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175B1 -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175B1
KR102100175B1 KR1020190146410A KR20190146410A KR102100175B1 KR 102100175 B1 KR102100175 B1 KR 102100175B1 KR 1020190146410 A KR1020190146410 A KR 1020190146410A KR 20190146410 A KR20190146410 A KR 20190146410A KR 102100175 B1 KR102100175 B1 KR 10210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ct
railing
warning
handrai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19014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교량은 난간대(10)와 보행로(2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대(10)에서 보행로(20) 측으로 0.4∼0.6m의 이격거리에 보행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세이프티라인(2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세이프티라인(21) 상에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 구분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대(10)에는 일정간격으로 인체감지센서(13)가 구비되도록 준비하며, 투신의심자가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을 밟거나 넘어서면 상기 인체감지센서(13)에서 투신의심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난간대(10)에 매립 설치된 스피커(16)를 통하여 투신의심자가 1차적으로 난간에서 물러날때까지 반복적인 안내방송을 실시하도록 준비하며, 상기 난간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난간대(10)를 감시하는 영상촬영분석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영상촬영분석기(30)에 상기 스피커(16)가 연결되어 사이렌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난간대(10)에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가면 2차적으로 영상촬영분석기(30)에 연결된 사이렌이 울리도록 함과 아울러, 상가 영상촬영분석기(30)에서 관제센터(40)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관제센터(40)에서 직접 경고방송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준비하고, 상기 난간대(10)의 상부라인을 따라 조명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16)를 통하여 사이렌이 울릴 시 조명부재(50)가 반복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며, 상기 조명부재(50) 내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조명부재(50)의 점등과 동시에 진동자가 작동되어 투신의심자에게 신체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되, 상기 조명부재(50)는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이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3)는 투신의심자가 접근하는 방향인 난간대(10)의 정면측 측부에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16)는 다수의 인체감지센서(13) 사이마다 배치되게 하여,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며,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의 하부측은 보행로(20) 내에 인입 설치되고, 상부측은 보행로(20)의 상부표면에서 15∼20㎝ 돌출 형성되어, 상기 투신의심자가 세이프티라인(21)이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또는 투신의심자의 발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보행로(20) 내에 형성된 홈부(76)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홈부(76) 내에 위치된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승하강작동수단(70)과 연결대(7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수단(70)에 의해 난간대(10)가 상승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가 난간대(10)를 쉽게 넘을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Safety warning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bridge accident}
본 발명은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는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층계, 다리, 마루 따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로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시각적으로 미려해보이도록 장식하기 위해 설치한다.
이러한 난간은 대부분 철재, 목재, 강화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막아 세워지도록 단순한 형태로 형성하여, 유아가 난간의 틈으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며, 난간의 높이가 낮을경우, 어린이들이 실수로 추락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그 위험성을 잘 인지하고 있는 성인이라 할지라도, 그 점을 이용해 투신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비일비재하며, 한강 등의 교량 난간은 이러한 투신 장소의 최적화된 장소라고 할 정도로 그 위험성이 높고, 투신사건이 많이 발생한다.
예컨대, 최근 5년간 한강교량에서 투신을 시도한 사람은 1,301명이며, 이중 마포대교에서만 108명이 투신해 48명이 숨지는 등 충동적이고 불안전한 심리상태나 생활고를 비관하여 교량에서 투신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교량 난간에서의 투신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대의 CCTV를 설치하고, 관리자가 교량에 위치한 사람들을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투신시도 또는 투신 등의 안전사고를 식별하여 구조대나 계도인원에 의해 조치가 이루어지는 관리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관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리자가 일일이 모니터링하여 교량 전체에 위치한 사람들의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안전사고를 식별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안전사고 감지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었으며, 감시하고자하는 교량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각 교량의 연장된 길이가 길수록 설치되는 CCTV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니터링해야 하는 영상정보가 늘어남에 따라 모니터링 감시인원의 인건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링 감시인원이 투신의심자 및 투신자를 식별하더라도, 구조대나 계도인원에게 알려주기 위해 전화통화 등의 통신시도를 수행하면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고, 음성으로만 사고내용이 전달되면서 구조대나 계도인원의 경우, 요약된 사고내용만을 인지한 채 사고현장으로 출동하게 되어 시간경과에 따른 투신의심자나 투신자의 위치변동 사항 등의 변동내용을 전달받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6-008650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는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교량은 난간대(10)와 보행로(2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대(10)에서 보행로(20) 측으로 0.4∼0.6m의 이격거리에 보행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세이프티라인(2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세이프티라인(21) 