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045B1 -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9045B1 KR102659045B1 KR1020240006115A KR20240006115A KR102659045B1 KR 102659045 B1 KR102659045 B1 KR 102659045B1 KR 1020240006115 A KR1020240006115 A KR 1020240006115A KR 20240006115 A KR20240006115 A KR 20240006115A KR 102659045 B1 KR102659045 B1 KR 102659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support
- joint
- unit
- posts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10144 Completed suicid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encing (AREA)
Abstract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는: 구조물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지지포스트, 동일 열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포스트 중 이웃한 지지포스트끼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 지지포스트에 구비되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 안내됨으로써 월담과 투신을 방지하는 관절형 월담방지모듈, 및 관절형 월담방지모듈의 움직임 발생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을 갖는 신속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등 구조물의 가장자리 또는 둘레면에 설치되는 펜스로써, 탄성 복구형 굽힘 기능이 있는 관절포스트와 수평지지대를 통해 일차적으로 월담을 방지하고, 관절포스트를 지지포스트에 대해 차도나 인도 측으로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도록 시공함으로써 사람이 매달리거나 월담 시도가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이차적으로 월담을 방지하며, 펜스의 관절부에 장착된 접촉 감지센서에 의해 접촉 이탈을 감지시 경고등, 경고음 및 카메라 등이 구동되며 월담시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감시자에게 해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초기에 월담 시도 의지를 없애고 조속히 구조 대응하기 위한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교량의 펜스를 넘어 투신자살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현재, 한강교량 CCTV 영상감시 출동시스템을 운용 중에 있으나, 현 시스템의 경우 자살시도자가 투신한 위치만 확인할 수 있고, 이 후 인근지역으로 직접 출동하여 인명구조 수색을 실시하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기상상황 등으로 인해 요구조자를 신속히 발견하지 못하면 구조정 등 5대 22명의 소방력이 장시간 인명수색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구조가 늦어지는 경우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락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추락하기 전 단계에서 구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투신자살 등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로 교량 등의 가장자리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의 교량 난간은 그 높이가 낮아, 사람이 비교적 쉽게 넘을 수 있어, 투신 및 자살 시도자가 펜스를 넘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기존 추락사고 방지용 펜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88906호에 '보안, 월담, 추락, 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추락사고 방지용 펜스는 월담이 어렵도록 다양한 월담방지 구성들이 적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고정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월담이 불가능한 상태가 아님에 따라, 추락사고를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추락사로 방지용 펜스는 사람이 월담하고자 시도할 경우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월담 중지를 위한 경고 및 주의를 전달하지 못하여 월담하려는 사람의 행위나 의지를 초반에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즉, 추락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추락하기 전 단계에서 효율적인 추락방지 방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지만, 경고, 알람 등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 등 구조물의 가장자리 또는 둘레면에 설치되는 펜스로써, 탄성 복구형 굽힘 기능이 있는 관절포스트와 수평지지대를 통해 일차적으로 월담을 방지하고, 관절포스트를 지지포스트에 대해 차도나 인도 측으로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도록 시공함으로써 사람이 매달리거나 월담 시도가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이차적으로 월담을 방지하며, 기울어진 관절포스트를 외력 제거시 위치 복원되도록 하여 펜스의 높이를 유지하고자 하는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포스트와 관절포스트를 피아노 와이어 등 비교적 가는 두께의 수평지지부재로 적용하고, 수??지지부재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경관을 확보하고, 풍압 작용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관절포스트의 축 방향으로 최외측끼리를 로터리샤프트로 연결하고, 로터리샤프트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월담을 방지하고자 하는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펜스의 관절부에 장착된 접촉 감지센서에 의해 접촉 이탈을 감지시 경고등, 경고음 및 카메라 등이 구동되며 월담시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감시자에게 해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초기에 월담 시도 의지를 없애기 위한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는: 구조물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지지포스트; 동일 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지지포스트 중, 이웃한 상기 지지포스트끼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 상기 지지포스트에 구비되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 안내됨으로써, 월담과 투신을 방지하는 관절형 월담방지모듈; 및 상기 관절형 월담방지모듈의 움직임 발생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을 갖는 신속대응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형 월담방지모듈은, 동일 열을 따라 양쪽 최외측의 상기 지지포스트에 하나 구비되고, 양쪽 최외측을 제외한 이웃한 상기 지지포스트 각각에 한 쌍씩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지지포스트에 힌지 연결되는 관절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서 상기 