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795A -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795A
KR20210039795A KR1020190122450A KR20190122450A KR20210039795A KR 20210039795 A KR20210039795 A KR 20210039795A KR 1020190122450 A KR1020190122450 A KR 1020190122450A KR 20190122450 A KR20190122450 A KR 20190122450A KR 20210039795 A KR20210039795 A KR 2021003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drail
prevention system
pressure sens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093B1 (ko
Inventor
서지수
김성훈
이지연
김지현
김정무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베란다, 발코니 등에서의 전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동 등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난간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난간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수납함;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을 따라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튜브;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한 쌍의 인젝터; 및 상기 한 쌍의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튜브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마련되는 안전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falling from balustrade}
본 발명은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 발코니 등의 난간에서 전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동 등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베란다, 발코니 등에는 아동이나 성인의 부주의에 의한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추락 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난간을 높은 높이로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난간을 높은 높이로 설치하면 난간의 제약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전망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난간의 높이는 성인의 허리 이하의 높이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호자가 없는 사이에 아동이 난간을 넘어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고가 해마다 수십여 건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 난간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건물 바닥에 완충 매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개인 설치가 불가능하고, 추락 방지가 불가한 문제가 있다. 난간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기술로, 난간 상부에 난간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전망을 크게 해칠 뿐 아니라, 환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거주자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베란다, 발코니 등의 난간에서 전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동 등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추락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 환기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난간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난간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수납함;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을 따라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튜브;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한 쌍의 인젝터; 및 상기 한 쌍의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튜브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마련되는 안전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인젝터를 작동시키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인젝터 및 상기 한 쌍의 솔레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표시하는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의해 추락 위험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제1 경고음을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2 기준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제2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상기 알람부의 경고음 발생 기능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경고음 발생 기능의 오프 상태를 알리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의해 추락 위험을 감지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추락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무선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알림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제1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2 기준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제2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의 상면에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추락 위험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튜브를 수축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상기 난간의 상단부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난간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는 상기 안전망을 접힌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납함은 상기 홈부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은 각각 지지판 상에 나란하게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바와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튜브에는 각각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가이드링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연결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링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링이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은 상기 안전망의 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팽창시 상기 안전망을 펼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란다, 발코니 등의 전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동 등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추락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 환기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납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알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100)은 베란다, 발코니 등의 난간(10)에 설치되어, 베란다, 발코니 등에서의 전망을 해치거나, 환기 일상 생활 등에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아동 등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납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100)은 베란다, 발코니 등에 마련된 난간(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100)은 베란다, 발코니에 마련된 난간(10) 이외에도, 추락 사고의 위험이 있는 다양한 난간에 추락 사고 방지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100)은 압력 센서(110), 