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609Y1 -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609Y1
KR200441609Y1 KR2020070006067U KR20070006067U KR200441609Y1 KR 200441609 Y1 KR200441609 Y1 KR 200441609Y1 KR 2020070006067 U KR2020070006067 U KR 2020070006067U KR 20070006067 U KR20070006067 U KR 20070006067U KR 200441609 Y1 KR200441609 Y1 KR 200441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ailing
fastener
balcon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언
Original Assignee
박성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언 filed Critical 박성언
Priority to KR2020070006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Abstract

개시된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는,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난간과;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을 상호 결합한 상태로 발코니난간의 상부에 연장 설치하는 안전난간과; 안전난간을 발코니난간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안전난간을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는, 발코니난간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수단으로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발코니, 안전난간, 각도, 추락방지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The safety parape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각도조절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안전난간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클램프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도 3의 널크핀 단면도,
도 7b는 도 3의 판스프링 단면도,
도 7c는 도 3의 스토퍼락 단면도,
도 7d는 도 3의 버튼와셔 단면도,
도 7e는 도 3의 해제버튼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발코니난간 200:안전난간
210:보강프레임 300:각도조절수단
310:안전난간클램프 311:안전난간결합구
312:끼움수납부 313:체결고정공
314:연결구 315:스토퍼체결홈
316:톱니홈 317:연결수납부
320:클램프브라켓 321:체결구
322:조절대수납부 323:스프링고정대
324:고정공 325:관통공
326:발코니난간결합구 330:회전제어고정부
331:널크핀 332:판스프링
333:스토퍼락 334:버튼와셔
335:버튼삽입공 336:해제버튼
337:걸림돌기 338:버튼스프링
400:보조고정구
본 고안은 난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나 빌라의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에 연장되게 설치하여 어린이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에는 가구마다 전망이나 화초재배, 의류건조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발코니가 설치되며, 발코니의 개방된 전면에는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시설물로 난간이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난간은 설치비용 절감을 위해 법규정상 정하는 최소규정높이로 설치하게 되는 바, 성인의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가 없으나, 안전에 의한 의식이 없고 호기심이 많은 유아 및 어린이의 경우에는 놀이의 대상이 되어 오히려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코니에 놓게 되는 화분이나 그 외 물건들을 밟고 올라서면 난간 높이 이상의 위치에 오르게 되면서 쉽게 추락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발코니의 난간에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이들의 추락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의 무단침입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는,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난간과;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을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발코니난간의 상부에 연장 설치하는 안전난간과; 상기 안전난간을 상기 발코니난간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안전난간을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난간의 각 세로 프레임은 유아 및 어린이가 매달리기가 어렵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단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안전난간의 가로 프레임 양단부에 외삽되는 끼움수납부를 가지는 안전난간결합구와, 스토퍼체결홈 및 복수개의 일방향 톱니홈이 형성된 연결수납부를 가지는 연결구가 상기 안전난간결합구에 일체 결합된 안전난간클램프와, 스프링고정대가 형성된 조절대수납부를 가지면서 상기 조절대수납부와 연통된 고정공 및 관통공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의 연결수납부에 내삽되는 체결구와, 상기 발코니난간의 가로 프레임에 외삽되는 발코니난간결합구가 상기 체결구에 일체결합된 클램프브라켓 및, 상기 체결구의 조절대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구가 상기 체결구에 외삽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함과 더불어 회전한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회전제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결합구 일측부에는 상기 안전난간의 가로 프레임에 외삽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기재로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고정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고정부는 상기 체결구의 고정공에 끼워진 상태로 단부가 상기 연결구의 톱니홈에 걸림되는 널크핀과, 상기 체결구의 스프링고정대에 일단부가 삽입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널크핀을 상기 연결구의 톱니홈에 걸림된 상태로 유 지되게 지지하는 "V"형상의 판스프링과, 축단부가 상기 체결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구의 스토퍼체결홈에 체결된 상태로 헤드부가 상기 체결부에 걸림되어 상기 체결구를 상기 연결구의 연결수납부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게 하는 스토퍼락과, 버튼삽입공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체결공의 조절대수납부에 삽입 고정하는 버튼와셔와, 축부에 상기 버튼와셔의 버튼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해제버튼 및, 상기 해제버튼의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해제버튼에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버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에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브라켓의 발코니난간결합구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발코니난간의 가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안정적인 고정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보조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 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추락사고방지용 안전난간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각도조절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추락사고방지용 안전난간은, 발코니난간(100), 안전난간(200), 각도조절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코니난간(100)은 아파트나 빌라, 빌딩, 호텔과 같은 고층 건축물의 발코니에 설치되어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는 프레임 결합체이다.
