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593B1 -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593B1
KR101931593B1 KR1020160140852A KR20160140852A KR101931593B1 KR 101931593 B1 KR101931593 B1 KR 101931593B1 KR 1020160140852 A KR1020160140852 A KR 1020160140852A KR 20160140852 A KR20160140852 A KR 20160140852A KR 101931593 B1 KR101931593 B1 KR 10193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pressure sensor
vehicle
pressure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065A (ko
Inventor
최영락
Original Assignee
(주) 맵앤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맵앤웍 filed Critical (주) 맵앤웍
Priority to KR102016014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5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쿨존 내의 도로와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횡단 보도 측으로 진입할 경우 LED 모듈을 발광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고, 보행자가 횡단 보도로 진입할 경우에도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센싱하여 보행자가 지나가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보행자를 인지시켜 운전자에게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 보도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등의 신호감지부와 제어부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가 신호를 위반하였을 때 LED 모듈을 동작시켜 경각심을 줄 수 있어 교통사고를 최소화하는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도에 압력센서가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는 차도 압력센서부; 횡단 보도에 압력센서가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는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 차도 압력센서부와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의 압력 값을 수신받아 속도를 산출하고,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운전자에게는 보행자를 인지시키고, 보행자에게는 차량을 인지시키기 위해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LED 모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Pedestrian protection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쿨존 내의 도로와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횡단 보도 측으로 진입할 경우 LED 모듈을 발광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고, 보행자가 횡단 보도로 진입할 경우에도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센싱하여 보행자가 지나가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보행자를 인지시켜 운전자에게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 보도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등의 신호감지부와 제어부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가 신호를 위반하였을 때 LED 모듈을 동작시켜 경각심을 줄 수 있어 교통사고를 최소화하는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구획형성되는 횡단 보도에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를 알려줄 수 있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보행자 신호등과,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의 신호상태를 알려줄 수 있게 양측으로 구비되는 운전자 신호등과, 상기 보행자신호등과 운전자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제어기로 이루어진 횡단 보도 신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횡단 보도용 신호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도로에서는 도로를 주행하던 자동차가 운전자 신호등이 적색 점등 시 이를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횡단 보도의 차량정지선에 자동차를 정지시키고, 보행자는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 점등에 따라 구획된 횡단 보도를 따라 건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횡단 보도 신호장치는 운전자에 의한 횡단 보도의 보행신호 확인이 운전자 신호등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운전자가 전방주시를 게을리하거나 잠시 다른 생각을 할 경우에는 무의식적으로 횡단 보도 이전에 차량을 정지시키지 못하고 사고를 발생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횡단 보도의 측방에는 보행자의 보행 편의 및 안전을 위해 차량이 횡단 보도 내측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량정지선이 있는데, 최근에 차량정지선 위반을 단속까지 하고 있음에도 잘 지켜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어린이 보호구역인 스쿨존(School Zone)이 학교주변에 지정되어 있다.
이처럼 횡단 보도의 차량정지선 위반은 대부분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에 기인하지만, 차량 신호등이 횡단 보도와 어긋나게 설치된 경우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볼 때 차량 신호등이 횡단 보도보다 후방에 위치된 경우에는 운전자는 차량 신호등만 보고 운전하다가 급하게 정지하더라도 횡단 보도를 침범하거나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스쿨존은 초등학교 및 유치원 정문에서 반경 300m 이내의 주통학로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교통안전시설물 및 도로부속물 설치로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공간을 확보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이다.
상기 스쿨존은 1995년 도로교통법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1995년에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2006년 이후 전체 교통사망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는 반면, 스쿨존 내 어린이 사망사고는 오히려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였다.
특히, 학교 앞의 스쿨존 횡단 보도와 같이 주의력과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도로에서는 등교 시 학부형 또는 교사들이 깃발 등을 이용하여 횡단 보도를 건너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건널 수 있게 하고 있으나, 하교시는 학년별도 하교시간이 동일하지 않아 횡단 보도를 건너는 어린이들을 보호해주는 사람이 없고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진 상태여서 많은 교통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1644호(2015.5.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차도 및 스쿨존, 주거밀집지역 내의 도로, 주차장과 같은 사고에 취약한 지역에서도 보행자 및 차량이 횡단 보도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운전자에게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는 차도에 압력센서가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는 차도 압력센서부; 횡단 보도에 압력센서가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는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 차도 압력센서부와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의 압력 값을 수신받아 속도를 산출하고,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운전자에게는 보행자를 인지시키고, 보행자에게는 차량을 인지시키기 위해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LED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이 차도에 설치된 차도 압력 센서부를 지나갈 경우, 첫 번째 압력센서와 두 번째 압력센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차량의 속도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지나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보행자가 횡단 보도에 설치된 횡단 보도 압력 센서부를 지나갈 경우,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쿨존 내의 도로와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횡단 보도 측으로 진입할 경우 LED 모듈을 발광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고, 보행자가 횡단 보도로 진입할 경우에도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센싱하여 보행자가 지나가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보행자를 인지시켜 운전자에게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 보도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등의 신호감지부와 제어부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가 신호를 위반하였을 때 LED 모듈을 동작시켜 경각심을 줄 수 있어 교통사고를 최소화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가 삽입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의 속도 감지에 따른 LED 모듈 발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의 보행자 횡단에 따른 LED 모듈 발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쿨존 내의 도로와 횡단 보도에 설치되어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횡단 보도 측으로 진입할 경우 LED 모듈(40)을 발광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고, 보행자가 횡단 보도로 진입할 경우에도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20)를 구비함으로써, 센싱하여 보행자가 지나가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40)을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보행자를 인지시켜 운전자에게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자가 보다 안전하게 횡단 보도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등의 신호감지부와 제어부(30)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가 신호를 위반하였을 때 LED 모듈(40)을 동작시켜 경각심을 줄 수 있어 교통사고를 최소화하는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100)의 구성도가 삽입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100)의 속도 감지에 따른 LED 모듈(40) 발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100)의 보행자 횡단에 따른 LED 모듈(40) 발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100)는 차도 압력센서부(10),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20), 제어부(30), LED 모듈(40), 신호등<미도시>, 및 신호감지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차도 압력센서부(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차도 압력센서부(10)는 스쿨존 내 차도에 압력센서가 일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여 제어부(30)로 송출한다.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20)는 스쿨존 내 횡단 보도에 압력센서가 일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여 제어부(30)로 송출한다.
제어부(30)는 차도 압력센서부(10)와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20)의 압력 값을 수신받아 속도를 산출하고, 차량 및 보행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속도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차량이 차도에 설치된 차도 압력 센서부를 지나갈 경우, 첫 번째 압력센서와 두 번째 압력센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차량의 속도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지나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40)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속도에 대한 주의를 주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보행자가 횡단 보도에 설치된 횡단 보도 압력 센서부를 지나갈 경우,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40)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행자를 인지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신호등의 정지 신호를 감지한 신호감지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차도 압력센서부(10) 또는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20)에 압력이 감지되면 해당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40)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잘못됨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LED 모듈(40)은 운전자에게는 보행자를 인지시키고, 보행자에게는 차량을 인지시키기 위해 제어부(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횡단 보도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되, 차량 진행방향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도면상으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도에 LED 모듈(40)을 다수 배치하여 점멸하거나 특정 글자를 형성하여 점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낸다.
신호감지기는 신호등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송출한다.
신호등과 신호감지기, 신호감지기의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30)의 일례로, 보행자가 교통 신호를 무시하고 횡단 보도로 보행할 경우, 차도 압력센서부(10) 또는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20)에 압력이 감지되고, 신호등의 정지 신호를 감지한 신호감지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30)는 해당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40)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잘못됨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0 - 차도 압력센서부
20 -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
30 - 제어부
40 - LED 모듈
100 -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Claims (3)

