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420B1 - 세면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세면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4420B1 KR102514420B1 KR1020210083444A KR20210083444A KR102514420B1 KR 102514420 B1 KR102514420 B1 KR 102514420B1 KR 1020210083444 A KR1020210083444 A KR 1020210083444A KR 20210083444 A KR20210083444 A KR 20210083444A KR 102514420 B1 KR102514420 B1 KR 102514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support
- upper body
- angle
- le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는, 제1 다리부; 상기 제1 다리부의 일부에 고정되는 다리 연결부; 상기 다리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다리부와 지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다리부; 상기 제1 다리부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다리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세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체 받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 보조 장치의 상체 받침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면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세면 보조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세면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면기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생활필수품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세면기에서 세면을 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무리하게 굽혀 이용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근력이 약화된 고령의 사용자들은 젊은 세대에 비해 일반적인 세면기 사용이 더욱 힘들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기존의 세면 보조 장치는 세면기 주변에 수평의 철물 지지대를 설치하여 지지대를 한쪽 팔로 딛고, 다른 한쪽 팔로 세면을 실시하게끔 하는 형태로써, 팔 동작을 방해하여 편안한 세면을 진행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세면 시 상체 굽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허리 통증을 방지하면서 세면을 위한 팔 동작의 방해를 최소화하고, 상체 받침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자세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세면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체 받침부 또는 다리부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세면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세면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는, 제1 다리부; 상기 제1 다리부의 일부에 고정되는 다리 연결부; 상기 다리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다리부와 지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다리부; 상기 제1 다리부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다리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세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체 받침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가 복수의 각도들 중 하나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다리 각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다리부 또는 상기 제2 다리부의 다리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가 복수의 각도들 중 하나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다리 길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세로 지지대와 상기 상체 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배치되는 롤링 부재; 및 상기 상체 받침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받침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롤링 부재의 구름 동작을 통해,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상체 받침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로 지지대의 상단에 회전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받침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지정된 반경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세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받침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지정된 반경 내의 회전 후 상기 기준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세면 보조 장치는 상기 세로 지지대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디딤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 보조 장치의 상체 받침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면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세면 보조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를 정면, 배면, 측면,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체 받침부의 높이 또는 각도에 대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체 받침부의 각도 변경에 따른 다양한 상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 조절 시 원상복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디딤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를 정면, 배면, 측면,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체 받침부의 높이 또는 각도에 대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체 받침부의 각도 변경에 따른 다양한 상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 조절 시 원상복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디딤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를 정면, 배면, 측면,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제1 다리부(110), 제2 다리부(120), 다리 연결부(130), 세로 지지대(140), 상체 받침부(15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제1 지지 부재(160) 또는 제2 지지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를 통해 지면에 세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리 연결부(130)는 제1 다리부(110)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다리부(120)는 다리 회전부(131)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다리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60)는 제1 다리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70)는 제2 다리부(120)의 일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세면 보조 장치(100)의 사용 시, 제1 지지 부재(160) 또는 제2 지지 부재(170)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 부재(160)는 제1 다리부(110)의 일단(예: 하단부)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70)는 제2 다리부(120)의 일단(예: 하단부)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지지 부재(160) 또는 제2 지지 부재(170)는 세면 보조 장치(100)를 지탱하는 구조 또는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구조를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세면 보조 장치(100)는 제1 지지 부재(160) 또는 제2 지지 부재(170)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다리부(120)의 회전에 의해,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지정된 각도를 이루어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면 보조 장치(100)는 지면에 