상에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 구분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대(10)에는 일정간격으로 인체감지센서(13)가 구비되도록 준비하며, 투신의심자가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을 밟거나 넘어서면 상기 인체감지센서(13)에서 투신의심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난간대(10)에 매립 설치된 스피커(16)를 통하여 투신의심자가 1차적으로 난간에서 물러날때까지 반복적인 안내방송을 실시하도록 준비하며, 상기 난간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난간대(10)를 감시하는 영상촬영분석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영상촬영분석기(30)에 상기 스피커(16)가 연결되어 사이렌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난간대(10)에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가면 2차적으로 영상촬영분석기(30)에 연결된 사이렌이 울리도록 함과 아울러, 상가 영상촬영분석기(30)에서 관제센터(40)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관제센터(40)에서 직접 경고방송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준비하고, 상기 난간대(10)의 상부라인을 따라 조명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16)를 통하여 사이렌이 울릴 시 조명부재(50)가 반복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며, 상기 조명부재(50) 내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조명부재(50)의 점등과 동시에 진동자가 작동되어 투신의심자에게 신체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되, 상기 조명부재(50)는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이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3)는 투신의심자가 접근하는 방향인 난간대(10)의 정면측 측부에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16)는 다수의 인체감지센서(13) 사이마다 배치되게 하여,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며,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의 하부측은 보행로(20) 내에 인입 설치되고, 상부측은 보행로(20)의 상부표면에서 15∼20㎝ 돌출 형성되어, 상기 투신의심자가 세이프티라인(21)이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또는 투신의심자의 발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보행로(20) 내에 형성된 홈부(76)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홈부(76) 내에 위치된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승하강작동수단(70)과 연결대(7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수단(70)에 의해 난간대(10)가 상승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가 난간대(10)를 쉽게 넘을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난간대(1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분할 구성되어, 상기 분할된 개별 난간대(10) 중에서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간 난간대(10)만 선택적으로 상승작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의 일실시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실시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이프티라인의 실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간대의 작동실시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작동실시 예시도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의 동작실시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는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난간대(10), 보행로(20), 인체감지센서(13), 세이프티라인(21), 스피커(21), 영상촬영분석기(30), 관제센터(40), 조명부재(50) 및 진동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교량은 도 1에서와 같이 난간대(10)와 보행로(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난간대(10)에서 보행로(20) 측으로 0.4∼0.6m의 이격거리에 보행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이프티라인(21)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대(10)에는 일정간격으로 인체감지센서(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은 일실시예로서 보행로(20) 상에 띠 형태로 형성되고 세이프티라인(21) 자체에 센서가 구비되어 투신의심자가 세이프티라인(21)을 밟거나 지나갈 시 감지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의 하부측은 보행로(20) 내에 인입 설치되고, 상부측은 보행로(20)의 상부표면에서 15∼20㎝ 돌출 형성되어, 상기 투신의심자가 세이프티라인(21)이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또는 투신의심자의 발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경고가 인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돌출형 세이프티라인(21)은 강성체로 마련될 수 있고, 우레탄 재질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이프티라인(21)에 조명을 구비하여 야간에 세이프티라인(21)이 구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신의심자가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을 밟거나 넘어서면 상기 인체감지센서(13)에서 투신의심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난간대(10)에 매립 설치된 스피커(16)를 통하여 투신의심자가 1차적으로 난간에서 물러날때까지 반복적인 안내방송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센서(13)는 투신의심자가 접근하는 방향인 난간대(10)의 정면측 측부에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16)는 다수의 인체감지센서(13) 사이마다 배치되어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16)를 통하여 1차적으로 투신의심자에게 경고함으로써 투신의심자 본인 스스로에게 인지시키고, 이때,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을 벗어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방송을 하도록 하며,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스피커(16)를 통한 사이렌 소리가 커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1차적 경고에도 불구하고 투신의심자가 난간대(10) 측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비하여 도 2,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난간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난간대(10)를 감시하는 영상촬영분석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영상촬영분석기(30)에 상기 스피커(16)가 연결되어 사이렌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난간대(10)에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가면 2차적으로 영상촬영분석기(30)에 연결된 사이렌이 울리도록 함과 아울러, 상가 영상촬영분석기(30)에서 관제센터(40)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관제센터(40)에서 직접 경고방송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난간대(10)의 상부라인을 따라 조명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16)를 통하여 사이렌이 울릴 시 조명부재(50)가 