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085Y1 -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085Y1
KR200327085Y1 KR20-2003-0020822U KR20030020822U KR200327085Y1 KR 200327085 Y1 KR200327085 Y1 KR 200327085Y1 KR 20030020822 U KR20030020822 U KR 20030020822U KR 200327085 Y1 KR200327085 Y1 KR 200327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present
cover
coupl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인
Original Assignee
박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인 filed Critical 박동인
Priority to KR20-2003-0020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서 핸드레일(handrail)을 넘어 어린아이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핸드레일의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넓이와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의 몸체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결합구를 형성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몸체로 핸드레일의 상측을 감싸도록 하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몸체가 핸드레일을 감싼 상태에서 끈을 결합구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Handrail cover for fall prevention}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서 핸드레일(handrail)을 넘어 어린아이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베란다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레일(난간)을 설치하고 있으나, 기존 난간의 높이가 낮고, 베란다에 밟고 올라갈 수 있는 물건이 많아 어린아이가 베란다에서 놀다가 핸드레일을 넘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레일의 상부에 그물망 형태의 보조망을 치거나 가림막을 추가로 설치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가 고안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이 핸드레일의 상부에 별도의 추락방지용 장치를 설치할 경우 이로 인하여 조망이 가려지는 한편 추락방지용 장치의 설치 고정을 위한 고정구가 어린아이를 다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위험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는 핸드레일의 높이를 높여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핸드레일의 높이를 현재보다 높인다 하여도 완전히 그 높이가 한정될 뿐 아니라 핸드레일의 높이가 높으면 집안에 있는 사람이 갑갑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핸드레일의 높이를 높일 수 없는 집에서는 핸드레일을 재시공 할 수가 없어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어린아이가 핸드레일을 넘어 추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핸드레일을 손으로 잡고 올라가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핸드레일을 어린아이가 잡았을 때 통증을 주어 핸드레일을 잡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어린아이가 핸드레일을 넘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핸드레일의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넓이와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의 몸체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결합구를 형성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몸체로 핸드레일의 상측을 감싸도록 하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몸체가 핸드레일을 감싼 상태에서 끈을결합구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펼친 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단면도
도 4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핸드레일 20 : 커버
21 : 몸체 22 : 돌기
23 : 결합구 24 : 끈
본 고안의 커버(20)는 판상의 몸체(21)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21)는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하여 부드럽게 굽혀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21)의 한쪽 면에는 돌기(22)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21)의 측면에는 몸체(21)가 핸드레일(10)을 감싸게 한 후 끈(24)을 끼워 고정시키는 결합구(23)를 형성시킴으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판상의 몸체(21)는 핸드레일(10)을 감쌀 수 있는 정도의 넓이와 수 개를 연속 설치하여 핸드레일(10)을 덮어줄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몸체(21)의 일측에는 돌기(22)를 형성하며, 몸체(21)의 측면으로는 끈(24)이 끼워지는 결합구(23)를 수 개 설치한 것이다.
몸체(21)와 돌기(22)는 연성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되 너무 부드럽지 않도록 하여 몸체(21)는 핸드레일(10)을 감쌀 수 있는 정도의 연성을 갖고, 돌기(22)는 통상의 지압구에 형성된 돌기와 같은 정도의 단단함을 갖도록 한다.
상기 돌기(22)는 원뿔형, 피라미드형, 삼각뿔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최 상부는 어느 정도 날카로움을 갖도록 하여, 어린아이가 잡았을 경우는 아픔을 느낄 정도이고 어른이 잡았을 경우는 지압구를 잡은 정도의 느낌이 들도록 한다.