세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제1 미끄럼 방지 부재(161) 또는 제2 미끄럼 방지 부재(171)를 통해 미끄러지지 않고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미끄럼 방지 부재(161)는 제1 지지 부재(16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미끄럼 방지 부재(171)는 제2 지지 부재(17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미끄럼 방지 부재(161) 및 제2 미끄럼 방지 부재(171)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예: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체 받침부(150)는 세로 지지대(140)의 일단(예: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세로 지지대(140)의 타단(예: 하단부)은 다리 연결부(130)를 통해 제1 다리부(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정 부재(132)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32)는 나사 형태로 다리 연결부(130)에 고정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세로 지지대(140)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32)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세로 지지대(140)를 풀어주고, 세로 지지대(140)는 제1 다리부(1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상체 받침부(15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10) 또는 세면대(20)의 높이에 맞춰 상체 받침부(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10)는 상체 굽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허리 통증을 방지하면서 세면을 위한 팔 동작의 방해를 최소화하여 세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체 받침부의 높이 또는 각도에 대해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리부(110)는 지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태(210)에서,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제1 각도(R1)(예: 80도)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제2 각도(R2)(예: 60도)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제3 각도(R3)(예: 45도)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 가지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다리부(110)는 지면과 더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이 다양한 각도로 조절됨으로 인해, 세로 지지대(140) 및 상체 받침부(150)는 다양한 높이 또는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면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10)의 다양한 자세 또는 세면대(20)의 다양한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에서, 도 4와 같이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가 다양한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설명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다양한 다리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다양한 다리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리 각도 조절 부재는 체결 부재(310)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331, 332, 33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회전 축(32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다리부(1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체결 핀(311), 제2 체결 핀(312) 또는 제3 체결 핀(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리부(120)의 일면에는 지정된 간격으로 제1 체결 홀(331), 제2 체결 홀(332) 또는 제3 체결 홀(33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210)에서 체결 부재(310)의 제1 체결 핀(311)은 제2 다리부(120)의 제1 체결 홀(3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도 4의 제1 각도(R1)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체결 부재(310)의 제2 체결 핀(312)은 제2 다리부(120)의 제2 체결 홀(3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도 4의 제2 각도(R2)를 이룰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체결 부재(310)의 제3 체결 핀(313)은 제2 다리부(120)의 제3 체결 홀(3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도 4의 제3 각도(R3)를 이룰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리 각도 조절 부재는 체결 부재(410) 및 체결 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410)는 회전 축(42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다리부(1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410)는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체결 홀(411), 제2 체결 홀(412) 또는 제3 체결 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리부(120)의 일면에는 체결 핀(4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210)에서 체결 부재(410)의 제1 체결 홀(411)은 제2 다리부(120)의 체결 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도 4의 제1 각도(R1)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체결 부재(410)의 제2 체결 홀(412)은 제2 다리부(120)의 체결 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도 4의 제2 각도(R2)를 이룰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체결 부재(410)의 제3 체결 홀(413)은 제2 다리부(120)의 체결 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 및 제2 다리부(120)는 도 4의 제3 각도(R3)를 이룰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리 각도 조절 부재는 걸림 부재(510) 및 걸림 핀(53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510)는 회전 축(52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다리부(1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 부재(510)는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빗장(511), 제2 빗장(512), 제3 빗장(513) 또는 제4 빗장(5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리부(120)의 일면에는 걸림 핀(5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210)에서, 걸림 핀(530)은 제1 빗장(511)과 제2 빗장(51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1 각도(R1)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걸림 핀(530)은 제2 빗장(512)과 제3 빗장(513)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2 각도(R2)를 이룰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걸림 핀(530)은 제3 빗장(513)과 제4 빗장(514)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3 각도(R3)를 이룰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리 각도 조절 부재는 걸림 부재(610), 걸림 부재 연결부(620), 이동 홈(630)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631, 632, 63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 연결부(620)는 제1 다리부(110)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 부재(610)의 일단은 걸림 부재 연결부(620)에 회전 축(621)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걸림 부재(610)의 타단에는 걸림 핀(61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리부(120)의 양측면에는 걸림 핀(611)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홈(6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홈(630)은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제1 걸림 홈(631), 제2 걸림 홈(632) 또는 제3 걸림 홈(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걸림 