반복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50)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분 구비하여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 인식을 부여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조명부재(50)는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이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아울러 동시에 상기 조명부재(50) 내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조명부재(50)의 점등과 동시에 진동자가 작동되어 투신의심자에게 신체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진동자에 의한 떨림으로 인해 투신의심자가 경각심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2차적 경고를 통해 비상사이렌과 조명부재(50)의 조명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관제센터(40) 뿐만 아니라, 인근 주변인에게 이를 인지토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가 투신하는 것을 빠른 시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난간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보행로(20) 내에 형성된 홈부(76)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홈부(76) 내에 위치된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승하강작동수단(70)과 연결대(7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수단(70)에 의해 난간대(10)가 상승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가 난간대(10)를 쉽게 넘을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난간대(1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분할 구성되어, 상기 분할된 개별 난간대(10) 중에서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간 난간대(10)만 선택적으로 상승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교량은 난간대(10)와 보행로(2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대(10)에서 보행로(20) 측으로 0.4∼0.6m의 이격거리에 보행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이프티라인(21)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대(10)에는 일정간격으로 인체감지센서(13)가 구비되도록 준비하며, 투신의심자가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을 밟거나 넘어서면 상기 인체감지센서(13)에서 투신의심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난간대(10)에 매립 설치된 스피커(16)를 통하여 투신의심자가 1차적으로 난간에서 물러날때까지 반복적인 안내방송을 실시하도록 준비하며, 상기 난간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난간대(10)를 감시하는 영상촬영분석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영상촬영분석기(30)에 상기 스피커(16)가 연결되어 사이렌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난간대(10)에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가면 2차적으로 영상촬영분석기(30)에 연결된 사이렌이 울리도록 함과 아울러, 상가 영상촬영분석기(30)에서 관제센터(40)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관제센터(40)에서 직접 경고방송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준비하고, 상기 난간대(10)의 상부라인을 따라 조명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16)를 통하여 사이렌이 울릴 시 조명부재(50)가 반복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며, 상기 조명부재(50) 내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조명부재(50)의 점등과 동시에 진동자가 작동되어 투신의심자에게 신체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되, 상기 조명부재(50)는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이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3)는 투신의심자가 접근하는 방향인 난간대(10)의 정면측 측부에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16)는 다수의 인체감지센서(13) 사이마다 배치되게 하여,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의 하부측은 보행로(20) 내에 인입 설치되고, 상부측은 보행로(20)의 상부표면에서 15∼20㎝ 돌출 형성되어, 상기 투신의심자가 세이프티라인(21)이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또는 투신의심자의 발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경고가 인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난간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보행로(20) 내에 형성된 홈부(76)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홈부(76) 내에 위치된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승하강작동수단(70)과 연결대(7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수단(70)에 의해 난간대(10)가 상승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가 난간대(10)를 쉽게 넘을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난간대(1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분할 구성되어, 상기 분할된 개별 난간대(10) 중에서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간 난간대(10)만 선택적으로 상승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에 의하면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난간대 13 : 인체감지센서
16 : 스피커 20 : 보행로
21 : 세이프티라인 30 : 영상촬영분석기
40 : 관제센터 50 : 조명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교량은 난간대(10)와 보행로(2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대(10)에서 보행로(20) 측으로 0.4∼0.6m의 이격거리에 보행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세이프티라인(2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세이프티라인(21) 상에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 구분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대(10)에는 일정간격으로 인체감지센서(13)가 구비되도록 준비하며, 투신의심자가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을 밟거나 넘어서면 상기 인체감지센서(13)에서 투신의심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난간대(10)에 매립 설치된 스피커(16)를 통하여 투신의심자가 1차적으로 난간에서 물러날때까지 반복적인 안내방송을 실시하도록 준비하며, 상기 난간대(1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난간대(10)를 감시하는 영상촬영분석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영상촬영분석기(30)에 상기 스피커(16)가 연결되어 사이렌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난간대(10)에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가면 2차적으로 영상촬영분석기(30)에 연결된 사이렌이 울리도록 함과 아울러, 상가 영상촬영분석기(30)에서 관제센터(40)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관제센터(40)에서 직접 경고방송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준비하고, 