  1. 차도에 압력센서가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는 차도 압력센서부;
    횡단 보도에 압력센서가 다수 배치되어 압력을 센싱하는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
    차도 압력센서부와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의 압력 값을 .수신받아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차량 및 보행자의 위치를 판단하며, 차량의 속도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운전자에게는 보행자를 인지시키고, 보행자에게는 차량을 인지시키기 위해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고, 특정 글자를 형성하여 점등될 수 있는 LED 모듈; 및
    신호등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신호감지기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이 차도에 설치된 차도 압력 센서부를 지나갈 경우, 첫 번째 압력센서와 두 번째 압력센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차량의 차량의 속도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지나는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하고,
    보행자가 횡단 보도에 설치된 횡단 보도 압력 센서부를 지나갈 경우,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하며,
    보행자가 교통 신호를 무시하고 횡단 보도로 보행할 경우, 차도 압력센서부 또는 횡단 보도 압력센서부에 압력이 감지되고, 신호등의 정지 신호를 감지한 신호감지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해당 차도에 설치된 LED 모듈을 동작시켜 발광하게 하는 것
    을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60140852A 2016-10-27 2016-10-27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KR10193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52A KR101931593B1 (ko) 2016-10-27 2016-10-27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52A KR101931593B1 (ko) 2016-10-27 2016-10-27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65A KR20180046065A (ko) 2018-05-08
KR101931593B1 true KR101931593B1 (ko) 2019-03-13

Family

ID=6218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852A KR101931593B1 (ko) 2016-10-27 2016-10-27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239B (zh) * 2018-06-15 2020-12-08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基于上下游信号交叉口协调的行人过街控制系统及方法
KR102167713B1 (ko) 2018-12-28 2020-10-19 (주)아이티에스뱅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T17520U1 (de) * 2021-04-26 2022-06-15 Pearl Entpr Kft Verkehrssicherheit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107B1 (ko) * 2008-12-19 2009-07-09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JP2010522917A (ja) * 2007-03-27 2010-07-08 ラバー・パテンツ・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 進入検出器及び警報機を備えた歩行者用交差路
KR101532554B1 (ko) * 2015-03-18 2015-07-03 박재성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256A (ja) * 1997-09-03 1999-03-26 Nippon Electric Ind Co Ltd 太陽光発電による交通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2917A (ja) * 2007-03-27 2010-07-08 ラバー・パテンツ・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 進入検出器及び警報機を備えた歩行者用交差路
KR100907107B1 (ko) * 2008-12-19 2009-07-09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101532554B1 (ko) * 2015-03-18 2015-07-03 박재성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65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US5982278A (en) Road monitoring device
KR101728080B1 (ko) 도로 교통사고 예방장치
KR102002860B1 (ko) 보행자를 보호하는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446048B1 (ko) 지능형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 장치 및 이를 가진 보호 시스템
KR101931593B1 (ko)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2356084B1 (ko)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70139811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CN209989654U (zh) 一种长下坡道路预警拦截系统
KR20150009157A (ko) 위험구간 led시선유도등 제어방법
KR20170139807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KR102353084B1 (ko)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안전표시 전광판
JP2002038428A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030080842A (ko)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20160021944A (ko) 센서를 이용한 차선 이탈 경보 장치 및 방법
JP2016009563A (ja) トンネル用注意喚起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トンネル用注意喚起システム
KR100720061B1 (ko) 경고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