부재(610)들이 제2 다리부(120)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걸림 핀(611)은 걸림 부재(610)들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 핀(611)은 이동 홈(630)을 따라서 제1 걸림 홈(631), 제2 걸림 홈(632) 또는 제3 걸림 홈(63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210)에서, 걸림 핀(611)은 제1 걸림 홈(63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1 각도(R1)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걸림 핀(611)은 제2 걸림 홈(63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2 각도(R2)를 이룰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걸림 핀(611)은 제3 걸림 홈(63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3 각도(R3)를 이룰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다리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길이 조절 부재는 제1 다리부(110) 또는 제2 다리부(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리 길이 조절 부재는 도 5 내지 도 8의 다리 각도 조절 부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리 길이 조절 부재에 의해 제1 다리부(110) 또는 제2 다리부(120)의 길이가 변경되어도, 제1 다리부(110)와 제2 다리부(120) 사이의 각도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다리 길이 조절 부재는 제2 다리부(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리 길이 조절 부재는 제1 다리부(1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제1 다리부(110)와 제2 다리부(12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리 길이 조절 부재가 제2 다리부(120)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다리부(120)는 제1 부분 다리(710) 및 제2 부분 다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다리(710)는 다리 회전부(131)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다리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분 다리(710)는 일부에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 핀(7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 다리(720)는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제1 걸림 홈(721), 제2 걸림 홈(722) 또는 제3 걸림 홈(7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 홈(721), 제2 걸림 홈(722) 또는 제3 걸림 홈(723)의 형상은 걸림 핀(7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리 길이 조절 부재는 걸림 핀(711)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721, 722, 7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부분 다리(710) 및 제2 부분 다리(720)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 다리(720)는 제1 부분 다리(7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상태(210)에서, 걸림 핀(711)은 제1 걸림 홈(72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1 각도(R1)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걸림 핀(711)은 제2 걸림 홈(72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다리부(120)의 길이는 제1 상태(210)보다 짧아지고,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2 각도(R2)를 이룰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걸림 핀(711)은 제3 걸림 홈(72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다리부(120)의 길이는 제2 상태(220)보다 짧아지고,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3 각도(R3)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걸림 핀(711)은 스프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가 걸림 핀(711)을 제1 부분 다리(710)의 외부로 당기면, 걸림 핀(711)은 제1 걸림 홈(521), 제2 걸림 홈(522) 또는 제3 걸림 홈(523)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부분 다리(720)는 제1 부분 다리(7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걸림 핀(711)을 놓는 경우 스프링 구조의 장력에 의해, 걸림 핀(711)은 제1 걸림 홈(721), 제2 걸림 홈(722) 또는 제3 걸림 홈(723) 중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다리부(120)는 제1 부분 다리(810) 및 제2 부분 다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다리(810)는 고정 부분(811) 및 회전 부분(8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분(811)의 일단은 다리 회전부(131)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다리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부분(812)의 일단은 고정 부분(81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부분(812)의 타단의 일부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 다리(820)는 내부에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분(812)의 제1 나사산은 제2 부분 다리(820)의 제2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다리 길이 조절 부재는 제1 나사산 및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부분(812)의 회전에 따라, 제1 부분 다리(810)는 제2 부분 다리(820)의 내부로 이동하거나 제2 부분 다리(82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부분(812)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부분 다리(810)는 제2 부분 다리(82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부분(812)이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부분 다리(810)는 제2 부분 다리(82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210)에서,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1 각도(R1)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220)에서, 회전 부분(812)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부분 다리(810)가 제2 부분 다리(820)의 내부로 이동하면, 제2 다리부(120)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2 각도(R2)를 이룰 수 있다. 제3 상태(230)에서, 회전 부분(812)이 제1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제1 부분 다리(810)가 제2 부분 다리(820)의 내부로 이동하면, 제2 다리부(120)의 길이는 더 짧아질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110)와 지면은 도 4의 제3 각도(R3)를 이룰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체 받침부(150)는 세로 지지대(140) 상에서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10)의 가슴이 상체 받침부(150)에 접촉할 때, 사용자(10)는 좀 더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판(141)은 세로 지지대(14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141)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부재(9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9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와 지지판(141)의 결합 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부재(91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920)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롤링 부재(91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920) 상에서 구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판(141)에서 상체 받침부(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901)에서, 상체 받침부(150)는 세로 지지대(140)와 중심을 공유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상태(902)에서, 사용자(10)의 신체 조건 또는 사용 자세에 기초하여, 상체 받침부(150)는 