이러한, 발코니난간(100)은 가로 및 세로 프레임 복수개를 상호 결합 형성한 상태로 건물의 발코니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안전난간(200)은 복수개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이 상호 결합 형성된 프레임 결합체이다.
이러한, 상기 안전난간(200)은 상기 발코니난간(100) 상부에 추가적으로 연장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전난간(200)의 각 세로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세로 프레임의 지지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 프레임(21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난간(200)의 각 세로 프레임은 유아 및 어린이가 매달리기가 어렵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단 가장자리부는 상기 안전난간(200)에 유아나 어린이가 기대는 경우 찔림에 의한 약간의 통증만을 유발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단으로 라운딩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상기 안전난간(200)의 양단부를 상기 발코니난간(100) 상부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게 하며, 상기 안전난간(200)을 상기 발코니난간(100)에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부재이다.
도 4a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안전난간클램프 정단면도, 도 4b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안전난간클램프 평단면도이다.
이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에는 상기 안전난간(200) 최하부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의 양단부에 외삽되는 끼움수납부(312)를 가지는 안전난간결합구(311)와, 스토퍼체결홈(315) 및 복수개의 일방향 톱니홈(316)이 형성된 연결수납부(317)를 가지는 연결구(314)를 포함하는 안전난간클램프(3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난간결합구(311)는 상기 연결구(314)의 일측부에 일체 상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결합구(311) 일측부에는 상기 안전난간(200)의 가로 프레임에 외삽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기재를 체결하여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고정공(313)을 형성한다.
도 5a는 도 3의 클램프브라켓 정단면도, 도 5b는 도 3의 클램프브라켓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에는 스프링고정대(323)가 형성된 조절대수납부(322)를 가지며, 상기 조절대수납부(322)와 연통된 고정공(324) 및 관통공(325)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314)의 연결수납부(317)에 내삽되는 체결구(321)와, 상기 발코니난간(100) 최상부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에 외삽되는 발코니난간결합구(326)를 포함하는 클램프브라켓(3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발코니난간결합구(326)는 상기 체결구(321)의 일측부에 일체 상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코니난간결합구(326)는 상기 발코니난간(100) 최상부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b에서는 상기 발코니난간결합구(326)를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발코니난간(100)의 가로 프레임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에는 상기 클램프브라켓(320)의 체결구(321)에 형성된 조절대수납부(322)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구(314)가 상기 체결구(321)에 외삽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함과 더불어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회전제어고정부(330)를 구비한다.
도 7a는 도 3의 널크핀 단면도, 도 7b는 도 3의 판스프링 단면도, 도 7c는 도 3의 스토퍼락 단면도, 도 7d는 도 3의 버튼와셔 단면도, 도 7e는 도 3의 해제버튼 단면도이다.
이같이, 상기 회전제어고정부(330)는 상기 체결구(321)의 고정공(324)에 끼워진 상태로 단부가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되는 널크핀(331)과, 상기 체결구(321)의 스프링고정대(323)에 일단부가 삽입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널크핀(331)을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게 지지하는 "V"형상의 판스프링(332)을 구비한다.
상기 널크핀(331)은 상기 체결구(321)의 고정공(3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321) 내부 및 외부로의 이송에 따라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대한 걸림상태가 결정된다.