관절포스트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로어서포팅부재;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에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연결되고, 탄성적으로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을 작용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관절포스트 각각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탄성 지지하거나 또는 고정 연결하는 어퍼서포팅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신속대응부는, 대응되는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와 상기 어퍼서포팅부재의 설정 부위가 근접된 초기 상태로부터 이격된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센서부는,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에 구비되는 고정센싱부; 및 상기 고정센싱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어퍼서포팅부재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상기 고정센싱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접촉센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속대응부는, 상기 지지포스트 각각 또는 상기 관절포스트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센서부가 작동시 음향 또는 음성을 발생하는 경고발생부; 및 상기 검출센서부와 상기 경고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발생부는,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지지포스트나 상기 관절포스트에 구비되고, 항상 또는 상기 검출센서부가 작동시 활성화되는 카메라유닛; 및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지지포스트나 상기 관절포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검출센서부가 작동시 또는 상기 카메라유닛이 작동시 설정된 음과 조명을 발생시키는 경고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의 감시방법은: 동일 열을 따라 복수 개인 지지포스트에 하나 또는 한 쌍의 관절포스트가 힌지 연결된 채, 상기 지지포스트에 구비되는 로어서포팅부재로부터 상기 관절포스트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어퍼서포팅부재가 이격됨을 통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해당되는 상기 관절포스트가 기울어짐을 검출센서부로써 감지하는 움직임센싱단계;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지지포스트나 상기 관절포스트에 구비된 경고발생부가 해당되는 음향 또는 음성을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단계; 및 상기 움직임센싱단계에 연동되어, 신호전송부를 통해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은 종래 기술과 달리 교량 등 구조물의 가장자리 또는 둘레면에 설치되는 펜스로써, 탄성 복구형 굽힘 기능이 있는 관절포스트와 수평지지대를 통해 일차적으로 월담을 방지할 수 있고, 관절포스트를 지지포스트에 대해 차도나 인도 측으로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도록 시공함으로써 사람이 매달리거나 월담 시도가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이차적으로 월담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울어진 관절포스트를 외력 제거시 위치 복원되도록 하여 펜스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포스트와 관절포스트를 피아노 와이어 등 비교적 가는 두께의 수평지지부재로 적용하고, 수평지지부재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경관을 확보하고, 풍압 작용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관절포스트의 축 방향으로 최외측끼리를 로터리샤프트로 연결하고, 로터리샤프트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월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펜스의 관절부에 장착된 접촉 감지센서에 의해 접촉 이탈을 감지시 경고등, 경고음 및 카메라 등이 구동되며 월담시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감시자에게 해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초기에 월담 시도 의지를 없애고 조속히 구조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의 초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관절포스트끼리를 어퍼수평지지부재로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의 감시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관절포스트끼리를 어퍼수평지지부재로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의 감시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의 초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 방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요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관절포스트끼리를 어퍼수평지지부재로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형 펜스의 월담방지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100)는 구조물(10)에 구비되어 사람의 월담이나 투신을 차단한다.
이때, 구조물(10)은 교량이나 타워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 구조물(10)은 교량으로 도시한다. 이에 따라, 구조물(10)은 인도 또는 차도 역할을 하는 상판(20)을 포함하고, 상판(20)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안전난간(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관절형 펜스(100)는 지지포스트(110), 수평지지부재(122,124), 관절형 월담방지모듈(130) 및 신속대응부(200)를 포함한다.
지지포스트(110)는 구조물(10)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다. 이때, 구조물(10)이 안전난간(3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지지포스트(110)는 안전난간(30)의 외측에 해당되는 구조물(10)의 상판(20)의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포스트(110)가 구조물(10)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난간 역할을 할 수 있다.
안전난간(30)이 구조물(10)에 구비될 경우, 지지포스트(110)는 안전난간(30)에 접하여 결합되어 측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때, 지지포스트(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물(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축 방향 길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수평지지부재(122,124)는 동일 열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포스트(110) 중, 이웃한 지지포스트(110)끼리를 연결한다. 이때, 수평지지부재(122,124)는 구조물(10)의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끼리를 잇는 제 1수평지지부재(122), 및 구조물(10)의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관절포스트(142,144)를 잇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를 포함한다.
