인트홀(31b)의 개수는 볼트홀(45a)의 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조인트홀(31)의 개수는 볼트홀(45a)의 개수의 2배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5a)과 볼트홀 사이로 제2 조인트홀(31b)이 위치되더라도, 제1 조인트홀(31)은 볼트홀(45a)들과 일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인트부(30)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볼트(45)와 조인트부(30) 타측으로 연결되는 회전볼트(45)는 서로 다른 조인트홀(3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인트부(30)의 두께를 줄여 회전봉(20)과 회전봉(20) 사이의 거리(W)를 40mm로 형성하고, 개별적인 회전봉의 탈거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양측에서 연결되는 회전볼트(45)의 연결부위를 분산시켜 조인트부(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이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공구를 이용하여 납작볼트(52)가 연결되므로, 외부인이 고의로 조인트부(30)와 회전볼트(45)의 연결을 손상시킬 수 없다.
회전볼트(45)와 조인트부(30)는 납작볼트(52)와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납작볼트(52)는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을 관통하여 조인트홀(31)에 끼워져 조인트부(30)와 회전볼트(45) 사이를 결속시킬 수 있다.
회전기어(41)는 회전볼트(45)와 연결되고, 회전봉(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기어(41)는 베어링이 설치된 몸체부(41a)와 회전볼트(45)와 몸체부(41a) 사이에 위치하여 베어링을 보호하는 커버부(41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어(41) 몸체부(41a) 외주면에는 끼움부(41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움부(411a)는 몸체부(41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끼움부(411a)는 몸체부(41a) 내측으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411a)는 회전봉(20)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21)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기어(41)와 회전볼트(45)는 회전중심을 맞추는 회전중심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중심조절부는 유니버설조인트(53) 또는 복열베어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중심이 다소 맞지 않아도, 회전봉(20)은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기어(41)는 끼움부(411a)에 의해 회전봉(20) 내부에서 설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기어(41)는 회전봉(20) 내측에 위치되며 리벳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21)는 회전봉(20)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21)는 회전봉(20) 내측면으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21)는 회전봉(20) 내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1)는 회전봉(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21)는 회전봉(20) 내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1)는 회전기어(41)의 끼움부(411a)와 결합되어 회전기어(4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21)의 폭은 회전봉(20)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21)의 단면은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기어(4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1)는 회전봉(20)이 예기치 못한 외부의 충격이나, 고온 등으로 인해 회전봉(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살방지시스템 설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회전봉(20)에 회전부(40)를 먼저 결합할 수 있다. 즉, 회전봉(20) 내부에 회전기어(41)를 삽입 하여 고정한 뒤, 회전볼트(45)를 회전기어(41)에 연결하게 된다. 회전봉(20)과 회전부(40)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봉(20)이 원활한 회전이 어려우므로, 회전봉(20)의 회전중심과 회전기어(41)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회전봉(20)과 회전부(40)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작업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공장에서 기계로 회전중심을 맞춘다.
회전부(40)가 연결된 회전봉(20)은 포스트(10)와 인접한 포스트(10) 사이로 인양될 수 있다. 회전봉(20)은 포스트(10)의 지주부(11)에 형성된 조인트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봉(20) 양측에 연결된 회전부(40)는 동시에 조인트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봉(20)은 외측에 위치하는 조인트부(30)에 회전부(40)를 동시에 연결한다. 이는, 조인트부(30)에 회전봉(20)을 연결하면서 회전중심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각의 회전봉(20)은 조인트부(30)와 연결되며, 측면으로 설치되는 회전봉(20)과 상호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 상황이 발생되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40)와 회전봉(20)을 먼저 조립하여, 회전봉(20)을 포스트(10)사이로 인양한 뒤, 회전봉(20) 양측을 동시에 결합하는 것은, 회전중심을 맞추고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큰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자살방지시스템(100) 설치방법은, 회전봉(20)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회전기어(41)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기어연결단계(S10) 및 상기 회전기어에 회전볼트(45)를 연결하는 회전축연결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20)과 회전부(40)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 현장에서 작업이 거의 불가하다. 