즉, 상기 널크핀(331)이 상기 체결구(321) 외부로 이송되면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단부가 걸림되어 상기 연결구(314)와 상기 체결구(321)가 상호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널크핀(331)이 상기 체결구(321) 내부로 이송되면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단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연결구(314)와 상기 체결구(321)가 상호 회전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제어고정부(330)는 축단부가 상기 체결구(321)의 관통공(325)을 통해 상기 연결구(314)의 스토퍼체결홈(315)에 체결된 상태로 헤드부가 상기 체결부에 걸림되는 스토퍼락(333)과, 버튼삽입공(335)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321)의 조절대수납부(322)에 삽입 고정하는 버튼와셔(3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버튼와셔(334)는 상기 체결공의 조절대수납부(322)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와 같은 결합기재에 의해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락(333)은 상기 체결구(321)를 상기 연결구(314)의 연결수납부(317)에 내삽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며, 상기 판스프링(332)의 널크핀(331)을 지지하는 단부에 휨이 발생할 경우 상기 판스프링(332)의 휨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스토퍼락(333)에 상기 판스프링(332)의 단부가 닿게 될 경우, 상기 널크핀(331)이 상기 체결구(321)의 고정공(3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 도로 상기 널크핀(331)을 상기 체결구(321)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상기 널크핀(331)의 단부가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고정부(330)는 축부에 상기 버튼와셔(334)의 버튼삽입공(335)을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337)가 형성된 해제버튼(336)과, 상기 해제버튼(336)의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해제버튼(336)에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버튼스프링(338)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해제버튼(336)을 사용자가 누를 경우, 축단부가 상기 판스프링(332)의 일단부를 상기 스토퍼락(333)에 닿을 정도로 가압하여 상기 널크핀(331)을 체결구(321) 내부로 이송되게 함으로써 상기 널크핀(331)을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336)을 사용자가 누른 상태에서 해제할 경우, 상기 버튼스프링(338)에 의해 상기 해제버튼(336)이 눌림 이전의 최초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판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널크핀(331)이 상기 체결구(321) 외부로 이송하게 되면서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에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브라켓(320)의 발코니난간결합구(326)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발코니난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을 안정적인 고정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보조고정구(400)를 구비한다.
즉, 상기 보조고정구(400)는 상기 클램프브라켓(320)을 상기 발코니난간(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안전난간(200)도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되 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의 설치동작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안전난간클램프(310)의 안전난간결합구(311)에 상기 안전난간(200)의 가로 프레임 양단부를 삽입 체결한 후, 상기 보조고정구(400)를 상기 발코니난간(100)의 가로프레임에 결합고정한다.
이후, 상기 보조고정구(400)에 상기 클램프브라켓(320)의 발코니난간결합구(326)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의 클램프브라켓(320) 및 안전난간결합구(311)에 의해 상기 안전난간(200)을 상기 발코니난간(100)에 결합 고정한 후에는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의 회전제어고정부(330)를 통해 상기 안전난간(2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제어고정부(330)의 해제버튼(336)을 누르게 되면, 이송되는 상기 해제버튼(336)의 축단부가 상기 판스프링(332)을 가압하면서 상기 판스프링(332)에 의해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된 널크핀(331)이 상기 체결구(321)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대한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그런 후에, 작업자가 상기 회전제어고정부(330)의 해제버튼(336)을 누른 상태로 상기 안전난간클램프(31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후, 상기 해제버튼(336)에 대한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안전난간(200)을 일정한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된 다.
즉, 상기 해제버튼(336)에 대한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회전제어고정부(330)의 버튼스프링(338)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해제버튼(336)은 최초 누름상태 전의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332)도 상기 해제버튼(336)에 의한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판스프링(332)의 자체 탄성력에 접힘상태에서 최초 위치로 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판스프링(332)에 의해 널크핀(331)이 상기 체결구(321) 외부로 이송되면서 상기 널크핀(331)의 단부가 상기 연결구(314)의 톱니홈(316)에 걸림되어 상기 안전난간클램프(310)를 작업자가 조절한 각도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는 상기 발코니난간(100)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으로 상기 안전난간(200)을 설치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는, 발코니난간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수단으로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난간과;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을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발코니난간의 상부에 연장 설치하는 안전난간과;
    상기 안전난간을 상기 발코니난간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안전난간을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안전난간의 가로 프레임 양단부에 외삽되는 끼움수납부를 가지는 안전난간결합구와, 스토퍼체결홈 및 복수개의 일방향 톱니홈이 형성된 연결수납부를 가지는 연결구가 상기 안전난간결합구에 일체 결합된 안전난간클램프와,