제 1수평지지부재(122)는 구조물(10)의 외측으로 추락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끼리를 연결하는 제 1수평지지부재(122)는 조망과 경관을 해치지 않고, 풍압에 대한 영향이 미미하도록 비교적 가는 피아노 와이어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제 1수평지지부재(12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관절형 월담방지모듈(130)은 동일 열을 따라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각각에 연장되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월담과 투신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당기는 외력에 의해 관절형 월담방지모듈(130)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즉 구조물(10)의 상판(20) 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월담을 시도하는 사람이 상판(20) 측으로 안전하게 낙하 유도하거나 월담 시도 자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신속대응부(200)는 관절형 월담방지모듈(130)의 움직임 발생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감지, 작동 및 알림 기능을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상세히, 관절형 월담방지모듈(130)은 관절포스트(142,144), 로어서포팅부재(152,154), 스프링부재(162,164) 및 어퍼서포팅부재(172,174)를 포함한다.
관절포스트(142,144)는 구조물(10)에서 동일 열을 따라 양쪽 최외측의 지지포스트(110)에 하나 구비되고, 양쪽 최외측을 제외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각각에 한 쌍씩 구비된다. 아울러, 관절포스트(142,144)는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힌지 연결된다.
즉, 관절포스트(142,144)는, 구조물(10)에서 동일 열을 따라 양쪽 최외측을 제외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각각에 한 쌍씩 구비되는 경우, 대응되는 축 방향으로 지지포스트(110)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상측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편의상, 구조물(10)에서 동일 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측 최외측의 지지포스트(110)는 제 1관절포스트(142)를 단독으로 구비하고, 이에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각각은 제 2관절포스트(144)와 제 1관절포스트(142)를 순서대로 쌍을 이루도록 구비하며, 타측 최외측의 지지포스트(110)는 제 2관절포스트(144)를 단독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동일한 또는 다른 힌지핀(145)에 의해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동시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일대일 대응되는 힌지핀(145)으로써 동일한 지지포스트(11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나, 편의상, 하나의 힌지핀(145)이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를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동시에 힌지 연결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람이 월담하기 어렵도록 구조물(10)의 내측 방향 특히 상판(20)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된다.
즉,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또는 동일 열 방향으로 전체 지지포스트(110)는 제 1수평지지부재(122)를 연결한다.
그리고,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된다. 이때, 동일 열 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는 설정거리만큼 이격된 채 이웃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됨에 따라, 제 2수평지지부재(124)를 당기는 외력이 발생시, 쌍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는 연동되어 동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특히, 제 1수평지지부재(122)와 제 2수평지지부재(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아노 와이어나 로프 등 비교적 가는 소재로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미감 즉 조망과 경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수평지지부재(122)와 제 2수평지지부재(124)는, 비교적 가는 소재로 적용될 경우, 지지포스트(110)와 제 1관절포스트(142) 및 제 2관절포스트(144)의 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때, 구조물(10)의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를 연결하는 제 1수평지지부재(122)는 사람이 통과할 수 없는 정도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웃한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를 연결하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는 사람이 통과할 수 없는 정도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제 1수평지지부재(122)는 삽입 설치되는 지지포스트(110) 중 양쪽 최외측의 지지포스트(110)에서 장력설정부(125)에 의해 장력을 유지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장력설정부(125)는 한 가닥 또는 복수 가닥의 제 1수평지지부재(122)의 일측과 타측을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대해 당겨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수평지지부재(124)는, 동일 열 방향을 따라, 일측이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에 삽입된 채 장력설정부(125)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에 삽입된 채 장력설정부(125)에 연결된다.
예로서, 장력설정부(125)는 나사부재(126), 브라켓(127) 및 죄임부재(128)를 포함한다.
나사부재(126)는 제 1수평지지부재(122)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및 제 2수평지지부재(124)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된다. 이때, 나사부재(126)는 제 1수평지지부재(122)의 양측 가장자리와 제 2수평지지부재(124)의 양측 가장자리에 별도로 구비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자체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 일 수도 있다.