한 쌍의 수납함(120), 한 쌍의 가이드봉(130), 한 쌍의 튜브(140), 한 쌍의 솔레노이드(150), 한 쌍의 인젝터(160), 안전망(170), 배터리(180),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182), 알람부(190), 무선 알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난간(10)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Z)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난간(10a)과, 다수의 수직 난간(10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수직 난간(10a)에 의해 지지되고 난간(10)의 폭 방향(X)으로 배치되는 수평 난간(10b)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10)는 난간(10)의 상면(12)에 폭 방향(X)을 따라 설치되고, 아동 등에 의해 난간(10)의 상면(12)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수직 난간(10a)은 아동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며, 아동 추락 사고는 대부분 수평 난간(10b)을 넘어 아동이 추락함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아동이 수평 난간(10b)을 넘으려고 시도하는 것을 감지하여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압력 센서(110)는 난간(10)을 구성하는 수평 난간(10b)의 상면(12)에 폭 방향(X)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난간(10)의 폭 방향(X)으로 모든 위치에서의 추락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110)는 한 쌍의 수납함(120) 사이에 수평 난간(10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수평 난간(1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센서(110)는 상면에 압전 소자들이 마련된 벨트 형태의 압전 벨트로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센서(110)는 아동의 무게와 아동 추락 사고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0 내지 30 Kg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압력 정보는 신호선(112)을 통해 수납함(120) 내에 설치된 인쇄회로(PCB; Printed Circuit Boar) 기판 등의 기판(PCB)에 장착된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한 쌍의 수납함(120)은 난간(10)의 폭 방향(X)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난간(10)의 폭 방향(X)으로 모든 위치에서의 추락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수납함(120)은 수평 난간(10b)의 폭 방향(X)을 기준으로 일단 부분과 타단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납함(120)은 기판(PCB), 솔레노이드(150)와 인젝터(160), 배터리(180),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182), 알람부(190), 스위치부(192), 무선 알림부(200) 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납함(120)의 상부에는 수평 난간(10b)의 폭 방향(X)으로 수축 상태의 튜브(1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납함(120)은 난간(10)의 상단부 외면에 고정되어 수평 난간(10b)의 폭 방향(X)을 따라 배치된 지지대(122)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122)의 상면에는 접힌 상태의 안전망(170)을 수납하기 위한 홈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수납함(120)은 지지대(122)에 형성된 홈부(124)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봉(130)은 난간(10)의 폭 방향(X)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봉(130)은 한 쌍의 수납함(120)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봉(130)은 난간(1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봉(130)은 난간(10)에 유클램프(U-clamp)(132)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튜브(tube)(140)는 난간(10)의 폭 방향(X)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튜브(140)는 한 쌍의 수납함(120)의 상부에 마련된 수납홈(121)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튜브(140)는 신축,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가이드봉(130)을 따라 각각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튜브(140)의 하단에는 가스 주입구가 마련되고, 가스 주입구에 인젝터(160)의 가스 주입부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튜브(140)는 추락 사고 위험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 시에 수납홈(121)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수축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난간(10)에서 추락 사고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튜브(140)에 의해 전망을 가리거나 환기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솔레노이드(solenoid)(150)는 한 쌍의 수납함(120)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솔레노이드(15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기판(PCB)에 실장된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한 쌍의 인젝터(16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15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추락 위험이 있는 압력이 감지시 인젝터(16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인젝터(injector)(160)는 한 쌍의 수납함(120)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인젝터(16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기판(PCB)에 실장된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150)에 의해 작동되어, 한 쌍의 튜브(140)에 가스 카트리지(162)로부터 가스(예를 들어, CO2 가스, 공기 등)를 주입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40)를 팽창시킬 수 있다.
안전망(170)은 양측 모서리가 한 쌍의 튜브(140)에 결합될 수 있다. 추락 위험이 없는 평상 시에, 안전망(170)은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대(122) 상의 홈부(124) 내에 접힌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안전망(170)은 그물망이나 섬유재질 등의 유연성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안전망(170)은 수평 난간(10b)의 폭 방향(X)을 따라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체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안전망(170)은 한 쌍의 튜브(140)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락 위험 감지에 따라 한 쌍의 튜브(140)가 팽창되면, 한 쌍의 튜브(140) 사이에 마련된 안전망(17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져 아동 등의 추락을 물리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가이드봉(130)은 상/하부 지지판(132a)에 나란하게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바(132)와 가이드바(13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튜브(140)에는 튜브(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결부재(142)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142)는 튜브(140)의 수축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섬유 등의 유연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연결부재(142)의 일측에는 가이드링(144)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연결링(146)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바(134)는 가이드링(144)에 끼워져, 가이드링(144)이 가이드바(13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연결링(146)은 안전망(170)의 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공(17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140)가 상방으로 팽창시 튜브(140)에 결합된 연결링(146)에 의해 안전망(170)이 상부로 펼쳐질 수 있다.