    스프링고정대가 형성된 조절대수납부를 가지면서 상기 조절대수납부와 연통된 고정공 및 관통공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연결구의 연결수납부에 내삽되는 체결구와, 상기 발코니난간의 가로 프레임에 외삽되는 발코니난간결합구가 상기 체결구에 일체결합된 클램프브라켓 및,
    상기 체결구의 조절대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구가 상기 체결구에 외삽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함과 더불어 회전한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회전제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의 각 세로 프레임은 유아 및 어린이가 매달리기가 어렵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단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결합구 일측부에는 상기 안전난간의 가로 프레임에 외삽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기재로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고정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고정부는
    상기 체결구의 고정공에 끼워진 상태로 단부가 상기 연결구의 톱니홈에 걸림되는 널크핀과,
    상기 체결구의 스프링고정대에 일단부가 삽입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널크핀을 상기 연결구의 톱니홈에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게 지지하는 "V"형상의 판스프링과,
    축단부가 상기 체결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연결구의 스토퍼체결홈에 체결된 상태로 헤드부가 상기 체결부에 걸림되어 상기 체결구를 상기 연결구의 연결수납부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게 하는 스토퍼락과,
    버튼삽입공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체결공의 조절대수납부에 삽입 고정하는 버튼와셔와,
    축부에 상기 버튼와셔의 버튼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해제버튼 및,
    상기 해제버튼의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해제버튼에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버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에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브라켓의 발코니난간결합구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발코니난간의 가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안정적인 고정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보조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KR2020070006067U 2007-04-12 2007-04-12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KR200441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67U KR200441609Y1 (ko) 2007-04-12 2007-04-12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67U KR200441609Y1 (ko) 2007-04-12 2007-04-12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609Y1 true KR200441609Y1 (ko) 2008-08-27

Family

ID=4164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67U KR200441609Y1 (ko) 2007-04-12 2007-04-12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60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38Y1 (ko) * 2013-07-18 2014-03-13 한현희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434651B1 (ko) 2012-08-27 2014-08-26 도아기업주식회사 보행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핸드레일
CN109235801A (zh) * 2018-11-02 2019-01-18 深圳市三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扶手栏杆及其安装方法
KR20190019263A (ko) * 2017-08-17 2019-02-27 박세만 롤린더 시스템 중심 이탈 각도 전용스케일
KR102408722B1 (ko) * 2021-09-29 2022-06-15 (주)모백스 착탈식 높이연장 스마트 안전난간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51B1 (ko) 2012-08-27 2014-08-26 도아기업주식회사 보행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핸드레일
KR200471738Y1 (ko) * 2013-07-18 2014-03-13 한현희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190019263A (ko) * 2017-08-17 2019-02-27 박세만 롤린더 시스템 중심 이탈 각도 전용스케일
KR101976049B1 (ko) 2017-08-17 2019-09-10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롤린더 시스템 중심 이탈 각도 전용스케일
CN109235801A (zh) * 2018-11-02 2019-01-18 深圳市三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扶手栏杆及其安装方法
KR102408722B1 (ko) * 2021-09-29 2022-06-15 (주)모백스 착탈식 높이연장 스마트 안전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609Y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장치
US7780236B2 (en) Bouncing cradle
US4556201A (en) Handrail for toddlers
KR100549719B1 (ko) 베란다용 높이 조절 난간
KR100557497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US20040238807A1 (en) Safety fence
US8646743B2 (en) Safety strap set for preventing toddlers from climbing on a chair
KR10105444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US8112834B1 (en) Connecting arrangement for spring deck holder for a crib mattress
KR100585816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높이 조절 난간
KR200436737Y1 (ko)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US6345475B1 (en) Stair guard
EP1493616A2 (en) Child seat anchorage system to a car seat
CN215889773U (zh) 一种门槛石坡度结构
JP5499394B2 (ja) 移動用バー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H088186Y2 (ja) 手摺り取付構造
DE20119260U1 (de) Entfernbarer Stützfuß für einen Babylaufstall
KR200342614Y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2627075B1 (ko)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US20100009786A1 (en) Goal height adjuster lock
TWI541056B (zh) Fixed slides
KR102131817B1 (ko) 완강기 발판
KR100514577B1 (ko) 아파트 발코니의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난간장치
JP3237067U (ja) 浴槽用踏み台装置
KR102514420B1 (ko) 세면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