브라켓(127)은 나사부재(126)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포스트(110), 제 1관절포스트(142) 및 제 2관절포스트(144)에 접한 채 나사부재(126)를 삽입한다. 물론, 브라켓(127)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죄임부재(128)는 브라켓(127)에 지지된 채 대응되는 나사부재(126)를 죄임으로써, 제 1수평지지부재(122)와 제 2수평지지부재(124)에 장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죄임부재(128)는 해당되는 지지포스트(110), 제 1관절포스트(142) 및 제 2관절포스트(144)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지지된 채 나사부재(126)를 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람(월담시도자)이 제 1수평지지부재(122)나 지지포스트(110) 또는 안전난간(30)을 밟고, 제 2수평지지부재(124)와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 중 어느 하나를 구조물(10)의 내측 즉 상판(20) 방향으로 당길 경우, 동일 열 방향으로 대응되게 이웃한 제 2관절포스트(144)와 제 1관절포스트(142)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와 함께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써, 사람은 월담을 실행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대해 당기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 탄성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세워진 상태로 탄성 복원되고, 당기는 외력이 작용시 당기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는, 당기는 외력이 미작용시, 지지포스트(110)와 제 1관절포스트(142) 전체에 걸친 높이가 비교적 높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월담하려는 의지를 일부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는, 당기는 외력이 작용시, 지지포스트(110)에 대해 대응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 또는 제 2관절포스트(144)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갑자기 기울어짐에 따라, 월담하려는 사람이 당황하며 구조물(10) 방향으로 안전하게 떨어지도록 유도하여 월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관절형 월담방지모듈(130)은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 제 1스프링부재(162), 제 2스프링부재(164),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 및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당겨지는 방향'은 구조물(10) 방향 또는 상판(20) 방향인 것으로 한다.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는 지지포스트(110)의 둘레면에서 제 1관절포스트(142)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는 지지포스트(110)의 둘레면에서 제 2관절포스트(144)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는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고정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는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나, 구조물(10)의 외측 방향에 대응되도록 지지포스트(110)에 구비된다. 아울러,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는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에 축 방향으로 상측 즉 힌지핀(145)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스프링부재(162)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에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고정 연결되고, 탄성적으로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을 작용한다. 아울러, 제 2스프링부재(164)는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에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고정 연결되고, 탄성적으로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을 작용한다.
편의상, 제 1스프링부재(162)와 제 2스프링부재(164)는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한다.
또한,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에 대응되도록 제 1관절포스트(142) 각각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제 1스프링부재(162)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탄성 지지하거나 또는 고정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는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에 대응되도록 제 2관절포스트(144) 각각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제 2스프링부재(164)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탄성 지지하거나 또는 고정 연결한다.
이때,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는 제 1스프링부재(162)가 측방향으로 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는 제 2스프링부재(164)가 측방향으로 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는 제 1관절포스트(142)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는 제 2관절포스트(144)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와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된 채,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 중 제 1관절포스트(142)는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외력 제거시 제 1스프링부재(162)에 의해 지지포스트(110)에 대해 세워지도록 원위치 복귀 유도되고, 제 2관절포스트(144)는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외력 제거시 제 2스프링부재(164)에 의해 지지포스트(110)에 대해 세워지도록 원위치 복귀 유도된다.
물론,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대응되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 사이에 구비되는 제 1스프링부재(162)는 탄성력조절부(180)에 의해 탄성계수 또는 탄성값이 조정될 수 있고, 대응되는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와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 사이에 구비되는 제 2스프링부재(164)는 탄성력조절부(180)에 의해 탄성계수 또는 탄성값이 조정될 수 있다.
탄성력조절부(180)는 패드(182), 스크류(184) 및 너트(18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182)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의 상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고, 대응되는 제 1스프링부재(162)의 일측과 제 2스프링부재(164)의 일측을 연결 고정한다.
그리고, 스크류(184)는 패드(182) 각각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에 삽입되며 하측으로 돌출된다.
너트(186)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의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스크류(184)에 나사 결합된다. 아울러, 너트(186)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의 하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너트(186)가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의 하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한 채 나사 결합된 스크류(184)에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184)는 대응되는 패드(182)와 함께 지지포스트(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상측) 또는 타측(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해당되는 제 1스프링부재(162)는 대응되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 사이에서 더 압축되거나, 소정 이완된다.
마찬가지로, 너트(186)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의 하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한 채 나사 결합된 스크류(184)에서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184)는 대응되는 패드(182)와 함께 지지포스트(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상측) 또는 타측(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해당되는 제 2스프링부재(164)는 대응되는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와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 사이에서 더 압축되거나, 소정 이완된다.
또한, 사람이 월담하는 것을 더더욱 방지하기 위해, 동일 열을 따라 이웃한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 즉 동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는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최외측끼리 로터리샤프트(190)를 연결한다.