배터리(180)는 한 쌍의 수납함(120)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80)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150) 및 한 쌍의 인젝터(16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182)은 배터리(180)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182)은 배터리(180)의 잔류 배터리 레벨이 낮은 경우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19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의해 추락 위험이 감지시, 기판(PCT)에 실장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람부(19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제1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19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5Kg ~ 9Kg 무게 감지시, "추락 위험이 있습니다."라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알람부(19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제1 경고음과 상이한 제2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19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9Kg 이상의 무게 감지시, "매우 위험합니다."라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부(192)는 알람부(190)의 경고음 발생 기능을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다. 아동의 추락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는 경고음 발생 기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부(192)는 오프 상태에서 경고음 발생 기능의 오프 상태를 알리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동의 보호자는 알람부(190)가 꺼진 상태임을 인식하여 알람부(190)의 경고음 발생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무선 알림부(20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의해 추락 위험을 감지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추락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알림부(200)는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아두이노(Arduino) 및 ESP 8266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알림부(20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보호자 단말기로 제1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알림부(200)는 압력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제2 기준 압력 보다 높은 경우 보호자 단말기로 제2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알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무선 알림부(200)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110)에 의해 5Kg ~ 9Kg 무게 감지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를 감지했습니다."라는 경고 메시지(M1)를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알림부(200)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110)에 의해 9Kg 이상의 무게 감지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위험합니다!!"라는 경고 메시지(M2)를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난간(10)의 상면에 설치된 압력 센서(110)에 의해 난간(10) 상에 아동의 무게가 감지되면, 먼저 알람부(190)에서 알람을 발생하여 아동과 주위의 보호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알림부(200)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로 난간(10) 상에 무게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차 경고가 발생한 이후, 압력 센서(110)에 의해 아동의 추락 위험 가능성이 있는 보다 높은 압력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150)에 의해 인젝터(160)가 가동되어 인젝터(160)에 의해 튜브(140) 내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튜브(140)가 가이드봉(130)을 따라 상부로 팽창된다. 이에 따라 접혀 있던 튜브(140)의 팽창과 함께, 한 쌍의 튜브(140) 사이에 마련된 안전망(170)이 펼쳐지게 되어 아동의 추락을 물리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압력 센서(110)에 의해 아동의 추락 위험이 있는 압력이 감지되면, 안전망(170)이 펼쳐져 아동의 추락을 물리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알람부(190)에 의해 추락 위험을 경고하고, 보호자 단말기에 추락 사고 위험을 문자 메시지 등으로 알리게 된다.
튜브(140)에는 가스 배출구(도시생략)와 가스 배출구를 개폐 가능한 가스 마개(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추락 위험 발생시 팽창된 튜브(140) 내의 가스를 가스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튜브(140)에서 가스를 배출시킨 후 튜브(140)를 수축시킨 상태로 수납함(120)의 수납홈(121) 내에 수납하고 안전망(170)을 접은 상태로 지지대(122)의 홈부(124) 내에 수납하여, 반영구적으로 난간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동 등이 난간(10) 위를 넘어가려고 하는 경우, 압력 센서(110)에 의해 아동 등의 무게를 감지하여 추락 위험을 감지하고, 추락 위험 감지시 솔레노이드(150)와 인젝터(160)에 의해 튜브(140)를 팽창시켜 안전망(170)을 펼침으로써, 아동 등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110)에서 압력 감지시 경고음을 발생하고, 보호자 단말기에 알림으로써, 아동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줌과 동시에 보호자가 추락 위험을 인식하여 보호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추락 사고 위험이 없는 경우에는 튜브(140)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안전망(170)이 접힌 상태로 보관되므로, 평상시에 베란다, 발코니 등에서의 전망을 해치지 않고, 아동 등의 추락 위험시에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락 사고 위험이 없을 때에 튜브(140)가 수축되어 안전망(170)이 접힌 상태로 보관되므로, 일상 생활시 환기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은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보호자가 직접 설치가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난간
10a: 수직 난간
10b: 수평 난간
100: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110: 압력 센서
120: 수납함
121: 수납홈
122: 지지대
124: 홈부
130: 가이드봉
132: 지지바
134: 가이드바
140: 튜브
142: 연결부재
144: 가이드링
146: 연결링
150: 솔레노이드
160: 인젝터
162: 가스 카트리지
170: 안전망
172: 결합공
180: 배터리
182: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
190: 알람부
192: 스위치부
200: 무선 알림부

Claims (10)

  1. 난간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난간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수납함;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상기 난간의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을 따라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튜브;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한 쌍의 인젝터; 및