따라서, 회전봉(20)과 회전부(40)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작업이 먼저 선행된다. 예를 들면, 회전봉(20)과 회전부(40)의 회전중심은 공장에서 자동화 기계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회전봉(20) 내부에 회전기어(41)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회전봉(20) 내측으로 가이드(21)가 돌출되어 있다. 즉, 회전기어(41)를 회전봉(20)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21)에 끼워서 삽입하는 단계(S11)를 거친다. 회전기어(41) 외주면으로 끼움부(411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411a)은 가이드(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회전기어(41)를 회전봉(20)에 삽입한 뒤, 회전봉(20)과 회전기어(41)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단계(S12)를 거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봉(20)을 고정한 뒤, 회전중심을 맞춘 플레이트를 활용하여 회전기어(41)를 회전봉(20) 회전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후, 설정된 위치에 회전기어(41)가 위치하게 되면, 용접, 리벳체결 또는 피스체결과 같은 연결방법으로 회전기어(41)를 회전봉(20)과 연결시킬 수 있다.
회전봉(2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21)는 회전봉(20)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기어(41)가 회전봉(20) 내부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21)는 회전기어(41)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기어(41)와 회전봉(20)과의 일치된 회전중심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기어(41)에 회전볼트(45)를 연결하는 회전축연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20)에 회전중심을 일치시킨 회전기어(41)에 회전볼트(45)를 연결한다. 즉, 회전봉(20)에 하중이 작용되기 전에 회전볼트(45) 연결작업을 미리 실시한다. 이를 통해, 회전봉(20), 회전기어(41) 및 회전볼트(45)의 회전중심이 맞춰져, 회전봉(20)의 회전은 원활할 수 있다. 특히, 회전봉(20)은 포스트(10)에 연결되므로, 원활한 회전을 통해 사람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기어(41)는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한다. 회전기어와 회전봉(20)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회전봉(20)이 원활하게 회전 되지 않을 수 있어, 회전기어(41)의 베어링과 회전볼트(45) 사이에 회전중심을 맞추는 회전중심조절부를 연결하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중심조절부는 유니버설조인트(53) 또는 복열베어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중심이 일치되지 않아도 회전봉(20)은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인트부(30)가 연결된 포스트(10)를 난간구조물(200)에 설치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0)를 난간구조물(200)에 연결해서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할 수 있다. 포스트(10)를 난간구조물(200)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한다.
이후, 회전볼트(45)가 연결된 회전봉(20)을 포스트(10)와 인접한 포스트 사이에 인양하는 단계(S40) 및 회전봉(20)의 양측의 회전볼트(45)를 조인트부(30)에 연결하는 조립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20)을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로 인양 시킨뒤, 회전봉 양측에 위치한 회전볼트(45)와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한다. 포스트(10)에 회전봉(20)을 순차적으로 연결할 경우, 즉, 일측 연결 후, 타측 연결할 경우에는 조인트부(30)와 회전볼트(45)가 틀어져 회전봉(20)의 회전중심이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0)와 포스트(10) 사이로 회전봉(20)을 인양한 뒤, 양측을 동시에 연결하여 회전중심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봉(20)이 포스트(10)에 연결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조립단계는 조인트부(30) 일측에 위치한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조인트부(30)에 형성된 제1 조인트홀(31a)을 납작볼트(52)로 체결하는 단계(S51) 및 조인트부(30) 타측에 위치한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조인트부(30)에 형성된 제2 조인트홀(31b)을 납작볼트(52)로 체결하는 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조인트홀(31) 중 일부의 조인트홀(31)과 일측면에 위치하는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일치시켜 납작볼트(52)로 연결하고, 복수개의 조인트홀(31) 중 나머지의 조인트홀(31)과 타측면에 위치하는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일치시켜 납작볼트(52)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인트부(30)의 두께를 1/2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조인트홀(31)을 양측면으로 설치되는 회전볼트(45)의 볼트홀(45a)과 공유하지 않아, 어느 한쪽의 회전봉(20)을 분리하여 유지보수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홀(31)을 양측 회전볼트(45)에서 공유하지 않음으로써 납작볼트(52)의 길이를 일측의 회전볼트(45) 두께와 조인트부(30) 두께로 설정할 수 있어, 조인트부(30)를 공유하게 될 때의 납작볼트(52) 길이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200: 난간구조물 100: 자살방지시스템
10: 포스트 11: 지주부
13: 지지부 15: 결합부
15a: 제1 결합부 15b: 제2 결합부
20: 회전봉 21: 가이드
30: 조인트부 31: 조인트홀
31a: 제1 조인트홀 31b: 제2 조인트홀
31c: 홀 31d: 이탈방지부
40: 회전부 41: 회전기어
41a: 몸체부 411a: 끼움부
41b: 커버부 45: 회전볼트
45a: 볼트홀 52: 납작볼트
53: 유니버설조인트 G: 갭