로터리샤프트(19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로터리샤프트(190)는 베어링(192)에 의해 대응하는 제 2관절포스트(144)와 제 1관절포스트(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람이 로터리샤프트(190)를 잡아당기며 월담을 시도할 경우, 사람이 잡아당기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와 로터리샤프트(190)의 양측이 연결되는 제 2관절포스트(144)와 제 1관절포스트(142)는 하향 회동되고, 로터리샤프트(19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월담하고자 하는 사람은 몸의 무게 중심이 등 뒤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구조물(10)의 상판(20)으로 안전하게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월담이 실패하게 된다.
특히, 호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모든 지지포스트(110)는 각각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신속대응부(200)는 검출센서부(210), 경고발생부(220) 및 신호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센서부(210)는 대응되는 로어서포팅부재(152 또는 154)와 어퍼서포팅부재(172 또는 174)의 설정 부위가 근접된 초기 상태로부터 이격된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검출센서부(210)는 고정센싱부(212) 및 접촉센싱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센싱부(212)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 각각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접촉센싱부(214)는 고정센싱부(21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와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 각각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접촉센싱부(214)는 대응되는 고정센싱부(212)에 접촉될 경우,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되어 대응되게 쌍을 이루는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가 외력이 미작용되는 초기 상태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접촉센싱부(214)는 대응되는 고정센싱부(212)로부터 이격될 경우,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되어 대응되게 쌍을 이루는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가 외력의 작용으로 움직임이 발생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출센서부(210)가 작동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대응되는 고정센싱부(212)와 접촉센싱부(214)는 포토센서나 리미트센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센싱부(212)는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와 제 2로어서포팅부재(154) 각각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접촉센싱부(214)는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와 제 2어퍼서포팅부재(174) 각각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경고발생부(220)는 지지포스트(110) 각각 또는 관절포스트(142,144) 각각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검출센서부(210)가 작동시 음향 또는 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경고발생부(220)는 작동을 위한 전원을 교량 등 구조물(10)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경고발생부(220)는 카메라유닛(222) 및 경고등(224)을 포함할 수 있따.
카메라유닛(222)은 각각 또는 특정한 지지포스트(110)나 관절포스트(142,144)에 구비되고, 항상 또는 검출센서부(210)가 작동시 활성화된다.
아울러, 경고등(224)은 각각 또는 특정한 지지포스트(110)나 관절포스트(142,144)에 구비되고, 검출센서부(210)가 작동시 또는 카메라유닛(222)이 작동시 설정된 음과 조명을 발생시킨다.
편의상, 카메라유닛(222)은 구조물(10)의 열 방향을 따라, 일측 최외측의 지지포스트(110)에 설치되어 타측 최외측의 지지포스트(110) 방향을 따라 촬영이나 촬상하는 씨씨티비(CCTV)인 것으로 한다. 물론, 카메라유닛(222)은 지지포스트(1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촬상 또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경고등(224)은 모든 지지포스트(110)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검출센서부(210)의 작동에 의해 특정한 경고등(224)만이 음과 조명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신호전송부(230)는 검출센서부(210)와 경고발생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검출센서부(210)와 경고발생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신호전송부(230)는 해당 신호를 RF칩이나 통신칩 등을 이용하여 관리사무소나 감시자(안전관리자) 등에 신호, 영상 등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월담시도자가 발생시, 실시간으로 경고발생부(220)가 작동함으로써 월담 의지를 제거할 수 있고, 감시자가 카메라유닛(222)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 감시하거나 신호전송부(2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접수되는 신호에 의해 신속하게 월담시도자를 구조하도록 대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절형 펜스(100)는 차도 및 인도측으로 대응되게 쌍을 이루는 제 1관절포스트(142) 및 제 2관절포스트(144)를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기울어진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 안내되도록 하는 1차 투신방지와 함께 로터리샤프트(190)의 미끄럼 회전 작용으로 월담과 투신을 막는 2차 투신방지 기능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쌍을 이루는 관절포스트(142,144)가 대응되는 지지포스트(110)로부터 기울어질 경우 대응되는 고정센싱부(212)와 접촉센싱부(214)가 서로 이격됨을 통해 잡아당기는 외력이 발생됨을 검출함에 따라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이 작동하고, 스프링부재(162,164)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대응되는 고정센싱부(212)와 접촉센싱부(214)가 접촉시 해당 기능이 자동 정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관절형 펜스(100)는 지지포스트(110)에 힌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 또는 제 2관절포스트(144) 각각에 설치된 검출센서부(210)를 통해 월담시도자가 월담 시도하고 있음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경고발생부(220)와 신호전송부(230) 및 카메라유닛(222)을 통해 월담시도자에게 경고가 전달됨과 감시자로 하여금 신속 구조를 위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의 감시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100)의 감시방법은 움직임센싱단계(S10), 경고발생단계(S20), 신호전송단계(S30) 및 경고음작동시간판단단계(S40)를 포함한다.