상기 난간대(10)의 상부라인을 따라 조명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16)를 통하여 사이렌이 울릴 시 조명부재(50)가 반복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며, 상기 조명부재(50) 내에 진동자가 구비되어 조명부재(50)의 점등과 동시에 진동자가 작동되어 투신의심자에게 신체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준비하되, 상기 조명부재(50)는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이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투신의심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3)는 투신의심자가 접근하는 방향인 난간대(10)의 정면측 측부에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16)는 다수의 인체감지센서(13) 사이마다 배치되게 하여, 교량의 난간대측으로 바닥에 세이프티라인을 설정하여 투신의심자의 접근 시 1차적으로 경고 안내방송을 하도록 하고,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교량난간에 올라가면 2차적으로 비상사이렌 및 LED조명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관제센터 방송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의 투신을 예방하도록 하며,
    상기 세이프티라인(21)의 하부측은 보행로(20) 내에 인입 설치되고, 상부측은 보행로(20)의 상부표면에서 15∼20㎝ 돌출 형성되어, 상기 투신의심자가 세이프티라인(21)이 시각적으로 경고가 인식되도록 또는 투신의심자의 발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경고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난간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보행로(20) 내에 형성된 홈부(76)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홈부(76) 내에 위치된 난간지지봉(19)의 하단부측은 승하강작동수단(70)과 연결대(7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색LED조명등(51) 및 청색LED조명등(52)의 점등이 번갈아가며 작동됨과 동시에 승하강작동수단(70)에 의해 난간대(10)가 상승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투신의심자가 난간대(10)를 쉽게 넘을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1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분할 구성되어, 상기 분할된 개별 난간대(10) 중에서 투신의심자의 상체가 올라간 난간대(10)만 선택적으로 상승작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KR1020190146410A 2019-11-15 2019-11-15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KR10210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10A KR102100175B1 (ko) 2019-11-15 2019-11-15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10A KR102100175B1 (ko) 2019-11-15 2019-11-15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175B1 true KR102100175B1 (ko) 2020-04-13

Family

ID=7022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10A KR102100175B1 (ko) 2019-11-15 2019-11-15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246A (zh) * 2021-04-06 2021-07-02 山东舜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道路用不锈钢护栏
KR102659045B1 (ko) * 2024-01-15 2024-04-22 (주)이알코리아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687A (ko) * 2004-05-13 2005-11-17 허진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
KR20130058471A (ko) * 2011-11-25 2013-06-04 녹색산업주식회사 접근 방지용 안전 표지판
KR101496184B1 (ko) * 2013-08-30 2015-02-25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광고 시스템
KR20160086506A (ko) 2015-01-09 2016-07-20 주식회사 에스원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KR20160111111A (ko) * 2015-03-16 2016-09-26 한국광기술원 센서를 이용한 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16733B1 (ko) * 2018-12-28 2019-09-02 주식회사 휴나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687A (ko) * 2004-05-13 2005-11-17 허진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
KR20130058471A (ko) * 2011-11-25 2013-06-04 녹색산업주식회사 접근 방지용 안전 표지판
KR101496184B1 (ko) * 2013-08-30 2015-02-25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광고 시스템
KR20160086506A (ko) 2015-01-09 2016-07-20 주식회사 에스원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KR20160111111A (ko) * 2015-03-16 2016-09-26 한국광기술원 센서를 이용한 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16733B1 (ko) * 2018-12-28 2019-09-02 주식회사 휴나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246A (zh) * 2021-04-06 2021-07-02 山东舜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道路用不锈钢护栏
KR102659045B1 (ko) * 2024-01-15 2024-04-22 (주)이알코리아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175B1 (ko)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EP2366176B1 (en) Route guidance system
KR101884001B1 (ko) 보행자와 운전자의 주의환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83563B1 (ko) 스마트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KR101472488B1 (ko)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US20100074622A1 (en) Line-of-sight optical det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150457B1 (ko)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US95479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rail on a footpath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20130114885A (ko)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JP2016029248A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KR101326184B1 (ko) 교통 사고 방지를 위한 인디케이션 시스템
KR101931593B1 (ko)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TWM532620U (zh) 具聲光警示功能之地面濕滑偵測裝置
JP2012243177A (ja) 歩行者転落監視システム
CN205354285U (zh) 游泳池安全监控装置
KR101695464B1 (ko) 안전관리용 볼라드 및 그 볼라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이용객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79341B1 (ko) 시각장애인용 케인
JP2021071842A (ja) 通知機能付き撮像装置
KR102625803B1 (ko)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JPH0954878A (ja) 通行障害報知装置
JP7314372B1 (ja) エスカレータの乗り込み位置指定方法およびエスカレ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