Claims (12)

  1. 난간구조물에 연결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지면과 수직하도록 연결된 지주부를 갖는 포스트;
    내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와 인접한 포스트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봉; 및
    상기 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봉 내측에 고정되고 베어링을 구비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회전볼트로 이루어진 회전부를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난간구조물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양측면에 상기 회전볼트가 연결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볼트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볼트홀과 일치되는 제1 조인트홀 및 상기 볼트홀과 인접한 볼트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조인트홀을 갖는 복수개의 조인트홀이 형성되는 자살방지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홀은 상기 조인트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일치하고,
    상기 제2 조인트홀은 상기 조인트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일치되는 자살방지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난간구조물에 끼워지며 일측이 개방되고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을 밀폐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의 폭은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는 자살방지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베어링과 상기 회전볼트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회전중심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지지부 단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9. 회전봉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회전기어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기어연결단계;
    상기 회전기어에 회전볼트를 연결하는 회전축연결 단계;
    조인트부가 연결된 포스트를 난간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볼트가 연결된 회전봉을 상기 포스트와 인접한 포스트 사이로 인양하는 단계; 및
    인양된 상기 회전봉의 양측의 회전볼트를 상기 조인트부에 연결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연결단계는,
    상기 회전기어를 상기 회전봉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봉과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중심을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연결 단계는,
    상기 베어링과 상기 회전볼트 사이에 회전중심을 맞추는 회전중심조절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조인트부 일측에 위치한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제1 조인트홀을 납작볼트로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인트부 타측에 위치한 회전볼트의 볼트홀과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제2 조인트홀을 납작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살방지시스템 설치방법.
KR1020170149515A 2017-11-10 2017-11-10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10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15A KR102108126B1 (ko) 2017-11-10 2017-11-10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15A KR102108126B1 (ko) 2017-11-10 2017-11-10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33A true KR20190053533A (ko) 2019-05-20
KR102108126B1 KR102108126B1 (ko) 2020-05-07
KR102108126B9 KR102108126B9 (ko) 2022-10-05

Family

ID=6667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15A KR102108126B1 (ko) 2017-11-10 2017-11-10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1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10B1 (ko) 2019-08-23 2020-02-17 박상원 추락 방지 안전펜스
KR20210059463A (ko) * 2019-11-15 2021-05-2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모서리 보호 장치
KR20210059452A (ko) * 2019-11-15 2021-05-2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20210110935A (ko) * 2020-03-02 2021-09-10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1410A (ko) 2023-01-10 2024-07-17 이관궁 자살 방지용 회전 난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6791A (ja) * 1998-03-13 1999-09-21 New Works Engineering:Kk ビーム材の自在連結具
KR101054443B1 (ko) * 2004-05-27 2011-08-04 이윤복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20120125100A (ko) * 2011-05-06 2012-11-14 주식회사 톤 난간지주의 가드레일 체결구
KR101490116B1 (ko) * 2014-07-29 2015-02-05 서희택 투신방지용 펜스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6791A (ja) * 1998-03-13 1999-09-21 New Works Engineering:Kk ビーム材の自在連結具
KR101054443B1 (ko) * 2004-05-27 2011-08-04 이윤복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20120125100A (ko) * 2011-05-06 2012-11-14 주식회사 톤 난간지주의 가드레일 체결구
KR101490116B1 (ko) * 2014-07-29 2015-02-05 서희택 투신방지용 펜스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10B1 (ko) 2019-08-23 2020-02-17 박상원 추락 방지 안전펜스
KR20210059463A (ko) * 2019-11-15 2021-05-2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모서리 보호 장치
KR20210059452A (ko) * 2019-11-15 2021-05-2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20210110935A (ko) * 2020-03-02 2021-09-10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34739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WO2023211084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예건 회전 성능을 갖는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WO2023211087A1 (ko) *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126B1 (ko) 2020-05-07
KR102108126B9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533A (ko) 자살방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US8196705B2 (en) Safety scaffolding
CA2832363C (en) A guardrail
CA2834823C (en) Safety barricade and/or guarding system
KR101302070B1 (ko)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장치
US10370857B2 (en) Adjustable railing
US20180155939A1 (en) Rapid assemble coupler
US20200190845A1 (en) Fence structure
KR20210059452A (ko)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KR102105120B1 (ko)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KR20100004164U (ko) 안전핀을 구비한 원터치 파이프 클램프
KR101886249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EP234239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ustrade and balustrade
KR200400496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AU2005222494B1 (en) A Post Assembly
AU2010100852A4 (en) Fencing system
KR102074732B1 (ko) 커버
KR20240111410A (ko) 자살 방지용 회전 난간 시스템
KR20140005121U (ko) 안전 난간대
JP2003328599A (ja) 外敵侵入防止具
JP3293580B2 (ja) 落下防護用仮設手摺
KR20050030404A (ko) 동바리 조립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동바리 시스템
KR20240152546A (ko) 건축용 클램프
AU2010100930A4 (en) A f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49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120

Effective date: 2022062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405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1226

Effective date: 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