움직임센싱단계(S10)는 동일 열을 따라 복수 개인 지지포스트(110)에 하나 또는 한 쌍의 관절포스트(142,144)가 힌지 연결된 채, 지지포스트(110)에 구비되는 로어서포팅부재(152 또는 154)로부터 관절포스트(142 또는 144)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어퍼서포팅부재(172 또는 174)가 이격됨을 통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해당되는 관절포스트(142 또는 144)가 기울어짐을 검출센서부(210)로써 감지하는 공정이다.
이때,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가 고정센싱부(212)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의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가 접촉센싱부(214)를 구비한다.
아울러, 구조물(10)의 열 방향을 따라, 이웃한 지지포스트(1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1관절포스트(142)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의 제 2관절포스트(144)는 제 2수평지지부재(124)로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지지포스트(110)와 다른 하나의 지지포스트(110)는 각각 고정센싱부(212)가 설치된 제 1로어서포팅부재(152)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되는 제 1관절포스트(142)와 제 2관절포스트(144)는 각각 접촉센싱부(214)가 설치된 제 1어퍼서포팅부재(17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월담시도자가 어느 하나의 제 2수평지지부재(124)를 당길 경우, 해당되는 한 쌍의 접촉센싱부(214)는 대응되는 고정센싱부(212)와 이격됨으로써 월담 시도의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경고발생단계(S20)는 각각 또는 특정한 지지포스트(110)나 관절포스트(142,144)에 구비된 경고발생부(220)가 해당되는 음향 또는 음성을 발생시키고, 촬영하는 공정이다.
이를 통해, 경고발생부(220)는 해당 음향이나 음성을 듣는 월담시도자에게 월담 의지를 저하 유도할 수 있고, 주위 사람들에게 구조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전송단계(S30)는 움직임센싱단계(S10)에 연동되어, 신호전송부(230)를 통해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공정이다.
즉, 검출센서부(210)와 경고발생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신호전송부(230)는 해당 신호를 RF칩이나 통신칩 등을 이용하여 관리사무소나 감시자(안전관리자) 등에 신호, 영상 등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월담시도자가 발생시, 감시자가 신호전송부(2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접수되는 신호에 의해 신속하게 월담시도자를 구조하도록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고음작동시간판단단계(S40)는 경고발생부(220)의 작동시간이 작동설정시간보다 길거나 짧음을 비교 판단하는 공정이다.
경고발생부(220)의 작동시간이 작동설정시간보다 길 경우, 검출센서부(210)의 작동이 유지됨을 통해, 월담시도자가 제 2수평지지부재(124) 등에 매달린 상태인 것으로 인지한다.
그리고, 경고발생부(220)의 작동시간이 작동설정시간보다 짧을 경우, 검출센서부(210)의 작동이 정지됨을 통해, 월담시도자가 안전하게 구조된 것으로 인지하며 경고발생부(220)의 가동 정지를 유지한다.
특히, 경고발생단계(220)는 촬영단계(S22) 및 경고음송출단계(S24)를 포함한다.
촬영단계(S22)는 검출센서부(210)와 경고발생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특정한 지지포스트(110)나 특정한 관절포스트(142 또는 144)에 설치된 카메라유닛(222)의 활성화를 통해 감시자가 월담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공정이다.