    상기 한 쌍의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튜브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마련되는 안전망을 포함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인젝터를 작동시키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함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인젝터 및 상기 한 쌍의 솔레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표시하는 배터리 레벨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의해 추락 위험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제1 경고음을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2 기준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제2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의 경고음 발생 기능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경고음 발생 기능의 오프 상태를 알리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의해 추락 위험을 감지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추락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무선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알림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압력 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제1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상기 제2 기준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제2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상면에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추락 위험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튜브를 수축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상단부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난간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는 상기 안전망을 접힌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납함은 상기 홈부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은 각각 지지판 상에 나란하게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바와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튜브에는 각각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가이드링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연결링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링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링이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링은 상기 안전망의 측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팽창시 상기 안전망을 펼치도록 구성되는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0190122450A 2019-10-02 2019-10-02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29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50A KR102299093B1 (ko) 2019-10-02 2019-10-02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50A KR102299093B1 (ko) 2019-10-02 2019-10-02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95A true KR20210039795A (ko) 2021-04-12
KR102299093B1 KR102299093B1 (ko) 2021-09-08

Family

ID=7543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50A KR102299093B1 (ko) 2019-10-02 2019-10-02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88B1 (ko) * 2022-04-28 2023-03-06 최진호 추락 방지 장치
KR102659045B1 (ko) * 2024-01-15 2024-04-22 (주)이알코리아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313A (ko) * 2003-10-06 2005-04-12 서종대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0557497B1 (ko) * 2005-11-16 2006-03-1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KR20100022506A (ko) * 2010-02-09 2010-03-02 정종태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한 자동 난간 시스템
KR101929267B1 (ko) * 2018-08-28 2018-12-14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발코니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313A (ko) * 2003-10-06 2005-04-12 서종대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0557497B1 (ko) * 2005-11-16 2006-03-1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KR20100022506A (ko) * 2010-02-09 2010-03-02 정종태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한 자동 난간 시스템
KR101929267B1 (ko) * 2018-08-28 2018-12-14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발코니 안전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88B1 (ko) * 2022-04-28 2023-03-06 최진호 추락 방지 장치
KR102659045B1 (ko) * 2024-01-15 2024-04-22 (주)이알코리아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093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9795A (ko) 난간 추락 방지 시스템
EP2098206B1 (en) Alarm system
US20070080021A1 (en) System for sounding an alarm in an escape ladder deployment system
AU2018255373B2 (en)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US20150077218A1 (en) Virtual Gate and Alarm System
US5548275A (en) Alarm system for enclosing and protecting an area
CN210402611U (zh) 一体式感应安全防盗围栏
CN102968881A (zh) 一种防止儿童进入危险区的红外报警装置及方法
JP2007164474A (ja) 侵入警戒システム
US1063710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expansion of an energy storage device case
KR100616064B1 (ko)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KR101726678B1 (ko) 방범용 펜스
ITMI20001382A1 (it) Rilevatore di oggetti che cadono in acqua.
KR100697719B1 (ko) 통신장치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감시 시스템
JP3723176B2 (ja) 落下物捕獲装置
CN210594867U (zh) 一种自动扶梯安全装置
KR200404859Y1 (ko) 금고의 충격감지장치
PT2448639E (pt) Suporte para extintor de incêndios
CN113470304A (zh) 一种儿童危险区域提醒装置
KR100686702B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위험지역 경보장치
KR102259538B1 (ko) 슬라이딩도어의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20190135684A (ko) 압력변화 분석에 의한 사용인원 제한 에어바운스 안전장치
KR100682827B1 (ko) 외부인 감지 기능을 갖는 적외선 문
KR20190135678A (ko) 비상전원장치를 구비한 에어바운스 안전장치
KR102264802B1 (ko) 건축물 소방용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