B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상태(903)에서, 사용자(10)의 신체 조건 또는 사용 자세에 기초하여, 상체 받침부(150)는 C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체 받침부(150)는 세로 지지대(140) 상에서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10)의 가슴이 상체 받침부(150)에 접촉할 때, 사용자(10)는 좀 더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판(141)은 세로 지지대(14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부재(111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41)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1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와 지지판(141)의 결합 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부재(111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920)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롤링 부재(111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1120) 상에서 구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판(141)에서 상체 받침부(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901)에서, 상체 받침부(150)는 세로 지지대(140)와 중심을 공유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2 상태(902)에서, 사용자(10)의 신체 조건 또는 사용 자세에 기초하여, 상체 받침부(150)는 B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상태(903)에서, 사용자(10)의 신체 조건 또는 사용 자세에 기초하여, 상체 받침부(150)는 C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체 받침부의 각도 변경에 따른 다양한 상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태들(1202, 1203, 1204)은 정면도(1201)에서 상체 받침부(150)를 D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세로 지지대(140)는 제1 지지대(1210) 및 제2 지지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0)의 일단은 상체 받침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210)의 타단에는 제1 톱니 구조(12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대(1220)의 일단에는 제1 톱니 구조(1211)에 대응하는 제2 톱니 구조(12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톱니 구조(1211) 및 제2 톱니 구조(1221)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톱니 구조(1211) 및 제2 톱니 구조(1221)는 방사형의 나사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230)는 제1 지지대(1210) 및 제2 지지대(1220)를 결합하여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합 부재(1230)는 볼트 형태로 구성되어, 결합 부재(123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지지대(1210) 및 제2 지지대(1220)가 결합되고, 결합 부재(123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지지대(1210) 및 제2 지지대(122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체 받침부(150)는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태(1202)에서, 제1 지지대(1210)는 제2 지지대(1220)와 일직선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상태(1203)에서, 제1 지지대(1210)는 B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대(1220)와 지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3 상태(1204)에서, 제1 지지대(1210)는 C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대(1220)와 지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체 받침부(150)는 하부에 회전 가이드(13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0)는 회전 핀(1320)을 통해 세로 지지대(1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0)가 회전 핀(13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세로 지지대(140)의 상단은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A방향이 세면 보조 장치(100)의 정면일 때, 상체 받침부(150)는 B방향 또는 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의 회전을 통해, 상체 받침부(150)는 사용자(10)의 가슴에 좀 더 밀착될 수 있고, 세면 시 사용자(10)는 최적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 조절 시 원상복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D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회전 가이드(1310)와 세로 지지대(14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30, 13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30, 1340)는 회전 핀(1320)을 중심으로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30, 1340)는 제1 탄성 부재(1330) 및 제2 탄성 부재(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가 B방향으로 회전 시, 제1 탄성 부재(1330)는 상체 받침부(150)를 C방향으로 원상복귀시킬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가 C방향으로 회전 시, 제1 탄성 부재(1330)는 상체 받침부(150)를 B방향으로 원상복귀시킬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 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세로 지지대(140)는 회전 가이드(1410)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310)는 제1 회전 핀(1420) 및 제2 회전 핀(1430)을 통해 상체 받침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가 제1 회전 핀(1420) 및 제2 회전 핀(14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회전 핀(1420) 및 제2 회전 핀(1430)은 상체 받침부(15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A방향이 세면 보조 장치(100)의 정면일 때, 상체 받침부(150)는 B방향 또는 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체 받침부(150)의 회전을 통해, 상체 받침부(150)는 사용자(10)의 가슴에 좀 더 밀착될 수 있고, 세면 시 사용자(10)는 최적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디딤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세면 보조 장치(100)는 디딤 손잡이(1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서, 도 1의 세면 보조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디딤 손잡이(1510)는 세로 지지대(140)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8에서, 디딤 손잡이(1510)는 세로 지지대(140)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디딤 손잡이(1510)는 세로 지지대(14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및 적어도 하나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10)는 세면 보조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엎드릴 때 또는 세면 보조 장치(100)의 사용 후 일어설 때 디딤 손잡이(1510)를 잡을 수 있다. 사용자(10)는 디딤 손잡이(1510)를 통해 좀 더 쉽게 자세 전환을 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 보조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세로 지지대(140)는 제1 다리부(1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상체 받침부(150)는 다리 연결부(130)에 근접하도록 이동되고, 세면 보조 장치(100)의 전체 길이는 감소할 수 있다. 제2 다리부(120)는 다리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제1 다리부(110)에 밀접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접힌 상태에서, 세면 보조 장치(100)가 차지하는 부피는 감소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세면 보조 장치
110: 제1 다리부
120: 제2 다리부
130: 다리 연결부
131: 다리 회전부 132: 고정 부재
140: 세로 지지대
150: 상체 받침부
160: 제1 지지 부재 161: 제1 미끄럼 방지 부재
170: 제2 지지 부재 171: 제2 미끄럼 방지 부재
110: 제1 다리부
120: 제2 다리부
130: 다리 연결부
131: 다리 회전부 132: 고정 부재