몸체(2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구(23)는 몸체(21)가 핸드레일(10)에 씌워준 후 몸체(21)가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결합구(23)에 끈(24)을 끼워 끈(24)을 당김으로서 몸체(21)가 핸드레일(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핸드레일(10)의 상부에 커버(20)의 몸체(21)를 올려놓되 돌기(22)가 상부를 향하게 올려놓은 후 핸드레일(10)의 하부에서 결합구(23)에 끈(24)을 끼워 끈(24)을 담김으로서 몸체(21)가 핸드레일(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21)의 측면으로 또 다른 몸체를 놓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끈(24)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핸드레일(10)을 모두 몸체(21)로 감싸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몸체(21)를 고정시킨 끈(24)은 한쪽에서 단단히 매듭을 지워 어린아이들에 의하여 끈(24)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몸체(21)는 핸드레일(10)을 감싸게 한 상태로 끈(24)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므로 연성이 있는 부드러운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돌기(22)의 선단은 어느 정도 날카로움을 주어 연약한 피부를 갖고 있는 어린아이 손이 닿았을 경우 아픈 느낌을 받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몸체(21)의 하부에 결합구(23)를 주어 끈(24)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이유는 핸드레일(10)(10')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서로 다르고 또한 핸드레일(10)(10')의 직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모든 핸드레일(10)(10')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끈(24)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몸체(21)가 핸드레일(10)(10')을 덮어주게 한 상태에서 끈(24)을 결합구(23)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핸드레일(10)(10')의 형상이나 직경에 관계없이 몸체(21)를 핸드레일(10)(10')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몸체(21)를 핸드레일(10)에 고정시키면, 어린아이가 핸드레일(10)을 잡게 될 경우 돌기(22)가 손바닥을 누르게 되어 어린아이가 아픔을 느끼게 되므로 핸드레일(10)을 잡지 않게 되며, 핸드레일(10)을 잡지 않으면 어린아이가 절대로 핸드레일(10)을 넘을 수 없어 추락사고는 예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연약한 피부의 어린아이만 돌기(22)에 의해 아픔을 느끼게 되고 성인은 돌기(22)를 눌렀을 때 오히려 지압을 받는 듯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어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가 핸드레일(10)을 넘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건물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에 돌기가 형성된 몸체를 씌워 고정시킴으로서 어린아이가 핸드레일을 잡을 때 돌기에 의해 아픔을 느끼도록 하여 어린아이가 핸드레일을 잡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어린아이가 핸드레일을 넘지 못하도록 하여 추락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를 핸드레일에 끈으로 고정시키게 되어 핸드레일의 직경이나 형상에 관계없이 돌기가 형성된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드레일(10)의 상부를 덮어주는 연성을 갖는 몸체(21)를 합성수지로 제작하되 상기 몸체(21)의 일 측면에 돌기(22)를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21)의 측면에는 끈(24)이 끼워지는 결합구(23)를 형성시켜 몸체(21)의 돌기(22)가 상부를 향하게 핸드레일(10)을 덮어준 상태에서 결합구(23)에 끈(24)을 끼워 몸체(21)를 핸드레일(1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KR20-2003-0020822U 2003-06-30 2003-06-30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KR200327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22U KR200327085Y1 (ko) 2003-06-30 2003-06-30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22U KR200327085Y1 (ko) 2003-06-30 2003-06-30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085Y1 true KR200327085Y1 (ko) 2003-09-19

Family

ID=4941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22U KR200327085Y1 (ko) 2003-06-30 2003-06-30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0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72B1 (ko) * 2017-07-26 2018-08-24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72B1 (ko) * 2017-07-26 2018-08-24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1896C (en) Trampoline
US20090106873A1 (en) Towel Wrap
KR200327085Y1 (ko)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KR20130003907A (ko) 블라인드 줄에 결합되는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200441609Y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KR200418020Y1 (ko) 트램펄린
KR200464624Y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20110006216U (ko) 트램폴린 커버
JP3141442U (ja) 防護さく構造
KR200430168Y1 (ko) 타워크레인 낙하물 방지망
CN214733512U (zh) 心电监护仪线束固定装置
JP3222563U (ja) 手摺用落下防止具
CN201211101Y (zh) 磁扣式安全窗帘理绳
JP3128466U (ja) 犬の首輪
KR200221473Y1 (ko) 놀이대의 연결통로용 난간
KR200497036Y1 (ko) 캣타워
KR102641483B1 (ko)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KR200370264Y1 (ko) 추락 방지용 베란다 안전카바
KR100816260B1 (ko) 탑승객용 가변길이 손잡이
TWM632894U (zh) 床用護欄
KR200346705Y1 (ko) 놀이시설용 로프구조
KR200428019Y1 (ko) 놀이시설용 결합구
ITBA20090046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applicabile a ringhiere
KR20090062404A (ko) 침대용 안전보호대
JP2725744B2 (ja) 格子状枠組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