아울러, 경고음송출단계(S24)는 검출센서부(210)와 경고발생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모든 또는 특정한 지지포스트(110)나 관절포스트(142 또는 144)에 설치된 경고등(224)이 설정된 음과 조명을 송출함으로써 감시자가 월담 의지를 저하시키는 공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절형 펜스(100)의 지지포스트(110)와 제 1관절포스트(142)의 관절 연결부위 및 지지포스트(110)와 제 2관절포스트(144)의 관절 연결부위에 각각 장착된 검출센서부(210)에 의해 상호 접촉 이탈을 감지시 경고등(224), 경고음 및 카메라유닛(222) 등이 구동되며 월담시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감시자에게 해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초기에 월담 시도 의지를 없애고 조속히 구조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구조물 20: 상판
30: 안전난간 100: 관절형 펜스
110: 지지포스트 122: 제 1수평지지부재
124: 제 2수평지지부재 125: 장력설정부
126: 나사부재 127: 브라켓
128: 죄임부재 130: 관절형 월담방지모듈
142: 제 1관절포스트 144: 제 2관절포스트
145: 힌지핀 152: 제 1로어서포팅부재
154: 제 2로어서포팅부재 162: 제 1스프링부재
164: 제 2스프링부재 172: 제 1어퍼서포팅부재
174: 제 2어퍼서포팅부재 180: 탄성력조절부
182: 패드 184: 스크류
186: 너트 190: 로터리샤프트
192: 베어링 200: 신속대응부
210: 검출센서부 212: 고정센싱부
214: 접촉센싱부 220: 경고발생부
222: 카메라유닛 230: 신호전송부
30: 안전난간 100: 관절형 펜스
110: 지지포스트 122: 제 1수평지지부재
124: 제 2수평지지부재 125: 장력설정부
126: 나사부재 127: 브라켓
128: 죄임부재 130: 관절형 월담방지모듈
142: 제 1관절포스트 144: 제 2관절포스트
145: 힌지핀 152: 제 1로어서포팅부재
154: 제 2로어서포팅부재 162: 제 1스프링부재
164: 제 2스프링부재 172: 제 1어퍼서포팅부재
174: 제 2어퍼서포팅부재 180: 탄성력조절부
182: 패드 184: 스크류
186: 너트 190: 로터리샤프트
192: 베어링 200: 신속대응부
210: 검출센서부 212: 고정센싱부
214: 접촉센싱부 220: 경고발생부
222: 카메라유닛 230: 신호전송부
Claims (6)
- 구조물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지지포스트; 동일 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지지포스트 중, 이웃한 상기 지지포스트끼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 상기 지지포스트 각각에 구비되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 안내됨으로써, 월담과 투신을 방지하는 관절형 월담방지모듈; 및 상기 관절형 월담방지모듈의 움직임 발생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을 갖는 신속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형 월담방지모듈은, 동일 열을 따라 양쪽 최외측의 상기 지지포스트에 하나 구비되고, 양쪽 최외측을 제외한 이웃한 상기 지지포스트 각각에 한 쌍씩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지지포스트에 힌지 연결되는 관절포스트; 상기 지지포스트 각각의 둘레면에서 상기 관절포스트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로어서포팅부재; 상기 로어서포팅부재 각각에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연결되고, 탄성적으로 인력(引力) 또는 척력(斥力)을 작용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관절포스트 각각에 구비되고, 대응되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을 탄성 지지하거나 또는 고정 연결하는 어퍼서포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각각이 탄성력조절부에 의해 탄성계수가 조정되어 외력에 의해 기울어진 상기 관절포스트의 외력 제거시 자체 탄성 복원력이 증대되고,
상기 신속대응부는, 대응되는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와 상기 어퍼서포팅부재의 설정 부위가 근접된 초기 상태로부터 이격된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 상기 지지포스트 각각 또는 상기 관절포스트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센서부가 작동시 음향 또는 음성을 발생하는 경고발생부; 및 상기 검출센서부와 상기 경고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센서부는,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에 구비되는 고정센싱부; 및 상기 고정센싱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어퍼서포팅부재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상기 고정센싱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접촉센싱부를 포함하여,
쌍을 이루는 상기 관절포스트가 대응되는 상기 지지포스트로부터 기울어질 경우 대응되는 상기 고정센싱부와 상기 접촉센싱부가 서로 이격됨을 통해 잡아당기는 외력이 발생됨을 검출함에 따라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이 작동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고정센싱부와 상기 접촉센싱부가 접촉시 해당 기능이 자동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발생부는,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지지포스트나 상기 관절포스트에 구비되고, 항상 또는 상기 검출센서부가 작동시 활성화되는 카메라유닛; 및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지지포스트나 상기 관절포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검출센서부가 작동시 또는 상기 카메라유닛이 작동시 설정된 음과 조명을 발생시키는 경고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 동일 열을 따라 복수 개인 지지포스트에 하나 또는 한 쌍의 관절포스트가 힌지 연결된 채, 상기 지지포스트에 구비되는 로어서포팅부재로부터 상기 관절포스트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어퍼서포팅부재가 이격됨을 통해,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해당되는 상기 관절포스트가 기울어짐을 검출센서부로써 감지하는 움직임센싱단계;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을 갖는 신속대응부로써, 각각 또는 특정한 상기 지지포스트나 상기 관절포스트에 구비된 경고발생부가 해당되는 음향 또는 음성을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단계; 및
상기 움직임센싱단계에 연동되어, 상기 검출센서부와 상기 경고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시,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통해 해당 신호를 감시자에게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고,