140: 세로 지지대
150: 상체 받침부
160: 제1 지지 부재 161: 제1 미끄럼 방지 부재
170: 제2 지지 부재 171: 제2 미끄럼 방지 부재
Claims (8)
- 세면 보조 장치에 있어서,
제1 다리부;
상기 제1 다리부의 일단으로부터 수평적으로 연장된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양단에 결합된 제1 미끄럼 방지 부재들;
상기 제1 다리부의 일부에 고정되는 다리 연결부;
상기 다리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다리부와 지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다리부;
상기 제2 다리부의 일단으로부터 수평적으로 연장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양단에 결합된 제2 미끄럼 방지 부재들;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다리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세로 지지대;
상기 세로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세로 지지대로부터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디딤 손잡이;
상기 세로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체 받침부; 및
상기 제2 다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다리부의 다리 길이 및 상기 제1 다리부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다리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리부의 다리 길이를 조절하는 동안 상기 제1 다리부의 다리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다리부의 다리 길이 조절에 의해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지면 사이의 상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딤 손잡이는 상기 제1 다리부, 상기 제2 다리부, 및 상기 다리 연결부와 이격되는 세면 보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와 상기 상체 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배치되는 롤링 부재; 및
상기 상체 받침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받침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롤링 부재의 구름 동작을 통해,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세면 보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받침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로 지지대의 상단에 회전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받침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지정된 반경 사이를 회전하는 세면 보조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세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받침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지정된 반경 내의 회전 후 상기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는 세면 보조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444A KR102514420B1 (ko) | 2021-06-25 | 2021-06-25 | 세면 보조 장치 |
PCT/KR2022/008936 WO2022270940A1 (ko) | 2021-06-25 | 2022-06-23 | 세면 보조 장치 |
KR1020230037228A KR20230044990A (ko) | 2021-06-25 | 2023-03-22 |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세면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3444A KR102514420B1 (ko) | 2021-06-25 | 2021-06-25 | 세면 보조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7228A Division KR20230044990A (ko) | 2021-06-25 | 2023-03-22 |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세면 보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822A KR20230000822A (ko) | 2023-01-03 |
KR102514420B1 true KR102514420B1 (ko) | 2023-03-27 |
Family
ID=845457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3444A KR102514420B1 (ko) | 2021-06-25 | 2021-06-25 | 세면 보조 장치 |
KR1020230037228A KR20230044990A (ko) | 2021-06-25 | 2023-03-22 |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세면 보조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7228A KR20230044990A (ko) | 2021-06-25 | 2023-03-22 |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세면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14420B1 (ko) |
WO (1) | WO20222709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4422B1 (ko) * | 2023-10-23 | 2024-10-07 | 김용성 | 세면세발 보조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5309B1 (ko) * | 2016-10-18 | 2018-02-02 | 장병택 | 버티컬스테퍼 운동기구 |
KR102153502B1 (ko) * | 2019-05-29 | 2020-09-08 | 성관태 | 상체받침부를 설치한 세면보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5502B1 (ko) * | 2005-04-15 | 2007-01-09 | 서춘수 | 다기능의 사다리 |
US20080022448A1 (en) * | 2006-07-31 | 2008-01-31 | Todd Judith A | Bathing aid |
KR101456461B1 (ko) * | 2012-11-26 | 2014-10-3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용 수면보조장치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3444A patent/KR1025144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6-23 WO PCT/KR2022/008936 patent/WO202227094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3-22 KR KR1020230037228A patent/KR2023004499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5309B1 (ko) * | 2016-10-18 | 2018-02-02 | 장병택 | 버티컬스테퍼 운동기구 |
KR102153502B1 (ko) * | 2019-05-29 | 2020-09-08 | 성관태 | 상체받침부를 설치한 세면보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70940A1 (ko) | 2022-12-29 |
KR20230044990A (ko) | 2023-04-04 |
KR20230000822A (ko) | 2023-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42196B2 (en) | Biomechanically derived crutch | |
KR20230044990A (ko) | 상체 받침부를 포함하는 세면 보조 장치 | |
US1184792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people to a modified gait or posture | |
CN108686337B (zh) | 步行训练器械和步行训练辅助装置 | |
ITMI20070348A1 (it) | Seggiolino da tavolo con seduta rotante | |
US7823230B2 (en) | Bath tub rail | |
US6340205B1 (en) | Foldable seating device | |
KR102409379B1 (ko) | 대퇴부의 신장 기능이 강화된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 |
KR101903711B1 (ko) |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 |
US20020128131A1 (en) | Waist/back exerciser | |
US20140094723A1 (en) |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 |
KR101975220B1 (ko) | 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보조장치 | |
JP7367906B2 (ja) | 手摺装置 | |
JP4796810B2 (ja) | 立上り補助具 | |
JP2008092972A (ja) | ポータブルトイレ | |
US5105484A (en) | Back scrubber device | |
JP2010172401A (ja) | 椅子 | |
JP7461657B2 (ja) | 傾倒防止具 | |
JP3626912B2 (ja) | 椅子 | |
JP7434429B2 (ja) | 手摺装置 | |
JP2008073412A (ja) | ベッド用手摺枠 | |
KR101982318B1 (ko) |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 |
FI65169C (fi) | Anordning foer traening av muskler som uppraetthaoller haollningen | |
JP3301748B2 (ja) | 痴呆症予防補助具 | |
JP3035508U (ja) | 入浴用補助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