대응되는 상기 로어서포팅부재와 상기 어퍼서포팅부재는 스프링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움직임센싱단계로써 쌍을 이루는 상기 관절포스트가 대응되는 상기 지지포스트로부터 기울어질 경우 대응되는 고정센싱부와 접촉센싱부가 서로 이격됨을 통해 잡아당기는 외력이 발생됨을 검출함에 따라, 상기 경고발생단계로써 적어도 감지와 작동과 알림 기능이 작동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고정센싱부와 상기 접촉센싱부가 접촉시 해당 기능이 자동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의 감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6115A KR102659045B1 (ko) | 2024-01-15 | 2024-01-15 |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6115A KR102659045B1 (ko) | 2024-01-15 | 2024-01-15 |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9045B1 true KR102659045B1 (ko) | 2024-04-22 |
Family
ID=9088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06115A KR102659045B1 (ko) | 2024-01-15 | 2024-01-15 |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9045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6479B1 (ko) * | 2006-03-02 | 2006-06-08 |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 교량의 보행자 추락방지 난간 |
KR101714973B1 (ko) * | 2016-05-25 | 2017-03-09 | 김광석 |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
KR20170054858A (ko) * | 2015-11-10 | 2017-05-18 | (주)티피에스엔지니어링 |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장치 |
KR102078510B1 (ko) * | 2019-08-23 | 2020-02-17 | 박상원 | 추락 방지 안전펜스 |
KR102100175B1 (ko) * | 2019-11-15 | 2020-04-13 | 이상섭 |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
KR20200055420A (ko) * | 2018-11-13 | 2020-05-21 | 한국전력공사 |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KR20210039795A (ko) * | 2019-10-02 | 2021-04-12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
KR102539800B1 (ko) * | 2023-01-02 | 2023-06-08 | (주)이알코리아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
2024
- 2024-01-15 KR KR1020240006115A patent/KR1026590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6479B1 (ko) * | 2006-03-02 | 2006-06-08 |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 교량의 보행자 추락방지 난간 |
KR20170054858A (ko) * | 2015-11-10 | 2017-05-18 | (주)티피에스엔지니어링 |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장치 |
KR101714973B1 (ko) * | 2016-05-25 | 2017-03-09 | 김광석 |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
KR20200055420A (ko) * | 2018-11-13 | 2020-05-21 | 한국전력공사 |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KR102078510B1 (ko) * | 2019-08-23 | 2020-02-17 | 박상원 | 추락 방지 안전펜스 |
KR20210039795A (ko) * | 2019-10-02 | 2021-04-12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
KR102100175B1 (ko) * | 2019-11-15 | 2020-04-13 | 이상섭 |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
KR102539800B1 (ko) * | 2023-01-02 | 2023-06-08 | (주)이알코리아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36555B2 (ja) | 墜落防止及び飛び降り自殺防御回転体システム | |
KR101714973B1 (ko) |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 |
KR102122287B1 (ko) | 모듈형 스마트 안전펜스 | |
KR101581724B1 (ko) | 설치구조물에 대한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장치 | |
US8517324B2 (en) | Safety device for cantilevered beam and boom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 |
US20170356215A1 (en) | Jump suicide prevention device for bridge railings | |
KR102249355B1 (ko) |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 |
KR101675027B1 (ko) |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 |
KR102148421B1 (ko) |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도로 전광판(vms) 시스템 | |
JP5097045B2 (ja) | 工事現場防犯システム | |
KR102659045B1 (ko) |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 |
KR102539800B1 (ko)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11986704U (zh) | 多功能逃生装置 | |
KR20220108341A (ko) | 건설현장 고소작업 근로자 위험감지시스템 및 그 위험감지방법 | |
CN111013032A (zh) | 多功能逃生装置 | |
KR101886249B1 (ko) |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 |
KR20110123599A (ko) |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 | |
KR20070034385A (ko) | 무인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506188B1 (ko) | 추락 방지 장치 | |
KR20180044641A (ko) | 영상 및 음성 복합 상황 판별 장치 및 방법 | |
KR102401106B1 (ko) | 교량 추락사고 방지장치 | |
JP3723176B2 (ja) | 落下物捕獲装置 | |
KR102410061B1 (ko) |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 |
US20040090330A1 (en) | Vibration sensor | |
KR102406948B1 (ko) |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